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948B1 -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948B1
KR101901948B1 KR1020170076422A KR20170076422A KR101901948B1 KR 101901948 B1 KR101901948 B1 KR 101901948B1 KR 1020170076422 A KR1020170076422 A KR 1020170076422A KR 20170076422 A KR20170076422 A KR 20170076422A KR 101901948 B1 KR101901948 B1 KR 10190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s
gateway
indoor
unit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과 통신 가능하게 형성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리모컨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별도의 중앙제어기가 없이도,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내기 전체를 그룹 제어하거나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상기 실외기에는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실내기는 별개의 공조공간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또는 넓은 공조공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황에 따른 제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을 개별 제어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 전체를 그룹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0076호)을 나타낸다.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복수 개의 실내기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그룹 제어명령을 복수개의 실내기들 중 하나인 마스터 실내기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실내기 이외의 슬래이브 실내기들은 상기 마스터 실내기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제어명령이 마스터 실내기를 경유하여 슬래이브 실내기들로 전달되므로, 제어명령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데어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제어명령의 전달 루트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되어 실내기들의 그룹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문제의 발생지점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그룹제어기(또는 중앙제어기)와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여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복수개의 실내기들을 리모턴에 의해 개별제어하기 위해서는 실내기들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리모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명령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복수개의 실내기들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므로, 제어명령의 전달 과정에서 테이터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명령의 전달 루트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되어 실내기들의 그룹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문제의 발생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제어기(또는 중앙제어기)와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복수개의 실내기를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내기를 선택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과 통신 가능하게 형성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리모컨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입력포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출력포트는 대응하는 실내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실내기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선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은 복수 개의 실내기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를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입력포트가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은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통해 복수 개의 실내기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조작부의 둘레를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의 제어를 위한 기호 및 실내기 전체의 그룹제어를 위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은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하나의 리모컨 및 하나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실내기는 상기 하나의 리모컨에 의해 제어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하나의 상기 리모컨이 하나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하나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과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복수 개의 실내기 사이는 통신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명령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복수개의 실내기들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므로, 제어명령의 전달 과정에서 테이터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명령의 전달 루트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되어 실내기들의 그룹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문제의 발생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제어기(또는 중앙제어기)와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복수개의 실내기를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내기를 선택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룹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통한 실내기의 개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통한 그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냉매 사이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에 해당하는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통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100) 및 상기 실외기(10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실내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 내에 압축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200)는 하나의 큰 공조공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별개의 공조공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는 그룹 제어되거나 개별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리모컨(300) 및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와 상기 리모컨(300) 사이에 개재되는 게이트웨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00)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리모컨(300)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00)은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하나의 리모컨(300)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를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상기 리모컨(300)이 하나의 상기 게이트웨이(4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게이트웨이(400)에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00)과 상기 게이트웨이(400) 사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사이는 통신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모컨(300)과 상기 게이트웨이(400)가 서로 무선통신하고, 상기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역시 무선통신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상기 리모컨(300)과 상기 게이트웨이(400)가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고,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들이 통신선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400)는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전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리모컨(3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하나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전체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리모컨(300)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사이에서 제어 명령(또는 제어 신호)의 전달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므로, 통신 중계기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리모컨(300)으로부터 신호(즉, 제어 명령)를 전달받는 입력포트(450) 및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리모컨(30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컨(300)은 상기 입력포트(450)에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는 복수개의 실내기(200)에 각각 대응하도록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는 제1실내기(210), 제2실내기(220) 및 제3실내기(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는 출력포트1(410), 출력포트2(420) 및 출력포트3(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포트1(410)은 상기 제1실내기(210)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력포트2(420)는 상기 제2실내기(220)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력포트3(430)은 상기 제3실내기(230)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실내기(200)의 개별 제어가 필요한 경우, 게이트웨이(400) 내에서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중 제어 대상 실내기에 연결된 하나의 출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통한 실내기의 개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제3실내기(230)의 개별 제어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400)에 구비되는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출력포트3(4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상기 입력포트(450) 및 상기 출력포트3(430)을 경유하여 상기 제3실내기(2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400) 내에서 상기 입력포트(450)를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들(410, 420, 430) 중 하나에 연결함에 따라서,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하나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복수개의 실내기(200)의 그룹 제어(전체 제어)가 필요한 경우, 게이트웨이(400) 내에서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전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통한 그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실내기(200) 전체의 그룹 제어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400)에 구비되는 상기 입력포트(450)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모두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상기 입력포트(450)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를 경유하여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400) 내에서 상기 입력포트(450)를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들(410, 420, 430) 모두에 각각 연결함에 따라서, 복수개의 실내기(200) 모두의 그룹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동일한 제어 명령이 상기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에 동일하게 그리고 동시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200)는 동일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명령이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복수개의 실내기들에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게이트웨이(400)는 제어명령의 전달자 또는 중계자 역할만 하므로, 제어 명령의 전달 과정에서 테이터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 제어에 있어서, 제어 명령의 전달 루트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되어 실내기들의 그룹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문제의 발생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제어에 있어서, 제3실내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3실내기(230)와 출력포트3(430) 사이의 단락 여부, 그리고 입력포트(450)와 출력포트3(430) 사이의 단락 여부에 대해서만 체크하면 된다.
한편, 상기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는 후술할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그룹 제어와 개별 제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은 상기 게이트웨이(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은 상기 리모컨(300)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실내기(200)를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은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실내기(200) 전체를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선택모듈(500)을 통해 실내기(200)의 그룹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선택할 수 있고, 개별 제어의 경우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모듈(500)을 통해 그룹 제어를 선택하거나 또는 개별 제어의 대상이 될 실내기를 선택한 후에, 상기 리모컨(300)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에서 선택된 결과에 기초하여, 전술한 게이트웨이(400)의 입력포트(450)가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모듈(500)에서 출력포트3(또는 제3실내기)가 선택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400)의 입력포트(450)가 출력포트3(4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30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제3실내기(230)로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선택모듈(500)에서 전체포트(또는 전체 실내기)가 선택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400)의 입력포트(450)가 복수개의 출력포트(410, 420, 430) 모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30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복수개의 실내기(200) 모두로 동일하게 그리고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은 바디(510) 및 상기 바디(510)에 구비되는 조작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은 상기 리모컨(30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리모컨(300)은 공조공간을 구획하는 벽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선택모듈(500)은 상기 리모컨(300)에 근접하게 상기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510)는 공조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510)는 공조공간에서 상기 리모컨(300)의 일측에 상기 리모컨(300)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디(510)가 상기 리모컨(300) 결합되거나 상기 리모컨(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530)는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3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개별 제어의 대상이 되는 실내기 또는 전체 실내기의 그룹 제어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530)는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530)가 버튼 형태로 형성되거나, 스위치 형태로 성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디(510)에는 상기 조작부(530)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의 실내기(200) 각각의 개별 제어를 위한 기호 및 실내기(200) 전체의 그룹제어를 위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530)의 전방면에는 화살표가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530) 전방면에 표시된 화살표가 복수개의 실내기(200) 각각의 개별 제어를 위한 기호 및 실내기(200) 전체의 그룹제어를 위한 기호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상기 조작부(5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듈(500)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상기 리모컨(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리모컨(300)으로 전달된 상기 작동 정보는 후술할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모컨(300) 및 선택모듈(500)은 게이트웨이(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실내기(210)에 구비되는 제1실내기제어부(211), 제2실내기(220)에 구비되는 제2실내기제어부(221) 및 제3실내기(230)에 구비되는 제3실내기제어부(231)는 상기 게이트웨이(4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 수 있다.
즉, 제1실내기제어부(211), 제2실내기제어부(221) 및 제3실내기제어부(231)는 전술한 통신선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3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기제어부(211), 상기 제2실내기제어부(221) 및 상기 제3실내기제어부(231)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1실내기(210), 제2실내기(220) 및 제3실내기(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모듈(500)을 통해 제어 대상 실내기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모듈(500)을 통해 복수개의 실내기(200) 중 하나가 제어 대상 실내기로 선택되거나, 복수개의 실내기(200) 전체가 제어 대상 실내기로 선택될 수 있다.
선택모듈(500)을 통해 선택된 제어 대상 실내기에 대한 정보는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리모컨(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모듈(500)을 통해 제3실내기(230)가 제어 대상 실내기로 선택된 경우,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제3실내기(230)에 대한 작동 정보가 리모컨(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00)에는 명령 입력부(310) 및 표시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정보는 상기 표시부(33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모듈(500)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가 상기 표시부(33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30)를 통해 제어 대상 실내기의 작동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는 제어 대상 실내기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선택모듈(500)을 통해 제어 대상 실내기가 선택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30)를 확인하면서 상기 명령 입력부(310)를 통해 제어 대상 실내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제어기(또는 중앙제어기)와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복수개의 실내기를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내기를 선택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실외기 200 실내기
300 리모컨 400 게이트웨이
500 선택모듈

Claims (12)

  1.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리모컨;
    상기 리모컨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과 통신 가능하게 형성된 게이트웨이; 및
    상기 리모컨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실내기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선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리모컨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입력포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포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출력포트는 대응하는 실내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력포트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은 복수 개의 실내기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를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입력포트가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출력포트 전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은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복수 개의 실내기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내기 전체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조작부의 둘레를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의 제어를 위한 기호 및 실내기 전체의 그룹제어를 위한 기호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실내기의 작동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리모컨이 하나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하나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과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복수 개의 실내기 사이는 통신선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170076422A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0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22A KR10190194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22A KR10190194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948B1 true KR101901948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422A KR10190194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9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9161B1 (en)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thereof
US9121624B2 (en) Information transfer system for refrige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4588056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901948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1913661B2 (en) Air-conditioning system
ES2361168T3 (es) Unidad exterior de un acondicionador de aire y método de control para la misma.
KR102001935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59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44447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JP410787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80021961A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4121547A (ja)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
KR101398161B1 (ko) 원격 제어를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시스템
KR2014010065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H06257829A (ja) 多室形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966950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3611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0757945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운전장치 및 그 방법
JP2531260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798993B2 (ja) 空気調和機
JP2002054831A (ja) 空気調和装置
KR2022009597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070112618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중앙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