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070Y1 -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70Y1
KR200191070Y1 KR2020000004929U KR20000004929U KR200191070Y1 KR 200191070 Y1 KR200191070 Y1 KR 200191070Y1 KR 2020000004929 U KR2020000004929 U KR 2020000004929U KR 20000004929 U KR20000004929 U KR 20000004929U KR 200191070 Y1 KR200191070 Y1 KR 20019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storage
shelf
storage containe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진
Original Assignee
동양토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토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토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선반에 덮개와 수납함 및 필요에 따라 칼이나 주걱등을 보관할 수 있는 주방도구꽂이대나 쓰레기수거용 수납용기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수납용기를 갖는 간이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음식물 조리 후 발생되는 음식찌꺼기나, 또는 수세미등을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각종 조리용구등의 수납 및 인출등이 용이하도록 하고, 주방도구인 칼이나 주걱등의 수납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선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기를 복수개 형성하는 싱크대 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The shink-shelf of plural receipt an instrument forminy}
본 고안은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의 설치작업시 일정공간등의 확보에 의해 발생되는 싱크대선반에 덮개와 수납함등으로 이루어지는 간이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음식물 조리 후 발생되는 음식찌꺼기나, 또는 수세미등을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각종 조리용구등의 수납 및 인출등이 용이하도록 하고, 주방도구인 칼이나 주걱등의 수납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선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기를 복수개 형성하는 싱크대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를 주방등에 설치작업시 설거지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공간이 제공되는 개수대와, 개수대 측면으로 각종 주방도구나 그릇이나 필요한 주방물품등을 정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평활한 공간부가 제공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싱크대 후방부측으로는 일정폭을 갖는 싱크대선반을 취부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싱크대선반 하방으로는 보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싱크대선반에는 주로 주부들이 주방에서 필요한 수저통이나, 양념통 또는 각종 그릇이나, 수세미통이나 주방용세제등을 나열배치하여 싱크대선반에 안착된 물품중에서 필요한 것을 집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이나 또는 음식점등의 싱크대의 뒷선반과 싱크대의 개수대 측방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측에는 많은 그릇이나 주방용품, 필요한 각종 주방도구등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나열배치되어 미관상이나 위생상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싱크대의 뒷선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싱크대의 사용시, 음식물등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나 취사후 버려야 하는 음식물찌꺼기등이 발생될시 수분등을 개수대를 통하여 버린 후 남은 음식물찌꺼기등을 휴지통에 그대로 버리거나 또는 수도관 주변에 비닐봉투등을 매어 둔 상태에서 음식물찌꺼기등을 그대로 수거하여 방치하여 두므로써, 악취발생의 원인이 됨은 물론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칼이나 주걱등의 주방도구를 싱크대의 도어 내측에 칼꽂이를 부착하여 수납하거나 또는 별도의 수납도구에 주방도구등을 수납하거나, 주방 벽면에 걸고리등을 부착하여 주걱등의 주방도구를 수납정렬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어서, 청결성을 해치는 한편 정리정돈이 잘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대단한 불편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도 4에서 보는바와같이 대한민국특허청에 기출원된 실용신안 출원 제 99-10047 호의 경우 주로 싱크대 선반에 음식물쓰레기수거함(c)만을 형성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어 주방도구나 용품등의 수납공간등을 활용하는데 상당한 제한성을 갖고 있고, 그 사용상에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싱크대 선반의 활용도를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자주 사용되는 주방도구나 물품등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싱크대선반내에 간이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충분히 활용하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싱크대선반내에 형성되는 간이수납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각종 주방용품이나 세제 또는 수세미등을 눈에 보이지 않도록 보관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주방 주위가 미관상 깨끗하고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싱크대(1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싱크대선반(20)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선반(20)에 일정길이와 폭을 갖도록 홀(21)이 천공되도록 한 후, 일정폭과 길이로 천공되는 관통구(1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안착판(100)을 안착하고, 상기 각각의 관통구(110)에 덮개(210)와 주방도구꽂이대(250) 및 수납함 (220)등으로 형성되는 수납용기(200)를 취부하여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싱크대에 장착되어지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싱크대에 장착되는 안착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 정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쓰레기수거함이 부설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싱크대 11: 개수대 20: 싱크대선반 21: 홀
100: 안착판 110: 관통구 120: 돌부 130: 돌출면 200: 수납용기
200a: 쓰레기수거용 수납용기 200b: 케이지상 받침망을 갖는 수납용기
200c: 주방도구꽂이대를 갖는 수납용기 210: 덮개 210a: 덮개
211: 손잡이 212: 홈 220: 수납함 221: 환부
230: 받침대 240: 받침망 250: 주방도구꽂이대 251: 장공
252: 구멍 260: 쓰레기봉투
본 고안은 도 1내지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싱크대(10) 후방에 형성되는 싱크대선반(20)과, 상기 싱크대선반(20)에 안착되는 안착판(100)과, 상기 안착판 (100)에 취부 결합되는 각각의 수납용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싱크대선반(20)은 일반적으로 싱크대(10) 후방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며 싱크대(10) 후방 상단부에 일정폭과 길이를 갖으며 형성되어지고, 본출원인의 동일자 실용신안 등록출원된 고안의 명칭 '뒷선반 받침용 고정브라켓트를 갖춘 싱크대' 와 같이 싱크대(10)측면과 싱크대선반(20)간에 브라켓트 (30)등을 사용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싱크대선반(20) 내주면측으로 안착판 (100)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홀(21)을 길게 형성한다.
이와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홀(21)이 형성된 싱크대선반(20)을 상기 브라켓트(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싱크대(10)와 결합작업을 완료하면, 안착판(100)을 싱크대선반(20)의 홀(21)에 안착하는바, 상기 안착판(100)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관통구(110)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천공하고 하단부에 싱크대선반(20)의 홀(21)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돌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안착판(100) 하단 외주면측으로는 싱크대선반(20) 홀(21)의 외주면측과 당접되어 안착판(10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돌출면(130)을 형성하여 상기 홀 (21)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싱크대선반(20)에 결합되는 안착판(100)의 관통구(110)에 각각 수납용기(200)를 결합 취부하는바, 상기 수납용기(20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손잡이(211)를 갖는 덮개(210)와, 상방으로 개방되고 외주면으로 턱을 갖는 환부(221)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착판(100)의 상단면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함(220)을 상기 덮개(210)와 한조로 결합하여 각각의 관통구(110)에 각각 결합 취부한다.
이때 안착판(100)의 관통구(110)에 사용자의 필요 및 요구에 따라 각각 용도를 달리하는 수납용기(200)를 결합 취부할수 있는바, 먼저 싱크대선반에 안착되는 안착판(100)에서 싱크대(10)의 개수대(11)로부터 가장 근접한 거리상에 있는 관통구(110)측에 취부되는 수납용기(200)는 주로 음식쓰레기등을 버리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쓰레기수거용수납용기(200a)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덮개(210a)와 수납함(220) 및 수납함(220)에 삽입되어지는 쓰레기봉투 (260)와 상기 쓰레기봉투(26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중공형상의 받침대(230)를 구비하여, 각각 결합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수대(11)측에서 야채을 씻은 후 남아 있는 찌꺼기등을 수거하거나 또는 설거지 후 발생되는 음식물찌꺼기등의 수거를 짧은 동선(銅線)상에서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210a)는 후술하는 사용용도를 달리하는 덮개(210)와는 달리 상기 쓰레기봉투(260)를 눌러주는 받침대(230)를 에워싸는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덮개(210a) 저면부측에 홈(212)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210a)를 이용하여 수납함 (220)과 결합되어질시 외관상 받침대(2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에서 상기의 쓰레기수거용수납용기(200a)로 형성되는 수납용기 (200) 좌측단으로 수세미등을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하거나, 또는 야채나 물기가 많은 조리되기전의 조리용 음식물등의 물기를 일정정도 빠지게 한 후 조리하기 위해 일정시간 보관하기 위한 수납용기(200b)를 구성할 수도 있는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덮개(210)와 수납함(220)으로 구성되는 수납용기(200)에 상기 수납함(220)내에 삽입되어지는 스텐레스 재질의 케이지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망(240)을 구비하여서 되는 수납용기(200b)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덮개(210)와 수납함(220)만으로 형성되는 수납용기(200)를 안착판(100)에 형성된 별도의 관통구(110)에 결합취부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로 물기등이 없고 주방에서 자주 사용되는 작은크기의 주방도구나 주방용품등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부등이 싱크대(10) 앞에서 이동없이 상기 수납용기(200)에서 필요로 하는 주방도구나 주방용품을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덮개(210)를 형성하지 않고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되고 사선방향으로 길이를 달리하며 장공(251)이 다수개 천공되고, 장공(251) 좌우측방에는 원형상으로 되는 구멍(252)을 천공하거나 또는 구멍(252)과 장공(251)이 함께 천공되는 형상을 갖는 구멍(252')이 천공되는 주방도구꽂이대(250)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판(100)에 천공된 관통구(110)에 수납함(220)을 내입하고 상단부에 상술한 주방도구꽂이대(250)를 덮어서 형성되는 주방도구 꽂이대를 갖는 수납용기(200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장공(251)이나 구멍(252)(252')등에 칼(a) 및 주걱(b)등의 주방도구등을 꽂아 사용자가 주방도구등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고 안전하게 취출하여 사용한 후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대선반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각종 주방도구(예컨데 칼이나 주걱등의 주방도구)등의 보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수납함의 용도에 따라 수납함의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각종 종류를 달리하는 주방용품등을 별도로 각각 분리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거나 음식물쓰레기등의 수거 및 처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전과는 달리 싱크대선반이나 개수대 측면부등에 정리가 안된 상태로 배열 배치되는 주방용품이나 도구등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되어, 주방환경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주방환경의 청결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싱크대(10)의 후방측에 고정형성되는 싱크대선반(20)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선반(20)에 일정길이와 폭을 갖도록 홀(2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고, 일정폭과 길이로 천공되는 관통구(1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안착판(100)을 안착하고, 상기 각각의 관통구(110)에 덮개(210)와 수납함(220)등으로 형성되는 수납용기(200)를 복수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200)중 적어도 하나의 수납용기(200a)와 결합되는 덮개(210a) 저면부에 홈(212)을 형성하여 수납함(220)에 쓰레기봉투(260)를 내입한 후 받침대(230)등을 이용하여 상기 쓰레기봉투(260) 상단부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덮개(210a)를 덮게되면 받침대(230)가 상기 홈(212)에 내입되도록 하여서 되는 쓰레기수거용 수납용기(20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200)중 적어도 하나의 수납용기(200b)의 수납함(220)내에 케이지상의 받침망(240)을 내입하여 수세미 또는 물기를 함유하고 있는 야채류등의 음식물을 일정시간 보관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지상 받침망(240)을 갖는 수납용기(2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선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200)중 적어도 하나의 수납용기(200c)의 수납함(220)에 상기 덮개(210) 대신 장공(251)과 구멍(252)등이 다수 천공되는 판형상의 주방도구꽂이대(250)를 결합하여 칼(a)이나 주걱(b)등의 주방도구를 수납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주방도구꽂이대를 갖는 수납용기(20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선반.
KR2020000004929U 2000-02-23 2000-02-23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KR200191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929U KR200191070Y1 (ko) 2000-02-23 2000-02-23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929U KR200191070Y1 (ko) 2000-02-23 2000-02-23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70Y1 true KR200191070Y1 (ko) 2000-08-16

Family

ID=1964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929U KR200191070Y1 (ko) 2000-02-23 2000-02-23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0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47B1 (ko) * 2000-05-10 2007-02-07 주식회사에넥스 씽크
KR101390923B1 (ko) * 2011-06-17 2014-04-30 강성익 싱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47B1 (ko) * 2000-05-10 2007-02-07 주식회사에넥스 씽크
KR101390923B1 (ko) * 2011-06-17 2014-04-30 강성익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538B2 (en) Selectively configurable household accessory holder
US9414717B2 (en) Sink container assembly
US6253395B1 (en) Splash guard
KR200191070Y1 (ko) 복수개의 수납용기가 형성되는 싱크대 선반
US9516992B2 (en)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for complete cleaning and organizing to help improve the hygiene of baby bottles and also more distinct washable items used for babies and toddlers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CN209186472U (zh) 一种厨房的多功能置物架
JP2006087788A (ja) 流し台
KR920000878Y1 (ko) 쓰레기봉지 걸이대
KR102644789B1 (ko)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CN216169037U (zh) 一种厨具安装结构和厨具消毒机
JP3041253U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JP2509792B2 (ja) 流し台装置
JP2004008728A (ja) 食器用水きりカゴ
KR100679647B1 (ko) 씽크
CN217040052U (zh) 餐具收纳结构、承载篮和家用电器
JP4258688B2 (ja) 片手洗い出来る食器洗い具
KR200440381Y1 (ko) 도마
JP3039147U (ja) まな板装置
KR200191085Y1 (ko) 보조 취수함을 갖는 싱크대 취수부
KR200325324Y1 (ko) 주방용 도마
KR200406037Y1 (ko)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KR200183439Y1 (ko) 주방용품 보관구
CA2377108A1 (en) Cutlery with hygienic disposable membrane
JPH0588347U (ja) 収納トレ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