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70B1 -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70B1
KR101903470B1 KR1020160120448A KR20160120448A KR101903470B1 KR 101903470 B1 KR101903470 B1 KR 101903470B1 KR 1020160120448 A KR1020160120448 A KR 1020160120448A KR 20160120448 A KR20160120448 A KR 20160120448A KR 101903470 B1 KR101903470 B1 KR 10190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ntainer
slit
paper cup
support wall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946A (ko
Inventor
승병선
Original Assignee
승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병선 filed Critical 승병선
Priority to KR102016012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65F2240/1126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분류한 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가압 및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후 회수 주머니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방법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TIC BOTTLE AND PAPER CUP}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분류한 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가압 및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후 회수 주머니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투입한 즉시 분류 및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재활용품을 회수할 수 있는 구성과 결합하여 재활용품의 분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종이 컵이나 PET 병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 등과 같은 1회용 제품의 경우 현재 소각이나 매립에 따른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시점이며, 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전문점에 소비자가 반납할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형태로 재활용이나 재사용을 권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회수 및 환불의 과정 자체에 인력이나 시간적인 요소가 소요되는 실정이다. 또한, 회수 과정에서 빈 용기의 위생상태에 따라 수거하는 인력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은 하루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사용되고 버려지게 되어, 필요한 용도로서의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 대부분이 주변에 있는 쓰레기통 등으로 버려지게 되므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 및 환경오염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종래에도 상기와 같이 쓰레기통으로 버려진 많은 양의 플라스틱 용기를 재활용이나 재사용의 차원에서 다시 회수하기 위해서 상기 쓰레기통으로부터 재차 분리수거하여 회수하는 대책이 마련되었으나, 그 수거에 따른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그로 인한 더욱 더 많은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재활용품의 회수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739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을 가압 및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후 회수 주머니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 회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 회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수용 종이 컵(C2)과 회수용 플라스틱 용기(C1)가 각각 투입되는 중공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종이 컵(C1)과 플라스틱 용기(C2)를 각각 압축하는 가압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의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상부에 개방되는 투입구(12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벽(150)과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지지벽(1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구(120)는 하우징 본체(110)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각각 투입되는 제1투입구(121)와 제2투입구(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각각 압축하고, 상기 구획벽(150)에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낙하 슬릿(160)은 상기 제1투입구(121)를 통해 낙하한 플라스틱 용기(C1)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낙하 슬릿(180)은 상기 제2투입구(122)를 통해 낙하한 종이 컵(C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각 낙하 슬릿(160,180)은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구획벽(150)의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 저면에 회수 주머니(500)가 구비되어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을 통과한 플라스틱 용기(C1) 및 종이 컵(C2)이 각각 저장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에 액체 회수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에서 누출된 액체가 일시 저장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측 일 부분은 개방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 회수부(400)가 출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벽(140)은 제1투입구(121)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기(C1)가 지지되는 제1지지벽(141)과, 상기 제2투입구(122)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제2지지벽(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벽(141)은 제1낙하 슬릿(16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 측에 위치하고, 제2지지벽(142)은 제2낙하 슬릿(18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측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300)는 구획벽(150)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압축하며 블레이드(370)가 구비된 가압판(PC)과,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AC)와, 상기 액츄에이터(AC)와 가압판(PC)사이에 구비되는 연동 바아(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판(PC)은 판체 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압판(PC-2)은 상기 지지벽(140)의 제2지지벽(142)과 액츄에이터(AC)사이에 배치되어 제2낙하 슬릿(180)을 지나 제2지지벽(141)까지 전후진하고, 제1가압판(PC-1)은 상기 지지벽(140)의 제1지지벽(141)과 제2지지벽(142)사이에 배치되어 제1낙하 슬릿(160)을 지나 제1지지벽(141)까지 전후진하며, 상기 블레이드(370)는 상기 제1가압판(PC-1)에 구비되는 제1블레이드(371)와 제2가압판(PC-2)에 구비되는 제2블레이드(37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동 바아(360)는 상기 액츄에이터(AC)에 연결되고 제2가압판(PC-2)에 설치되는 제2연동 바아(362)와, 상기 제2연동 바아(262)에 연결되고 제1가압판(PC-1)에 설치되는 제1연동 바아(36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 바아(361)는 제2연동 바아(262)에서 제2가압판(PC-2)의 폭 방향으로 각각 분기된 후 제2가압판(PC-2)과 제2지지벽(142)을 우회하여 제1가압판(PC-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액츄에이터(AC)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는 전동 하우징(310)과,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140) 방향으로 다수 층 적층되는 압전 소자(320)와, 상기 압전 소자(320)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전극(330)과,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전극(330)에 연결되는 외부 전극(E)과, 상기 외부 전극(E)과 내부 전극(330)을 연결하는 와이어(W)와,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이 접하는 전원부(BAT)와, 상기 압전 소자(320) 중 지지벽(140) 방향에 구비되는 접촉판(3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동 바아(362)는 상기 접촉판(340)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기 제2연동 바아(362)의 전후진에 의해 제2 가압판(PC-2)이 전후진되며, 상기 제2연동 바아(362)에 연동되는 제1연동 바아(361)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압판(PC-2)이 전후진된다.
상기에서, 상기 전동 하우징(310)은 중공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 측면이 개방된 전동 하우징 본체(311)와, 상기 전동 하우징 본체(311)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전극 고정공(312)과, 전동 상기 하우징 본체(311) 내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안착판(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BAT)는 상기 안착판(313)과 전동 하우징 본체(311) 바닥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분류 및 회수 장치를 이용한 분류 및 회수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플라스틱 용기(C1)를 제1투입구(121)에 투입하고, 종이 컵(C2)은 제2투입구(122)에 투입하며, 상기 플라스틱 용기(C1)는 구획벽(150)의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고, 종이 컵(C2)은 구획벽(150)의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되며, 가압부(300)에 의해 제1가압판(PC-1)을 플라스틱 용기(C1)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지지벽(141)에 지지되는 플라스틱 용기(C1)를 가압하여 압축시키고, 제2가압판(PC-2)을 종이 컵(C2)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2지지벽(142)에 지지되는 종이 컵(C2)을 가압하여 압축시키고, 상기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을 후진하여 압축된 플라스틱 용기(C1)는 제1낙하 슬릿(160)을 통해 낙하시켜 회수 주머니(500)에 투입되고, 압축된 종이 컵(C2)은 제2낙하 슬릿(180)을 통해 낙하시켜 회수 주머니(500)에 투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 회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및 회수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및 회수 장치에 의한 분류 및 회수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및 회수 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하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함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용기 회수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용 종이 컵(C2)과 회수용 플라스틱 용기(C1)가 각각 투입되는 중공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종이 컵(C1)과 플라스틱 용기(C2)를 각각 압축하는 가압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의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상부에 개방되는 투입구(12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벽(150)과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지지벽(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입구(120)는 하우징 본체(110)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각각 투입되는 제1투입구(121)와 제2투입구(122)로 이루어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입구(121)와 제2투입구(122)는 하우징 본체(110)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가압부(300)에 의한 압축 방향(방향1, 도 1 및 도 2참조)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각각 압축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구획벽(150)에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낙하 슬릿(160)은 상기 제1투입구(121)를 통해 낙하한 플라스틱 용기(C1)가 상기 구획벽(15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2낙하 슬릿(180)은 상기 제2투입구(122)를 통해 낙하한 종이 컵(C2)이 구획벽(15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은 구획벽(15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가압부(300)에 의한 압축 방향(방향1)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 낙하 슬릿(160,180)은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C1)가 제1투입구(121)를 통해 낙하하여 제1 낙하 슬릿(160)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낙하 슬릿(160)의 직경(또는 크기)가 플라스틱 용기(C1)보다 작아야 상기 플라스틱 용기(C1)가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가압부(300)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이다. 종이 컵(C2)의 경우도 유사하게 제2낙하 슬릿(180)의 직경(또는 크기)가 종이 컵(C2) 보다 작게 형성한다.
상기 구획벽(150)의 저면에는 회수 주머니(500)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 주머니(500)는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 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낙하 슬릿(160)을 통과한 플라스틱 용기(C1)를 저장하고, 제2낙하 슬릿(180)을 통과한 종이 컵(C2)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수 주머니(500)는 제1낙하 슬릿(160)의 저면에 구비된 제1회수 주머니(510)와 제2낙하 슬릿(180)의 저면에 구비된 제2회수 주머니(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회수 주머니(500)가 제1낙하 슬릿(160) 및 제2낙하 슬릿(180) 저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에 액체 회수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액체 회수부(400)는 상기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에서 누출된 액체가 일시 저장되며,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서랍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측 일 부분은 개방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 회수부(400)가 출입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일 부분에는 도어(600)가 형성되어 상기 회주 주머니(500)가 출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140)은 제1투입구(121)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기(C1)가 지지되는 제1지지벽(141)과, 상기 제2투입구(122)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제2지지벽(1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지지벽(141)은 제1낙하 슬릿(16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방향1) 측에 위치한다. 제2지지벽(142)은 제2낙하 슬릿(180)에서 연동 바아(360)의 후진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벽(141)은 제1낙하 슬릿(16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낙하 슬릿(160)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용기(C1)가 상기 제1지지벽(141)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는 가압부(300)에 의해 압축된 후 제1낙하 슬릿(160)을 통해 낙하해야 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제2지지벽(142)은 제2낙하 슬릿(18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방향1,도면상 우측)에 위치한다.
상기 각 지지벽(141,142)에는 개방부(141a,142a)가 형성되어 각 블레이드(371,372)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벽(141) 및 제2지지벽(142)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방향1)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제1안내벽(171) 및 제2안내벽(17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벽(171)과 제2안내벽(172)으로 이루어진 안내벽(170)에 의해 종이 컵(C2) 또는 플라스틱 용기(C1)가 각 낙하 슬릿에 보다 정확하게 투입된다.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압축하며 블레이드(370)가 구비된 가압판(PC)과,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AC)와, 상기 액츄에이터(AC)와 가압판(PC)사이에 구비되는 연동 바아(360)로 이루어진다. 즉, 액츄에이터(AC)에 의해 연동 바아(360)가 전후진되면 가압판(PC)이 연동되어 전후진되어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을 압축한다. 상기 가압판(PC)에 돌출 형성된 블레이드(370)에 의해 상기 압축된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이 절단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PC)은 판체 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압판(PC-2)은 상기 지지벽(140) 중 제2지지벽(142)과 액츄에이터(AC)사이에 배치되어 제2낙하 슬릿(180)을 지나 제2지지벽(141)까지 전후진한다. 즉, 제2낙하 슬릿(180)에 종이 컵(C2)이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종이 컵(C2)을 상기 제2가압판(PC-2)이 가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종이 컵(C2)은 제2지지벽(142)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된다.
제1가압판(PC-1)은 상기 지지벽(140) 중 제1지지벽(141)과 제2지지벽(142)사이에 배치되어 제1낙하 슬릿(160)을 지나 제1지지벽(141)까지 전후진한다. 즉, 제1낙하 슬릿(160)에 플라스틱 용기(C1)가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플라스틱 용기(C1)를 제1가압판(PC-1)이 가압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플라스틱 용기(C1)는 제1지지벽(141)에 지지되어 압축된다.
상기 종이 컵(C2) 또는 플라스틱 용기(C1)를 절단하는 블레이드(370)는 상기 제1가압판(PC-1)에 구비되는 제1블레이드(371)와 제2가압판(PC-2)에 구비되는 제2블레이드(3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레이드(371)와 제2블레이드(372)는 상기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을 절단할 수 있는 한, 그 형상의 제한은 없다.
상기 연동 바아(360)는 제1연동 바아(361)와 제2연동 바아(3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동 바아(362)의 일 측은 상기 액츄에이터(AC)에 연결되고 타 측은 제2가압판(PC-2)에 설치된다. 제1연동 바아(361)의 일 측은 상기 제2연동 바아(262)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1가압판(PC-1)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1연동 바아(361)는 제2연동 바아(262)에서 제2가압판(PC-2)의 폭 방향으로 각각 분기된 후 제2가압판(PC-2)과 제2지지벽(142)을 우회하여 제1가압판(PC-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즉, 제1연동 바아(361)는 제2연동 바아(362)의 일 부분에서 제2가압판(PC-2)의 폭 방향(도4에서 가압판의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분기된다. 이후, 상기 제2가압판(PC-2)과 제2지지벽(142)을 우회하여 제1가압판(PC-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하,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4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류 및 회수 장치(10)를 이용한 분류 및 회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플라스틱 용기(C1)를 제1투입구(121)에 투입하고, 종이 컵(C2)은 제2투입구(122)에 투입하며, 상기 플라스틱 용기(C1)는 구획벽(150)의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고, 종이 컵(C2)은 구획벽(150)의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한다.(도 5) 상기 종이 컵(C2)과 플라스틱 용기(C1)의 직경(또는 크기)가 제2슬릿(180)과 제1슬릿(160)보다 크므로 낙하하지 않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가압부(300)에 의해 제1가압판(PC-1)을 플라스틱 용기(C1)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지지벽(141)에 지지되는 플라스틱 용기(C1)를 가압하여 압축한다. 이때, 상기 제1가압판(PC-1)은 제1연동바아(361)에 의해 전후진함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유사하게, 제2가압판(PC-2)을 종이 컵(C2)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2지지벽(142)에 지지되는 종이 컵(C2)을 가압하여 압축하며, 상기 제2가압판(PC-2)은 제2연동 바아(362)에 의해 전후진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을 후진하여 압축된 플라스틱 용기(C1)는 제1낙하 슬릿(160)을 통해 낙하시켜 제1회수 주머니(510)에 투입되고, 압축된 종이 컵(C2)은 제2낙하 슬릿(180)을 통해 낙하시켜 제2회수 주머니(520)에 투입하여 분류를 완료한다.
상기 액츄에이터(AC)는 상기 연동 바아(360)를 전후진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과 도 8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는 전동 하우징(310)과,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140) 방향(방향1)으로 다수 층 적층되는 압전 소자(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전 소자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압전 소자는 옛날부터 알려져 있는 수정이나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압전 세라믹도 있지만,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티탄산 지르콘산납(PZT)이다.
상기 압전 소자(3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압전 소자(320)사이에 내부 전극(330)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전극(330)에 연결되는 외부 전극(E)는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외부 전극(E)과 내부 전극(330) 사이에는 와이어(W)가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외부 전극(E)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극을 이용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이 접하는 전원부(BAT)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원이 상기 전원부(BAT)에서 외부 전극(E)과 와이어(W) 그리고 내부 전극(330)을 통해 압전 소자(310)로 전달된다.
상기 내부 전극(330)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다수 층 적층되는 압전 소자(320)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내부 전극(330)의 양 측단에는 와이어(W)가 구비되어 외부 전극(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외부 전극(E)은 +전원과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한 쌍(E1,E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극(E1)이 접하는 내부 전극(330)과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극(E2)은 한 층씩 교대로 배치되어 +전원과 -전원을 압전 소자(320)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 압전 소자(320) 중 지지벽(140) 방향에는 접촉판(340)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판(340)에는 제2연동 바아(362)가 연결되고, 상기 제2연동 바아(362)의 전후진에 의해 제2 가압판(PC-2)이 전후진된다.
또한, 상기 제2연동 바아(362)에 연동되는 제1연동 바아(361)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압판(PC-2)이 전후진된다.
상기 접촉판(340)과 압전 소자(320) 사이에는 가변 회동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촉판(340)이 제2연동 바아(362)를 전후진할 때 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변경을 가변 회동부(350)가 흡수한다.
상기 가변 회동부(350)는 상기 압전 소자(320)에 구비되는 브라켓(352)과 상기 접촉판(340)의 저면에 구비되며 브라켓(352)에 핀 결합되는 힌지(351)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351)와 브라켓(352)의 핀 결합을 위해 상기 브라켓(352)은 한 쌍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351)는 브라켓(352)사이에 삽입된다. 핀(353)은 상기 브라켓(352)과 힌지(35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촉판(34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도 변화를 흡수한다.
상기 압전 소자(320)와 외부 전극(E)이 수용되는 전동 하우징(310)은 중공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 측면이 개방된 전동 하우징 본체(311)와, 상기 전동 하우징 본체(311)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전극 고정공(312)으로 이루어진다. 전동 상기 하우징 본체(311) 내 측면에는 안착판(313)이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압전 소자(320)가 안착된다. 상기 전원부(BAT)는 상기 안착판(313)과 전동 하우징 본체(311) 바닥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안착판(313)에는 관통공(314)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E)이 삽입되어 전원부(BAT)와 접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AC)에 의해 연동 바아(360)를 전후진하여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압축한다.
이상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 본체
120 : 투입구 121 : 제1투입구
122 : 제2투입구 130 : 개방부
140 : 지지벽 141 : 제1지지벽
142 : 제2지지벽 150 : 구획벽
160 : 제1낙하 슬릿 170 : 안내벽
171 : 제1안내벽 172 : 제2안내벽
180 : 제2낙하 슬릿 300 : 가압부
310 : 전동 하우징 311 : 전동 하우징 본체
312 : 전극 고정공 313 : 안착판
320 : 압전 소자 330 : 내부 전극
340 : 접촉판 350 : 가변 회동부
360 : 연동 바아 361 : 제1연동 바아
362 : 제2연동 바아

Claims (7)

  1. 회수용 종이 컵(C2)과 회수용 플라스틱 용기(C1)가 각각 투입되는 중공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종이 컵(C1)과 플라스틱 용기(C2)를 각각 압축하는 가압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의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상부에 개방되는 투입구(12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벽(150)과 상기 하우징 본체(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지지벽(1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구(120)는 하우징 본체(110)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이 각각 투입되는 제1투입구(121)와 제2투입구(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각각 압축하고,
    상기 구획벽(150)에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낙하 슬릿(160)은 상기 제1투입구(121)를 통해 낙하한 플라스틱 용기(C1)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낙하 슬릿(180)은 상기 제2투입구(122)를 통해 낙하한 종이 컵(C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각 낙하 슬릿(160,180)은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00)는 구획벽(150)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용기(C1)와 종이 컵(C2)을 압축하며 블레이드(370)가 구비된 가압판(PC)과,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AC)와, 상기 액츄에이터(AC)와 가압판(PC)사이에 구비되는 연동 바아(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판(PC)은 판체 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압판(PC-2)은 상기 지지벽(140)의 제2지지벽(142)과 액츄에이터(AC)사이에 배치되어 제2낙하 슬릿(180)을 지나 제2지지벽(142)까지 전후진하고, 제1가압판(PC-1)은 상기 지지벽(140)의 제1지지벽(141)과 제2지지벽(142)사이에 배치되어 제1낙하 슬릿(160)을 지나 제1지지벽(141)까지 전후진하며,
    상기 블레이드(370)는 상기 제1가압판(PC-1)에 구비되는 제1블레이드(371)와 제2가압판(PC-2)에 구비되는 제2블레이드(37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동 바아(360)는 상기 액츄에이터(AC)에 연결되고 제2가압판(PC-2)에 설치되는 제2연동 바아(362)와, 상기 제2연동 바아(362)에 연결되고 제1가압판(PC-1)에 설치되는 제1연동 바아(36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 바아(361)는 제2연동 바아(362)에서 제2가압판(PC-2)의 폭 방향으로 각각 분기된 후 제2가압판(PC-2)과 제2지지벽(142)을 우회하여 제1가압판(PC-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AC)는 상기 구획벽(150)상에 배치되는 전동 하우징(310)과,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140) 방향으로 다수 층 적층되는 압전 소자(320)와, 상기 압전 소자(320)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전극(330)과,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전극(330)에 연결되는 외부 전극(E)과, 상기 외부 전극(E)과 내부 전극(330)을 연결하는 와이어(W)와, 상기 전동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이 접하는 전원부(BAT)와, 상기 압전 소자(320) 중 지지벽(140) 방향에 구비되는 접촉판(3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동 바아(362)는 상기 접촉판(340)에 연결되어 연동되고,
    상기 제2연동 바아(362)의 전후진에 의해 제2 가압판(PC-2)이 전후진되며, 상기 제2연동 바아(362)에 연동되는 제1연동 바아(361)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압판(PC-2)이 전후진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50)의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 저면에 회수 주머니(500)가 구비되어 제1낙하 슬릿(160)과 제2낙하 슬릿(180)을 통과한 플라스틱 용기(C1) 및 종이 컵(C2)이 각각 저장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에 액체 회수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플라스틱 용기(C1) 또는 종이 컵(C2)에서 누출된 액체가 일시 저장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 하측 일 부분은 개방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 회수부(400)가 출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40)은 제1투입구(121)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기(C1)가 지지되는 제1지지벽(141)과, 상기 제2투입구(122) 저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종이 컵(C2)이 지지되는 제2지지벽(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벽(141)은 제1낙하 슬릿(16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 측에 위치하고,
    제2지지벽(142)은 제2낙하 슬릿(180)에서 연동 바아(360)의 전진 방향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하우징(310)은 중공형상이고 지지벽(140) 방향 측면이 개방된 전동 하우징 본체(311)와, 상기 전동 하우징 본체(311) 내측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전극 고정공(312)과, 상기 전동 하우징 본체(311) 내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안착판(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BAT)는 상기 안착판(313)과 전동 하우징 본체(311) 바닥 사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및 회수 장치를 이용한 분류 및 회수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플라스틱 용기(C1)를 제1투입구(121)에 투입하고, 종이 컵(C2)은 제2투입구(122)에 투입하며,
    상기 플라스틱 용기(C1)는 구획벽(150)의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고, 종이 컵(C2)은 구획벽(150)의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되며,
    가압부(300)에 의해 제1가압판(PC-1)을 플라스틱 용기(C1)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1낙하 슬릿(16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지지벽(141)에 지지되는 플라스틱 용기(C1)를 가압하여 압축시키고, 제2가압판(PC-2)을 종이 컵(C2)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2낙하 슬릿(18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2지지벽(142)에 지지되는 종이 컵(C2)을 가압하여 압축시키고,
    상기 제1가압판(PC-1)과 제2가압판(PC-2)을 후진하여 압축된 플라스틱 용기(C1)는 제1낙하 슬릿(160)을 통해 낙하시켜 회수 주머니(500)에 투입되고, 압축된 종이 컵(C2)은 제2낙하 슬릿(180)을 통해 낙하시켜 회수 주머니(500)에 투입되는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방법.
KR1020160120448A 2016-09-21 2016-09-21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KR10190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48A KR101903470B1 (ko) 2016-09-21 2016-09-21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48A KR101903470B1 (ko) 2016-09-21 2016-09-21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46A KR20180031946A (ko) 2018-03-29
KR101903470B1 true KR101903470B1 (ko) 2018-11-13

Family

ID=619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448A KR101903470B1 (ko) 2016-09-21 2016-09-21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228A (ko) 2021-11-01 2023-05-09 오민경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KR20240008499A (ko) 2022-07-12 2024-01-19 (주)에이텍모빌리티 플라스틱 컵의 분리식 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673A (zh) * 2019-04-17 2019-09-13 华南师范大学 一种智能分类垃圾桶
KR20210100875A (ko) 2020-02-07 2021-08-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품 압축 장치
KR102480484B1 (ko) 2021-12-06 2022-12-22 주식회사 이노버스 음료용 컵 재사용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용 컵의 재사용성 판단방법
CN114671158B (zh) * 2022-04-11 2022-12-30 浙江庞度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杯纸盒回收机
CN115716579A (zh) * 2022-11-30 2023-02-28 浙江净禾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垃圾投放箱自动压缩打包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969B2 (ja) 1993-03-01 1997-01-08 旭産業株式会社 空き缶の選別方法及び空き缶圧縮装置
JP3004017B2 (ja) 1986-09-29 2000-01-31 マー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ーコード復号方法
JP2005096003A (ja) * 2003-09-22 2005-04-14 Nikko Kankyo Kk 切断装置及び液体入り容器の処理システム
KR100753789B1 (ko) 1999-06-19 2007-08-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개선된 열 방출을 갖는 압전 액추에이터
KR101531465B1 (ko) 2014-04-29 2015-06-25 정영철 캔 압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6296A (ja) * 1986-12-23 1988-11-22 Kenichi Nariyama 缶つぶし機
JPH0586901U (ja) * 1992-04-30 1993-11-22 隆 富山 空缶・空瓶等の容器の回収装置
JPH0654494U (ja) * 1993-01-13 1994-07-26 進 西松 分別機構付き空缶圧縮機
JPH0747495A (ja) * 1993-08-05 1995-02-21 Nippon Heater Kiki Kk 空缶の圧潰装置
JP3004017U (ja) * 1994-05-10 1994-11-08 ダイトーエムイー株式会社 空き缶回収圧縮機
JPH0919795A (ja) * 1995-06-30 1997-01-21 Yoshie Matsuda 廃プラスチック容器の圧縮装置
JPH10235498A (ja) * 1997-02-25 1998-09-08 Kamachiyou Seiko Kk ペットボトル減容機
JPH11319771A (ja) * 1998-05-21 1999-11-24 Shimadzu Corp ボトル減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017B2 (ja) 1986-09-29 2000-01-31 マー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ーコード復号方法
JP2568969B2 (ja) 1993-03-01 1997-01-08 旭産業株式会社 空き缶の選別方法及び空き缶圧縮装置
KR100753789B1 (ko) 1999-06-19 2007-08-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개선된 열 방출을 갖는 압전 액추에이터
JP2005096003A (ja) * 2003-09-22 2005-04-14 Nikko Kankyo Kk 切断装置及び液体入り容器の処理システム
KR101531465B1 (ko) 2014-04-29 2015-06-25 정영철 캔 압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04017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228A (ko) 2021-11-01 2023-05-09 오민경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KR20240008499A (ko) 2022-07-12 2024-01-19 (주)에이텍모빌리티 플라스틱 컵의 분리식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46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70B1 (ko)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KR101903467B1 (ko) 종이 컵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903468B1 (ko) 플라스틱 용기 회수 장치 및 방법
CN210752919U (zh) 一种便当盒生产用的废料回收装置
KR20190067768A (ko) 용기 수납 장치 및 음료 디스펜서
CN114524204B (zh) 垃圾自动分类回收桶的使用方法
KR101915124B1 (ko) 캔 용기 분류 및 회수 장치와 방법
CN109159475A (zh) 箱体输送线、包装箱组装设备及箱体预处理方法
CN109159476B (zh) 包装箱组装装置
CN102658885B (zh) 一种压紧送料装置
KR102077453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식품 포장비닐용 제대기
JPS58207203A (ja) 家庭塵芥の分別収集および処理方法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装置
CN208468814U (zh) 一种塑料瓶自动收集压扁装置
CN109625500B (zh) 一种果酱小袋拆袋机
CN209466751U (zh) 具有摇盖分离导向功能的箱体输送线及包装箱组装设备
CN206384209U (zh) 非间歇运动三维包装机
CN205467534U (zh) 一种无纺布制袋机
CN211808106U (zh) 一种纸箱加工用边角料清理装置
KR102323823B1 (ko) 일회용 컵 처리장치
CN106391669A (zh) 一种分料槽带有料槽的智能切袋机
CN215088795U (zh) 一种刺梨原汁生产用具有去杂挑选功能的洗果装置
CN212887922U (zh) 一种包装用托盘吸塑成型机的成品切割装置
CN212979025U (zh) 一种注塑机生产用废料收集装置
CN216582203U (zh) 一种食品包装与快递盒回收设备
CN212094097U (zh) 一种铝箔餐盒生产系统的压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