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157B1 - 전자 강의용 탁자 - Google Patents

전자 강의용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157B1
KR100887157B1 KR1020080094380A KR20080094380A KR100887157B1 KR 100887157 B1 KR100887157 B1 KR 100887157B1 KR 1020080094380 A KR1020080094380 A KR 1020080094380A KR 20080094380 A KR20080094380 A KR 20080094380A KR 100887157 B1 KR100887157 B1 KR 10088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pper plate
table body
coupled
electronic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강의용 탁자에 관한 것으로, 탁자 상면 소정부에 상판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판 커버의 개방시 자동으로 기설정 각도로 모니터가 승강되고, 상기 모니터를 사용자에 적합하게 미세 승하강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 오프시 상기 상판 커버를 자동 도어락 시정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전자 강의용 탁자를 제공한다. 또한 전원 차단시 모니터가 원상태로 자동하강되며, 상판 커버에 도어락이 설정되므로 모니터 및 각종 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차단하면, 상판에 결합된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나사머리가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상판을 상기 탁자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어 모니터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비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결합나사들을 가리는 사각형 액자틀의 형태를 가지는 도난 방지프레임에 의해 전자장비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교탁, 전자 강의용 탁자

Description

전자 강의용 탁자{Electronic lecture table}
본 발명은 교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강의용 탁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와 같은 인터넷 환경 속에는 강의방식도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서, 인터넷 접속화면을 프로젝터에 의해 대형화면으로 보여주면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고, 또한 강사가 전자펜으로 대형화면에 판서를 하게 되면 그 판서된 내용이 그대로 수강자의 컴퓨터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 장치들이 출시되었다.
또한,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에서 비디오, DVD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가 탁자에 내장되는 전자강의용 탁자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강의용 탁자(2)는 함체의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상면에 결합된 탁자의 상판(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6)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상판커버(8)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상판(6)의 전후면에 구성된 슬라이딩 레일(7)을 따라 상기 상판커버(8)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판(6)의 상면 소정부에는 모니터(12)를 입설된 상태로 안착시키기 위한 모니터 안착홈(1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모니터 안착홈(10)의 하부에는 키보드(16)를 안착시키기 위한 키보드 안착홈(14)이 구비되어져 있고, 마이크(18)가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4)의 전면 소정부에는 VTR, DVD, 앰프 조절부, 단자(22)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20)가 내설되어져 있는 바, 이러한 전자강의용 탁자(2)는 멀티미디어 강의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후 강의실이나, 교실, 기타 회의실 등에서 멀티미디어 인터넷 회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강의용 탁자(2)에는 모니터(12)가 입설된 상태로 안착시키기 때문에, 모니터(1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해당 모니터(12)의 단자를 분리시켜야만 상판커버(8)가 슬라이딩되어 상판(6)을 덮을 수 있으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상판커버(8)를 덮지 않은 채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판(6)이 각종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게 되며, 상판(6)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의 파손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강의용 탁자(2)에 장착된 모니터(12)를 포함한 각종 기자재는 고가의 제품이지만, 빈번하게 강의가 진행되다보면 비록 전자강의용 탁자(2) 상면에 장착된 상판커버(8)에 별도의 도어락 장치가 구비되어져 있다고 치더라도 그 도어락을 시정하는 것을 망각하여 도어락이 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강의용 탁자(2)의 전원만 오프시켜 고가의 기자재를 분실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도난 방지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자 강의용 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는 함체의 탁자몸체; 상기 탁자 몸체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 소정부에 모니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니터 안착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판 커버;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부분에서 회동 기준점을 부여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하면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핀으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전동실린더; 상기 상판의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판 커버 개방시 상기 모니터를 기설정각도만큼 상방으로 자동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위치감지 센서와 대응하는 상기 상판 커버의 하면 소정부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금속판에 의해 전압값이 변동되는 센서이다.
상기 상판은 소정부에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모니터를 추가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조작버튼, 상기 모니터를 하강시키는 하강조작버튼, 상기 모니터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 및 상기 전동실린더로의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구비된 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탁자 몸체 내부에서 양측에 위치하며 전자장비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고정프레임들; 및 상기 고정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투입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전원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상면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 커버의 도어락을 시정(施錠)시키는 상시(常時) 폐쇄형 락킹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 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모니터가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의 수동 키조작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의 추가구동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상판 커버가 시정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탁자 몸체는 상기 탁자 몸체의 벽면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방출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강의용 탁자는,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겹쳐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결합나사를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의 전면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탁자몸체에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도난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상면, 하면, 왼쪽면 및 오른쪽면 중, 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내재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잠금로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로드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개구부 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탁자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탁자몸체의 소정부에 형성된 구멍 안에 삽입됨으로써 되어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탁자 몸체는, 일 상단과,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다른 상단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은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른 상단은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다른 상단에 인접 한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 형태의 상기 다른 상단의 끝부분을 고정하는 잠금로드를 가지는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 및 상기 일상단과 상기 상판연결대를 결합시키되 나사머리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탁자몸체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키보드가 수용되는 키보드 수용서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는 전원 투입후 상판 커버를 개방하게 되면 자동으로 모니터가 상승하게 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고,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추가 수동 승강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더욱 높다. 또한 전원 차단시 모니터가 원상태로 자동하강되며, 상판 커버에 도어락이 설정되므로 모니터 및 각종 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차단하면, 상판에 결합된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나사머리가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상판을 상기 탁자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어 모니터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비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결합나사들을 가리는 사각형 액자틀의 형태를 가지는 도난 방지프레임에 의해 전자장비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두께나 크기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강의용 탁자에서 상판 커버와 도어가 개방되고, 도난방지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강의용 탁자(30)는 함체의 탁자몸체(32)와 상기 탁자 몸체(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판(34)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34)의 상면 소정부에는 모니터(38)를 수용하기 위한 모니터 안착홈(36)이 형성된다. 상판커버(50)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안착홈(36)을 수개폐한다. 상기 상판 커버(5)의 측면에는 가이드레일(52)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커버(5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상판(34)의 우측 소정부에는 마우스를 안착시키기 위한 마우스 안착홈(46)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마우스 안착홈(46)의 상부의 상기 상판(34)에는 전원 온/오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2a) 및 모니터 승하강을 위한 수동 키입력을 행하는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로 이루어진 키패널(42)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상판(34)의 상면 소정부에는 마이크(40)가 꽂혀진다. 상기 상판(34)의 하단의 소정부에는 분필, 필기도구, 레이저포인터, 지시봉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커버(50)의 하단의 소정부에는 책등이 밑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받칠 수 있는 돌출걸이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34) 아래에서 상기 탁자몸체(32)의 상단 전면부에는 키보드(200)를 수용하기 위한 키보드 수용서랍(58)과, 기타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60)이 구비된다. 상기 서랍(60)에는 서랍열쇠구멍(61)이 설치된다. 상기 탁자몸체(32)의 측면 및/또는 하면에는 상기 탁자몸체(32) 내부에 수납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구멍(45)이 하나 이상의 갯수로 형성된다.
상기 서랍(60) 밑에서 상기 탁자몸체(32)에는 도어(6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63)를 열면, 상기 탁자 몸체(32) 내부에는 메인구동부(150)와 음향기기, 영상기기, 컴퓨터등 강의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장비(160)들을 수용하기 위해 이 장비(150, 160)들을 결합나사에 의해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40)이 적어도 양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전후와 양측으로 4 곳 이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구동부(150)에는 각종 전자장비에 대한 키조작 및 전원구동에 대한 메인전원스위치(64)가 구비된다. 이외에, 랜(LAN)선 연결단자나, 외부전원입력단자, 음향전선입력단자등 다양한 단자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구동부(150)와 상기 전자장비(160)는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결합나사만 풀면 상기 메인구동부(150)과 상기 전자 장비(160)은 쉽게 도난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강의용 교탁(30)은 도난 방지프레임(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난 방지프레임(100)은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결합된 결합나사와 겹쳐져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150)와 상기 전자장비(160)의 전면부는 개방시킨다.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돌출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4)는 상기 탁자몸체(32)의 하부에 형성된 하판구멍(120)에 끼워진다. 상기 서랍(60) 아래에서 상기 탁자몸체(32)에 결합된 제 1 잠금장치(130)의 잠금로드는 상기 개구부(102) 안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는 상기 탁자몸체(32)에 고정된다.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은 상기 서랍(60)을 열은 후에 상기 제 1 잠금장치(130)를 해제한 후에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60)의 열쇠 없이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100)을 분리할 수 없어, 상기 전자장비(160)등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커버(50)를 열게되면, 위치감지센서(54)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니터(38)는 자동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전동실린더(70)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를 도 4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에 포함된 전동실린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와 센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상면 소정부 및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면 소정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감지센서(54)와 금속판(56)이 부착되어져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4)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상면 소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로서, 예를 들면, 자화에 의해 변화하는 전압값으로 상판 커버(50)의 개방상태를 판단하는 센서이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4)는 상부에 상기 금속판(56)의 밀착에 의해 출력 전압값이 변화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4)는 상기 금속판(56)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외에도 접촉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38)의 양측 하단부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과 힌지축(6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38)의 하단에는 브라켓(68)은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링(86)과 회동핀(72)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전동실린더(70)은 상기 모니터(38)의 승강수단으로써,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봉 형태의 몸체(7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76) 내부 상하단에는 각각 몸체(76)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유입되고 내주연에 나사탭(미도시)이 형성된 로드너트(84)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밋 스위치(78)가 구비도어져 있으며, 상기 로드너트(84)의 외주연 소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밋 스위치(78)과 접촉되는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이 제공되고, 상기 정역모터(74)에 축결합되며, 상기 로드너트(84)의 내주연 나사탭(미도시)과 체결되는 나사탭이 외주연에 각설된 스크류볼트(82)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로드너트(84)의 상부 종단에는 결합링(86)이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과 상기 리밋 스위치(78)는 상기 로드너트(84)의 인출정도를 결정짓는 인자인 바, 상기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의 간격만큼 상기 로드너트(84)가 상기 몸체(76)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상기 전동실린더(70) 대신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 및 랙/피니언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유압실린더 및 랙/피니언 등은 장치를 구성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전체 장치가 커지게 되어 본 발명의 탁자 모니터 승강용으로는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로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상기 정역모터(74)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볼트(8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볼트(82)와 체결된 상기 로드너트(84)가 상기 몸체(76)으로부터 인출/입되면서 상기 모니터(38)를 승강시킨다. 상기 모니터(38)의 하단은 상기 힌지축(66)에 의해 상기 상판(34)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모니터(38)은 그 상단만 승강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상기 상판 커버(50)가 닫힌 이후,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커버(50)의 도어락을 시정시키는 도어락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락 수단은 상시 인출형 락킹 솔레노이드(전원차단시 솔레노이드 로드가 인출된 상태인 솔레노이드: 88)와,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의 로드가 인출입되는 결합공(90)으로 구성된다.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는 상기 모니터 안착홈(36)의 일단 소정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결합공(90)은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판 커버(50)의 소정부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추가적인 도난 방지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를 II-II선으로 자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커버(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탁자몸체(32)의 일 상단의 단면은 '┛' 또는 '┃'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반대편의 상단의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50)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반대편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판(34) 하부에 제 2 잠금장치(13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잠금장치(132)의 잠금로드에 의해 상기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반대편의 상단의 끝부분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일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34)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162)와 결합되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에 의해 상기 상판(34)은 고정된다. 상기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의 나사머리는 상기 '┏'자 형태의 상기 상판 커버(50)의 단부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메인전원스위치(64)를 턴온(Turn on)하여 상기 전자 강의용 교탁(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가 해제되어 상기 상판커버(50)를 열 수 있다. 상기 상판(34)는 상기 상판 커버(50)를 연 후에, 상기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152)를 풀고 상기 제 2 잠금장치(132)를 해제한 후에 상기 탁자몸체(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전원스위치(64)를 턴온시킬 수 있는 열쇠 없이는, 상기 상판(34)을 분리할 수가 없다. 이로써, 상기 상판(34)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모니터(38)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4 및 7에 개시된 상기 잠금장치(130, 132)는 잠금장치프레임(110)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 프레임(110) 안에는 잠금홈(112a)이 형성된 잠금로드(112)가 삽입되나, 상기 잠금로드(112)의 길이가 상기 잠금장치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잠금로드(112)의 양 끝단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잠금로드(112)의 일측단은 잠금이 이루어진 잠금로드(12)의 원위치 리턴이 가능하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제 1 코일스프링(15)에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잠금장치프레임(110)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잠금로드(112)의 잠금동작시 그 잠금을 해제하는 누름부(114)가 있으며, 상기 누름부(114) 밑에는 상기 잠금홈(112a)에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록킹부(113)가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113)의 상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제 2 코일스프링(16)이 체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의 전체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2a) 및 모니터 승하강을 위한 수동 키입력을 행하는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로 이루어진 키패널(42)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상기 전원버튼(42a)은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정 역모터(74)에 대한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버튼이며, 상기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 버튼(42d)은 모니터의 승강 및 전동실린더(70)의 구동 정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상기 상판커버(50)를 개방하게 되면 자동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모니터(38)가 상승하게 되지만, 사용자의 키에 맞춰 상기 상승조작버튼(42b), 하강조작버튼(42c), 정지버튼(42d)을 통해 수동으로 상기 모니터(38)를 추가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에는 상기 전동실린더(70)에 구비된 정역모터(7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9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부(94)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70)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커버(50)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작동과 락킹 솔레노이드(88)의 작동에 대해 미리 제어 루틴이 저장된 메모리(96)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에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커버(5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70)를 작동시켜 모니터(38)가 상승되게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42)의 수동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추가 구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상판커버(50)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작동과 락킹 솔레노이드(88)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에 의해 상판커버(50)가 시정될 수 있도 록 제어하는 제어부(98)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는 그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98)가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로부터 전원 투입을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로부터 전원 투입을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9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30)로 전원을 투입하며,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를 구동시켜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상판커버(50)의 결합공(9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판커버(50)를 일측으로 밀어내게 되면, 상기 상판(34)의 소정부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54)가 상판 커버(50)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8)로 개방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98)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모니터(38)가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동실린더(70)의 정역모터(74)를 정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모니터(38)를 상승시킨다.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8)는 키패널(42)로부터 추가 위치조작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추가 위치조작신호가 인가되면 그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 동실린더(7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강의 진행 후, 강의를 마친 다음 상기 키패널(42)에 구비된 전원버튼(42a)를 오프시키면, 상기 제어부(98)는 그 전원 오프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니터(38)가 하강되게 상기 전동실린더(7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동실린더(70)는 승하강의 한계점을 갖고 있는 바, 상기 전동실린더(70) 내부에 구비된 구동 스트로크 조절용 부싱(80)의 위치를 리밋 스위치(78)가 감지하여 승하강 한계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실린더(70)의 내부에 구비된 정역모터(74)가 역회전하더라도 상기 모니터(38)가 모니터 안착홈(36)에 완전히 수평하게 안착될 정도까지만 상기 정역모터(74)가 구동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상판 커버(50)를 닫고 상기 탁자 몸체(32)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64)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30)로 투입된 모든 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의 로드가 상기 상판커버(50)에 형성된 결합공(90)에 자동으로 결합되어 상판커버(50)가 도어락 시정되게 된다.
즉,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88)는 상시 로드가 인출된 상태를 가지며, 전원 투입시 로드가 인입되는 상태를 갖는 솔레노이드이므로, 전원 차단시 상시 로드 인출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상판커버(50)를 폐쇄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강의용 탁자에서 상판 커버와 도어가 개방되고, 도난방지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에 포함된 전동실린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와 센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를 II-II선으로 자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전자강의용탁자 32: 탁자몸체
34:상판 36:모니터안착홈
38: 모니터 40: 마이크
42: 키패널 45: 열방출구멍
46: 마우스안착홈 50: 상판커버
51: 돌출걸이부 52: 가이드레일
53: 수납홈 54: 위치감지센서
56: 금속판 58: 키보드수용서랍
60: 서랍 61: 서랍열쇠구멍
63: 도어 64: 전원스위치
66:흰지축 68:브라켓
70: 전동실린더 72: 회동핀
74: 정역모터 76: 전동실린더몸체
78:리밋스위치 80: 구동스트로크 조절용 부싱
82: 스크류 볼트 84: 로드너트
86: 결합링 88:락킹솔레노이드
90: 결합공 100: 도난방지프레임
102: 개구부 104: 결합돌출부
110: 잠금장치프레임 112: 잠금로드
112a: 잠금홈 113: 록킹부
114: 누름부 115, 116: 코일스프링
120: 하판구멍 130, 132: 잠금장치
140: 고정프레임 150: 메인구동부
152: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 160: 전자장비
162: 상판연결대 200: 키보드

Claims (13)

  1. 함체의 탁자몸체;
    상기 탁자 몸체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 소정부에 모니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니터 안착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판 커버;
    상기 모니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내측면의 소정부분에서 회동 기준점을 부여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하면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핀으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전동실린더;
    상기 상판의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판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판 커버 개방시 상기 모니터를 기설정각도만큼 상방으로 자동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위치감지 센서와 대응하는 상기 상판 커버의 하면 소정부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 센서는 상기 금속판에 의해 전압값이 변동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소정부에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모니터를 추가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조작버튼, 상기 모니터를 하강시키는 하강조작버튼, 상기 모니터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 및 상기 전동실린더로의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버튼이 구비된 키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 몸체 내부에서 양측에 위치하며 전자장비를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고정프레임들; 및
    상기 고정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투입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안착홈의 상면 소정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 커버의 도어락을 시정(施錠)시키는 상시(常時) 폐쇄형 락킹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 용 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키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 오프(Turn off)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온(Turn on) 여부 및 상기 상판 커버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동실린더를 작동시켜 모니터가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패널의 수동 키조작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동실린더의 추가구동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상판 커버의 닫힘여부 및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의 턴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전동실린더의 작동과 상기 락킹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상판 커버가 시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몸체는 상기 탁자 몸체의 벽면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방출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9. 제 4 항에 있어서,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겹쳐져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결합나사를 가리되 상기 메인구동부의 전면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탁자몸체에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도난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상면, 하면, 왼쪽면 및 오른쪽면 중, 한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내재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잠금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로드가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의 개구부 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탁자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탁자몸체의 소정부에 형성된 구멍 안에 삽입됨으로써 되어 상기 도난방지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 몸체는, 일 상단과, 상기 일 상단과 마주보는 다른 상단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은 '┛' 또는 '┃'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른 상단은 상기 상판과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일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되,
    상기 전자 강의용 탁자는:
    상기 다른 상단에 인접한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 형태의 상기 다른 상단의 끝부분을 고정하는 잠금로드를 가지는 잠금장치와;
    상기 상판의 소정부분과 결합되는 상판연결대; 및
    상기 일상단과 상기 상판연결대를 결합시키되 나사머리가 상기 상판 커버의 단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판-탁자몸체 결합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몸체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키보드가 수용되는 키보드 수용서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강의용 탁자.
KR1020080094380A 2007-10-01 2008-09-25 전자 강의용 탁자 KR100887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749A KR20070102643A (ko) 2007-10-01 2007-10-01 전자 강의용 탁자
KR1020070098749 2007-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157B1 true KR100887157B1 (ko) 2009-03-04

Family

ID=388174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749A KR20070102643A (ko) 2007-10-01 2007-10-01 전자 강의용 탁자
KR1020080094380A KR100887157B1 (ko) 2007-10-01 2008-09-25 전자 강의용 탁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749A KR20070102643A (ko) 2007-10-01 2007-10-01 전자 강의용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1026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51B1 (ko) 2009-03-25 2010-01-28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 강의용 탁자
KR200457480Y1 (ko) * 2009-03-27 2011-12-22 (주)인텍엔씨티 전자교탁
KR101256505B1 (ko) * 2010-12-30 2013-04-19 강의수 냉장 식탁용 제어장치
KR20160003112U (ko) * 2015-03-06 2016-09-19 대신정밀 주식회사 전자교탁
KR20210052062A (ko) * 2019-10-31 2021-05-10 최선근 음악 작업용 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044B1 (ko) * 2019-10-22 2020-02-20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온/오프라인에서의 원격강의와 주변기기의 통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전자교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15Y1 (ko) * 2004-01-13 2004-04-08 신중식 강의용 교탁
KR200409166Y1 (ko) * 2005-11-16 2006-02-20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강의용 탁자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0419709Y1 (ko) * 2006-04-13 2006-06-22 이기영 멀티미디어 교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15Y1 (ko) * 2004-01-13 2004-04-08 신중식 강의용 교탁
KR200409166Y1 (ko) * 2005-11-16 2006-02-20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강의용 탁자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0419709Y1 (ko) * 2006-04-13 2006-06-22 이기영 멀티미디어 교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51B1 (ko) 2009-03-25 2010-01-28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 강의용 탁자
KR200457480Y1 (ko) * 2009-03-27 2011-12-22 (주)인텍엔씨티 전자교탁
KR101256505B1 (ko) * 2010-12-30 2013-04-19 강의수 냉장 식탁용 제어장치
KR20160003112U (ko) * 2015-03-06 2016-09-19 대신정밀 주식회사 전자교탁
KR200481600Y1 (ko) * 2015-03-06 2016-10-19 대신정밀 주식회사 전자교탁
KR20210052062A (ko) * 2019-10-31 2021-05-10 최선근 음악 작업용 책상
KR102287665B1 (ko) * 2019-10-31 2021-08-10 최선근 음악 작업용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643A (ko) 200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157B1 (ko) 전자 강의용 탁자
KR100939051B1 (ko) 전자 강의용 탁자
KR100750315B1 (ko) 지문 인식이 부착된 멀티형 자동 잠금장치
KR200409166Y1 (ko) 전자강의용 탁자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EP0995369A1 (en) Furniture with concalable display and optional concealable keyboard
KR200443992Y1 (ko) 전자 강의용 탁자
CN105350857A (zh) 一种指纹头可伸缩的保险箱门板
KR200367501Y1 (ko)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US20140091907A1 (en) Keyed Memory Device to Record Input User Signals and Output Recorded User Signals
CN201200113Y (zh) 多功能讲台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CA3210973A1 (en) Doorbell mounting and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391341Y1 (ko)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200453959Y1 (ko)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 유동방지 장치
KR200373373Y1 (ko) 서랍장용 전자식 도어록 장치
JP434638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442742Y1 (ko) 독서실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101305999B1 (ko) 도어용 스토퍼 시스템.
KR100920501B1 (ko) 지문인식부의 덮개 자동 차폐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시스템
KR100693336B1 (ko) 교육용 사이버 강의대
KR101460703B1 (ko) 대기전류를 최소화 한 전기개폐기
KR20180010741A (ko)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KR102150082B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KR20110139435A (ko) 문의 중간부에 장착하는 자동문 작동장치
KR20120001090A (ko) 가구 문이 슬라이딩 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납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