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52B1 -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 Google Patents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52B1
KR101899852B1 KR1020180026848A KR20180026848A KR101899852B1 KR 101899852 B1 KR101899852 B1 KR 101899852B1 KR 1020180026848 A KR1020180026848 A KR 1020180026848A KR 20180026848 A KR20180026848 A KR 20180026848A KR 101899852 B1 KR101899852 B1 KR 10189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hole
railing
handrail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덕현
김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영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영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영물산
Priority to KR102018002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2017/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수직 상태로 지면을 따라 배열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난간 및 상기 난간이 기둥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되게 상기 난간과 상기 기둥에 형성된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기둥과 마주하는 면에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패스너의 선단이 위치하여 상기 난간이 패스너를 중심으로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Safety facilities for floor installation}
본 발명은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과 난간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난간의 길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간편하게 기둥에 설치할 수 있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과 같은 보행자 보호용 안전시설물은 층계, 다리,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여 교통사고, 추락 사고를 예방한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가로 보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19360호(2013.01.02)의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안전시설물은 기둥과 난간을 고정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데, 체결부재는 기둥에 부착되는 기둥측 체결구, 난간에 고정되는 난간측 체결구 및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연결하는 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안전시설물은 체결부제의 방향을 조절하여 등산로나 산책로 또는 공원 등에 일직선이나 곡선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르면 기둥과 난간이 기둥측 체결구, 난간측 체결구, 핀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체결부재를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울타리의 시공기간을 단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르면 기둥과 기둥 사이에 난간이 위치한 상태에서 난간의 선단과 기단이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 및 핀에 의해 제각기 기둥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둥과 기둥 사이가 난간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게 시공되는 경우 난간의 길이를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에 맞게 연장 또는 절단하는 별도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KR, B, 10-1219360, (2013.0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과 난간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과 난간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난간의 길이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간편하게 기둥에 설치할 수 있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난간과 난간의 연결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수직 상태로 지면을 따라 배열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난간 및 상기 난간이 기둥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되게 상기 난간과 상기 기둥에 형성된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기둥과 마주하는 면에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패스너의 선단이 위치하여 상기 난간이 패스너를 중심으로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은 상기 기둥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모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난간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개재된 상태로 난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기둥에 마련된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난간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개재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난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난간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를 난간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는 선단에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한 헤드가 형성되고 기단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에 형성된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을 관통하는 로드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상기 제2관통 홀을 관통한 상기 로드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난간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면과 마주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그 입구의 폭이 상기 헤드의 지름보다 좁고 상기 로드의 지름보다 큰 스커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은 그 내부가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제2관통 홀이 형성된 타측면에 상기 너트를 기둥의 내부에 매립시키는 함몰 홈이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함몰 홈은 상기 너트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은폐시키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 홈은 상기 제2관통 홀과 인접하여 상기 기둥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자유단이 상기 기둥의 외부를 향해 벌어져 상기 로드를 제2관통 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함몰 홈에 상응하는 띠의 형상을 갖되, 상기 커버의 양 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 홈에 인입되어 상기 함몰 홈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이 발휘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함몰 홈의 내측면을 향해 절곡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 홈은 상기 결속부에 상응하는 결속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가 결속 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난간은 그 내부가 중공되며 끝단이 개방된 관의 형태를 갖고 상기 난간의 끝단은 인서트 연결구가 삽입되어 난간과 난간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 연결구는 상기 난간의 끝단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간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로 이물질을 유입을 차단하는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간은 상기 가이드 홈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그 모양이 변형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난간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완충부는 난간의 표면을 따라 구획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에 의하면, 기둥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난간이 위치된 상태로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패스너에 의해 기둥 및 난간이 관통 체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까지 난간을 패스너를 중심으로 피벗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경사지와 같은 기둥과 이웃한 기둥의 높낮이가 다른 지면에서도 난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에 패스너의 볼트 헤드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까지 난간은 패스너를 중심으로 기둥이 지면에 배열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 기둥 간의 간격이 상이한 경우 난간을 슬라이딩시켜 기둥과 기둥의 간격에 상응하게 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전시설물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과 난간이 인서트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난간과 난간이 견고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난간을 기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안전시설물의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중 난간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이 경사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중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중 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은 지면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둥(100), 수직하게 설치된 기둥(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난간(200) 및 상기 기둥(100)과 난간(200)을 고정하는 패스너(30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난간(200)에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고 가이드 홈(210)에 패스너(300)의 선단이 위치하여 난간(200)이 패스너(300)를 중심으로 난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게 난간(200)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지에 맞게 난간(200)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기둥(100)은 그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시공된다. 이러한 기둥(100)은 예를 들어 하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기둥(100)의 하단부가 콘크리트에 의해 지면에 매립되어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100)은 그 내부가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고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제1관통 홀(110)과 제2관통 홀(120)이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 홀(110)과 제2관통 홀(120)은 일직선상으로 기둥(100)에 형성된다. 또한, 기둥(100)의 상단부는 캡(150)이 마련되어 기둥(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한다.
또한, 기둥(100)은 제2관통 홀(120)이 형성된 타측면에 아래에서 설명되는 패스너(300)를 구성하는 너트(320)를 기둥(100)의 내부에 매립시키는 함몰 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함몰 홈(130)은 기둥(100)의 길이 방향(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기둥(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함몰 홈(1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0)의 타측면 일부가 기둥의 내부를 향하는 함체의 형태를 갖게 된다.
즉, 함몰 홈(130)은 기둥(100)의 타측면의 일부가 기둥의 내부를 향해 절곡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면(133)이 형성되고 이러한 한 쌍의 내측면(133)은 제2관통 홀(120)이 형성된 평탄면(134)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둥(100)에 형성된 함몰 홈(130)은 커버(140)가 마련되어 이물질이 함몰 홈(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140)는 기둥(100)에 형성된 함몰 홈(130)에 상응하는 띠의 형상을 갖는다.
즉, 커버(140)는 도 10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단에 함몰 홈(130)에 인입되어 함몰 홈(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이 발휘되는 인입부(141)와 상기 인입부(141)가 끝나는 지점에서 함몰 홈(130)의 내측면을 향해 절곡되는 결속부(1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140)의 결속부(142)에 상응하여 함몰 홈(130)의 내측면은 결속부(142)가 삽입되는 결속 홈(132)이 형성되어 함몰 홈(130) 및 패스너(300)의 너트(3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시키게 된다.
난간(200)은 기둥(100)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난간(200)은 기둥(100)과 마주하는 면에 난간(200)의 길이 방향(지면에 기둥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패스너(300)를 구성하는 볼트(310)의 헤드(311)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난간(200)에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고 난간(200)과 기둥(100)을 고정하는 패스너(300)의 볼트 헤드(311)가 가이드 홈(210)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 난간(200)을 패스너(300)를 중심으로 난간(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어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게 난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난간(200)은 그 내부가 중공되며 끝단이 개방된 형태를 갖고 난간(200)의 끝단은 인서트 연결구(220)가 삽입되어 난간(200)과 난간(20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인서트 연결구(220)는 난간(200)의 끝단에 억지끼움되어 난간(200)과 난간(20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패스너(300)는 볼트(310)와 너트(320)로 구성되며 볼트(310)가 난간(200)과 기둥(100)을 관통하여 너트(3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난간(200)과 기둥(10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특히, 패스너(300)의 볼트(310)는 난간(200)이 기둥(100)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되게 볼트(310)의 헤드(311)가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의 내부에 개재되고 볼트(310)의 로드(312)가 기둥(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된 제1관통 홀(110)과 제2관통 홀(120)을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둥(100)과 난간(200)이 볼트(310)에 의해 관통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난간(200)은 볼트(310)를 중심축으로 하는 피벗 회전을 할 수 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0)과 이웃한 기둥(100)의 높이가 다른 경사지에서도 기둥(100)과 난간(200)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패스너(300)는 선단에 헤드(311)가 형성되고 기단에 로드(312)가 형성된 볼트(310)로 구성된다. 이때, 헤드(311)는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하여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의 내부에 헤드(311)가 개재될 때 가이드 홈(210)의 내측면과 헤드(311)의 다각면이 마주하게 되어 볼트(3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기둥(100)의 함몰 홈(130)에 형성된 제2관통 홀(120)을 관통한 볼트(310)의 로드(312)에 너트(320)가 체결되어 기둥(100)에 난간(200)이 고정된다.
또한,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은 그 입구의 폭이 헤드(311)의 지름보다 좁고 로드(312)의 지름보다 큰 스커트(211)가 형성되어 볼트(310)의 헤드(311)가 난간(200)의 가이드 홈(210)에서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볼트(310)의 로드(312)가 기둥(100)에 형성된 제1관통 홀(110)과 제2관통 홀(120)을 향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난간(200)은 가이드 홈(210)에 끼워지는 마감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마감재(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상응하는 띠의 형상을 갖게 되며 이러한 마감재(230)는 기둥(100)에 형성된 함몰 홈(130)에 설치되는 커버(140)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면에 접착제가 마련된 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져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은 기둥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난간이 위치된 상태로 볼트(310) 및 너트(320)로 구성되는 패스너(300)에 의해 기둥(100) 및 난간(200)이 관통 체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볼트(310)와 너트(320)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까지 난간(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300)를 중심으로 피벗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경사지와 같은 기둥(100)과 이웃한 기둥(100)의 높낮이가 다른 지면에서도 난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난간(200)에 패스너(300)의 볼트 헤드(311)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어 볼트(310)와 너트(320)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까지 난간(200)은 패스너(300)를 중심으로 기둥(100)이 지면에 배열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 기둥(100)과 기둥(100)의 간격에 따라 난간을 슬라이딩시켜 기둥(100)과 기둥(100)의 간격에 상응하게 난간(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시설물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난간(200)과 난간(200)이 인서트 연결구(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난간(200)과 난간(200)이 견고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난간(200)을 기둥(100)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안전시설물의 시공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둥(100)과 난간(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형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기둥(100)과 난간(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반원형, 팔각형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둥(100)과 난간(200)은 그 외형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 또는 리브(160)(260)가 형성될 수 있다. 기둥(100)과 난간(200)의 외형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 그 표면이 평탄하지 않아 사용자가 난간(200)을 잡고 이동할 때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논-슬립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둥(100)과 난간(200)의 외형 표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리브(160)(260)가 제각기 형성되는 경우 기둥(100)과 난간(2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한 기둥(100)과 난간(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300)의 볼트 헤드(311)가 난간(200)의 가이드 홈(210)의 내부에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310)의 로드(312)가 기둥(100)의 제1관통 홀(110)과 제2관통 홀(120)을 관통하게 될 때 볼트(310)의 로드(312)가 용이하게 제2관통 홀(120)로 안내될 수 있게 가이드 날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날개(131)는 기둥(100)에 형성된 함몰 홈(130)에 마련되는데, 가이드 날개(131)는 제2관통 홀(120)과 인접하게 함몰 홈(130)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날개(131)는 함몰 홈(130)에서 기둥(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자유단이 기둥(100)의 외부를 향해 벌어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제1관통 홀(110)을 관통한 볼트(310)의 로드(312)를 제2관통 홀(120)로 안내하게 됨으로써, 패스너(300)의 볼트(310)를 용이하게 제2관통 홀(120)에 끼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00)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240)는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데, 이때 완충부(240)는 외력에 의해 그 모양이 변형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공극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10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40)에 형성된 공극에 고무, 우레탄 폼과 같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충전물(250)을 채울 수 있다.
또한, 난간(2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완충부(2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완충부(240)가 난간(200)의 표면을 따라 구획된 상태로 마련되어 외력이 어느 방향에서 가해지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어 난간(2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은 경우에 따라 난간에 발광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난간(200)은 기둥(100)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모듈(400)이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발광모듈(400)은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개재된 상태로 난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브라켓(410)과, 상기 브라켓(410)에 구비되는 발광수단(420) 및 기둥에 마련되어 발광수단(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수단(420)을 발광시키는 감지센서(43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브라켓(410)은 패스너(300)를 중심으로 난간(200)이 슬라이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설치된다. 이러한 브라켓(410)은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개재되는 고정부(411)와 상기 고정부(4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난간(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2) 및 상기 연장부(412)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발광수단(420)이 설치되는 슬롯(41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411), 연장부(412), 슬롯(413)으로 구성되는 브라켓(410)은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의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브라켓(410)은 난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켓(410)에 형성된 연장부(412)는 난간(200)과 연장부(412)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탄성편(41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탄성편(414)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412)의 외측면에서 난간(200)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된 절곡된 판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414)이 난간(200)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된 절곡된 판의 형태를 갖게 되면 그 구조에 의해 탄성력이 발휘되어 연장부(412)와 난간(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연장부(412)에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편(414)이 탄성 변형되면서 연장부(4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연장부(412)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슬롯(413)에는 LED 램프와 같은 발광수단(420)이 설치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연장부(412)의 자유단에 형성된 슬롯(413)은 발광수단(420) 뿐만 아니라 광고판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난간(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발광수단(420)을 구비한 브라켓(410)이 설치되고, 기둥(100)에 감지센서(430)가 마련되는 것에 따라 사람이 기둥(10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센서(430)가 감지하여 브라켓(410)에 구비된 발광수단(420)을 작동시켜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의 주변 조명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즉, 발광모듈(400)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은 산책로, 등산로, 스카이 워크 등에 시공될 수 있어 발광모듈(400)을 통해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의 주변의 야경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난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210)에 발광모듈(400)의 브라켓(410)이 설치되기 때문에 발광모듈(400)이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브라켓(410)을 가이드 홈(210)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어 발광수단(420)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100 : 기둥 110 : 제1관통 홀
120 : 제2관통 홀 130 : 함몰 홈
131 : 가이드 날개 132 : 결속 홈
133 : 내측면 134 : 평탄면
140 : 커버 141 : 인입부
142 : 결속부 150 : 캡
160, 260 : 리브 200 : 난간
210 : 가이드 홈 211 : 스커트
220 : 인서트 연결구 230 : 마감재
240 : 완충부 250 : 충전물
300 : 패스너 310 : 볼트
311 : 헤드 312 : 로드
320 : 너트 400 : 발광모듈
410 : 브라켓 411 : 고정부
412 : 연장부 413 : 슬롯
414 : 탄성편 420 : 발광수단
430 : 감지센서

Claims (4)

  1. 수직 상태로 지면을 따라 배열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난간; 및
    상기 난간이 기둥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되게 상기 난간과 상기 기둥에 형성된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기둥과 마주하는 면에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패스너의 선단이 위치하여 상기 난간이 패스너를 중심으로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패스너는
    선단에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한 헤드가 형성되고 기단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에 형성된 제1관통 홀과 제2관통 홀을 관통하는 로드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상기 제2관통 홀을 관통한 상기 로드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난간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면과 마주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그 입구의 폭이 상기 헤드의 지름보다 좁고 상기 로드의 지름보다 큰 스커트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은
    그 내부가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제2관통 홀이 형성된 타측면에 상기 너트를 기둥의 내부에 매립시키는 함몰 홈이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함몰 홈은
    상기 너트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은폐시키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몰 홈은
    상기 제2관통 홀과 인접하여 상기 기둥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자유단이 상기 기둥의 외부를 향해 벌어져 상기 로드를 제2관통 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KR1020180026848A 2018-03-07 2018-03-07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KR101899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48A KR101899852B1 (ko) 2018-03-07 2018-03-07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48A KR101899852B1 (ko) 2018-03-07 2018-03-07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852B1 true KR101899852B1 (ko) 2018-09-18

Family

ID=6371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48A KR101899852B1 (ko) 2018-03-07 2018-03-07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46B1 (ko) * 2019-08-22 2020-03-23 (주)거광산업 울타리용 철망 휀스
DE102019100345A1 (de) * 2019-01-08 2020-07-09 Achim Stiehler Gmbh & Co. Kg Pfosten für Zäune, wie beispielsweise Sichtschutzzäune
KR102622125B1 (ko) * 2023-11-02 2024-01-09 유니온산업 주식회사 데크펜스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83B1 (ko) * 2011-11-24 2012-07-30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83B1 (ko) * 2011-11-24 2012-07-30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0345A1 (de) * 2019-01-08 2020-07-09 Achim Stiehler Gmbh & Co. Kg Pfosten für Zäune, wie beispielsweise Sichtschutzzäune
KR102091846B1 (ko) * 2019-08-22 2020-03-23 (주)거광산업 울타리용 철망 휀스
KR102622125B1 (ko) * 2023-11-02 2024-01-09 유니온산업 주식회사 데크펜스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52B1 (ko)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KR200453729Y1 (ko)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861048B1 (ko) 데크로드 조립식 난간
KR101928486B1 (ko) 휀스
KR20150051644A (ko) 엘이디 발광 횡단보도
KR101464304B1 (ko) 교량 점검로
KR102147107B1 (ko) 안전 난간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US20130214228A1 (en) Baluster Bracket Assembly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1075005B1 (ko) 교측보도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101952924B1 (ko) 난간 연결장치
KR20150032985A (ko) 계단 난간용 손받침대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100585981B1 (ko)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KR100975145B1 (ko) 난간용 조명기기
KR102145584B1 (ko) 조명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571365B1 (ko)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KR102400660B1 (ko) 안전난간의 유도용 조명장치
KR101728811B1 (ko) 울타리
KR200443251Y1 (ko) 보행자보호용 휀스
KR101133280B1 (ko) 도로 난간용 포스트
KR101690504B1 (ko)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