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999B1 -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999B1
KR101305999B1 KR1020120055108A KR20120055108A KR101305999B1 KR 101305999 B1 KR101305999 B1 KR 101305999B1 KR 1020120055108 A KR1020120055108 A KR 1020120055108A KR 20120055108 A KR20120055108 A KR 20120055108A KR 101305999 B1 KR101305999 B1 KR 10130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olenoid cylinder
key value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서덕규
Original Assignee
(주)메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티스 filed Critical (주)메티스
Priority to KR102012005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신호가 발생되는 전기적 입력수단과,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승하강에 의해 회동되면서 지면에 접지 또는 접지해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위치와 솔레노이드 실린더 및 링크부재의 동력전달 구조를 통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만으로 스토퍼를 구동시켜 작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키버튼에 의해 스토퍼부의 미세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스토퍼부의 접지시간 등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Stopper system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토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퍼부의 동력전달 구조가 간단하면서 작동이 편리한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아파트등과 같은 건축물의 출입문은 보행자의 통행, 실내환기등의 이유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지면과 도어의 하단부 사이에 쐐기부재를 개재하여 도어의 개방각도를 고정하거나 도어 일측에 일정중량을 갖는 지지물품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임의의 각도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쐐기부재는 지면과 도어사이에 개재하여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면서 그 사용방법이 불편할 뿐 아니라 도어의 고정력이 약해 도어의 개방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지물품의 경우에는 도어를 지지하기 위해 상당한 중량을 갖는 물체가 사용되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그 중량으로 인해 이동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쐐기부재 또는 지지물품과 같은 고정수단보다 좀더 개선된 방식인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0)과, 말굽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스토퍼부(120)를 상방으로 접철시킨 상태에서 도어(D)를 회동시켜 개방한 후 개방하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스토퍼부(12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스토퍼부(120)의 하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D)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도어(D)의 부착된 스토퍼부(120)를 파지한 후 이를 조작하여 도어(D)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어(D)가 회동되도록 해야 함으로써 스토퍼부(120)의 조작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스토퍼부(120)를 조작하게 되면서 스토퍼부(120)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더러워진 스토퍼부(12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면서 사용자의 손 또한 오염되어 스토퍼부(120)를 조작한 후에는 항상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스토퍼부(120)의 힌지결합이 헐거워져 자중에 의해 스토퍼부(120)가 자주 하방으로 낙하되어 지면에 접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퍼부의 동력전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편리한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자중에 의한 스토퍼부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고 스토퍼부가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승하강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신호가 발생되는 전기적 입력수단과,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승하강에 의해 회동되면서 지면에 접지 또는 접지해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입력수단은 전기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적 입력수단은 복수개의 키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값이 입력되는 키패드와, 미리 설정된 키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키버튼 중 임의의 키값 입력에 의해 상기 구동신호가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 전기적 입력수단에는 타이머가 더 포함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구동시간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위치와 솔레노이드 실린더 및 링크부재의 동력전달 구조를 통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만으로 스토퍼를 구동시켜 작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키버튼에 의해 스토퍼부의 미세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스토퍼부의 접지시간 등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은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구동신호가 발생되는 전기적 입력수단(10)인 전기 스위치(11)와, 구동신호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20)와, 일측이 솔레노이드 실린더(20)의 로드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링크부재(30)와, 링크부재(3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링크부재(30)의 승강에 의해 회동되면서 지면에 접지 또는 접지해제되는 스토퍼부(40)를 포함한다.
전기 스위치(11)는 도어(D)의 전면 또는 후면 일측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도어 레버 근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전기 스위치(11)의 누름작동에 의해 구동신호가 발생된다.
솔레노이드 실린더(20)는 전기를 이용한 전자석으로 실린더가 구동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D)의 내측에 전기 스위치(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크부재(30)는 상단이 솔레노이드 실린더(20)의 로드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실린더(20)의 구동에 의해 링크부재(30)가 승하강된다.
그리고 링크부재(30)의 하단에은 스토퍼부(40)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링크부재(30)의 승하강에 의해 스토퍼부(40)가 회동되면서 지면과 접지 또는 접지해제된다.
아래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동작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은 먼저, 도어(D)를 열어 임의의 위치, 즉 사용자가 개방하고자 하는 임의각도의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도어(D)의 일측을 파지하여 도어(D)를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기 스위치(11)를 눌러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S410)
상기한 전기적 구동신호가 솔레노이드 실린더(20)에 전달되면, 솔레노이드 실린더(20)가 자기장에 의해 구동되어 하측에 결합되는 링크부재(30)를 승강시킨다.(S420)
그리고 링크부재(30)가 승강되면 링크부재(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스토퍼부(40)가 회동되면서 지면에 접지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S430)
한편, 도어(D)가 설치된 출입문을 폐쇄하고자 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차 전기 스위치(11)를 눌러(S440) 솔레노이드 실린더(2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부(40)가 지면에서 접지해제된다.(S450)
상기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으로만 간편하게 스토퍼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입력수단(10)이 키패드(12)와,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패드(12)는 도어(D)의 전면 또는 후면 일측에 조작이 용이하도록 도어 레버 근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0 ~ 9의 숫자 및 특수기호(*, #)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키버튼(12a)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키버튼(12a) 누름조작에 의해 키값이 입력된다.
컨트롤러(13)에는 메모리(16)가 더 포함되어 사용자가 먼저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값을 메모리(16)에 입력시킨 후, 사용자가 키패드(12)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과 메모리(16)에 기설정된 키값이 동일한 경우 컨트롤러(13)를 통해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솔레노이드 실린더(20)가 구동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입력수단(10)은 모터(14)와 잠김쇠(15)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키패드(12)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을 기설정된 키값과 비교하여 모터(14)를 구동시켜 도어(D)가 잠금, 잠금해제되는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어(D)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개폐감지부(50)가 더 포함된다. 도어개폐감지부(50)는 전기적 입력수단(10)에 포함되어 잠김쇠(15)의 작동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D)의 일측에 감지센서(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되어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50)에 의해 도어(D)의 개방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3)에서 구동신호를 제어하여 스토퍼부(40)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의 전기적 입력수단(10)에는 컨트롤러(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이머(17)가 더 포함되어 컨트롤러(13)에 의해 솔레노이드 실린더(20)의 구동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작동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도어(D)를 개방하고 키패드(12)의 키버튼(12a)을 눌러 일정한 키값을 입력한다.(S710)
입력된 키값은 컨트롤러(13)에서 기설정된 키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S720), 발생된 구동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실린더(20)가 구동하여 링크부재(30)가 승강되고(S730), 스토퍼부(40)가 회동하여 지면에 접지되어 도어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S740)
한편, 도어(D)가 설치된 출입문을 폐쇄하고자 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키값을 입력하거나, 임의의 키값 입력에 의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어개폐감지부(50)가 더 포함되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일한 키값이 입력되어도 컨트롤러(13)에서 솔레노이드 실린더(20)를 작동제어하지 않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컨트롤러(13)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값과 기설정된 키값을 비교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스토퍼부(40)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토퍼부(40)의 접지해제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키값 또는 임의의 키값을 입력하여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스토퍼부(40)를 지면에서 접지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3)로 도어(D)의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키값이 아닌 사용자가 임의의 키값을 입력하여 구동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50)는 사용자가 착오에 의해 도어(D)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부(40)가 지면에 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D) 개방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키버튼(12a)를 눌러 스토퍼부(40)를 작동할 수 있어 평상시 별도의 키값을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일반적인 아파트의 현관문은 자동접철식 구조로 사용자가 도어레버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자동적으로 복귀되어 도어(D)가 닫히게 되는 구조로, 이에 전기적 입력수단(10)에 타이머(17)를 더 포함시켜, 스토퍼의 접지시간을 타이머(17)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도어(D)의 개방시간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머(17)를 통한 작동방법에 관해서는 아래의 일예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아파트 현관내에 물건 등을 옮기기 위해 도어(D) 개방시간이 1분이 필요하다면, 0에서 9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키버튼(12a)의 '6'과 '0'을 차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키값은 컨트롤러(13)를 통해 타이머(17)의 작동시간이 60초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입력된 키값에 의해 컨트롤러(13)가 솔레노이드 실린더(20)를 구동시켜 스토퍼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60초가 경과된 후 타이머(17)에서 알람를 컨트롤러(13)에 전송하고, 컨트롤러(13)는 다시 솔레노이드 실린더(20)를 구동시켜 스토퍼가 지면에서 접지해제되도록 하여 도어(D)가 60초 이후에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한다.
이러한 타이머(17)를 이용한 작동방법은 자칫 사용자가 스토퍼부(40)의 접지에 의해 도어개방 상태를 잊어버리고 외출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어 보안상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은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키버튼(12a)에 의해 스토퍼부(40)의 미세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전기적 입력수단 11 : 전기 스위치
12 : 키패드 12a : 키버튼
13 : 컨트롤러 14 : 모터
15 : 잠김쇠 16 : 메모리
17 : 타이머 20 : 솔레노이드 실린더
30 : 링크부재 40 : 스토퍼부
50 : 도어개폐감지부

Claims (7)

  1.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키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값이 입력되는 키패드와,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솔레노이드 실린더를 작동제어하지 않는 도어록 장치로서 동작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임의의 키가 눌러진 경우 또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키값이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와;
    상기 도어록 장치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실린더와;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로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여 지면에 접지 또는 접지해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실린더의 구동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5108A 2012-05-24 2012-05-24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KR10130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08A KR101305999B1 (ko) 2012-05-24 2012-05-24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08A KR101305999B1 (ko) 2012-05-24 2012-05-24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999B1 true KR101305999B1 (ko) 2013-09-12

Family

ID=4945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108A KR101305999B1 (ko) 2012-05-24 2012-05-24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8748A (zh) * 2014-06-22 2014-09-03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4Y1 (ko) * 1999-12-06 2000-04-15 박상원 출입문 스톱퍼의 작동장치
KR100567671B1 (ko) * 2005-12-22 2006-04-05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스토퍼 장치
KR100679117B1 (ko) * 2006-05-02 2007-02-06 김연희 디지털도어록 일체형 도어 스토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4Y1 (ko) * 1999-12-06 2000-04-15 박상원 출입문 스톱퍼의 작동장치
KR100567671B1 (ko) * 2005-12-22 2006-04-05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스토퍼 장치
KR100679117B1 (ko) * 2006-05-02 2007-02-06 김연희 디지털도어록 일체형 도어 스토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8748A (zh) * 2014-06-22 2014-09-03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CN105569472A (zh) * 2014-06-22 2016-05-11 石光明 一种全自动门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724B2 (en) Stair lift with a safety device
KR20200030771A (ko)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803004A (zh) 一种控制汽车车门开启的装置和方法
US11993959B2 (en) Merchandise anti-theft device with an electromechanical release mechanism
KR101305999B1 (ko)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KR100887157B1 (ko) 전자 강의용 탁자
JP4936918B2 (ja) 電気錠用取手及び該取手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KR101899532B1 (ko)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4118757A (ja) 閉扉システム
KR100392788B1 (ko)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CN209573896U (zh) 一种智能边柜
KR100753015B1 (ko)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향성 감지 자동도어시스템 및개폐방법
KR10069581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인체감지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CN206707572U (zh) 一种具有儿童锁功能的防盗门
KR101189562B1 (ko) 진동스피커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 로킹상태 알림장치
KR200454568Y1 (ko) 다기능 가방
KR20160004363U (ko) 도어 스토퍼
JP6399689B2 (ja) 電気錠システム
JP4188452B2 (ja) ロッカーシステム
KR20140002117A (ko) 자동문 개폐 시스템
KR20110139435A (ko) 문의 중간부에 장착하는 자동문 작동장치
CN207116962U (zh) 一种具有监控功能的配电箱jp柜
CN211229852U (zh) 一种多功能防盗门禁装置
KR20100111944A (ko) 디지털 도어록
KR20080098832A (ko) 지문인식부의 덮개 자동 차폐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3

Effective date: 201308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