KR101904129B1 -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29B1
KR101904129B1 KR1020187006727A KR20187006727A KR101904129B1 KR 101904129 B1 KR101904129 B1 KR 101904129B1 KR 1020187006727 A KR1020187006727 A KR 1020187006727A KR 20187006727 A KR20187006727 A KR 20187006727A KR 101904129 B1 KR101904129 B1 KR 10190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thermoplastic polymer
polymer film
part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233A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다
카즈후미 시오야
아사미 츠네마츠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9D183/12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제막 시나 전장 시의 마찰에 의한 유적 성능의 저하가 적고, 전장된 초기부터 우수한 유적성을 발휘하며, 전장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적성을 유지하고, 유적제를 도포한 필름면에 끈적임이 극히 적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면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이 제공된다.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로서 특정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특정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로 가수분해 처리한 특정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특정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및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특정 비율로 함유시킨 것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공장에서의 제막 시나 농업용 하우스로의 전장 시의 마찰에 의한 유적 성능의 저하가 적고, 전장된 초기부터 우수한 유적성을 발휘하며, 전장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적성을 유지하고, 도포한 필름면에 끈적임이 극히 적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면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그리고 이러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로서, 알루미나졸, 산성 실리카졸, 유기 실란 유도체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콜로이달 알루미나, 콜로이달 실리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한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면 조성물에는 공장에서의 제막 시나 농업용 하우스로의 전장 시의 마찰에 의해 필름의 유적성능(流滴性能)이 저하되거나, 필름의 코팅면이 끈적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소62-241984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2000-16014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막 시나 전장(展張) 시의 마찰에 의한 유적 성능의 저하가 적고, 전장된 초기부터 우수한 유적성을 발휘하며, 전장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적성을 유지하고, 유적제(流滴劑)를 도포한 필름면에 끈적임이 극히 적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면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이러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특정의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특정한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로 개질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특정한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및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특정한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이 확실히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 다음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2질량부 내지 30질량부 및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45질량부 내지 7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이러한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다음의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다음의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5(질량비) 내지 100/15(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9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내지 8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실라놀 화합물: 트리알콕시실란류, 디알콕시실란류 및 모노알콕시실란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처리한 것.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가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부가된 화합물,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랜덤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 및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블록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출발 화합물: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족 알콜,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2질량부 내지 30질량부 및 수평균 분자량이 1,500~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45질량부 내지 7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지만,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20질량부 내지 40질량부,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5질량부 내지 20질량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을 50질량부 내지 7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하는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은 특정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특정의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5(질량비) 내지 100/15(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원료가 되는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은 카티온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9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내지 8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지만,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50질량% 내지 8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5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티온 알루미나졸은 이른바 콜로이달 알루미나이며, 수분산액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졸 100, 알루미나졸 200 및 알루미나졸 520(이상, 모두 닛산카가쿠사제의 상품명), 카타로이드 AS-1 및 카타로이드 AS-2(이상, 모두 닛키쇼쿠바이카세이사제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실라카졸도 수분산액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노텍스 AK 및 스노텍스 AK-L(이상, 모두 닛산카가쿠사제의 상품명), 카타로이드(닛키쇼쿠바이카세이사제의 상품명), 쿼트론 PL-3-C(후소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알루미나나 실리카의 콜로이드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은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하고, 생성된 실라놀 화합물을 축합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존재하에서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하고, 이어서 생성된 실라놀 화합물을 축합 중합함으로써,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부착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되는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은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한 것과 같은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은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5(질량비) 내지 100/15(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된 것이지만,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7(질량비) 내지 100/12(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되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TSF4440, TSF4441, TSF4445, TSF4446, TSF4452 및 TSF4460(이상, 모두 모멘티브ㆍ퍼포먼스·머티어리얼즈·재팬사제의 상품명), X22-4952, X22-4272, KF-6123, KF-351A, KF-352A, KF-353, KF-354L, KF-355A, KF-615A, KF-945, KF-640, KF-642, KF-643, KF-644, KF-6204, X-22-4515 및 KF-6004(이상, 모두 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SH8700, SH8410, SH8400, L-7002, FZ-2104, FZ-77, L-7604, FZ-2203 및 FZ-2208(이상, 모두 도레이다우코닝사제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TSF4440, KF-354L, KF-945, SH8400, KF-6004 등과 같이 HLB가 4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는 다음의 출발 화합물에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한 화합물 및/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한 화합물이며,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한 경우에는 블록 형상 부가 또는 랜덤 형상 부가 중에서 어떤 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부가 몰 수는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시드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합계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할 수 있지만, 5몰 내지 50몰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 화합물: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족 알콜,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
출발 화합물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족 알콜로서는, 카프릴알콜, 2-에틸헥실알콜, 펠라르곤알콜, 카프린알콜, 운데실알콜, 탄소수가 9 내지 11인 2급 알콜, 라우릴알콜, 트리데실알콜, 미리스틸알콜, 펜타데실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리실리레일알콜, 베헤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으로서는,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톨레인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산, 에이코산산, 베헨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로서는, 옥틸페톨, 노닐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으로서는, 카프릴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라우릴아민, 트리데실아민, 미리스틸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베헤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출발 화합물로서는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족 알콜,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지방산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콜의 에틸렌 옥시드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알콜에틸렌옥시드 5몰 부가체, 2-에틸헥실알콜에틸렌옥시드 100몰 부가체, 노닐알콜에틸렌옥시드 5몰 부가체, 운데실알콜에틸렌옥시드 30몰 부가체, 탄소수 9 내지 12의 2급 알콜에틸렌옥시드 9몰 부가체, 라우릴알콜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팔미틸알콜에틸렌옥시드 50몰 부가체, 스테아릴알콜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체, 이소스테아릴알콜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체, 올레일알콜에틸렌옥시드 14몰 부가체, 베헤닐알콜에틸렌옥시드 24몰 부가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 알콜의 에틸렌 옥시드와 프로필렌 옥시드를 병용하는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알콜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2-에틸헥실알콜프로필렌옥시드 30몰 에틸렌옥시드 30몰 부가체, 데실알콜에틸렌옥시드 30몰 프로필렌옥시드 20몰 랜덤 부가체, 도데실알콜에틸렌옥시드 9몰 프로필렌옥시드 9몰 랜덤 부가체, 트리데실알콜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미리스틸알콜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옥시드 10몰 블록 부가체, 테트라데실알콜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옥시드 11몰 블록 부가체, 펜타데실알콜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옥시드 10몰 블록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산 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라우린산 에틸렌옥시드 12몰 부가체, 팔미틴산 에틸렌옥시드 5몰 부가체, 스테아린산 에틸렌옥시드 13몰 부가체, 올레인산 에틸렌옥시드 13몰 부가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의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산 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카프린산 알콜에틸렌옥시드 4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라우린산 알콜 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미리스틴산 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 옥시드 10몰 블록 부가체, 펜타데칸산 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옥시드 10몰 블록 부가체, 올레인산 프로필렌옥시드 24몰 에틸렌옥시드 24몰 블록 부가체, 베헨산 에틸렌옥시드 10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체로서는, 옥틸페놀에틸렌옥시드 3몰 부가체, 노닐페놀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데실페놀에틸렌옥시드 12몰 부가체, 도데실페놀에틸렌옥시드 100몰 부가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의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체로서는, 옥틸페놀에틸렌옥시드 5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노닐페놀프로필렌옥시드 10몰 에틸렌옥시드 35몰 랜덤 부가체, 데실페놀프로필렌옥시드 3몰 에틸렌옥시드 10몰 블록 블록 부가체, 옥타데실페놀프로필렌옥시드 10몰 에틸렌옥시드 80몰 랜덤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아민에틸렌옥시드 4몰 부가체, 라우릴아민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미리스틸아민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체, 스테아릴아민에틸렌옥시드 45몰 부가체 등을 들 수 있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의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체로서는, 카프릴아민에틸렌옥시드 2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라우릴아민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팔미틸아민프로필렌옥시드 10몰 에틸렌옥시드 20몰 블록 부가체, 스테아릴아민프로필렌옥시드 20몰 에틸렌옥시드 60몰 블록 부가체, 베헤닐아민에틸렌옥시드 20몰 프로필렌옥시드 5몰 블록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로서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콕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체,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콕의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체,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체 및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의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체이며, 또한 출발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시드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합계 5몰 내지 50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로서는, 데실알콜의 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라우릴알콜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탄소수 9 내지 12의 2급 알콕의 에틸렌옥시드 9몰 부가체, 스테아릴알콜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체, 올레일알콜에틸렌옥시드 14몰 부가체, 도데실알콜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트리데실알콜의 에틸렌옥시드 10몰 프로필렌옥시드 10몰 랜덤 부가체, 테트라데실알콜의 프로필렌옥시드 13몰 에틸렌옥시드 11몰 블록 부가체, 라우린산의 에틸렌옥시드 12몰 부가체, 스테아린산의 에틸렌옥시드 13몰 부가체, 올레인산의 에틸렌옥시드 13몰 부가체, 스테아린산의 에틸렌옥시드 9몰 프로필렌옥시드 9몰 랜덤 부가체, 올레인산의 프로필렌옥시드 24몰 에틸렌옥시드 24몰 불록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공되는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로서는, 모두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 에틸린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모두 수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4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플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3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은 수산기가로부터 산출할 수 있으며, 수산기가는 JIS K0070에 기재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이다.
제1 공정: 다음의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존재 하에서 상기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100질량부당 5질량부 내지 15질량부의 비율이 되는 양의 다음의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처리하며, 생성된 실라놀 화합물을 축합 중합시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수득하는 공정.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9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내지 8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 트리알콕시실란류, 디알콕시실란류 및 모노알콕시실란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제2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수득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 다음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2질량부 내지 30질량부 및 수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45질량부 내지 75질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얻는 공정.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가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부가된 화합물, 다음의 출발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로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랜덤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 및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3몰 내지 100몰의 비율로 블록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출발 화합물: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콜,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알킬페놀,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2인 모노알킬아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 사용되는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공정에서 사용되는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로서는, 1)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에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멜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클리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우레이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트리알콕시실란류, 2) 디메틸디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디알콕시실란류, 3)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등의 모노알콕시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 사용되는 무기 카티온콜로이드졸의 고형분과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과의 질량비는 무기 카티온콜로이드졸의 고형분과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과의 질량비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며, 또한 상기 제2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에 대해서는 이들의 비율들도 포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이하, 본 발명의 필름이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고형분으로서 0.1g/㎡ 내지 2.0g/㎡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으로서는, 1) 폴리올레핀계 수지, 2)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염소계 수지, 3)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농업용 필름으로 이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전반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α-올레핀의 단독중합,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종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들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방무제, 보온제, 안료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수지들을 필름에 성형하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 성형법, T다이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에서 사용되는 수지는 복수의 종류의 수지들을 블렌드하여도 된다. 또한,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되며, 목적에 따라 조합하여 성형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농업용 피복 필름에 이용하는 경우에 현저한 효과가 발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이하,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이다.
제1 공정: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면의 습윤 장력을 35mN/m 이상으로 하는 공정.
제2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수득된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대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형분으로 하여 0.1g/㎡ 내지 2.0g/㎡가 되도록 도포하는 공정.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공정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면의 습윤 장력을 35mN/m 이상으로 하는 공정이지만, 습윤 장력을 35mN/m 내지 70mN/m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쉽게 효과가 발현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 장력은 JIS-K6768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대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형분으로 하여 0.1g/㎡ 내지 2.0g/㎡가 되도록 도포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도포하는 경우에 공지의 도포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에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트법, 침지 코트법, 롤 코트법, 독터 블레이드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막 시나 전장 시의 마찰에 의한 유적 성능의 저하가 적고, 전장된 초기부터 우수한 유적성을 발휘하며, 전장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적성을 유지하고, 유적제를 도포한 필름면에 끈적임이 극히 적은 효과가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시하기 위해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하며, %는 질량%를 의미한다.
시험 구분 1(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
물 68.1부, 카티온 알루미나졸(X1-1) 341.5부(고형분 환산 70부) 및 카티온 실리카졸(X2-1) 130.4부(고형분 환산 30부)를 혼합하여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조제하였다. 이러한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에 실라놀 형성성 무기 실란 화합물(Y-1) 10부를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의 혼합액을 조제하고, 50℃에서 5시간 교반하여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Y-1)을 가수분해 처리하며, 생성된 실라놀 화합물을 축합 중합시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A-1)을 얻었다. 이러한 개질 무기 카니온 콜로이드졸(A-1)은 상기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어서, 상기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A-1)의 고형분 환산으로 100부에 물 9,400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B-1) 30부,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C-1) 10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D-1) 60부를 추가하여 교반하고, 고형분 농도 2%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5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A-12) 및 (AR-1) 내지 (AR-3)을 조제하고, 또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5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들을 얻었다. 이상의 각 예에서 조제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내용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며, 이상의 각 예에서 얻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내용을 표 2 및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종류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
카티온 알루미나졸 카티온 실리카졸 종류
비율(부)
종류 비율(부) 종류 비율(부)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X1-1
X1-1
X1-1
X1-2
X1-2
X1-3
X1-1
X1-2
X1-1
X1-1
X1-1
X1-1
70
80
50
70
60
80
90
20
70
80
70
80
X2-1
X2-2
X2-3
X2-1
X2-2
X2-1
X2-1
X2-3
X2-1
X2-2
X2-1
X2-2
30
20
50
30
40
20
10
80
30
20
30
20
Y-1
Y-2
Y-3
Y-1
Y-2
Y-1
Y-2
Y-2
Y-1
Y-2
Y-4
Y-5
10
8
12
9
11
10
10
7
5
15
10
8
AR-1
AR-2
AR-3
X1-1
X1-2
X1-3
0
100
50
X2-1
X2-2
X2-3
100
0
50
Y-1
Y-1
Y-2
10
10
0
표 1에 있어서,
X1-1: 닛산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알루미나졸 520
X1-2: 닛산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알루미나졸 200
X1-3: 닛키쇼쿠바이카세이사제의 상품명 카타로이드 AS-1
X2-1: 닛산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스노텍스 AK
X2-2: 닛키쇼쿠바이카세이사제의 상품명 카타로이드 SN
X2-3: 후소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쿼트론 PL-3-C
Y-1: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Y-2: γ-우레이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Y-3: 에틸트리에톡시실란
Y-4: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Y-5: 트리메틸메톡시실란

구분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폴리알킬렌글리콜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A-1
A-2
A-3
A-4

A-5

A-6
A-1
A-2
A-1
A-2
A-3
A-1
A-3
A-1
A-1
A-2
A-1
A-1
A-7
A-8
A-9
A-10
A-11
A-12
A-4
A-5
A-2
A-1

A-1

A-1
A-1
A-5
A-2
A-1
A-1
A-1
A-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B-2
B-3
B-1
B-4
B-2
B-5
B-1
B-2
B-3
B-1
B-2
B-3
B-3
B-1
B-2
B-2
B-3
B-3
B-1
B-1
B-4
B-5
B-1
B-1
B-2
B-3
B-4
B-1
B-1
B-3
B-1
B-3
B-4
B-2
B-5
B-1
B-1
B-1
B-1
B-1
30
20
40
15
15
15
10
30
30
30
30
20
40
10
10
45
30
20
40
20
30
30
30
30
30
30
30
30
10
24
24
5
5
50
23
25
30
20
30
30
30
C-1
C-2
C-3
C-4

C-5

C-7
C-8
C-9
C-10
C-11
C-12
C-6
C-13
C-1
C-7
C-3
C-3
C-4
C-1
C-1
C-7
C-1
C-1
C-2
C-3
C-4
C-4
C-1

C-9

C-1
C-4
C-8
C-4
C-1
C-14
C-15
C-16
10
20
5
20

5

10
20
10
10
20
5
20
20
5
2
30
15
5
10
10
10
10
10
10
10
10
30
2

15

5
2
30
10
20
10
10
10
D-1
D-2
D-3
D-1

D-2

D-1
D-2
D-3
D-4
D-5
D-3
D-1
D-1
D-1
D-1
D-2
D-1
D-1
D-2
D-1
D-3
D-1
D-6
D-7
D-8
D-9
D-1
D-3

D-1

D-3
D-1
D-2
D-10
D-11
D-1
D-1
D-1
60
60
55
50

70

60
50
60
60
60
55
70
70
50
68
50
45
75
60
60
60
60
60
60
60
60
60
50

75

45
75
45
60
60
60
60
60

구분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폴리알킬렌글리콜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종류 질량부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A-1
A-1
A-2
A-2
A-1
A-1
AR-1
AR-2
AR-3
A-1
A-3
A-5
A-1
A-2
A-4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B-2
B-2
B-3
B-3
B-1
B-1
B-3
B-1
BR-1
BR-2
B-3
B-1
B-1
B-3
5
35
40
20
40
15
30
30
30
30
30
30
20
40
20
C-1
C-2
C-3
C-4
C-5
C-9
C-1
C-8
C-2
C-1
C-3
CR-1
CR-2
C-1
C-2
30
2
1
35
20
5
10
10
10
10
10
10
20
5
20
D-1
D-1
D-2
D-1
D-1
D-2
D-1
D-3
D-3
D-1
D-3
D-1
D-2
DR-1
DR-2
65
45
59
45
40
80
60
60
60
60
60
60
60
55
60
표 2 및 표 3에 있어서,
A-1~A-12, AR-1~AR-3: 표 1에 기재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B-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어리얼즈·재팬사제의 상품명 TSF4440, HLB=14)
B-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KF-354L, HLB=16)
B-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KF-945, HLB=4)
B-4: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도레이다우코닝사의 상품명 SH8400, HLB=8)
B-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KF-6004, HLB=9)
BR-1: 폴리디메틸실리콘(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KF-96)
BR-2: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신에츠실리콘사제의 상품명 KF-412)
C-1: 탄소수 12~13의 지방족 혼합 알콜의 EO(에틸렌옥시드, 이하 동일함) 10몰 PO(프로필렌옥시드, 이하 동일함) 10몰 랜덤 부가체
C-2: 라우릴알콜의 EO 10몰 부가체
C-3: 탄소수 9~11의 지방족 혼합 2급 알콜의 EO 9몰 부가체
C-4: 올레일알콜의 EO 14몰 부가체
C-5: 스테아릴알콜의 EO 20몰 부가체
C-6: 탄소수 14~15의 지방족 혼합 알콜의 PO 13몰 EO 11몰 블록 부가체
C-7: 카프릴산의 EO 10몰 부가체
C-8: 라우린산의 EO 12몰 부가체
C-9: 스테아린산의 EO 13몰 부가체
C-10: 베헤닐알콜의 EO 24몰 부가체
C-11: 라우릴알콜의 EO 9몰 PO 9몰 랜덤 부가체
C-12: 올레인산의 PO 24몰 EO 24몰 블록 부가체
C-13: 올레인산의 EO 13몰 부가체
C-14: 카프릴아민에틸렌옥시드 4몰 부가체
C-15: 노닐페놀에틸렌옥시드 10몰 부가체
C-16: 2-에틸헥실알콜에틸렌옥시드 100몰 부가체
CR-1: 메탄올
CR-2: 에틸렌글리콜
D-1: 폴리에틸렌글리콜(산요카세이고교사제의 상품명 PEG-20000, 수평균 분자량 20,000)
D-2: 폴리에틸렌글리콜(산요카세이고교사제의 상품명 PEG-10000, 수평균 분자량 11,000)
D-3: 폴리에틸렌글리콜(산요카세이고교사제의 상품명 PEG-13000, 수평균 분자량 13,000)
D-4: 폴리에틸렌글리콜(산요카세이고교사제의 상품명 PEG-6000P, 수평균 분자량 8,600)
D-5: 폴리에틸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28,000)
D-6: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4/1(몰비), 수평균 분자량 10,000)
D-7: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에틸렌옥시드=141/44/141(몰비), BASF사제의 상품명 플루로닉(Pluronic) F108NF, 수평균 분자량 14,600)
D-8: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50/50(몰비), 수평균 분자량 3,500)
D-9 : 폴리에틸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40000)
D-10: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25/75(몰비), 수평균 분자량 1,700)
D-11: 폴리에틸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50,000)
DR-1: 폴리에틸렌글리콜(산요카세이고교사제의 상품명 PEG-400, 수평균 분자량 400)
DR-2: 폴리에틸렌글리콜(메이세이카가쿠고교사제의 상품명 알콕스 R-150, 수평균 분자량 150,000)
시험 구분 2(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에틸렌 공중합 비율 96%, 밀도 0.930g/㎤, MFR 1.0g/10분)를 직경 75mm이고 립 간극 3mm의 다이를 장착한 인플레이션 성형기에서 제공하고, 수지 압출 온도 200℃ 및 BUR=1.8의 조건 하에서 인플레이션 성형을 수행하여, 두께 150㎛의 올레핀 중합체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올레핀 중합체 필름에 코로나 처리 방전을 실시하고, 코로나 방전 처리면의 습윤 장력을 42mN/m으로 한 후, 이러한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기 시험 구분 1에서 조제된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분으로 하여 0.3g/㎡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트법으로 도포하고, 70℃로 온도 조절한 온풍 건조로에 1분간 체류시켜 각 예의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얻었다.
시험 구분 3(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평가)
유적성의 평가
상기 시험 구분 2에서 제조된 각 예의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하우스의 내온을 30℃로 조절하고, 하우스의 외온을 10℃로 조절한 15도의 경사면을 갖는 테스트 하우스에 1㎡ 붙이고, 초기(1일 후) 및 장기(30일 후)에 물방울 부착 상황을 관찰하여, 물방울 방지 효과, 즉 유적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유적성의 평가 기준
5: 물방울의 부착 없음
4: 물방울의 부착 면적이 10% 미만
3: 물방울의 부착 면적이 10% 이상 내지 50% 미만
2: 물방울의 부착 면적이 50% 이상 내지 80% 미만
1: 물방울의 부착 면적이 80% 이상
내찰상성의 평가
마찰 시험기(다이에이카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사제의 학진형 염색 견뢰도 시험기)의 암의 마찰면에 비닐 테이프를 붙여 300g의 하중을 걸고, 상기 시험 구분 2에서 제조된 각 예의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도포면 100㎠에 10 왕복 마찰시킨 후, 마찰시킨 부분에 수증기를 쐬고, 물방울이 부착되어 생기는 흐림 부분에 의해 도막의 박리 정도를 관찰하여, 도막의 내박리 강도, 즉 내찰상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내찰상성의 평가 기준
5: 도막의 벗겨짐 없음
4: 도막의 벗겨짐 면적이 10% 미만
3: 도막의 벗겨짐 면적이 10% 이상 내지 50% 미만
2: 도막의 벗겨짐 면적이 50% 이상 내지 80% 미만
1: 도막의 벗겨짐 면적이 80% 이상
끈적임의 평가
상기 시험 구분 2에서 제조한 각 예의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서 20㎝×20㎝의 정방형의 시험편을 2매 잘라내고, 이러한 시험편의 도포면끼리를 겹쳐 하중 1kg/㎡를 균등하게 걸어 50℃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겹친 상태의 필름을 10mm×10mm의 정방형으로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이러한 시험편에 대하여 쌍방의 필름간의 박리력, 즉 끈적임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끈적임의 평가 기준
5: 박리력이 50mN/10mm 미만
4: 박리력이 50mN/10mm 이상 내지 100mN/10mm 미만
3: 박리력이 50mN/10mm 이상 내지 150mN/10mm 미만
2: 박리력이 150mN/10mm 이상 내지 200mN/10mm 미만
1: 박리력이 200mN/10mm 이상
액안정성의 평가
상기 시험 구분 1에서 조제된 각 예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밀폐 용기 중에서 실온 20℃에서 정치 보관했을 때의 분리 상황을 관찰하고, 분리되기까지의 시간에 의해 액안정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액안정성의 평가 기준
5: 24시간 이상 분리 없음
4: 12시간 이상 내지 24시간 미만 분리 없음
3: 6시간 이상 내지 12시간 미만 분리 없음
2: 2시간 이상 내지 6시간 미만 분리 없음
1: 2시간 미만으로 분리
도포성의 평가
상기 시험 구분 2에서 제조된 각 예의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도포면의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도포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도포성의 평가 기준
5: 얼룩, 튐이 발생하지 않음
4: 일부에 얼룩이 발생함
3: 전체에 얼룩이 발생함
2: 일부에 튐이 발생함
1: 전체에 튐이 발생함

구분
평가
드립성 내찰상성
끈적임
액안정성
도포성
초기 장기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4
5
4
5
5
4
5
4
5
5
5
5
5
4
5
4
5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4
5
5
5
5
5
4
4
5
5
5
5
5
5
4
5
4
5
5
5
5
4
5
5
5
5
5
5
5
5
5
5
5
5
5
4
4
5
5
5
5
5
5
5
5
5
4
5
5
5
4
5
4
5
5
5
4
5
5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4
5
5
5
5
5
5
5
5
5
5
4
5
5
5
5
4
4
5
5
4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4
5
5
5
5
5
5
5
5
5
5
4
5
4
5
5
5
5
5
4
5
5
5
5
5
5
5
5
5
5
5
5
5
5
4
5
5
5
5
5
5
5
5
5
4
4
5
4
5
5
4
5
5
4
4
5
5

구분
평가
드립성 내찰상성
끈적임
액안정성
도포성
초기 장기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5
5
4
5
1
5
2
4
5
4
4
4
4
4
2
5
2
5
5
5
4
2
1
1
4
4
4
4
4
1
1
5
5
4
5
5
2
1
1
1
1
4
4
2
4
4
5
5
2
5
5
5
5
5
4
4
4
1
1
4
5
5
5
5
5
1
5
5
4
2
2
1
4
4
1
5
5
1
5
5
5
5
5
5
1
1
2
2
4
1
상기 표 2 및 표 3에 대응하는 표 4 및 표 5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면 제막 시나 전장 시의 마찰에 의한 유적 성능의 저하가 적고, 전장된 초기부터 우수한 유적성을 발휘하며, 전장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적성을 유지하고, 도포면에 끈적임이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다음의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 다음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2질량부 내지 30질량부 및 다음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을 45질량부 내지 75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다음의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다음의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5(질량비) 내지 100/15(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9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내지 8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의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진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실라놀 화합물: 트리알콕시실란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처리한 것.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가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부가된 화합물,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랜덤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 및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블록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출발 화합물: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콜 또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두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 및 에틸렌 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HLB가 4 내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라놀 화합물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에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이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50질량% 내지 80질량% 및 카티온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5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입자에 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이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실라놀 화합물의 축합 중합물=100/7(질량비) 내지 100/12(질량비)의 비율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20질량부 내지 40질량부,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5질량부 내지 20질량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을 50질량부 내지 7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8. 다음의 제1 공정 및 다음의 제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제1 공정: 다음의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존재 하에서 상기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의 고형분 100질량부당 5질량부 내지 15질량부의 비율이 되는 양의 다음의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처리하고, 생성된 실라놀 화합물을 축합 중합시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수득하는 공정.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카티온 알루미나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질량% 내지 90질량% 및 카티온 실리카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 내지 80질량%(고형분 환산으로 합계 10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 트리알콕시실란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제2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수득된 개질 무기 카티온 콜로이드졸을 고형분 환산으로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10질량부 내지 50질량부, 다음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를 2질량부 내지 30질량부 및 다음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을 45질량부 내지 75질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얻는 공정.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가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부가된 화합물,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랜덤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 및 다음의 출발 화합물 1몰당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가 합계 9몰 내지 24몰의 비율로 블록 형상으로 부가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출발 화합물: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알콜 또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산.
    폴리알킬렌글리콜 : 모두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랜덤 중합 폴리머 및 에틸렌 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블록 중합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라놀 형성성 유기 실란 화합물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에틸트리에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이 고형분으로서 0.1g/㎡ 내지 2.0g/㎡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농업용 피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12. 다음의 제1 공정 및 다음의 제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제1 공정: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면의 습윤 장력을 35mN/m 이상으로 하는 공정.
    제2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대하여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분으로 하여 0.1g/㎡ 내지 2.0g/㎡가 되도록 도포하는 공정.
  13. 삭제
KR1020187006727A 2015-08-17 2016-06-15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04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0350 2015-08-17
JP2015160350A JP5963923B1 (ja) 2015-08-17 2015-08-17 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の製造方法、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及び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の製造方法
PCT/JP2016/067751 WO2017029867A1 (ja) 2015-08-17 2016-06-15 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の製造方法、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及び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233A KR20180030233A (ko) 2018-03-21
KR101904129B1 true KR101904129B1 (ko) 2018-10-04

Family

ID=5655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727A KR101904129B1 (ko) 2015-08-17 2016-06-15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63923B1 (ko)
KR (1) KR101904129B1 (ko)
CN (1) CN107922754B (ko)
WO (1) WO2017029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7990B1 (ja) * 2017-02-09 2018-08-01 竹本油脂株式会社 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の製造方法、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及び改質熱可塑性高分子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86135B1 (ja) 2020-03-25 2020-11-18 竹本油脂株式会社 高分子フィルム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改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改質フィルム
JP6991626B1 (ja) 2021-06-11 2022-01-12 竹本油脂株式会社 高分子フィルム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改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改質フィル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146A (ja) 1998-12-01 2000-06-13 Sekisui Chem Co Ltd 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013038A (ja) 2001-04-27 2003-01-15 Sekisui Chem Co Ltd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049003A (ja) 2001-02-05 2003-02-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423B2 (ja) * 1986-04-14 1995-12-13 竹本油脂株式会社 表面改質方法
JP3341093B2 (ja) * 1993-09-17 2002-11-05 住化プラステック株式会社 塗布性の改良された防曇剤組成物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JP2011179007A (ja) * 2011-04-18 2011-09-15 Fumakilla Ltd 防曇剤及びその処理方法
CN102719123B (zh) * 2012-07-05 2014-07-16 上海多纶化工有限公司 农用薄膜的外涂型无滴消雾剂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146A (ja) 1998-12-01 2000-06-13 Sekisui Chem Co Ltd 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049003A (ja) 2001-02-05 2003-02-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013038A (ja) 2001-04-27 2003-01-15 Sekisui Chem Co Ltd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2754B (zh) 2019-03-08
KR20180030233A (ko) 2018-03-21
JP2017039785A (ja) 2017-02-23
CN107922754A (zh) 2018-04-17
JP5963923B1 (ja) 2016-08-03
WO2017029867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129B1 (ko)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 및 개질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EP2977397A1 (en) Method for prepa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aper coating agent by using water dispersible resin of ethylene-(meth)acrylic acid polymer, and use thereof
US10597566B2 (en) Organopolysiloxane emulsion composition for release paper or release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lease paper and release film
EP1216281B1 (en) Flexible composite suitable as packaging material
US10155883B2 (en) Silicon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and low release force emulsion silicone release coating for films and papers having cured release coating
CN105176365B (zh) 一种用于塑料薄膜的高耐性水性哑光面油及其制备方法
CN103228447A (zh) 防雾性物品及其制造方法
KR20130137547A (ko) 부가 경화형 실리콘 에멀전 조성물 및 박리 필름
AU2018226792B2 (en) Print receptive topcoat
US11180656B2 (en) Silicone emulsion composition capable of being formed into coating film, and coating film
US20150010711A1 (en) Coating Applications
JP6759355B2 (ja) 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09153878B (zh) 热塑性高分子膜涂布用组合物及其制造方法、改性热塑性高分子膜及其制造方法
CN115466569B (zh) 高分子膜用涂覆剂组合物、以及使用其的改性膜的制造方法和改性膜
US6902822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lip film for packaging with stable coefficient of friction properties
CN101161756B (zh) 防雾性表面处理剂和防雾性树脂片
JP2018131492A (ja) 感圧式接着剤、感圧式接着フィルムおよび光学積層体
WO2021192407A1 (ja) 高分子フィルム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改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改質フィルム
RU2006107571A (ru) Отверждаемые полимерные покрытия на водной основе, получение покрытия с барьер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к газу и субстраты с покрытиями
JPH01199851A (ja) ガラスびんの傷遮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