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29B1 -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 Google Patents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29B1
KR101027029B1 KR1020090031487A KR20090031487A KR101027029B1 KR 101027029 B1 KR101027029 B1 KR 101027029B1 KR 1020090031487 A KR1020090031487 A KR 1020090031487A KR 20090031487 A KR20090031487 A KR 20090031487A KR 101027029 B1 KR101027029 B1 KR 10102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hombus
net panel
ancho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939A (ko
Inventor
서광원
Original Assignee
(주) 지오브르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오브르그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지오브르그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3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2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 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꼬임 육각철망 및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육각지압판을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 함으로써 표면의 응력을 강화하고,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외부는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측면부에 설치되어지는 외부앵커로써, 그리고 내부는 내부앵커로써 심층을 지지하여 지반의 전단강도를 높임으로써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앵커간에 작용하는 힘의 상호 접선이동으로 표층의 낙석보호와 심층의 파괴에 대처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은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 위에 고장력의 와이어로프 네트패널로 피복하기 때문에 사면에 대한 이중보강효과가 있으며,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체계적인 결속을 통해서 경사면 전체가 일체화되어 보강되고, 고정앵커 및 지압판을 통해서 심층에 지지되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며 네트패널과 함께 표층 및 심층을 일체화하여 보강하기 때문에, 균열이 심한 암반사면이나 낙석 빈발지역 또는 표층 슬라이딩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뿐만 아니라 절리, 층리, 단층 등 불연속면의 발달이 심한 암반사면이나, 선택적인 차별풍화가 급진전된 지층이 형성되어 대규모의 슬라이딩 발생이 가능한 지역에 보다 확 실하게 사면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SLOPE STABILIZATION SYSTEM USING RHOMBUS TYPE HIGH TENSILE WIRE ROPE NET PANEL}
본 발명은 경사면 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꼬임 육각철망 및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육각지압판을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 함으로써 표면의 응력을 강화하고,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외부는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측면부에 설치되어지는 외부앵커로써, 그리고 내부는 내부앵커로써 심층을 지지하여 지반의 전단강도를 높임으로써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앵커간에 작용하는 힘의 상호 접선이동으로 표층의 낙석보호와 심층의 파괴에 대처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대규모로 토지를 조성하거나 도로공사 또는 철도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절취사면이 형성되어지며, 그 수와 규모 역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절취사면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안전성의 확보는 조성된 토지 또는 신설된 도로 및 철도 등과 같은 구조물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 된다. 특히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환경보호 또는 공사비절감이라는 측면에서 자연사면 또는 인공사면의 경사를 급하게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서 자연재해로 인한 사면의 안전성에 대한 위험성은 더욱 크다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철의 게릴라성 집중호우나 태풍 또는 봄철의 토사 또는 암반사면의 해빙에 있어서 이러한 절토된 사면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는 더욱 요구되며, 만일 절토된 사면이 그 안전성을 상실하여 붕괴하는 경우 철로 또는 도로의 손실로 인한 교통두절 및 가옥, 건물 등의 파괴 등 막대한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귀중한 인명의 사상으로 이어지므로, 사면이 붕괴하는 경우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할 것이다.
급경사지의 붕괴에 대한 재해방지대책은 경사면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여러 가지 규제가 이루어져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이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미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절취사면의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책공법은 사면 자체의 안전율과 기능에 따라서 크게 보호공법(안전율 유지공법)과 보강공법(안전율 증가공법)으로 나뉜다. 여기서, 보호공법은 다시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낙석방지옹벽 및 피암터널 등으로 나누어진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은 와이어로프와 철망이 주된 구성요소인데, 일반적으로 선지름 4.0mm ~ 5.0mm, 망눈 50 X 50mm 이상의 철망을 절토사면에 씌우고, 그 위에 2m X 5m, 2m X 7m 또는 3m X 3m의 간격으로 종· 횡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고, 그 후 종· 횡 와이어로프의 각각의 교차점을 조립구로 엮고 이를 고정핀(D16mm, L500mm)을 이용하여 절개면에 정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은 구조적 문제로 인한 하자발생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낙석하중이 발생할 경우 철망과 와이어로프가 이에 충분히 저항하여야만 하나, 철망과 와이어로프 간의 결속력 부족으로 인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망터짐 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낙석방지망의 근본적인 기능인 낙석하중의 지지는 결국 암반-와이어로프-철망이 일체의 지지구조를 이룰 때 가능하지만,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의 구조는 낙석하중을 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와이어로프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낙석방지망 자체가 기능성을 상실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은 소규모 낙석방지용이므로 구성부품인 철망이 파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둘째, 와이어로프와 철망의 결속력이 부족하여 낙석하중 발생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철망의 터짐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셋째, 철망과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고정핀 이탈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넷째, 낙석하중이 발생하면 철망에 변형이 생기면서 인장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므로, 점진적인 진행성 파괴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 낙석방지망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대상 경사면 위에 설치되어지는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 망과; 상기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 상에 설치되어지며 직경 8mm의 고인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네트패널의 크기는 3.0m X 3.0m, 3.5m X 3.5m 또는 4.0m X 4.0m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상기 롬버스형 네트패널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체결하고 인장하도록 설치되어지며, 직경 12mm, 14mm, 16mm 또는 1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상기 이중 꼬임 육각형 철망과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프리텐션닝(pre-tensioning)을 통해서 사면에 압착하도록 사면의 외부에 설치되어지는 외부 앵커, 즉 상단부에 설치되어지는 상단부 고정앵커 및 상단부 고정앵커 케이블과 하단부에 설치되어지는 하단부 고정앵커, 그리고 측면부에 설치되어지는 측면부 고정앵커 및 측면부 고정앵커 케이블과; 상기 롬버스형 네트패널을 경사면 전체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낙석하중이 발생할 때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로 전달된 낙하에너지를 지표면으로 전달시켜 소멸되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교차점에 설치되거나 두 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되어지는 내부앵커와;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롬버스형 네트패널을 내부앵커에 고정시키기 위한 육각발톱형 지압판과,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의 교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균열이 심한 사면이나 낙석발생이 가능한 지역 또는 굴곡이 심한 사면이나 부분시공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 경사면과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장치가 일체의 지지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도 보다 안전 하고 확실하게 사면보강이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C코팅 철망을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상의 철망으로 대체하고, 그 위에 8mm 직경의 와이어로프로 제작된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설치하고, 이를 종방향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과 일체로 체결함으로써 전체 사면이 일체화되어 특정부위가 취약함으로써 야기되는 기존 낙석방지망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한 획기적인 사면보강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은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 위에 고장력의 와이어로프 네트패널로 피복하기 때문에 사면에 대한 이중보강효과가 있으며,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체계적인 결속을 통해서 경사면 전체가 일체화되어 보강되고, 고정앵커 및 지압판을 통해서 심층에 지지되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며 네트패널과 함께 표층 및 심층을 일체화하여 보강하기 때문에, 균열이 심한 암반사면이나 낙석 빈발지역 또는 표층 슬라이딩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뿐만 아니라 절리, 층리, 단층 등 불연속면의 발달이 심한 암반사면이나, 선택적인 차별풍화가 급진전된 지층이 형성되어 대규모의 슬라이딩 발생이 가능한 지역에 보다 확 실하게 사면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은 사면에 이완된 영역이나 암편조각에 의해 낙석발생이 가능한 지역에 시공되는 숏크리트의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암반내 파쇄가 많이 발달된 지역, 패턴 앵커링이 필요한 경우나 판상의 평면파괴 또는 쐐기파괴가 발생가능한 지역에 대해서 앵커의 대체공법으로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은 하부의 큰 암체가 낙석가능성이 높은 경우 그 암체를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내· 외부 앵커로 인장시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도 낙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국립공원이나 풍치치구내의 거대한 독립암반의 낙석이 우려되는 경우 자연경과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를 보강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작동개념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롬버 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은 경사면에서 발생한 낙석과 같은 하중이 본 발명에 따른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충돌시에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로 낙석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하고, 이러한 낙석에너지는 다시 외부앵커(400) 및 내부앵커(500)로 전달되어 지표면을 통해서 에너지가 소실되도록 한다.
즉,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은 사면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측면부에 설치된 고정앵커에 대한 프리텐션닝(pre-tensioning)을 통해서 사면에 압착되어진다. 이는 낙석하중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한 것으로서 암괴나 토괴의 이완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완하중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을 결속하고 있는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로 통해 전달되어지며,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에 발생하는 인장력은 앵커 설치지점으로 전달되어 전체시스템이 흡수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의 개념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형 사면보강장치는 대상 사면 전체에 설치되는 육각형 이중꼬임 철망 및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상기 육각형 이중꼬임 철망과 롬버스형 네트패널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결속하고 인장하는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과, 상기 육각형 이중꼬임 철망과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프리텐션닝을 통해서 사면에 압착하는 외부앵커(상단부 고정앵커, 하단부 고정앵커, 측면부 고정앵커)와, 횡방향 와이어로프와 종방향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에 설치되어지거나 두 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되어지는 내부앵커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100)은 사면 상에 설치되어지고 다음에서 설명하는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지는데, 종래의 통상적인 낙석방지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C 코팅 철망을 대처하여 사용되어진다.
다음으로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은 고장력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네트패널로 제작되어진다. 상기 고장력 와이어로프는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로프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나 선호적으로는 8mm의 직경의 와이어로프가 사용되어지며, 1,770 N/㎟ 이상의 인장력을 가진 와이어로프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은 3.0m X 3.0m, 3.5m X 3.5m 또는 4.0m X 4.0m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이 선호되고, 네트패널의 격자크기는 30cm X 30cm로 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현장 여건에 따라서 다른 크기로 된 네트패널과 네트패널의 격자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횡방향 인장케이블(310)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로부터 흡수된 낙석하중을 균등하게 고정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은 각각의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연결시킴으로써 낙석하중이 상부에 설치된 횡방향 인장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은 직경 12mm, 14mm, 16mm 또는 1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사면에 걸린 자중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종방향 하중에 비해서 횡방향 하중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횡방향 인장케이블(310)의 직경이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인장케이블은 직경 16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종방향 인장케이블은 직경 12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과 종방향 인장케이블은 특수 전기도금(슈퍼코팅) 처리되어질 수도 있다. 즉, 강선위에 경아연층을 형성시킨 후 연성의 순아연층을 집적시키는 재래식 아연도금 방식보다 더욱 완전한 부식저항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강선 위에 경아연층 형성을 최소화한 후 외표면에 일반강도의 알루미늄 및 아연(Al/Zn) 합금층을 집적시킬 수 있도 록, 아연도금 공정 중에 알루미늄이 첨가(95% Zn + 5% Al)된 부식저항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특수 전기도금(슈퍼코팅)의 장점은 고도의 표면저항력이 생기며, 활동적 부식매개체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동일 환경조건하에서 재래식 아연코팅과 비교하여 훨씬 긴 수명을 가지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의 내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발톱형 지압판(510)은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을 내부앵커(5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진다. 상기 지압판(510)은 하중 발생시에 내부앵커와 인장케이블 사이의 이탈을 막아주면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사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안전성과 실용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앵커(500)는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의 교차점에 설치되어지거나 두 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되어지는데, 내부앵커는 인접영역의 전체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한편 사면의 지형이이나 공사여건을 고려해서 보조앵커를 사용하여 사면에 대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의 장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 시스템의 상단부 앵커 설치 상세도를 도시 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사면의 상단부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부 고정앵커(410)가 설치되어지며, 상단부 고정케이블(411)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는 종방향 인장케이블(320)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연결되어진다. 따라서, 상단부 고정앵커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에 설치되어져서 횡방향 인장케이블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로부터 전가된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단부 고정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단부에 설치되는 횡방향 인장케이블(310)은 경사면 최상단에 위치하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함께 연결되어져서, 경사면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설치된 나선형 측면부 고정앵커(430)에 고정되어진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하단부 앵커 설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하단부는 일정한 간격, 선호적으로는 4m 간격으로 나선형으로 된 하단부 고정앵커(420)를 설치하고,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과 일정한 두께, 선호적으로는 16mm의 직경으로된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연결되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측면부 앵커 설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양쪽 측면부 단부는 나선형으로 된 측면부 고정앵커(430)와 일정한 직경, 선호적으로는 16mm의 직경을 가진 횡방향 인장케이블(310)을 연결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앵커의 설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앵커(500)는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의 교차점에 설치되어질 수도 있는데, 내부앵커(500)는 육각발톱형 고정판(510)에 의해서 고정되어진다.
도 9a 내지 도 9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에 사용되는 내부앵커, 육각발톱형 지압판과, 고정앵커 케이블과, 고정앵커를 도시한 모습이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앵커는 직경 29mm, 허용하중 11.6tf의 SD40 재질의 락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부 고정앵커는 직경 18.5mm, 허용하중 32.1tf의 나선형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며, 하부 및 측면 고정앵커는 직경 14.5mm, 허용하중 19.9 tf의 나선형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부재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앵커는 주면 마찰저항과 부착응력으로 인해서 인발되지 않고 앵커재료의 인장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야만 한다. 고정앵커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 및 측면부의 원격 고정앵커에 고정되어지며, 설치 위치에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공 흐름도로 수행되어진다.
<시공흐름도>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1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은,
(1)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장치를 설치할 대상 경사면을 선정하고, 대상 경사면의 상부에 대하여 사전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2)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 상단부 고정앵커(410)를 설치하는 제 2 단계와;
(3)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100)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임시로 쇠고리 또는 후크로 고정시키고, 상기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대상 사면 하단부로 수직방 향으로 내려뜨려 펼친 후,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100)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사면전면에 걸쳐서 설치하는 제 3 단계와, 이때 초기에는 두 개의 롬버스형 네트패널을 대상 경사면 상단부와 일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한다.
(4)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100)과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앵커두부에 연결하고 지지시킴으로써 최종 결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단부에 인장 케이블을 조립하는 제 4 단계와;
(5)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4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대상 경사면 표면전체를 완전하게 덮을 때까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조립을 실시하는 제 5 단계와;
(6)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에 연결하고,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클램프는 상기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끝단부에 장착되며, 경사면 상단에서 시작하여 앵커 두부에 연결되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종방향 꿰매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6 단계와;
(7) 종방향 인장케이블(320)과 임시로 조립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대상사면 모서리 앵커두부까지 횡방향 인장케이블(310)로 꿰매어 주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횡방향 꿰매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7 단계와;
(8) 전체 대상사면의 좌측 및 우측의 측면부와 하단부의 해당부위를 천공하고, 좌측 및 우측의 측면부에 측면부 고정앵커(430) 및 하단부 고정앵커(420)를 천 공하여 설치하는 제 8 단계와;
(9) 대상 경사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횡방향 인장케이블로 경사면 하부의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과 하단부 고정앵커를 연결시키고, 인장 케이블의 단부는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경사면 하단부에 횡방향 인장케이블을 설치하는 제 9 단계와;
(10) 경사면 상부의 인장케이블,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을 앵커의 작용하중 이하로 양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당기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와; 그리고
(11)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교차부위에 내부앵커(500)를 고정시키고, 네트패널의 조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육각발톱형 고정판(510)을 사용하여, 대상 경사면에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밀착시켜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경사면 전체에 대해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고정하고 인장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어진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은 직경 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네트패널의 크기는 3.0m X 3.0m 또는 3.5m X 3.5m 또는 4.0m X 4.0m 중에서 선택되어지고, 격자크기는 30cm X 30cm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의 직경 12mm 또는 14mm 또는 16mm 또는 1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 중에서 선택되어진다. 또한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은 강선 위에 경아연층 형성을 최소화한 후 외표면에 일반강도의 알루미늄 및 아연(Al/Zn) 합금층을 집적시키도록, 아연도금 공정 중에 알루미늄을 첨가(95% Zn + 5% Al)된 부식저항 도금층이 형성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선호적인 설계기준을 설명한다.
■ 설계 기준
(1)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파쇄가 심한 암반인 경우는 단위면적(1㎡당)내 발생가능한 최대 크기의 낙석을 기준으로, 독립적인 이완암괴가 있는 경우에는 한 개의 네트패널(4.0m×4.0m)내에서 전도나 탈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제 암괴의 크기로 부터 낙석의 하중을 산정한다.
나. 검토방법 : 네트패널의 허용하중(=파단하중/2)과 낙석의 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낙석의 하중(tf) < 네트패널의 허용하중(tf) → ∴ O.K
(2) 횡방향 인장케이블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횡방향 인장케이블은 와이어로프 네트패널로부터 흡수된 하중을 균등하게 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예상되는 낙석하중에 상당하는 등분포하중을 받는다고 가정을 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로프에 발생되는 인장력(작용하중)으로 설계를 한다.
나. 검토방법 : 와이어로프의 허용하중(=파단하중× 0.6)과 작용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와이어로프의 작용하중 (tf) < 와이어로프의 허용하중 (tf) → ∴ O.K
(3) 종방향 인장케이블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종방향 인장케이블은 각각의 와이어로프 패널을 연결시킴으로써 낙석하중이 상부에 설치된 횡방향 인장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각 인장케이블의 분담면적을 고려하여 발생하는 낙석하중으로부터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도록 한다.
나. 검토방법 : 와이어로프의 허용하중(=파단하중×0.6)과 작용하중을 비교 하여 검토한다.
: 와이어로프의 작용하중 (tf) < 와이어로프의 허용하중 (tf) → ∴ O.K
(4) 고정앵커 케이블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고정앵커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횡ㆍ종방향 인장케이블로부터 전가된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부 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앵커 케이블에 작용하는 하중은 횡ㆍ종방향 와이어로프의 작용하중의 합으로 한다.
나. 검토방법 : 고정앵커 케이블의 허용하중(=파단하중× 0.6)과 작용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고정케이블의 작용하중 (tf) < 고정케이블의 허용하중 (tf) → ∴ O.K
(5) 측면 고정앵커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횡방향 인장케이블은 측면 고정앵커에 고정된다. 따라서, 측면 고정앵커의 설계하중등급은 횡방향 인장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과 일치시킨다.
나. 검토방법 : 측면고정 앵커의 허용하중과 횡방향 인장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횡방향 인장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 (tf) < 측면 앵커의 허용하중 (tf)
→ ∴ O.K
(6) 상부 고정앵커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고정앵커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 고정앵커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면 상단부 앵커의 설계하중등급은 고정앵커 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과 일치시킨다.
나. 검토방법 : 상부 고정앵커의 허용하중과 고정앵커 케이블의 허용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고정 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tf) < 상부 앵커의 설계하중(tf) → ∴ O.K
(7) 내부 고정앵커에 대한 검토
가. 검토조건 : 내부 고정앵커는 횡ㆍ종방향 인장케이블의 교차점에 설치되거나 두 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부 고정앵커는 인접영역의 전체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때 내부 고정앵커의 설계하중은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파단하중과 같다.
나. 검토방법 : 내부 고정앵커의 허용하중(=항복하중/2)과 롬버스형 네트패널의 파단하중을 비교하여 검토한다.
: 네트패널의 파단하중 (tf) < 내부앵커의 허용하중 (tf) → ∴ O.K
■ 하중 등급
파쇄가 심한 암반인 경우는 단위면적(1㎡당)내 발생가능한 최대 크기의 낙석을 기준으로, 독립적인 이완암괴가 있는 경우에는 한 개의 네트패널(4.0m× 4.0m) 내에서 전도나 탈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제 암괴의 크기로부터 낙석의 하중을 산정한다. 일반적으로 Fs 는 사면경사가 급할 경우 2로 한다.
<표 1> 암부착망의 하중등급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2
주1) 집중하중은 국부적인 밀림이나 거동과 관계가 있으며, 각각의 4m× 4m 영역내에서 3개의 암괴가 탈락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집중하중 = 작용하중/3/Fs
주2) 파쇄가 심한 암반인 경우 평방미터당 한 개의 암괴가 탈락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유효하중/Fs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롬버스(Rhombus)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구조계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 구조 계산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3
A. 설계조건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4
B. 구조계산
1) 사면경사에 따른 보정계수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5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6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7
라고 하면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8
2) 작용하중에 대한 검토
①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에 작용하는 하중
Figure 112009021891611-pat00009
② 인장케이블에 작용하는 하중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0
3)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에 대한 검토
① 제원
- Type 0/8/300, 가로 4.0m x 세로 4.0m 크기의 롬버스형 네트패널
-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의 파단하중 : 76 kN
② 안정성 검토
-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의 허용하중 :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1
적용)
76 kN/2 = 38 kN = 3.88 tf
-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에 작용하는 낙석의 하중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2
- 검토결과 :
3.40 tf < 3.88 tf ∴ O.K
4) 횡방향 인장케이블에 대한 안정성 검토
① 제원 : D 16mm, 보증절단하중 : 150 kN (15.3 tf)
② 횡방향 인장케이블은 와이어로프 네트패널로부터 흡수된 하중을 균등하게 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예상되는 낙석하중에 상당하는 등분포하중을 받는다고 가정을 하고 이로 인해 인장케이블에 발생되는 인장력으로 설계를 한다.
③ 설계시 인장케이블은 3~4m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각각의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은 상부 횡방향 인장케이블에 매달리게 되며 최대 인장케이블의 파단하중에 상당하는 등분포하중만큼을 갖게 된다.
④ 안정성 검토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3
본 설계에 적용된 D16mm 인장케이블의 허용하중은 보증절단하중(15.3tf)을 극한하중으로 간주하여 0.6×(보증절단하중)=9.18tf 으로 검토를 실시하였다. (영구앵커-상시 적용)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4
∴ O.K
여기서, d : 처짐량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5
)
5) 종방향 인장케이블에 대한 안정성 검토
① 제원 : D 12mm, 보증절단하중 : 84.6 kN(8.6tf)
② 종방향 인장케이블은 각각의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연결시킴으로써 낙석하중이 상부의 횡방향 인장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 인장케이블의 분담면적을 고려하여 발생하는 낙석하중으로부터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도록 한다.
③ 안정성 검토 : Rope Force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6
)
본 설계에 적용된 D12mm 인장케이블의 허용하중은 보증절단하중(8.6tf)을 극한하중으로 간주하여 0.6×(보증절단하중)= 5.16tf으로 검토를 실시하였다. (영구앵커-상시 적용)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7
∴ O.K
6) 고정앵커 케이블에 대한 안정성 검토
① 제원 : D22mm, 보증절단하중 : 304kN(31.0tf)
② 고정앵커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횡ㆍ종방향 인장케이블로부터 전이된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부 고정앵커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③ 안정성 검토 : Rope Force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8
)
본 설계에 적용된 D22mm 고정앵커 케이블의 허용하중은 보증절단하중(31.0tf)을 극한하중으로 간주하여 0.6×(보증절단하중)=18.6tf으로 검토를 실시하였다. (영구앵커-상시 적용)
이때, 고정앵커 케이블의 작용하중은 횡방향 인장케이블과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작용하중의 합과 일치시킨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19
∴ O.K
7) 고정앵커(측면, 상부)에 대한 검토
① 제원 :
- 측면부 고정앵커 : D14.5mm X 2, 허용하중 : 195kN = 19.9tf
- 상단부 고정앵커 : D18.5mm X 2, 허용하중 : 315kN = 32.1tf
② 횡방향 인장케이블은 측면부 고정앵커에 고정된다. 따라서, 측면부 고정앵커의 설계하중등급은 횡방향 인장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과 일치시킨다.
③ 고정 케이블은 사면 상단부 고정앵커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면 고정앵커의 설계하중은 고정 케이블의 보증절단하중과 일치시킨다.
④ 안정성 검토
- 측면부 고정앵커 : 15.3tf < 19.9tf ∴ O.K
- 상단부 고정앵커 : 31.0tf < 32.1tf ∴ O.K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0
상단부 고정앵커의 해석모식도
8) 내부앵커에 대한 검토
① 제원 : D29mm, 허용하중 : 11.6tf
② 내부앵커는 횡ㆍ종방향 인장케이블의 교차점에 설치되거나 두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부앵커는 인접영역의 전체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때 내부앵커의 설계하중은 네트패널의 파단하중과 같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1
내부앵커의 해석모식도
③ 따라서, 내부앵커의 설계하중은 76kN (=7.8tf)을 적용한다.
④ 안정성 검토 : Anchor Force (P)
7.8tf < 11.6 tf ∴ O.K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2
C. 고정앵커의 길이에 대한 검토
고정앵커의 설계는 설계하중에 대하여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촌법, 재료, 사양을 정하도록 한다.
ㆍ 앵커가 주변 마찰저항 및 부착응력으로 인해 인발되지 않음
ㆍ 앵커재료의 인장파단이 발생하지 않음
의 2가지 조건에 근거하여 설계를 행한다.
1) 안전율
앵커길이의 인발산정에 이용하는 안전율은 아래의 <표 3>에 나타나는 허용 인발력에 대한 안전율에 있어서「영구 앵커-상시」에 상당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Fs=2.5를 적용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3
2) 강재의 허용 부착응력도
그라우트에 대한 강재의 허용부착응력도는 다음 <표 4>로부터 고정앵커는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4
, 게비앵커는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5
을 사용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6
주) 그라우트의 설계기준강도 : 24N/㎟
3) 주면마찰저항
앵커타입기초를 이용하는 경우 정착지반과「그라우트」의 극한 주면마찰저항은 다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단, <표 5>은 참고값이며, 현장조사 및 시험을 실시하여 시공현장의 지반대응 극한주면마찰저항을 구하여야 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7
4) 앵커의 최소 설치길이
앵커타입기초에 사용하는 앵커의 기본길이의 최소값은 2m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의 길이는 자유장과 정착장으로 구분하고 있고, 자유장은 4.0m 이상, 정착장은 3.0m~10.0m를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유장을 4.0m 이상으로 하고 있는 근거는 그라운드 앵커에 도입되는 프리스 트레스(prestress)에 의해 구조물에 변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정착지반의 크리프(creep)에 따라 하중이 감소하는 것을 감안하여 설계 프리스트레스의 감소없이 앵커자체에 작용시키려는 목적에서 설정된 길이이다. 또한, 정착장을 3.0m 이상으로 하고 있는 근거는 정착시키는 정착층의 지질변화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값으로 이것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전제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앵커는 그라운드 앵커와는 다르며, 설치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그라운드 앵커에서 말하는 이른바 긴장정착을 하지 아니하므로 자유장부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앵커는 정착필요장의 최소치를 1.0m 로 설정하고, 더불어 하중 작용시 그라우트의 공극발생 가능성, 정착위치의 지반이 양질이라도 사면표층에서의 풍화 등 정착 불확실성요소를 고려하여 정착필요장 이외에 1.0m를 반드시 확보하는 것으로 하여 최소 앵커설치길이는 2.0m로 한다.
5) 각 고정앵커의 길이계산
① 지반과의 주면마찰저항으로부터 구하는 길이
② 앵커와 그라우트와의 부착으로부터 구하는 길이
의 2가지에 대해 계산한 후 큰 값을 설계 앵커길이로 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8
① 지반과의 주면마찰저항으로부터 구하는 길이
지반과의 주면마찰저항으로부터 구하는 길이는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29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0
측면 고정앵커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1
사면 고정앵커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2
내부 고정앵커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3
② 고정앵커와 그라우트와의 부착으로부터 구하는 길이 :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4
고정앵커와 그라우트와의 부착으로부터 구하는 길이는 다음 식에서 산정한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5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6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7
이상의 계산결과로부터,
ㆍ 애추층은 앵커정착지반으로 해서는 평가가 곤란하다.
ㆍ 고정앵커는 최소 설치길이 2.0m 를 확보해야 한다.
이들을 고려한 설계 고정앵커길이는 다음 <표 7>과 같다.
Figure 112009021891611-pat00038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에 대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내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상단부 앵커 설치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하단부 앵커 설치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시스템의 측면부 앵커 설치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앵커 설치 상세도
도 9a, 9b, 9c, 9d는 각각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앵커, 육각발톱형 지압판과, 고정앵커 케이블과, 고정앵커를 도시한 모습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꼬임 육각철망 200 :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
310 : 횡방향 인장 케이블 320 : 종방향 인장 케이블
400 : 외부앵커 410 : 상단부 고정앵커
411 : 상단부 고정앵커 케이블 420 : 하단부 고정앵커
430 : 측면부 고정앵커 431 : 측면부 고정앵커 케이블
500 : 내부앵커 510 : 육각발톱형 지압판
520 : 와이어로프 클립

Claims (8)

  1. 대상 경사면 위에 설치되어지는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100)과;
    상기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100) 상에 설치되어지며, 직경 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네트패널의 크기는 3.0m X 3.0m 또는 3.5m X 3.5m 또는 4.0m X 4.0m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과;
    상기 롬버스형 네트패널(200)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체결하고 인장하도록 설치되어지며, 직경 12mm 또는 14mm 또는 16mm 또는 1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과;
    상기 이중 꼬임 육각형 철망(100)과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프리텐션닝(pre-tensioning)을 통해서 사면에 압착하도록 사면의 외부에 설치되어지는 외부 앵커(400), 즉 상단부에 설치되어지는 상단부 고정앵커(410) 및 상단부 고정앵커 케이블(411)과 하단부에 설치되어지는 하단부 고정앵커(420)와, 그리고 측면부에 설치되어지는 측면부 고정앵커(430) 및 측면부 고정앵커 케이블(431)과;
    상기 롬버스형 네트패널(200)을 경사면 전체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낙석하중이 발생할 때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로 전달된 낙하에너지를 지표면으로 전달시켜 소멸되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의 교차점에 설치되거나 두 개 영역의 접촉점에 설치되어지는 내부앵커(500)와;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10, 320)과 롬버스형 네트패널(200)을 내부앵커(5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육각발톱형 지압판(510)과,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교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클립(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격자크기는 30cm X 30c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310)은 16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은 12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강선 위에 경아연층 형성을 최소화한 후 외표면에 일반강도의 알루미늄 및 아연(Al/Zn) 합금층을 집적시키도록, 아연도금 공정 중에 알루미늄을 첨가(95% Zn + 5% Al)된 부식저항 도금층이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5. 설치 대상 경사면을 선정하고 대상 경사면의 상부에 대하여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 상단부 고정앵커(410)를 설치하는 제 2 단계와,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 이중으로 꼬인 육각형 철망(100)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임시로 쇠고리 또는 후크로 고정시키고, 상기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대상 사면 하단부로 수직방향으로 내려뜨려 펼친 후, 사면전면에 걸쳐서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100) 및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와,
    이중꼬임 육각형 철망(100)과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앵커두부에 연결하고 지지시킴으로써 최종 결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단부에 인장 케이블을 조립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4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대상 경사면 표면을 완전히 덮을 때까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조립하는 제 5 단계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대상 경사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에 연결하고,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클램프는 상기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끝단부에 장착되며, 경사면 상단에서 시작하여 앵커 두부에 연결되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종방향 꿰매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6 단계와,
    종방향 인장케이블(320)과 임시로 조립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대상사면 모서리 앵커두부까지 횡방향 인장케이블(310)로 꿰매어 주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횡방향 꿰매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7 단계와,
    전체 대상사면의 좌측, 우측 및 하단부의 해당부위를 천공하여 좌측 및 우측의 측면 고정앵커 및 하단부 고정앵커를 천공하여 설치하는 제 8 단계와,
    경사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횡방향 인장케이블로 경사면 하부의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과 하단부 고정앵커를 연결시키고, 인장 케이블의 단부는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경사면 하단부에 횡방향 인장케이블을 설치하는 제 9 단계와,
    경사면 상부의 인장케이블,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을 앵커의 작용하중 이하로 양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의 당기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 10 단계와,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의 교차부위에 내부앵커를 고정시키고, 네트패널의 조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육각발톱형 고정판을 사용하여, 대상 경사면에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밀착시켜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경사면전면에 대해서 롬버스형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을 고정하고 인장하는 제 11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은 직경 8mm의 고인장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네트패널의 크기는 3.0m X 3.0m 또는 3.5m X 3.5m 또는 4.0m X 4.0m 중에서 선택되어지고, 격자크기는 30cm X 30c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인장케이블(310) 및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은 직경 12mm 또는 14mm 또는 16mm 또는 18mm의 고장력 와이어로프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강선 위에 경아연층 형성을 최소화한 후 외표면에 일반강도의 알루미늄 및 아연(Al/Zn) 합금층을 집적시키도록, 아연도금 공정 중에 알루미늄을 첨가(95% Zn + 5% Al)된 부식저항 도금층이 상기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200) 및 횡방향 인장케이블(310)과 종방향 인장케이블(3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KR1020090031487A 2009-04-10 2009-04-10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KR10102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87A KR101027029B1 (ko) 2009-04-10 2009-04-10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87A KR101027029B1 (ko) 2009-04-10 2009-04-10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939A KR20100112939A (ko) 2010-10-20
KR101027029B1 true KR101027029B1 (ko) 2011-04-11

Family

ID=4313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487A KR101027029B1 (ko) 2009-04-10 2009-04-10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8416A (zh) * 2012-08-13 2012-12-05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防护监测系统
KR101903627B1 (ko) * 2016-10-06 2018-10-04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KR20220098540A (ko) 2021-01-04 2022-07-12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2088A (zh) * 2014-03-11 2015-09-16 葛洲坝集团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边坡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6576138B2 (ja) * 2015-07-21 2019-09-18 ライト工業株式会社 斜面安定化構造体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拘束部材ならびに斜面安定化工法
CN110295701A (zh) * 2018-03-24 2019-10-01 山东建筑大学 一种带外部平衡索的四边形平面投影单层索网结构
KR102399523B1 (ko) * 2022-01-05 2022-06-13 김남섭 아연도금된 pc강선으로 제작된 능형망을 이용한 이중 낙석방지망 설치 공법
KR102667127B1 (ko) * 2023-12-20 2024-05-20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053A (ja) * 1994-10-06 1996-04-23 Sumikin Kozai Kogyo Kk 法面保護工法
KR20060135582A (ko) * 2006-12-09 2006-12-29 장안상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KR100734218B1 (ko) 2006-04-06 2007-07-02 재 술 나 식생을 위한 와이어네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JP2007332535A (ja) 2006-06-12 2007-12-27 Yuzo Sakamoto ワイヤーロープネット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053A (ja) * 1994-10-06 1996-04-23 Sumikin Kozai Kogyo Kk 法面保護工法
KR100734218B1 (ko) 2006-04-06 2007-07-02 재 술 나 식생을 위한 와이어네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JP2007332535A (ja) 2006-06-12 2007-12-27 Yuzo Sakamoto ワイヤーロープネット工法
KR20060135582A (ko) * 2006-12-09 2006-12-29 장안상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8416A (zh) * 2012-08-13 2012-12-05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防护监测系统
KR101903627B1 (ko) * 2016-10-06 2018-10-04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도로 결빙 방지 장치
KR20220098540A (ko) 2021-01-04 2022-07-12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939A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029B1 (ko) 롬버스형 고장력 와이어로프 네트패널을 이용한 사면보강시스템
Mark Design of roof bolt systems
JP2001522422A (ja) 礫落下に対する保護用のまたは表面土層保護用の編成金網、並びにこの金網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160369499A1 (en) Guide Device for Retaining Ties in Masonry Walls
KR20150115742A (ko)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US20200018022A1 (en) Uprightly-arranged support structure of protective fence
CN113090284B (zh) 一种用于地下矿山松软破碎岩体的巷道支护方法
US11866900B2 (en) Panel system for rockburst or landslide containment in mining tunnels and road works consisting of a frame attached to a strap mesh whose nodes are linked by connecting buckles; and installation procedure
JP6114537B2 (ja) 落石防護装置および落石防護工法
KR20100081704A (ko) 경사지반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CN109914242B (zh) 用于组合隧道锚式大跨径悬索管道桥主缆锚固的方法
KR102143454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JP5080373B2 (ja) 透過型堰堤
CN206784401U (zh) 拉压互补型外锚固锁定锚索结构
KR102400453B1 (ko) 낙석 방지 울타리 보강 구조체
CN217174846U (zh) 一种悬索形和斜拉形复合柔性边坡锚固结构
CN212562625U (zh) 活动板房抗风加固构造
KR102143455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CN216515650U (zh) 组合式柔性防护网
CN111101988B (zh) 煤矿冲击矿压或大变形巷道的锚杆索支护系统及支护方法
CN218713117U (zh) 一种用于岩土工程边坡的防护装置
CN117027023B (zh) 高位高陡悬空式危岩体桁架轻型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EP3550077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dynamic rockfall barrier
CN218206750U (zh) 锁具防坠落装置
CN212983564U (zh) 一种超大跨径悬索桥的拱形钢管中央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38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1207

Effective date: 2023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