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642A -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642A
KR20200101642A KR1020190019754A KR20190019754A KR20200101642A KR 20200101642 A KR20200101642 A KR 20200101642A KR 1020190019754 A KR1020190019754 A KR 1020190019754A KR 20190019754 A KR20190019754 A KR 20190019754A KR 20200101642 A KR20200101642 A KR 2020010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opening
delivery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211B1 (ko
Inventor
김영수
김동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to KR102019001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21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cargo, freight or shipping containers and applications therefore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으로서, 출입문 도어 패널의 서브 도어-여기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출입문 도어 패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며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통한 물건 전달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개폐 구동이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 도어 패널이 설치된 환경에서,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품을 해당 출입문의 내측 실내 공간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품 분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밖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 및 편의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OOR MANAGEMENT OF ENTRANCE DOOR HAVING SUB DOOR}
본 발명은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입 공간에서의 보안 및 안전에 관한 이슈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출입 보안 및 안전 관련 기술은 물론,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선행특허기술의 경우에도 출입문 밖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출입 보안 및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술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반면, 종래기술에 의하면, 출입문 도어 패널의 일정 부위에 서브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택배 배달원 등이 택배 등의 물품을 자동 개방된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내측의 실내 현관 공간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현된 케이스(혹은 이와 반대로 댁 내 거주자가 출입문 밖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그 서브 도어를 통해서 해당 물품을 실외 현관 공간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현된 케이스)에 맞춘 기술 및 보안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구축되고 있지 않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90583호 (2015년 1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자동 개폐 구동이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 도어 패널이 설치된 환경에서,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품을 해당 출입문의 내측 실내 공간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품 분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밖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 및 편의를 강화할 수 있는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으로서, 출입문 도어 패널의 서브 도어-여기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출입문 도어 패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며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통한 물건 전달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 개폐 구동이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 도어 패널이 설치된 환경에서,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품을 해당 출입문의 내측 실내 공간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품 분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해당 서브 도어를 통해서 출입문 밖의 물품 수령자가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 및 편의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서브 도어 및 이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서브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도어 관리 운영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서브 도어 및 이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서브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도어 관리 운영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은, 도 1 ~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 서브 도어(Sub door)가 설치된 출입문 도어 패널(Entrance door),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App), 물품 배송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물품배송 앱(App)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유선 또는/및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입문 도어 패널로 소정의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출입관리 앱, 물품 배송자의 물품배송 앱과의 상호간 통신 연동할 수 있다.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부(12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21),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123), 운영 제어부(125), 메모리(127), 경보/알람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도 1의 R1 참조)의 실외 현관 공간을 커버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출입문 안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도 1의 R2 참조)의 실내 현관 공간을 커버하는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와 관련된 상세한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설명은 이후 도 5의 설명 과정에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출입문 도어 패널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도어 패널의 소정 영역(도면에서는 출입문 도어 패널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도어가 포함된다. 이때, 서브 도어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열고 닫는 미닫이 방식의 문이든 또는 앞뒤 방향으로 열고 닫는 여닫이 문이든 별도의 개폐 방식적 제한은 없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도 2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타입의 서브 도어가 활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출입문 도어 패널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 서브 도어 잠금 장치(50), 서브 도어 개폐 구동 장치(70)(예를 들어, 서브 도어의 개폐 구동을 위해, 모터 드라이버,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포함함으로써,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예를 들어, 후술할 잠금설정 제어 신호, 잠금 해제 제어 신호, 개방 구동 제어 신호, 폐쇄 구동 제어 신호 등)에 따라 출입문 도어 패널에 설치된 서브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 잠금 장치(50)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잠금 설정 제어 신호 및 잠금 해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에 관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서브 도어 개폐 구동 장치(70)는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개방 구동 제어 신호 및 폐쇄 구동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서브 도어가 서브 도어 개폐 구동 장치(70)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자동 개폐 방식의 서브 도어일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즉, 수동 개폐 방식의 서브 도어가 활용되는 경우라도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필요한 경우, 서브 도어의 잠금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 후, 사용자(혹은 배송자)가 그 서브 도어를 직접 열어 물건을 서브 도어 개방에 의한 개방 공간을 통해서 밀어 넣은 후, 그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다시금 서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잠금 설정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에 의할 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와 출입문 도어 패널은 별개의 독립된 장치인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출입문 도어 패널 장치 자체가 Io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서 스마트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음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밖 실외 현관 공간에 도달한 사람이 출입문 도어 패널의 서브 도어를 이용해서 출입문 안 실내 현관 공간 쪽으로 물건(예, 택배물품, 우편물, 장본 물건 등)을 밀어 넣는 케이스를 주로 설명하지만, 이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위와 반대로 댁 내 거주자가 특정 물건(예, 세탁물, 배달 음식 취식 후의 빈 그릇 등)을 출입문 밖으로 전달하는데 서브 도어가 활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출입문 도어 패널의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요청되는 경우(도 5의 S101 참조), 서브 도어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예를 들어, 수동 개폐 방식의 서브 도어 케이스에서, 도어 잠금 상태만이 해제 또는 설정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경우) 또는 서브 도어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도 5의 S103 및 S107).
여기서,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가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요청되는 경우인지 아닌지를 판단(혹은 인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사용자(거주자)로부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의 요청이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로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일 예로, 물품 배송자가 닫혀있는 출입문 앞에 도착하여 벨을 누르거나 혹은 물품 수령자인 사용자에게 연락을 하였을 때, 댁 내 거주자 또는 물품 수령자가 배송 물품을 확인한 후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을 결정한 경우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또는 물품 수령자가 댁 내 월 패드(Wall pad)의 조작을 통해서 혹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출입관리 앱을 통해서 서브 도어 개폐 동작 실행 명령을 입력(예, 월 패드 또는 앱 화면 상의 서브 도어 개폐 버튼을 선택함 등)하면,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월 패드 또는 출입관리 앱과 연동되도록 설계된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가 서브 도어 개폐 요청을 확인하게 되는 방법으로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의 요청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사용자(혹은 물품 수령자)에 의해 배송자 인증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사실을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가 전달받는 방식에 의하는 것이라면 위 케이스에 모두 포함된다고 할 것인 바, 위 예시들 이외의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케이스로는,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의 과정에서 사용자(또는 물품 수령자)에 의한 별도의 관여 없이도, 소정 방식의 배송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의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빈번히 물품 배송을 하는 배송자로서 사전에 미리 등록된 배송자라면 소정의 배송자 인증(예, 전화번호 등의 배송자 정보에 기반한 ARS 인증, SMS 인증, 푸시 메시지 인증 등, 배송자 얼굴 인식, 택배식별번호의 입력 등)이 완료되어 이러한 사실이 수신되면,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가 서브 도어 개폐 동작에 관한 제어를 직접 실행하는 등의 케이스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의 관리부(120)는, 원격의 통신 장치(예, 사용자 단말 또는 배송자 단말 등)로부터 수신된 물건 배송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물건 배송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물건 배송 정보로부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제어에 활용될 요소 정보를 추출하여 이에 기반한 제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소 정보는, 배송 일시 관련 정보, 배송 물건 관련 정보, 배송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할 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의 관리부(120)는,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 일시 관련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배송 일시에 맞춰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가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 물건 관련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배송 물건 관련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물건 사이즈에 맞춰 서브 도어의 개방 동작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개방 동작 사이즈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 동작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자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배송자 정보와 일치하는 배송자의 신원이 인증됨에 따라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가 상기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도 5의 S105 참조). 이와 같이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모니터링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도 3에서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 및 출입문 안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내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가 이용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이에 의할 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의 관리부(120)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 및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에 의할 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와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는 각각 출입문(Entrance door)의 외측 패널(outdoor panel)의 상측과 내측 패널(indoor panel)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그 설치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각각의 센서는 반드시 출입문 자체에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천정 또는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장비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의할 때, 실외 모니터링 센서(110)와 실내 모니터링 센서(115)가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실외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각각 별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내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의 경우에도 복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의 종류도 모두 동종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종의 센서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각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가 관리부(1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각 센서와 관리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필요는 있다.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센서로는 각각의 모니터링 공간에서의 물건의 존부를 감지(혹은 추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촬영을 통한 사람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영상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물건을 전달하는 주체는 사람인 바, 물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이므로, 도플러 효과에 의해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건의 존부를 모니터링하는 케이스라면, 서브 도어를 통한 전달된 물건이 소정 위치에 안착됨에 따라, 소정의 모니터링 커버리지를 갖는 모니터링 센서에 의해서 종전에는 센싱되지 않던 것이 이후 어느 시점에 센싱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물건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 또는 물품 수령의 대상자에게 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카메라 등의 영상 센서를 통한 실내 현관 공간의 촬영을 실행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연관된 사용자(예를 들어, 거주자 또는 택배 수신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품 배송자에 의한 물품의 배달이 완료되었을 때 실제 그 물품이 실내 현관 공간에 잘 놓여져 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혹시 모를 배달 사고 등을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문제, 서브 도어 자동 개페에 관한 불인지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는 경보/알람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20) 중 운영 제어부(125))는, 서브 도어 자동 개방 또는 폐쇄 과정에서, 서브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 또는 자동 폐쇄 동작이 일어남을 인지시키기 위한 개폐 동작 알람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의 경보/알람부(129)는 이와 관련된 경보/알람을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의 운영 제어부(125)는 개폐 동작 알람 신호만을 생성 출력하고, 이는 다시 출입문 도어 패널 장치(혹은 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 등)에 전달됨으로써 해당 장치에서 경보/알람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경보/알람은, 배송자에 의해 인지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음성 문구 안내(예, 서브 도어 이용 안내 케이스라고 한다면 "출입문 하단 서브 도어가 자동 개방됩니다. 하단 서브 도어를 통해서 물건을 밀어 넣어 주십시오" 등), 사운드 출력 안내(예,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 과정에서의 서브 도어와의 충돌 예방 케이스라고 한다면, 경보 사운드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 경보/알람, 라이팅 경보 점멸 등의 기타 시각적 경보/알람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경보/알람이 활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 과정에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다음과 같은 조치가 실행될 수 있다.
즉, 도어 관리 운영 장치(100)(운영 제어부(125))는, 서브 도어 자동 개폐 동작이 실행되는 도중에, 그 개폐 동작을 방해하는 소정 세기 이상의 외력이 출입문 또는 서브 도어에 설치된 외력 감지 센서(예를 들어, 충돌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접촉 감지 센서, 모터 토크 과부하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소정 세기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경우 서브 도어 자동 개폐 동작을 정지하거나, 개폐 동작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즉, 원래 속도보다 저속 구동시키거나), 서브 도어 자동 개폐 모드를 수동 개폐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안전 사고의 발생 또는 가능성을 알리는 사운드를 재차 출력하는 등과 같은 조치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는 외력 감지 센서를 통해서 안전 사고의 발생 또는 가능성을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 외에도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서, 출입문 도어 패널 또는 서브 도어 주변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 근접 센서, 출입문 도어 패널 또는 서브 도어 주변 등에 설치된 소음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즉, 안전 사고의 발생 상황 또는 이에 이를 수 있는 예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상황 감지 센서)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으로서,
    출입문 도어 패널의 서브 도어-여기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출입문 도어 패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며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통한 물건 전달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도어 관리 운영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는,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도어 패널은,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의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잠금 설정 제어 신호 및 잠금 해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에 관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서브 도어 잠금 장치; 및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개방 구동 제어 신호 및 폐쇄 구동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도어 개폐 구동 장치
    를 포함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원격의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물건 배송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물건 배송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물건 배송 정보로부터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제어에 활용될 요소 정보를 추출하며-여기서, 상기 요소 정보는, 배송 일시 관련 정보, 배송 물건 관련 정보, 배송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추출된 요소 정보에 기반한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 일시 관련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배송 일시에 맞춰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가 상기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 물건 관련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배송 물건 관련 정보로부터 결정되는 물건 사이즈에 맞춰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 동작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결정된 개방 동작 사이즈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 동작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요소 정보로서 상기 배송자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추출된 배송자 정보와 일치하는 배송자의 신원이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 동작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가 상기 서브 도어로 전달되도록 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외 모니터링 센서; 및 출입문 안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내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실내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부는, 상기 실외 모니터링 센서 및 상기 실내 모니터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서브 도어를 통한 물건 전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도어 패널 또는 상기 서브 도어에는 상황 감지 센서가 설치되되,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 동작 또는 폐쇄 동작이 실행되는 도중에, 상기 상황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개방 동작 또는 상기 폐쇄 동작을 방해하는 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정지하거나, 개폐 동작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서브 도어의 자동 개폐 모드를 수동 개폐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관리 운영 장치는,
    실내 현관 공간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물건 전달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영상 센서를 통한 실내 현관 공간의 촬영을 지시하고, 촬영된 영상을 연관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관리 운영 시스템.
KR1020190019754A 2019-02-20 2019-02-20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4A KR102291211B1 (ko) 2019-02-20 2019-02-20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4A KR102291211B1 (ko) 2019-02-20 2019-02-20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42A true KR20200101642A (ko) 2020-08-28
KR102291211B1 KR102291211B1 (ko) 2021-08-20

Family

ID=7229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54A KR102291211B1 (ko) 2019-02-20 2019-02-20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08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603B1 (ko) * 2013-04-03 2014-11-25 이진국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50064382A (ko) * 2013-12-03 2015-06-11 정광선 무인택배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20160010944A (ko) * 2014-07-21 2016-01-29 김태훈 가정용 택배 보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463603B1 (ko) * 2013-04-03 2014-11-25 이진국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KR20150064382A (ko) * 2013-12-03 2015-06-11 정광선 무인택배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20160010944A (ko) * 2014-07-21 2016-01-29 김태훈 가정용 택배 보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08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211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secured area
US7717238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7365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operating a barrier actuating device
JP6182482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09024454A (ja) 車両ドア制御装置
KR1013159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JP2014201966A (ja) 車両用オートドア操作装置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CN111758249A (zh) 门铃、钥匙管理系统以及对讲系统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200101642A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JP4874713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操作装置
KR10152614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2119029B (zh) 电梯控制装置
KR101679191B1 (ko) 차량용 도어 열림제어방법
KR20120057779A (ko)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US20190390504A1 (en) Garage entry system and method
KR101827559B1 (ko)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2182623B1 (ko) 승강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0958420B1 (ko)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
KR101535411B1 (ko) 보안 자동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451B1 (ko) 자동문용 와이파이기술을 이용한 잠금시스템
KR101792497B1 (ko) 자동문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잠금시스템
JP6368601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