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36B1 -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36B1
KR101902236B1 KR1020170006982A KR20170006982A KR101902236B1 KR 101902236 B1 KR101902236 B1 KR 101902236B1 KR 1020170006982 A KR1020170006982 A KR 1020170006982A KR 20170006982 A KR20170006982 A KR 20170006982A KR 101902236 B1 KR101902236 B1 KR 10190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erial number
withdrawn
stored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225A (ko
Inventor
이동익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7000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4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digital security elements, e.g. information coded on a magnetic thread or strip
    • G07D7/0047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digital security elements, e.g. information coded on a magnetic thread or strip using checkcodes, e.g. coded numbers derived from serial number and denomination
    • G07D11/0054
    • G07D11/007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07D11/34Monitoring the contents of devices, e.g. the number of stored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융기기에는,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와, 출금 거래 시,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순서에 따라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집적된 순서에 따라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상기 출금된 매체 중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의 기 저장된 시재정보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Finan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는 매체입출금부와, 투입된 매체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저장부와, 매체의 상태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에서 감지된 매체의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실제 매체의 보관매수는 일치되어야 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0299호(공개일 2012.04.27)에는, 지폐일련번호 독취가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지폐관리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금융자동화기기의 감별부는, 입금거래 시, 일시저장부에서 권종별 지폐카세트로 이송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독취한다. 또한, 출금거래 시, 상기 감별부는, 권종별 지폐카세트에서 지폐입출금부로 이송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독취하여 개별 지폐의 입출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감별부에서 독취된 지폐 일련번호에 따라 각각의 지폐 및 해당 지폐와 관련된 입/출금거래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감별부는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를 오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 의해 오인식된 지폐가 사용자의 출금명령에 의해 출금될 수 있다. 이때, 출금되는 지폐의 일련번호는 상기 감별부에 의해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금되는 지폐의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서로 불일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금 시 상기 감별부에 의해 일련번호가 정확하게 인식된 지폐가 사용자의 출금명령에 의해 출금될 수 있다. 이때, 출금되는 지폐의 일련번호가 상기 감별부에 의해 오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금되는 지폐의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서로 불일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출금되는 지폐의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매수가 업데이트(update)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체보관함에 보관된 매체의 정보 및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실제 매체의 보관 매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출금 과정에서 매체감별장치에 의해 식별되는 매체의 정보 및 메모리에 기저장된 매체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게 시재관리할 수 있는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출금 과정에서 매체감별장치에 의해 매체의 정보의 일부가 오인식되더라도, 시재관리가 가능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기기는,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 출금 거래 시,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순서에 따라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집적된 순서에 따라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상기 출금된 매체 중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의 기 저장된 시재정보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 상기 매체감별장치를 지난 매체가 방출되는 매체입출부; 및 상기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되는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1 시재 보정알고리즘과, 상기 일치하는 일련번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2 시재 보정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은, 출금 명령에 의해서 매체 보관부에서 출금을 위한 매체가 인출되는 단계;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매체는 매체감별장치를 통과하여 매체 입출부로 방출되는 단계; 상기 매체감별장치를 통과하는 매체에 대한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를 시재보정하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시재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에 저장된 일련번호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를 시재 보정하는 제 2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매체의 출금과정에서 매체의 일련번호 비교를 통해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보관 매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입출금 과정에서 매체감별장치에 의해 매체의 일련번호가 일부 오인식되더라도, 매체의 보관 매수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B의 최초 선정된 일련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B의 최초 선정된 일련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 B의 일련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서,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입출금 리스트 및 보관함 리스트 각각에 저장된 매체의 일련번호 정보를 보여주는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출금된 매체 및 그룹B에서 선정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한 표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입출금 리스트 및 보관함 리스트에서 매체의 일련번호가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저장되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입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shutter) 및/또는 커버(cover)등과 같은 가림 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입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1)에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입출부(11)에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3) 및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드 입출부(3) 또는 통장 입출부(4)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2)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 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고객이거나, 금융기기의 관리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는, 일례로,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표시하거나, 계수 완료된 매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는 상기 금 융기기(1)의 전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 수표 등의 매체를 입금 및 출금처리하기 위하여, 집적, 분리, 이송, 및 인식들의 과정을 처리하는 매체처리장치(도 2의 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상기 매체 입출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하는 매체감별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는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에 대한 정보를 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는 매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는 정상매체 및 이상매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상매체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 의해 미인식되는 매체, 외형적으로 변형이 발생된 매체, 두 장 이상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및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한 매체의 일련번호(serial number)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일련번호는 제조 시 매체에 부여된 고유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획득된 일련번호는 금융기기의 메모리(도 3의 200: memory)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 에 대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집적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부(12)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부(12)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되는 매체 보관부(13)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매체 수납에 대한 결정은, 일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에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부(13)는, 하나 이상의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카세트(cassette), 박스(box), 또는 빈(bi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이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보관함은 서로 다른 권종의 매체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가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매체 보관부(13)의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기기(1)에 제 1 보관함 내지 제 4 보관함(131 내지 134)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보관함 내지 제 4 보관함(131 내지 134) 중 일부에는 지폐가 보관될 수 있고, 다른 일부에는 수표가 보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폐가 보관되는 보관함의 개수 및 수표가 보관되는 보관함의 개수, 및 보관함 전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보관함 내지 제 4 보관함(131 내지 134)이 지폐만을 보관하거나 수표만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매체 보관부(13)는,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보관함이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부(14, 15, 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14, 15, 17)는, 입금 또는 보충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1 회수함(14), 출금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2 회수함(15), 및 상기 매체 입출부(11)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 수취한 경우, 미 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 3 회수함(1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제 2, 3 회수함(15, 17)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3 회수함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0)는, 매체를 상기 매체 보관부(13)로 보충하거나, 매체를 매체 보관부(13)로부터 회수하는 보충/회수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융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입출부, 매체감별장치, 일시집적부, 매체 보관부, 회수부, 보충/회수부 등)은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는 매체 보관부(13)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00)는,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서,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 의해 획득되는 매체의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에는,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서,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면서 획득되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에는,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방식으로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금융기기(1)의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서, 상기 메모리(200)에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는 물리적인 순서와 동일하게 매체의 일련번호가 리스트화되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가장 먼저 입력된 매체의 정보는 상기 특정 리스트의 가장 낮은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번에 입력된 매체의 정보는 상기 가장 낮은 위치에 저장된 정보의 다음 번(윗 쪽)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매체의 정보가 저장되는 가장 낮은 위치를 바텀(Bottom)이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매체의 정보가 저장되는 가장 높은 위치를 탑(Top)이라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200)는,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가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는 경우, 매체의 일련번호가 리스트로 저장되는 입출금 리스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는 매체의 순서에 따라, 상기 매체의 일련번호는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의 바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서, 가장 나중에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되는 탑의 위치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는 매체의 매수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일례로, 3매의 매체가 입금되는 경우, 가장 먼저 입금되는 매체의 일련번호는 바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입금되는 3번째 매체의 일련번호는 탑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5매의 매체가 출금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200)의 입출금 리스트(210)에서, 가장 먼저 출금되는 매체의 일련번호는 바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출금되는 5번째 매체의 일련번호는 메모리(200)의 탑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후술되는 보관함 리스트(231, 232, 233, 23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는 각 보관함(131, 132, 133, 134)에 저장되는 매체의 일련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관함 리스트(231, 232, 233, 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0)에는 상기 금융기기(1)에 구비되는 보관함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보관함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융기기(1)에 4개의 보관함(131, 132, 133, 134)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200)는 제 1 보관함메모리 내지 제 4 보관함리스트(231, 232, 233, 2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관함 리스트(231, 232, 233, 234)에는, 각각의 보관함(131, 132, 133, 134)에 대응되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131, 132, 133, 134)에 집적되는 매체의 순서에 따라, 상기 매체의 일련번호는 상기 보관함(131, 132, 133, 134)에 대응되는 보관함 리스트(231, 232, 233, 234)의 가장 낮은 위치에 해당되는 바텀부터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되는 탑까지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200)에 각 보관함(131, 132, 133, 134)에 집적되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각 보관함(131, 132, 133, 134)은 집적되는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되기 위하여 별도로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어느 하나의 보관함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별도로 구비되는 메모리는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분리되는 보관함과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131, 132, 133, 134)에 별도로 구비되는 메모리는 보관함 메모리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금융기기(1)의 각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200)에 저장된 매체의 보관 매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 과정에서, 상기 메모리(200)의 기 저장된 시재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입금거래시, 입금될 매체가 특정 보관함에 모두 입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보관함에 대응되는 보관함 리스트에 입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추가시킬 수 있다. 이때, 매체의 일련번호는 입금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보관함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 리스트의 시재는 일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금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13)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서 획득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 중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메모리(200)에 기저장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200)에 기 저장된 시재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체의 출금이 진행된 보관함에 대응되는 보관함 리스트에 기 저장된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 획득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보관함 리스트에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삭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 리스트의 시재는 일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에 의해 보관함 리스트의 일련번호, 매체의 매수를 업데이트하여 확정되는 일련의 과정은 보관함 리스트의 시재정보가 보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사용자로부터 출금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출금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보관함 중 하나 이상에서 매체가 인출될 수 있다. 출금을 위한 매체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매체 입출부(11)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제어하여, 상기 매체감별장치(100)를 통과하는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S1).
획득된 일련번호는 상기 메모리(200)의 입출금 리스트(231)에 저장될 수 있다.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13)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S3). 다르게 표현하면, 출금명령에 의해 출금될 마지막 매체의 일련번호가 상기 매체감별장치(200)에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 저장된 매체의 일련번호 정보 및 상기 보관함 리스트(231)에 저장된 매체의 일련번호 정보 중 서로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검색 과정에서, 서로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검색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당 보관함의 매체의 보관량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서 시재 보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S5), 상기 제어부(300)는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S7).
매체가 금융기기(1)에 입금 및 출금 중 어느 하나의 과정에서,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 의해 매체의 일련번호의 일부가 미 인식되거나 오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함에 대응되는 보관함 리스트에 저장된 일련번호와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 저장된 일련번호가 서로 불일치하여,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은, 매체가 출금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 저장된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서 선정된 일련번호를 상기 보관함 리스트에 저장된 일련번호들과 비교하면서, 상기 선정된 일련번호와의 유사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매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매체의 유사도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매체가 마지막으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높은 유사도를 가진 매체의 일련번호를 기초로 상기 보관함 리스트(231)의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입출금과정에서 일련번호가 모두 오인식되거나 미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시재 보정이 실패할 수 있다(S9).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에 보관량 불확실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지보수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S11).
또는, 후속되는 출금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 다시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 또는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보관함의 보관량을 재 판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출금 거래 과정에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획득된 출금매체의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 오인식 되어 시재보정에 실패하더라도, 출금된 매체들의 일련번호 중 다른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재보정의 성공확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출금된 매체들의 일련번호가 모두 오인식되어,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재보정이 실패하더라도,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는, 마지막으로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 및 상기 보관함 리스트에 기 저장된 일련번호와 유사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관함 리스트의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재보정의 성공확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재보정의 성공확률이 향상되면, 사용자의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 소요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과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B의 최초 선정된 일련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B의 최초 선정된 일련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그룹A의 마지막 출금 매체의 일련번호 및 그룹B의 일련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에는, n매의 매체가 출금될 수 있다(S31).
상기 금융기기(1)는 사용자로부터 n매의 매체에 대한 출금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요청된 매체가 상기 제 1 보관함(131)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출금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관함(131)에서 n매의 매체를 출금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의 제 1 보관함(131)에서 5매가 인출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제 1 보관함(131)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체 감별장치(100)에서 획득된 출금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메모리(200)에 저장된 제 1 보관함(131)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시재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출금 시에 획득된 매체의 일련번호가 저장된 입출금 리스트(210)와, 상기 제 1 보관함(131)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가 기저장된 제 1 보관함리스트(231)를 서로 비교하여 시재를 보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200)의 입출금리스트(210)에 저장된 출금매체들의 일련번호 정보를 그룹A로 선정할 수 있다(S33).
한편, 상기 보관함 리스트(231)에는, 출금된 매체들의 일련번호 정보 및 현재 보관중인 매체들의 일련번호가 함께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보관함 리스트(231)에 기저장된 일련번호들 중 상기 그룹A와 비교하기 위한 그룹B를 선정할 수 있다(S35).
상기 그룹B는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에서 별도로 지정된 범위에 있는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출금된 매체가 n매인 경우, 상기 그룹B는 마지막으로 출금된 n번째 매체의 일련번호 보다 상위 설정매수(s) 및 하위 설정매수(s) 사이 범위에 있는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그룹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n-s) 및 B(n+s) 사이에 있는 일련번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설정매수(s)는, 일례로, 2매일 수 있다. 따라서, 그룹B는 일련번호 A0257615760, A0315195190, A0257615760, A0951315190, 및 A12345678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 중 어느 하나를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S37). 상기 제어부(300)는 일례로, 마지막으로 출금된 매체를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A에 포함된 일련번호 중 바텀에 저장된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는 일련번호 A1234567894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선정된 그룹 A의 대표 일련번호와 그룹B의 일련번호를 각각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B의 바텀에 있는 일련번호를 그룹B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일련번호 A1234567894는 그룹B의 대표 일련번호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선정된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 및 상기 그룹B의 대표 일련번호 중 서로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S39).
서로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식별한 경우(S41), 상기 제어부(300)는 식별된 그룹B(Group(B))의 일련번호가 정상 일련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S43).
식별된 그룹B의 일련번호가 정상 일련번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보관함(131)의 매체 보관량을 보정할 수 있다(S45).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보관함메모리(151)에서, 상기 식별된 그룹B의 일련번호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부터 탑에 위치한 일련번호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 A1234567894는 그룹B의 대표 일련번호 A1234567894와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보관함리스트(231)의 일련번호 A1234567894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A1234567894부터 탑에 위치한 일련번호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관함 리스트(231)는 시재 보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보관함리스트(231)에 저장된 매체의 매수정보(저장된 매체의 일련번호의 개수의 합)와 실제 제 1 보관함(131)에 보관된 매체의 매수, 즉 시재는 일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일치하는 일련번호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B의 대표 일련번호보다 상위에 있는 일련번호(이하에서는, 다음 번 일련번호라 한다)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S47).
한편, 식별된 그룹B의 일련번호가 정상적인 일련번호가 아닌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300)는 다음 번 일련번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S43).
상기 그룹B에서 다음 번 일련번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번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그룹B의 일련번호 A1234567898의 다음 번 일련번호는 A1234567894이다. 그리고, 상기 일련번호 A1234567894는 그룹 B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룹 B의 대표 일련번호가 선정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선정된 그룹 A의 대표 일련번호와 일치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더 이상 선정될 그룹B의 일련번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체감별장치(100)에서 획득된 다른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보다 상위에 있는 일련번호, 즉 다음 번 일련번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S49).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된 매체보다 이전에 출금된 매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A에서 다음 번 일련번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번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그룹A의 일련번호 A1234567894의 다음 번 일련번호는 A095131519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련번호 A0951315190는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그룹A의 다음 번 일련번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번 일련번호가 정상적인 일련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S51). 다음 번 일련번호가 정상적인 일련번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음 번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그룹A의 다음 번 일련번호가 정상적인 일련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A에서, 다음 순서의 일련번호를 선정하여 정상적인 일련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더 이상 선정될 그룹A의 일련번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제 2 시재 보정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A).
이하에서는 제 2 시재 보정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서,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입출금 리스트 및 보관함 리스트 각각에 저장된 매체의 일련번호 정보를 보여주는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출금된 매체 및 그룹B에서 선정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한 표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입출금 리스트 및 보관함 리스트에서 매체의 일련번호가 시재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출금 리스트(210)에 저장된 마지막 출금 매체(An)의 일련번호를 그룹A(Group(A))의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S61).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는 A1234567894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보관함 리스트(321)에 저장된 일련번호 중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와 비교하기 위한 그룹B를 선정할 수 있다(63).
상기 그룹B에 포함되는 일련번호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룹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n-s) 및 B(n+s) 사이에 있는 일련번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매수(s)가 2인 경우, 상기 그룹B는 A2845833283(Group(B3)), A2217079171(Group(B4)), A0257615760(Group(B5)), A1315195190(Group(B6)), 및 A1284567394(Group(B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B의 일련번호들과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S65).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글자수에 따라 그룹B의 각 일련번호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치하는 글자수에 따라 1점을 부여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가장 높은 유사도가 부여된 일련번호를 제 1 임시번호, 그 다음으로 높은 유사도가 부여된 일련번호를 제 2 임시번호로 선정할 수 있다(S66).
그룹B7(Group(B7))의 일련번호 A1284567394는 그룹A의 일련번호 A1234567894와 일치하는 글자수가 9개로, 최고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그룹B6(Group(B6))의 일련번호 1315195190은 일치하는 글자수가 3개로, 그 다음으로 높은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임시번호가 설정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67).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임시번호의 점수(Ph1)가 제 1 설정값(Ps1)보다 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임시번호의 점수(Ph1) 및 제 2 임시번호의 점수(Ph2) 차가 제 2 설정값(Ps2)보다 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설정값(Ps1)은 6일 수 있고, 상기 제 2 설정값(Ps2)은 2일 수 있다.
상기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임시번호를 마지막 출금매체의 일련번호로 판단할 수 있다(S69).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임시번호의 점수(Ph1)가 제 1 설정값(Ps1)보다 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제 1 임시번호가 마지막 출금매체의 일련번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보관함메모리(151)에서 마지막 출금매체로 판단된 매체의 일련번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지막 출금매체로 판단된 매체의 일련번호보다 탑에 위치하는 일련번호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관함(131)은 시재 보정될 수 있다(S71).
한편, 상기 단계 S67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에 보관량 불확실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지보수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S73).
또는, 후속되는 출금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 다시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 또는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보관함의 보관량을 재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기기(1)의 출금 거래 과정에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13)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 및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 및 제 2 시재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시재보정의 성공률이 향상되어, 유지보수의 측면에서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 소요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서, 제어부(300)는 보관함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들 중 출금된 매체의 수량을 기초로 특정 범위에 있는 매체의 일련번호들을 그룹B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그룹A에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를 선정하여 상기 그룹B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시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함의 시재가 보다 신속하게 보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가 오인식되어, 그룹B의 일련번호들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그룹A의 다른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재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재선정된 그룹A의 대표 일련번호 및 상기 그룹B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시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보관함의 시재 보정의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의 소요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룹A 및 그룹B의 일련번호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그룹A의 마지막 출금매체 일련번호를 대표 일련번호로 선정하여, 그룹B에 포함된 일련번호들과 각각 유사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그룹 B의 일련번호를 제 1 임시번호로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임시번호가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임시번호를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로 판단하고, 시재 보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시재 보정의 성공확률이 보다 향상되고, 유지보수 소요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2: 본체
13: 매체 보관부 131: 제 1 보관함
11: 매체입출부 100: 매체감별장치
200: 메모리 210: 입출금 리스트
231: 제 1 보관함 리스트 300: 제어부

Claims (19)

  1.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
    출금 거래 시,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순서에 따라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
    하나 이상의 매체의 일련번호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 집적된 순서에 따라 저장된 메모리;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 및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시재정보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검색하고,
    검색한 일련번호가 설정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검색한 일련번호를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인 것으로 인식하는 금융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한 일련번호가 상기 설정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다른 일련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일련번호와 비교하는 금융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일련번호는,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보다 이전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인 금융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 중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일련번호가 검색되면,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된 일련번호 이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를 삭제하여 시재정보를 보정하는 금융기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일련번호를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글자수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 별로 부여된 점수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금융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 중 점수가 높은 일련번호일 수록 상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금융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한 일련번호의 점수가 제 1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금융기기.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 일련번호를 제 1 임시번호로 선정하며,
    상기 제 1 임시번호 다음으로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제 2 임시번호로 선정하고,
    상기 제 1 임시번호 및 상기 제 2 임시번호 각각에 부여된 점수의 차가 제 2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임시번호를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금융기기.
  1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
    상기 매체감별장치를 지난 매체가 방출되는 매체입출부; 및
    출금 거래시, 출금될 매체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되는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1 시재 보정알고리즘과,
    상기 일치하는 일련번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2 시재 보정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금융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보관부에 인입된 순서에 따라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되는 출금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일련번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관리하는 금융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일련번호 리스트에서,
    출금된 매체의 매수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일련번호가 포함되는 특정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되는 출금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특정범위에 포함된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관리하는 금융기기.
  15.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출금을 위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 보관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매체감별장치;
    상기 매체감별장치를 지난 매체가 방출되는 매체입출부; 및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보관부는,
    매체가 권종 별로 보관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관함은, 각 보관함에 인입된 순서에 따라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가 리스트화되어 저장된 보관함 메모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되는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1 시재 보정알고리즘과,
    상기 일치하는 일련번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기초로 시재 보정하는 제 2 시재 보정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금융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출금매체의 일련번호와, 상기 출금된 매체가 인출된 보관함의 메모리에 저장된 일련번호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보관함의 시재를 관리하는 금융기기.
  17. 출금 명령에 의해서 매체 보관부에서 출금을 위한 매체가 인출되는 단계;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인출된 매체는 매체감별장치를 통과하여 매체 입출부로 방출되는 단계;
    상기 매체감별장치를 통과하는 매체에 대한 일련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출금 거래 시 출금될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부에서 모두 출금되면,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일련번호와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를 시재보정하는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시재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매체의 일련번호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에 저장된 일련번호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상기 매체 보관부를 시재 보정하는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재 보정 알고리즘은,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 및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각각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일련번호를 임시번호로 선정하고, 상기 임시번호의 설정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번호가 설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임시번호의 일련번호를 마지막에 출금된 매체의 일련번호로 판단하여 시재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재 보정 알고리즘은,
    상기 매체감별장치에서 획득된 일련번호 및 상기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 매체의 일련번호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일련번호에 대한 검색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검색결과를 기초로 하여 매체 보관부의 시재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19. 삭제
KR1020170006982A 2017-01-16 2017-01-16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90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82A KR101902236B1 (ko) 2017-01-16 2017-01-16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82A KR101902236B1 (ko) 2017-01-16 2017-01-16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25A KR20180084225A (ko) 2018-07-25
KR101902236B1 true KR101902236B1 (ko) 2018-11-07

Family

ID=6305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82A KR101902236B1 (ko) 2017-01-16 2017-01-16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881A (ja) 2009-02-20 2010-09-0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12208828A (ja) 2011-03-30 2012-10-25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JP2013012126A (ja) * 2011-06-30 2013-01-17 Glory Ltd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1881A (ja) 2009-02-20 2010-09-0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2012208828A (ja) 2011-03-30 2012-10-25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JP2013012126A (ja) * 2011-06-30 2013-01-17 Glory Ltd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25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6923B1 (en) Bill transaction system
US7225911B2 (en) Bill handling machine
KR101467273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시스템
JP5680893B2 (ja) 紙幣取引処理装置
JPWO2008056404A1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KR101364222B1 (ko) 지엽류 판별 장치
RU2650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умажными листами
KR101351653B1 (ko) 금융기기 및 입금 거래 처리 방법
JP5012199B2 (ja) 現金処理装置
KR101902236B1 (ko)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5718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CN106575458B (zh) 纸币交易装置
JP5115167B2 (ja) 現金処理装置
KR101857181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매체 관리 방법
JP6233138B2 (ja) 紙幣処理装置
JP6195816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紙幣枚数特定方法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114048A (ko) 금융기기
JP2013196028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KR101841935B1 (ko) 금융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7158980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7134509A (ja) 取引装置
KR101599617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80873B1 (ko) 금융 기기
JP2005258737A (ja) 貨幣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