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63B1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563B1 KR101899563B1 KR1020170106695A KR20170106695A KR101899563B1 KR 101899563 B1 KR101899563 B1 KR 101899563B1 KR 1020170106695 A KR1020170106695 A KR 1020170106695A KR 20170106695 A KR20170106695 A KR 20170106695A KR 101899563 B1 KR101899563 B1 KR 101899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mposition
- soybean
- cosmetic composition
- slimm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두콩잎에서 추출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hAT-MSC)에서 효과적으로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며,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슬리밍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두콩잎에서 추출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hAT-MSC)에서 효과적으로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됨으로써 야기되는 피하지방 조직의 이상 비대화에 기인한다. 지방조직의 비대화는 지방세포(adipocyte)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수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비만 치료를 위해서는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인 지방생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에너지 항상성 및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 내에 과도한 지방의 축적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암을 포함한 만성질병의 유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세포 내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거나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도록 자극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비만과 관련하여 파생되는 문제 중 하나가 셀룰라이트(Cellulite)로, 특정 부위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지방 조직으로 인해 비만, 탄력저하, 피부 결절 등과 같은 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말한다. 셀룰라이트는 사춘기 이후 여성의 허벅지, 엉덩이 복부 부위의 피하조직 층에서 원활하지 않은 지방대사로 인해 발생하는 국소적인 지방세포의 결절로 피부의 표면을 불규칙적으로 만들어 피부의 외부형태를 좋지 않게 만든다. 이는 체내에 쌓인 노폐물 및 수분이 지방과 섞여 형성된 물질로 피부 깊숙이 결절이 만져지거나 탄력이 떨어지며 다른 부위보다 차갑게 느껴진다.
셀룰라이트는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지방세포가 커지면서 혈관을 누르고 혈액과 림프의 순환, 즉 미세순환 장애로 부종(Microedema)을 증가시키고, 지방체의 결체조직이 증가해 미세결절을 발생시킨다. 셀룰라이트는 지방세포의 비대나 증가와 관련이 있으므로 피하조직 층의 지방 조직을 분해시켜 체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거나 세포 내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노효경, 한국생활과학회지, 13, 283-290, 2004).
비만 및 셀룰라이트를 치료하기 위하여 알려져 있는 지방 분해 촉진 물질은 대부분 카페인(Caffein), 테오필린(Theophylline) 등의 메틸잔틴(Methylxanthine)계 물질들로서,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효소인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adenylate cyclase)의 촉진 또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의 억제를 통하여 지방 분해 효능을 나타내는 것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셀룰라이트를 완전히 개선할 수 없으며 중독성 물질로서 기관지 확장을 유도하거나 월경 전 증후군 현상을 악화시키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물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대해서는 좀 더 안전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세포 내의 지방체 축적을 억제하여 피하지방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유래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용매로 정제수 혹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지방 세포 분화 억제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지방 세포 내 지방체 축적 억제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하 지방 감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셀룰라이트 감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작두콩잎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6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며,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피하 지방층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슬리밍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 및 2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1 내지 4 처리군의 지방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4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도 4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작두콩잎 추출물이 천연 소재로서 독성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지방조직 분화를 억제하고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시켜 바디 슬리밍 및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나, 본 발명은 대두콩잎, 검은콩잎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작두콩은 학명이 카나발리아 글라디에이트 (Canavalia gladiate)로 표기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작두콩은 고려시대에 왕실에서만 약재나 식품으로 사용되어온 왕실작물로 임금콩이라 불리었다. 조선시대 이후, 고려말살정책으로 재배가 금지되었으나 치질이나 축농증, 비염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작두콩은 열매가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여서,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일컬어진다. (Joo SJ et a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08-312, 2001)
작두콩에는 주요성분으로 우레아제(Urease), 카나바닌(Canavanine), 카나바린(Canavaline), 지베레린 I, II(Gibberellins I, II) 및 단백질 등이 존재하며, 다른 콩과 작물에 비하여 비타민 B군, 비타민 C, 나이아신(Niacin)이 3∼5배 가량 더 많이 존재한다. 작두콩은 쥐눈이콩, 돌콩 등과 함께 콩 중에서 약효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두콩의 3가지 재배종 중에서 흰색 꽃이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약리 효과는 매우 다양하면서도 뛰어나다.
작두콩의 꼬투리, 깍지, 열매, 뿌리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잎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작두콩잎 추출물이 가지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우수한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과 및 지방체 축적 억제 효과가 있어 이와 관련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바람직하게 정제수 혹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탄소수가 2개인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30~70%(w/w)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의 제조시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물, 탄소수 1 내지 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작두콩잎 사용 중량 기준 1~100배 부피 또는 중량(1 kg 기준 1~100L 또는 1~100 k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80배 부피 또는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50℃에서 48~72시간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작두콩잎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은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방 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지방 세포 내 지방체 축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실험에 의할 경우,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함이 확인되었고, 지방 세포 내 지방체 축적을 억제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하 지방 분해용 또는 셀룰라이트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본 발명의 인체 실험에 의할 경우, 본 발명의 작두콩잎 추출물은 허벅지 둘레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작두콩잎 추출물은 0.006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0.006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바디 슬리밍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원료 또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피부외용연고,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션,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스킨,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전신세정제,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티슈 및 클렌징 워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도포 시 피하조직 층의 지방 세포 분화가 감소되고,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슬리밍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작두콩잎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한 작두콩잎 100 g을 30%(w/w)에탄올 수용액 4 kg에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농축기 (EYELA사, N-1000, 일본)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15.06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작두콩잎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한 작두콩잎 100 g을 70%(w/w)에탄올 수용액 4 kg에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농축기 (EYELA사, N-1000, 일본)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11.66 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대두콩잎 30% (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대두콩잎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대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13.18 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대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대두콩잎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대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9.18 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검은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검은콩잎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검은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13.06 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검은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검은콩잎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검은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상태로 10.07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콩잎별 30%(w/w)에탄올 추출물의 슬리밍 소재 후보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4의 슬리밍 소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축적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지방 세포 분화용 배지(이하 IDX)를 이용하여 사람의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hAT-MSC; human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를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지방 세포 분화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는 IDXG(IDX+Gibenclamide 1uM)을 실험에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4 처리군의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을 평가하고자 처리군과 IDXG를 공동 처리한 후, 세포 상층액의 아디포넥틴(adiponectin)을 정량하여 상대적인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을 비교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을 IDXG와 공동 처리(IDXG+Estradiol 10 uM)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IDXG를 기준으로 비교예 3, 비교예 4의 경우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 실시예 2 처리군은 다른 처리군에 비해 아디포넥틴(adiponectin) 분비량이 적게 나타나,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이 실질적인 효능이 아닌 세포독성으로 인한 가양성인지 확인하기 위해 저농도에서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처리군 모두 12.5 u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과적으로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인 아디포넥틴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고농도 처리군인 60 ug/ml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음성대조군 대비 70%의 지방 세포 분화 억제효능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과도 유사한 정도의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도 2). 도 2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실시예 2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농도 처리군에서 지방 세포 분화 억제효능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시예 1에 비해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3). 도 3은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지방 세포 분화 억제능 평가 결과이다.
이에 지방 세포 분화 억제 효능이 높게 나타난 실시예 1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을 슬리밍 소재 후보로 선정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5 내지 7: 작두콩 식물 부위별 30%(w/w)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작두콩잎뿐만 아니라 작두콩의 다양한 부위를 분리하여 지방 축적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작두콩 열매(비교예 5), 깍지(비교예 6), 줄기(비교예7) 부위별로 분리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각각 작두콩 열매, 깍지, 줄기 30%(w/w)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작두콩 식물 부위별 3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 축적 억제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작두콩 열매, 깍지, 줄기, 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슬리밍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지방 축적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추출물의 농도는 동일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람의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hAT-MSC)에 지방 분화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는 IDXG(IDX-Glibenclamide 1uM)을 기본 지방분화 유도 음성대조군으로 하고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작두콩 부위별 추출물의 실험 농도는 모두 15 ug/ml 로, 추출물과 IDXG를 공동 처리한 후 세포 상층액의 아디포넥틴을 정량하여 상대적인 지방분화 억제능을 비교하였다.
시료 |
농도 (ug/ml) |
아디포넥틴 (IDX=1) |
표준편차 |
|
작두콩 부위별 |
열매 | 15 | 1.56 | 1.82 |
깍지 | 15 | 1.75 | 1.81 | |
줄기 | 15 | 1.82 | 2.05 | |
잎 | 15 | 0.87 | 1.56 | |
Estradiol(10uM) | 0.67 | 0.22 |
평가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두콩잎 추출물이 다른 부위에 비해 아디포넥틴 분비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작두콩잎 용매별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형태학적인 지방분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를 처리 한 후, 지방체 축적(lipid accumulation)정도를 확인하였다.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Oil Red O Staining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 축적된 지방체를 염색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토크실린 염색(hematoxylin staining)을 통해 세포와 핵을 염색하여 기록하였다. Oil Red O Staning 은 지방체를 염색하고, 헤마토크실린(세포독성이 있으면 염색되지 않음)은 세포를 염색한다 (Red: Oil Red O-positive cells, Blue: Hematoxylin counter staning).
측정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처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체 축적 억제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작두콩잎 3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처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체 축적은 억제하지만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도 5는 작두콩잎 70%(w/w)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체 축적 억제 효능 및 세포 독성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실시예 3: 슬리밍 크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작두콩잎 추출물 8.0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5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5중량%, 밀납 0.5중량%, 유동파라핀 8.0중량%, 스쿠알란 7.0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중량%, 정제호호바유 4.0중량%, 디메틸실록산 0.3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중량%, 베타인 4.0중량%, 잔탄검 0.0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중량%, 방부제 0.25중량%, 잔량의 정제수를 총 10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슬리밍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비교 슬리밍 크림 제조]
작두콩잎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4: 슬리밍 크림의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 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 비교예 8을 15명의 성인 여성에게 공급하고 1일 2회씩 허벅지에 충분한 양을 16주간 도포하여 셀룰라이트 감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단, 본 실험에 참여한 피검자들은 시험기간 동안 일정한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측정방법은 줄자를 이용하여 줄어든 길이를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허벅지 둘레변화 (cm) |
실시예3 |
2.7 |
비교예8 |
0.4 |
본 발명의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3을 사용한 경우,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8과 비교하여 허벅지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7)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잎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정제수 혹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세포 분화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세포 내 지방체 축적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하 지방 감소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셀룰라이트 감소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작두콩잎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6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695A KR101899563B1 (ko) | 2017-08-23 | 2017-08-23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695A KR101899563B1 (ko) | 2017-08-23 | 2017-08-23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9563B1 true KR101899563B1 (ko) | 2018-09-18 |
Family
ID=6371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695A KR101899563B1 (ko) | 2017-08-23 | 2017-08-23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56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2398B1 (ko) | 2004-08-25 | 2006-02-21 | 박희학 |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
WO2016018465A1 (en) | 2014-07-30 | 2016-02-04 | Medtronic, Inc. | Urease purification from jack beans or other organisms |
-
2017
- 2017-08-23 KR KR1020170106695A patent/KR1018995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2398B1 (ko) | 2004-08-25 | 2006-02-21 | 박희학 |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
WO2016018465A1 (en) | 2014-07-30 | 2016-02-04 | Medtronic, Inc. | Urease purification from jack beans or other organism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816725B1 (ko) |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272463B1 (ko) |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 |
KR101207558B1 (ko) |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94006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 |
JP2006176436A (ja) | Scf発現阻害剤 | |
KR101464914B1 (ko) |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90076671A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0762287B1 (ko) |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 |
KR101065356B1 (ko) |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 |
KR101899563B1 (ko) | 작두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
KR101833648B1 (ko) | 체지방 축적억제 및 분해 효과를 동시에 갖는 천연물 다이어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 |
KR102455238B1 (ko) |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 |
KR20160003920A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21521264A (ja) | 脱毛治療及び発毛促進用組成物 | |
KR102303400B1 (ko) |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059445A (ko) |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 |
KR101637466B1 (ko) |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 |
KR100589667B1 (ko) |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26343B1 (ko) |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20090137A (ko) |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0780078B1 (ko) |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 |
KR102505275B1 (ko) |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621398B1 (ko) | 콘민트, 유칼립투스, 레몬그라스 및 알로에베라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쿨링 및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561081B1 (ko) | 항염증, 항산화,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