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627B1 -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627B1
KR101903627B1 KR1020160129214A KR20160129214A KR101903627B1 KR 101903627 B1 KR101903627 B1 KR 101903627B1 KR 1020160129214 A KR1020160129214 A KR 1020160129214A KR 20160129214 A KR20160129214 A KR 20160129214A KR 101903627 B1 KR101903627 B1 KR 10190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crete
slope
wire rope
suppor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617A (ko
Inventor
유병옥
이상래
장현익
김경석
심재원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6012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도 배수관을 감싸는 보온 커버의 외부에 보강 구조체를 설치하고, 보강 구조체를 통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숏크리트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마감재의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통해 보온 커버의 외부 마감 기능 및 비탈면 강도 보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PREVENTING SYSTEM OF ROAD FREEZING}
본 발명은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 배수관을 감싸는 보온 커버의 외부에 보강 구조체를 설치하고, 보강 구조체를 통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숏크리트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마감재의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통해 보온 커버의 외부 마감 기능 및 비탈면 강도 보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량 운행을 위해 시공된 것으로, 도심을 지나는 도로 뿐만 아니라 산간지역 고산지대의 도로, 터널의 도로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시공된다.
특히, 최근에는 도로 시공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국 도로망의 확충 사업에 따라 더욱 다양한 장소에 도로가 시공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지형의 특성상 산악 지형의 비탈면을 깍아 시공된 도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악 지형에 시공된 도로는 그 지형의 특성상 도로 측면에 비탈면이 형성되는 형태로 존재하게 되고, 도로의 측면에는 이러한 비탈면으로부터의 낙석 또는 붕괴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물이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낙석 또는 붕괴 위험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측면에 비탈면이 형성된 비탈면 도로의 경우, 그 지형의 특성상 도로에 햇빛이 원활하게 비추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 도로의 결빙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항상 대형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도 1은 비탈면이 형성되는 비탈면 도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10)의 측면에 경사진 형태의 비탈면(20)이 형성되는데, 도로(10)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는 도로(10)의 노면위에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수구(11)가 형성된다.
비탈면(20)에서는 내부 지반으로부터 용출수가 흘러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용출수가 비탈면(20)을 따라 흘러내려 도로(10)를 향해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배수구(11)는 이러한 용출수의 도로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한다.
이때, 용출수는 비탈면(20)의 전체 영역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점(P1,P2)을 통해 집중적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흘러나온 용출수는 배수구(11)를 통해 배수되며, 도로(10)로 유입되는 양이 최소화되도록 시공된다.
그러나,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특정 지점(P1,P2)를 통해 흘러나온 용출수는 비탈면(20)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대기 온도에 의해 얼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용출수가 흘러나오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20)에서부터 도로(10)까지 결빙 영역(E)이 계속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탈면(20)이 형성된 도로(10)에는 겨울철에 결빙 구간이 넓게 형성되어 심각한 교통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교통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 도로에는 결빙을 방지하는 결빙 방지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지반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용출수가 통과하도록 도로의 비탈면(20)에 매립되는 용출 배수관(100)과, 용출 배수관(100)에 연결되어 용출수를 도로의 배수구(11)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관(200)과, 유도 배수관(200)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보온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온 커버(300)는 다수개의 고정핀(400)을 이용하여 유도 배수관(200)을 감싸는 형태로 비탈면(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는 보온 커버(300)가 비탈면(20)에 외부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를 마감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 마감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외부 마감재로서, 미리 양생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비탈면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식생 기반재를 취부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외부 마감재는 시공성이 좋지 못하여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복잡하며, 식생 기반재의 경우 쉽게 유실되거나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등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8935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배수관을 감싸는 보온 커버의 외부에 보강 구조체를 설치하고, 보강 구조체를 통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숏크리트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마감재의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통해 보온 커버의 외부 마감 기능 및 비탈면 강도 보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 구조체의 와이어로프에 충격 흡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비탈면 및 숏크리트 보강층의 붕괴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붕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식생토층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식생토층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식생토층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출수가 통과하도록 도로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용출 배수관과, 상기 용출 배수관에 연결되어 용출수를 도로의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관과, 상기 유도 배수관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보온 커버를 포함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 구조체; 및 상기 보온 커버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보강 구조체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비탈면에 숏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은 상기 보강 구조체에 의해 보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강 구조체는, 일단부에 로프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 걸림부가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앵커핀; 다수개의 상기 앵커핀 중 적어도 2개의 앵커핀의 로프 걸림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강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장력을 갖는 직선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강 메쉬는 별도의 고정 클립을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에 결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로 상기 로프 걸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구조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부가 상기 로프 걸림부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로프 걸림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와이어로프의 중간 구간으로 연장되어 별도의 마찰 체결 부재에 의해 중간 구간에 조임 체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구조체에는 상기 식생토층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비탈면에 접촉 고정되고 중단부가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외부 돌출된 다수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식생토층이 단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부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식생토층이 상하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식생토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 배수관을 감싸는 보온 커버의 외부에 보강 구조체를 설치하고, 보강 구조체를 통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숏크리트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마감재의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숏크리트 보강층을 통해 보온 커버의 외부 마감 기능 및 비탈면 강도 보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 구조체의 와이어로프에 충격 흡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비탈면 및 숏크리트 보강층의 붕괴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붕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식생토층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식생토층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식생토층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토층을 단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식생토 연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식생토층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양분 공급이 전체 식생토층에 원활하게 공급될 뿐만 아니라 식물의 뿌리가 자유롭게 뻗어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식생토층의 식재 환경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견실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탈면이 형성되는 비탈면 도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탈면(20)에서 발생하는 용출수가 통과하도록 도로(10)의 비탈면(20)에 매립되는 용출 배수관(100)과, 용출 배수관(100)에 연결되어 용출수를 도로(10)의 배수구(11)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관(200)과, 유도 배수관(200)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보온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온 커버(300)는 다수개의 고정핀(400)을 이용하여 비탈면(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는, 보온 커버(300)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마감 처리할 수 있는 보강 구조체(500) 및 숏크리트 보강층(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강 구조체(500)는 보온 커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비탈면(20)에 고정 설치되며, 숏크리트 보강층(600)은 보온 커버(300)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보강 구조체(500)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비탈면(20)에 숏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된다.
즉, 보온 커버(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보강 구조체(500)를 비탈면(20)에 고정 설치하고, 보강 구조체(500)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보온 커버(300)의 외부에 숏크리트 현장 타설을 통해 숏크리트 보강층(600)을 형성한다. 이때, 숏크리트 타설시, 보강 구조체(500)가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타설함으로써, 숏크리트 보강층(600)은 보강 구조체(500)에 의해 보강 지지된다.
여기서, 숏크리트(shotcrete)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 시공 면에 뿜는 콘크리트를 말하며, 설치공법에는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이 있다. 건식공법이란 시멘트와 골재를 믹서로 혼합한 상태를 압축공기로 보내 노즐에서 물과 합류시켜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뿜는 공법이며, 습식공법은 물을 포함한 전 재료를 믹서로 비빈 후 압축공기를 노즐로 보내어 뿜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숏크리트는 매우 작은 틈새에도 들어가며 시공면도 확실히 밀착하여 밀도 및 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방수용 모르타르 마감, 암반의 보호, 콘크리트의 수리 및 강재의 녹 방지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숏크리트 보강층(600)은 숏크리트 현장 타설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숏크리트 보강층(600)이 내부의 보강 구조체(500)에 의해 보강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비탈면(20)의 붕괴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아울러 발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숏크리트 보강층(600)에 의해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함은 물론, 비탈면(20)의 붕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강 구조체(500)는, 다수개의 앵커핀(510)과, 다수개의 와이어로프(520)와, 보강 메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앵커핀(510)은 일단부에 걸림 고리 형태의 로프 걸림부(511)가 형성되며, 로프 걸림부(511)가 비탈면(20)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비탈면(20)에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로프(520)는 다수개의 앵커핀(510) 중 적어도 2개의 앵커핀(510)에 형성된 로프 걸림부(51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보강 메쉬(530)는 철제 그물망 구조로 와이어로프(520)에 결합 지지되어 비탈면(20)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앵커핀(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 커버(300)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 지점에 각각 일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온 커버(3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2개씩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앵커핀(510)은 로프 걸림부(511)가 비탈면(20)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비탈면(20)에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로프(520)는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의 앵커핀(510)에 형성된 로프 걸림부(51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즉, 와이어로프(520)의 양단이 2개의 앵커핀(510)의 로프 걸림부(511)에 결합되어 직선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와이어로프(520)는 팽팽하게 당겨진 형태로 장력을 갖는 직선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메쉬(530)는 이와 같이 배치된 와이어로프(520)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별도의 고정 클립(531)을 통해 와이어로프(520)에 결합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보강 메쉬(530)는 비탈면(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데, 이 상태에서 보온 커버(300)의 외측면에 숏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숏크리트 보강층(600)을 형성한다. 이때,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내부에 보강 구조체(500), 좀더 구체적으로는 보강 메쉬(530)가 매립되도록 숏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조절하여 현장 타설하면, 숏크리트 보강층(600)이 보강 구조체(500)에 의해 보강 지지된다.
이러한 숏크리트 보강층(600)은 상당 기간 경과후, 풍화 작용이나 지반 변형 등에 의해 비탈면(20)으로부터 분리 이탈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보강 구조체(500)에 의해 숏크리트 보강층(600)이 더욱 안정적인 구조로 유지될 수 있으며, 비탈면(20)의 붕괴 사고 발생시에도 보강 구조체(500)에 의해 비탈면(20) 및 숏크리트 보강층(600)이 지지되어 비탈면(20) 및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탈면(20) 및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붕괴 방지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보강 구조체(500)의 와이어로프(520)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로프(520)는 와이어로프(520)에 대한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로 앵커핀(510)의 로프 걸림부(5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520)의 끝단부가 로프 걸림부(511)와 맞물림되도록 로프 걸림부(511)를 관통한 상태로 와이어로프(520)의 중간 구간으로 연장되어 별도의 마찰 체결 부재(521)에 의해 중간 구간에 조임 체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체결 부재(521)는 와이어로프(520)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감싸며 밀착 접촉하는 U볼트(521-1)와, U볼트(521-1)의 끝단에 관통 결합되며 일면이 와이어로프(520)에 밀착 접촉하는 마찰 플레이트(521-2)와, U볼트(521-1)와 마찰 플레이트(521-2)가 와이어로프(520)에 밀착 접촉하며 체결되도록 마찰 플레이트(521-2)의 타면에 위치하여 U볼트(521-1)와 체결되는 결합 너트(5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로프(520)가 마찰 체결 부재(521)에 의해 중간 구간에 조임 체결되면, 와이어로프(520)에 과도한 인장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마찰 체결 부재(521)에 의해 체결된 부위에서 와이어로프(520)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와이어로프(520)가 마찰 슬립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 슬립 이동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52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탈면(20)의 붕괴 사고시 비탈면(20) 및 숏크리트 보강층(6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외측면에 식물(P)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토층(7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구조체(500)에는 식생토층(700)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5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생토층(700)이 비탈면(20)에 단순히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생토층(700)이 비탈면 경사에 의해 무너져 내리거나 정상적인 양분 공급이 어려워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라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식생토층(700)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540)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식생토층(700)이 무너져 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0)는 일단부가 비탈면(20)에 접촉 고정되고 중단부가 와이어로프(520)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되며, 숏크리트 보강층(600)은 지지 플레이트(540)의 타단부가 숏크리트 보강층(600)으로부터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 플레이트(540)가 와이어로프(5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숏크리트 현장 타설을 실시하고, 이 경우, 숏크리트 타설 두께는 지지 플레이트(540)의 타단부가 외부 돌출되는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숏크리트 보강층(600)의 외측면에 외부 돌출되는 지지 플레이트(540)가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됨으로써, 각 지지 플레이트(540)에 의해 식생토층(700)이 단계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540)의 외부 돌출된 영역에는 지지 플레이트(540)에 의해 각각 단계별로 지지되는 식생토층(700)이 상하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식생토 연통홀(541)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 플레이트(540)에 의해 분리된 식생토층(700)은 이러한 식생토 연통홀(54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양분, 미생물 등이 이동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식생토층(700)에 대한 영양분 공급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식생토층(700)에서 자라난 식물(P)들의 뿌리 또한 식생토 연통홀(541)을 관통하여 뻗어나갈 수 있어 식재 환경에 더욱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더욱 견실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540)의 영역 중 숏크리트 보강층(600)에 매립되는 영역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숏크리트 타설시에 숏크리트가 지지 플레이트(540)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숏크리트 연통홀(5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숏크리트 연통홀(542)은 지지 플레이트(5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540)의 양측단에는 지지 플레이트(540)가 비탈면(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520)에 의한 지지 뿐만 아니라 앵커핀(510)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도록 앵커핀(510)과 맞물림될 수 있는 지지 날개부(543)가 양측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540)의 고정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출 배수관 200: 유도 배수관
300: 보온 커버 400: 고정핀
500: 보강 구조체 510: 앵커핀
511: 로프 걸림부 520: 와이어로프
521: 마찰 체결 부재 530: 보강 메쉬
540: 지지 플레이트 541: 식생토 연통홀
600: 숏크리트 보강층 700: 식생토층

Claims (8)

  1. 삭제
  2. 용출수가 통과하도록 도로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용출 배수관과, 상기 용출 배수관에 연결되어 용출수를 도로의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관과, 상기 유도 배수관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보온 커버를 포함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 구조체; 및
    상기 보온 커버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보강 구조체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비탈면에 숏크리트 타설을 통해 형성되는 숏크리트 보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은 상기 보강 구조체에 의해 보강 지지되며,
    상기 보강 구조체는
    일단부에 로프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 걸림부가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앵커핀;
    다수개의 상기 앵커핀 중 적어도 2개의 앵커핀의 로프 걸림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강 메쉬
    를 포함하고,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토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구조체에는 상기 식생토층을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 플레이트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비탈면에 접촉 고정되고 중단부가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상하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의 외측면에 외부 돌출된 다수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식생토층이 단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부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식생토층이 상하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식생토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영역 중 상기 숏크리트 보강층에 매립되는 영역에는 숏크리트 타설시에 숏크리트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숏크리트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앵커핀과 맞물림되는 지지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장력을 갖는 직선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강 메쉬는 별도의 고정 클립을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에 결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로 상기 로프 걸림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구조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부가 상기 로프 걸림부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로프 걸림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와이어로프의 중간 구간으로 연장되어 별도의 마찰 체결 부재에 의해 중간 구간에 조임 체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9214A 2016-10-06 2016-10-06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KR10190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14A KR101903627B1 (ko) 2016-10-06 2016-10-06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14A KR101903627B1 (ko) 2016-10-06 2016-10-06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17A KR20180038617A (ko) 2018-04-17
KR101903627B1 true KR101903627B1 (ko) 2018-10-04

Family

ID=6208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14A KR101903627B1 (ko) 2016-10-06 2016-10-06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900B (zh) * 2016-02-03 2020-11-03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热融滑塌冻土边坡病害治理结构
CN111945753B (zh) * 2020-08-25 2021-07-20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利工程生态护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48B1 (ko) * 1997-12-10 2000-03-15 김춘자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KR101027029B1 (ko) * 2009-04-10 2011-04-11 (주) 지오브르그코리아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48B1 (ko) * 1997-12-10 2000-03-15 김춘자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KR101027029B1 (ko) * 2009-04-10 2011-04-11 (주) 지오브르그코리아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17A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3768A (en) Road construction
KR101039316B1 (ko) 터널 배수 구조물
US7828499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101903627B1 (ko)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CN110438991B (zh) 一种气候阴湿寒区用拼装式抗冻生态边坡挡墙及装配方法
CN112431213A (zh) 人工边坡半刚性支护生态综合处治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4643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복개아치합성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194212B (zh) 一种抗泥石流和落石冲击的棚洞顶部结构及施工方法
KR101097995B1 (ko)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CN112012763A (zh) 一种双层初期支护的多连拱隧道结构的施工方法
KR101027380B1 (ko) 터널 배수 시스템 고정장치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KR100566668B1 (ko) 도로 사면용 슬라이딩 보강구조
KR101054310B1 (ko) 배수용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7004538U (zh) 黄土隧道外加固结构
KR200379962Y1 (ko) 경사면의 붕괴방지구조
CN105297746B (zh) 一种预制拱体承重式植被混凝土边坡绿化系统及其绿化方法
KR101292694B1 (ko)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RU2699086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водоотвод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CN214738133U (zh) 一种用于冻土区高速公路边坡防护结构
KR1020158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KR101498190B1 (ko) 낙석방지책 기둥의 하부기초
KR200354767Y1 (ko) 도로의 법면 보호공 구조
KR102629985B1 (ko) 횡단물매 전환구간의 배수시공방법
CN114657830B (zh) 一种乡村公路路基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