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83B1 -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83B1
KR101898883B1 KR1020180011064A KR20180011064A KR101898883B1 KR 101898883 B1 KR101898883 B1 KR 101898883B1 KR 1020180011064 A KR1020180011064 A KR 1020180011064A KR 20180011064 A KR20180011064 A KR 20180011064A KR 101898883 B1 KR101898883 B1 KR 10189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enser
disposable
disposable kitchen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학
윤용철
이길주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주)테바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바, 최상필 filed Critical (주)테바
Priority to KR102018001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일회용 주방용품이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절취선을 구비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를 거치하여 일회용 주방용품을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keeping the cace of disposable kitchen supplies}
본 발명은,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및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 또는 식기를 설거지하거나, 싱크대 또는 식탁 등을 청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주방용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위생과 편리성을 이유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일회용 주방용품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비닐장갑, 싱크대용 거름망, 수세미 및 키친타올 등이 있다.
이러한 일회용 주방용품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소형 박스에 다수개가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렇게 포장박스에 포장된 일회용 주방용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박스를 개봉한 다음, 일회용 주방용품을 일일이 꺼내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음식을 조리 중이거나, 설거지 중에 이러한 일회용 주방용품을 꺼내써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 또는 세제가 묻어있는 상태로 포장박스를 만져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 또는 세제로 인해 포장박스가 오염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일회용 주방용품을 꺼낼 경우, 포장박스가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파손된 포장박스를 버리고, 별도의 수납공간에 일회용 주방용품을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7-0015124호(1989년 05월 15일 공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13030호(1993년 07월 26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를 거치하여 일회용 주방용품을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가 이물질에 오염되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되는 포장케이스로서, 다수의 일회용 주방용품이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절취선을 구비하는 절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부의 중앙부위에 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케이스가 거치되는 디스펜서로서, 상기 하우징이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된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중앙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부분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부분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칸막이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하단이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되면서 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를 거치하여 일회용 주방용품을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주방용품이 포장된 포장케이스가 이물질에 오염되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일회용 주방용품을 재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거치된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는, 하우징(100) 및 절첩부(11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일회용 주방용품(K)이 수용된다. 여기서, 일회용 주방용품(K)으로 비닐장갑, 싱크대용 거름망, 수세미 및 키친타올 등을 일례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종이 또는 비닐 등과 같이 쉽게 접힐 수 있도록 변형이 자유로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첩부(110)는, 하우징(100)의 한쪽 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일회용 주방용품(K)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하우징(100)이 반으로 접히도록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절취선(111)과, 서로 마주보는 절취선(111) 사이에 형성된 파지홀(112)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디스펜서에 거치된 포장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몸체(200) 및 중앙 칸막이(21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몸체(200)는, 수직으로 세워진 사각의 형태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그리고, 몸체(200)의 내부에는, 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두개의 공간으로 나누게 하는 중앙 칸막이(210)가 몸체(20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중앙 칸막이(2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 삽입홈(220)과 제2 삽입홈(2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삽입홈(220)과 제2 삽입홈(230)에는 일회용 주방용품(K)이 포장된 하우징(100)이 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일측 부분이 제1 삽입홈(22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우징(100)의 타측 부분이 제2 삽입홈(230)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몸체(200)와 중앙 칸막이(21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로는 가볍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테프론, 실리콘 및 바이오폴리머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한편, 절첩부(110)에 형성된 한 쌍의 절취선(111)에 의해 포장케이스의 하우징(100)의 일부분이 뜯겨져 나가면서 제거되면,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일회용 주방용품(K)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절첩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의 일면이 윗면이 되게 한 상태로 하우징(100)을 반으로 접은 후, 하우징(100)의 일측 부분을 제1 삽입홈(220)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하우징(100)의 타측 부분을 제2 삽입홈(23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일회용 주방용품(K)이 포장된 하우징(100)이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몸체(200) 내부로 삽입되면, 중앙 칸막이(210)가 하우징(100)의 접혀진 부위를 받쳐주기 때문에 일회용 주방용품(K)의 일부분을 몸체(200)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일정 높이로 노출되게끔 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일부 노출된 일회용 주방용품(K)을 손가락으로 집어 뽑기 편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절취선(111) 사이의 중앙부위에 파지홀(112)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파지홀(112)은, 원형인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한편, 몸체(200)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한쌍의 파지홈(240)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몸체(200)의 상단 중앙부분에 서로 대응하며 각각 형성된다.
이는, 포장케이스의 하우징(100)에 형성된 파지홀(112)에 대응하는 것으로, 포장케이스의 하우징(100)이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몸체(2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된 일회용 주방용품(K)을 손가락으로 집어 뽑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몸체(200)에 형성된 파지홈(240)은, 반원형인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이는 포장케이스의 하우징(100)에 형성된 파지홀(112)과 마찬가지로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칸막이(210)의 상단 중앙에는, 몸체(200)에 형성된 파지홈(240)에 대응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관통홈(211)이 형성된다.
이는, 포장케이스의 하우징(100)이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몸체(2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된 일회용 주방용품(K)을 손가락으로 집고 뽑을 때, 중앙 칸막이(210) 또한 같이 집혀져 몸체(200) 자체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오로지 일회용 주방용품(K) 만이 뽑히게끔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받침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300)는, 몸체(200)가 안착되면서 몸체(200)의 하단이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안착홈(310)이 상면에 형성된다. 즉, 받침대(300)의 상면에 몸체(200)의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몸체(2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몸체(200)가 쉽게 전도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절첩부
111: 절취선 112: 파지홀
200: 몸체 210: 중앙 칸막이
211: 관통홈 220: 제1 삽입홈
230: 제2 삽입홈 240: 파지홈
300: 받침대 310: 안착홈
K: 일회용 주방용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일회용 주방용품(K)이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한 쌍의 절취선(111)을 구비하는 절첩부(110)가 형성된 포장케이스를 수납하는 디스펜서로서,
    상기 하우징(100)이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된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의 내부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200)의 내부공간을 제1 삽입홈(220)과 제2 삽입홈(230)으로 구획하는 중앙 칸막이(210); 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삽입홈(220)에는 상기 포장케이스의 절첩부(110)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홈(230)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케이스의 파지홀(112)은 상기 절첩부(110)의 중앙부위에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200)의 상단 양 측면 중앙부위에는 상기 포장케이스가 디스펜서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케이스의 파지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오목한 파지홈(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하단이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되면서 몸체(200)가 안착되는 안착홈(310)이 형성된 받침대(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KR1020180011064A 2018-01-30 2018-01-30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KR10189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64A KR101898883B1 (ko) 2018-01-30 2018-01-30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64A KR101898883B1 (ko) 2018-01-30 2018-01-30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83B1 true KR101898883B1 (ko) 2018-10-04

Family

ID=6386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064A KR101898883B1 (ko) 2018-01-30 2018-01-30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815B2 (ja) 1991-08-02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565550B1 (ko) 2014-07-24 2015-11-03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일회용 비닐류 포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815B2 (ja) 1991-08-02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565550B1 (ko) 2014-07-24 2015-11-03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일회용 비닐류 포장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538B2 (en) Selectively configurable household accessory holder
US5890605A (en) Article organizer
FR2607382A1 (fr) Casier inserable de lave-vaisselle pour le nettoyage et le sechage de pieces de couverts de table et de petite vaisselle
KR101898883B1 (ko)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US7228976B2 (en) Toothbrush holder
KR101779874B1 (ko)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JP4535404B1 (ja) 容器保持具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JP2006311992A (ja) 穴あきスポンジ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102366921B1 (ko) 주방 용품 디스펜서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KR200421478Y1 (ko) 냅킨 수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저통
KR200242073Y1 (ko) 수저통
KR200241642Y1 (ko) 한벌의 수저
KR200191070Y1 (ko)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KR200296670Y1 (ko) 다용도 비누대
KR200258670Y1 (ko) 위생컵
KR200337778Y1 (ko) 흡착식 행거
KR20230042609A (ko)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JP2016034384A (ja) まな板
KR200191085Y1 (ko) 보조 취수함을 갖는 싱크대 취수부
KR101268684B1 (ko) 식기 세척기의 하부 커버의 수납 구조
ITTO20060108U1 (it) Scatola di servizio in particolare per servire bibite e alimenti in aerei e altri mezzi di traspor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