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32B1 -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532B1
KR101899532B1 KR1020160169009A KR20160169009A KR101899532B1 KR 101899532 B1 KR101899532 B1 KR 101899532B1 KR 1020160169009 A KR1020160169009 A KR 1020160169009A KR 20160169009 A KR20160169009 A KR 20160169009A KR 101899532 B1 KR101899532 B1 KR 10189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heel
hinged door
opening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365A (ko
Inventor
정남석
홍지환
최진곤
황윤택
Original Assignee
황윤택
정남석
홍지환
최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택, 정남석, 홍지환, 최진곤 filed Critical 황윤택
Priority to KR102016016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5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riction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05F15/7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using light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된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는 바퀴, 바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퀴 승하강부, 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 모터, 그리고 전자식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여닫이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문을 열기 위한 어떠한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자동문 기능 없이 설치된 여닫이문에 대해서 간단하게 자동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AUTO DOOR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전 등록된 이용자가 문을 열기 위한 어떠한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접근하면 근접 센서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문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문은 통상적으로 도어 락 장치가 구비되어 RF 신호의 송, 수신이 가능한 RFID 카드를 통해 도어 락 장치를 해제시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문은 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66180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미닫이문, 즉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문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닫이 형태의 자동문은 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이나 음식점, 은행 등의 서비스 업종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드는 장소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런 미닫이 방식의 문은 좌우로 개폐되는 특성 상 현관 이외의 실내에서는 설치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이 장착된 여닫이문이 설치된 출입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여닫이문에 접근하여 도어락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잠금 해제가 된 여닫이문을 앞으로 밀거나 잡아당겨서 열린 상태로 만든 후에 여닫이문을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인한테는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동작이 어렵지 않으나, 장애인의 경우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동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히 휠체어를 타고 여닫이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여닫이문을 열어젖힌 상태로 고정한 후 여닫이문을 통과한 다음에 다시 여닫이문을 당겨 닫으면서 들어가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였다.
아울러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도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고,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 비밀번호를 적어서 주거나 현관 옆에 비밀번호를 적어놓는 경우가 많아서 보안에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6180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문을 열기 위한 어떠한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된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여닫이문 개폐 장치는 바퀴, 상기 바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퀴 승하강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 모터, 그리고 상기 전자식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여닫이문 앞에 위치한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 도어락을 잠금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바퀴 승하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강시킨 후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어 상기 여닫이문의 열린 정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닫이문이 미리 정해진 기준만큼 열리면,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상기 여닫이문이 설치된 주변에 설치되어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통신부를 장착하고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고,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이중 차폐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측과 반대 측에 홀이 생성되며, 상기 홀에 렌즈 구조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조체는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출입자의 출입과정이 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닫이문을 닫는 동작 중에 상기 제3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여닫이문을 다시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제어방법은,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 도어락을 잠금 상태에서 해제하는 단계, 여닫이문에 부착된 케이스에 장착된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지면에 닿은 바퀴를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여닫이문의 미리 정해진 기준만큼 열리면 상기 바퀴를 정지시키고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지면에 닿은 바퀴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제어방법은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면, 상기 바퀴를 상승시켜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문을 열기 위한 어떠한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자동문 기능 없이 설치된 여닫이문에 대해서 간단하게 자동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개폐 장치의 케이스와 일부 구성 요소의 내부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열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닫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은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 도어 센서(200), 주변 감지 센서(300) 및 휴대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전자식 도어락(20)이 설치된 여닫이문(10)에 부착될 수 있다.
여닫이문(10)은 자동문 기능이 없는 기존의 상용 제품일 수 있다.
전자식 도어락(20)은 기존의 상용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전자식 도어락(20)의 컨트롤러에 잠금 해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와 전자식 도어락(20)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자식 도어락(20)은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도어 센서(200), 주변 감지 센서(300) 및 휴대 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4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문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100)에 장착된 출입자 감지 센서(120)를 통해 출입자를 감지하면, 바퀴(110)를 지면에 닿게 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여닫이문(10)을 열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여닫이문(10)이 닫힌 상태에서 바퀴(110)를 여닫이문(10)의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 도 2에 예시한 것과 같이 여닫이문(10)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열리게 된다. 출입자가 모두 여닫이문(10)을 통과하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를 반대로 회전시켜 여닫이문(10)이 닫히게 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4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 단말(400)은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와 연동하여 여닫이문(10)을 열리도록 하거나 닫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이라 함)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400)은 사전에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 등록될 수 있다.
서비스 앱은 휴대 단말(400)의 화면에 사용자로부터 여닫이문(10)을 열리게 하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앱은 사용자로부터 여닫이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면, 문 개방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 휴대 단말(400)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센서(200)는 여닫이문(10)이 열린 정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 센서(200)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비접촉 거리 측정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도어 센서(200)는 벽이나 사전에 설치된 반사판(210)과의 거리(D)를 측정하여 여닫이문(10)이 열린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어 센서(200)에서 방출된 초음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다시 도어 센서(200)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사판(210)은 여닫이문(10)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인접한 벽이 없거나, 벽이 있더라도 초음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다시 도어 센서(200)에서 수신하기에 부적합한 경우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에서 예시한 것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여닫이문(10)이 열린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어 센서(200)를 여닫이문(10)의 상부에 회전축에 가깝게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도어 센서(200)가 여닫이문(10)에 설치되는 높이나, 회전축과의 거리 등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주변 감지 센서(300)는 여닫이문(10)을 기준으로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부착된 측과 반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실외에 설치되었다고 하면, 주변 감지 센서(300)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실내에 설치되었다고 하면, 주변 감지 센서(300)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주변 감지 센서(300)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부착된 측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주변 감지 센서(300)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비접촉 물체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설치된 반대 측에서 출입자가 완전하게 여닫이문(10)을 통과했는지 또는 반대 측에서 나가려고 하는 출입자가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주변 감지 센서(300)가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의 반대 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 출입자 감지 센서(120), 전원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리프팅 모터(160), 바퀴 승하강부(170), 리미트 스위치(180) 및 주행 모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110)는 바퀴 승하강부(170)에 상하로 이동하여 지면에 닿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여닫이문(10)을 자동문 모드로 계속 동작시킬 경우는 바퀴(110)가 항상 지면에 닿아 있도록 해도 괜찮으나, 수동 모드로 동작시킬 때 바퀴(110)가 지면에 닿아 있으면 오히려 출입자가 여닫이문(10)을 열거나 닫을 때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여닫이문(10)을 열거나 닫는 동작을 할 때는 바퀴(110)를 지면에 닿게 하고, 여닫이문(10)을 열거나 닫는 동작이 완료되면 바퀴(110)를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자 감지 센서(120)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비접촉 물체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닫이문(10) 앞에 출입자가 있는지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30)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배터리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130)는 전자식 도어락(20)에도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식 도어락(20)과 전원부(130)는 미관 상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식 도어락(20)은 별도의 전원, 예컨대 배터리가 장착되어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전자식 도어락(20)은 무선 통신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도어 센서(200), 주변 감지 센서(300) 및 휴대 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50)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여닫이문(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자식 도어락(20)을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전자식 도어락(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바퀴(11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여닫이문(10)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리프팅 모터(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바퀴 승하강부(170)를 동작시켜 바퀴(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바퀴 승하강부(170)는 바퀴(1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지면에 닿게 하거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바퀴 승하강부(170)는 커플링(171)과 슬라이더(17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171)은 리프팅 모터(16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슬라이더(173)에 전달하여 슬라이더(173)가 바퀴(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더(173)는 커플링(171)을 통해 리프팅 모터(16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바퀴(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바퀴 승하강부(170)는 바퀴(11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가지면 되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퀴 승하강부(170)는 현관 바닥면이 평탄도가 다소 낮아도 사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십 밀리미터(mm) 정도의 완충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탄성구간 내에서는 바퀴와 바닥면과의 접지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미트 스위치(180)는 슬라이더(173)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바퀴(110)를 지면에 적절하게 닿게 하거나, 너무 높게 상승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행 모터(180)는 바퀴(110)를 정회전 시키거나 역회전 시킬 수 있다.
전자식 도어락(20)을 잠금 해제로 하고 바퀴(110)를 지면에 닿게 하여 회전시키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와 함께 여닫이문(10)이 이동하면서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개폐 장치의 케이스와 일부 구성 요소의 내부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의 케이스(1000)가 도어(10)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1000)는 금속성 재질로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이중 차폐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0)가 도어(10)에 부착된 반대 측에 홀을 형성하고 렌즈 구조체(195)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0) 내부에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의 전자적인 구성 요소, 예컨대 통신부(140)를 구성하는 안테나(Ant) 등이 배치되는 회로기판(193)이 장착될 수 있다.
렌즈 구조체(195)는 전자기파와 적외선 등을 지향성을 가지고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안테나(Ant)에서 방사되거나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는 렌즈 구조체(195)를 통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서 지향성을 가지고 방사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적외선 등도 마찬가지로 렌즈 구조체(195)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테나(Ant)와 렌즈 구조체(195)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필요 이상의 넓은 범위 또는 먼 거리에서 사용자를 인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설사 인지되더라도 미등록자가 현관문 앞에서 출입자 감지 센서(120)에 감지되었을 Ei 도어(10)를 개방하는 보안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열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4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문 개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실시예에 따라서 휴대 단말(400)의 메뉴 화면에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문 개방 신호를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 전송되게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를 입력받고 출입자 인증을 수행한 후에 문 개방 신호를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에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휴대 단말(400)이 비밀 번호와 함께 문 개방 신호를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비밀 번호 인증 기능을 구비하고, 비밀 번호가 일치해야만 문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400)과 통신 연결되면(S310-Y), 다음으로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출입자 감지 센서(120)를 통해 여닫이문(10)과 근거리에 출입자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S320).
여닫이문(10)과 근거리에 출입자가 있으면(S320-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를 지면으로 하강시켜서 닿게 한다(S330). 물론 이미 바퀴(110)가 지면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단계(S330)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전자식 도어락(20)을 잠금 상태에서 해제가 되게 할 수 있다(S340).
단계(S330)와 단계(S340)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이후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지면에 닿은 바퀴(110)를 여닫이문(1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여닫이문(10)이 열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50).
미리 정해진 기준, 예컨대 문이 열리는 각도가 90°로 설정된 경우,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해당 각도 만큼 여닫이문(10)이 열릴 때까지 단계(S350)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여닫이문(10)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열리면(S360-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의 회전을 멈추고 여닫이문(10)이 열린 상태로 대기한다(S370).
다음으로 여닫이문(10)이 열린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S380-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여닫이문(10)을 닫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9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개폐 시스템에서 문이 닫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지면에 닿은 바퀴(110)를 여닫이문(10)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여닫이문(10)이 닫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91).
단계(S391)를 여닫이문(10)이 닫힐 때(S393-Y)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단계(S391)를 수행하는 도중에 주변 감지 센서(300)에 의해 물체 또는 사람이 감지되면(S392-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를 여닫이문(1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여닫이문(10)이 열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95). 그리고 여닫이문(10)이 열린 상태로 대기하다가(S396),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S397-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다시 여닫이문(10)을 닫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91).
한편 여닫이문(10)이 닫히면(S393-Y), 여닫이문 개폐 장치(100)는 바퀴(110)를 상승시켜 지면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다(S394). 한편 여닫이문(10)이 닫히면, 전자식 도어락(20)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된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여닫이문 개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여닫이문 개폐 장치는,
    바퀴,
    상기 바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퀴 승하강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 모터,
    상기 전자식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제어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여닫이문 앞에 위치한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 도어락을 잠금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바퀴 승하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강시킨 후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3. 제 2 항에서,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어 상기 여닫이문의 열린 정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닫이문이 미리 정해진 기준만큼 열리면,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대기시키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4. 제 3 항에서,
    상기 여닫이문이 설치된 주변에 설치되어 출입자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닫이문을 닫는 동작 중에 상기 제3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여닫이문을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5. 제 2 항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통신부를 장착하고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고,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이중 차폐 구조를 가지는 케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여닫이문에 부착되는 측과 반대 측에 홀이 생성되며, 상기 홀에 렌즈 구조체가 삽입되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6. 제 5 항에서,
    상기 렌즈 구조체는 지향성을 가지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7.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전자식 도어락을 잠금 상태에서 해제하는 단계,
    여닫이문에 부착된 케이스에 장착된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지면에 닿은 바퀴를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열리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여닫이문의 미리 정해진 기준만큼 열리면 상기 바퀴를 정지시키고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지면에 닿은 바퀴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제어방법.
  8. 제 7 항에서,
    상기 여닫이문이 닫히면, 상기 바퀴를 상승시켜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60169009A 2016-12-12 2016-12-12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9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09A KR101899532B1 (ko) 2016-12-12 2016-12-12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09A KR101899532B1 (ko) 2016-12-12 2016-12-12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65A KR20180067365A (ko) 2018-06-20
KR101899532B1 true KR101899532B1 (ko) 2018-11-02

Family

ID=6276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009A KR101899532B1 (ko) 2016-12-12 2016-12-12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73A (ko) 2019-09-11 2021-03-19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출입 통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7895B2 (en) * 2019-07-19 2022-07-05 Jason Cohen Door operator having an automated roller
CN111287602A (zh) * 2020-02-11 2020-06-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开关门装置和控制开关门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20A (ja) 1999-05-26 2000-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ドア
JP2003253958A (ja) * 2002-02-27 2003-09-10 Aichi Electric Co Ltd 開戸の自動開閉装置
KR101546610B1 (ko) 2014-03-10 2015-08-21 주식회사 에스원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4734B1 (ko) *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00B1 (ko) 2005-11-17 2006-12-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선방식의 자동문 제어 시스템
KR101259546B1 (ko) * 2011-11-04 2013-04-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52181B1 (ko) * 2014-12-10 2016-08-30 승 열 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20A (ja) 1999-05-26 2000-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ドア
JP2003253958A (ja) * 2002-02-27 2003-09-10 Aichi Electric Co Ltd 開戸の自動開閉装置
KR101546610B1 (ko) 2014-03-10 2015-08-21 주식회사 에스원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4734B1 (ko) *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73A (ko) 2019-09-11 2021-03-19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출입 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65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583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apparatus with safety system override, and method
US9751724B2 (en) Stair lift with a safety device
KR101899532B1 (ko)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832895B2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自動的ロック解除装置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US11158145B2 (en)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JP2015175089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70086723A (ko) 근접식 출입통제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5657B1 (ko) 비콘 구동형 감응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327268A (ja) 開閉装置制御システム
TWM506184U (zh) 智能門禁控制系統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532017B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US20230212883A1 (en) Lockset with door open and close sensing
JP2019094727A (ja) 扉制御システム
CN210264213U (zh) 关门持续提醒智能门锁
KR101792497B1 (ko) 자동문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잠금시스템
JP2014173324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20118371A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JP3923070B1 (ja) 防犯装置制御システム
KR20200101642A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0857A (ko) 디지털도어락의 안테나 구조.
KR20140002117A (ko) 자동문 개폐 시스템
JP2019094627A (ja) 扉制御システム
KR101305999B1 (ko)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