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618B1 -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618B1
KR101894618B1 KR1020147003454A KR20147003454A KR101894618B1 KR 101894618 B1 KR101894618 B1 KR 101894618B1 KR 1020147003454 A KR1020147003454 A KR 1020147003454A KR 20147003454 A KR20147003454 A KR 20147003454A KR 101894618 B1 KR101894618 B1 KR 10189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il
metal
contac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182A (ko
Inventor
조제 루이스 에라다
죠슬렝 보넬
스떼판 르뵈프
에드비쥬 부씨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05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20) 및 용기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품은 식품을 담아두는 데 적합하며 인덕션 가열 겸용인 바닥부(9)와 측벽(4)을 포함하는 금속 기재, 및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 및 그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덕션 가열 수단(15)에 의해 생성된 자속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6)을 포함하는 금속 용기(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은, 직접적 금속 접촉 및 인터레이싱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 점착성 접착제 없이 전기 저항체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바닥부 영역에, 바닥부(9)의 내면(14a) 또는 외면(14b) 상에, 또는 상기 금속 기재 내에, 성형 된 금속성 물질 가운데나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금속층 가운데에 매립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INDUCTIVELY POWERED CULINARY ARTIC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RECIPIENT OF SUCH AN ARTICLE}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 및 그 조리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조리 물품은 예를 들어 냄비 또는 팬일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자장을 생성하는 인덕션 플레이트 등과 같은 인덕션에 의한 가열 수단 상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의 예는, 외부 면/하부 면에, 그 물품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덧붙여진 바닥부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물품을 개시하는 문헌 FR2919168에 명시되어 있다. 조리 물품은 알루미늄 주철로 구성되며, 덧붙여진 바닥부는 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 층으로 된 바닥부이고, 그로써 그 물품이 인덕션 가열 겸용이 된다.
그 용기(또는 컬로트, calotte)가 인덕션에 의한 가열 수단 위에, 또는 더욱 명확하게는 인덕팅 표면 위에 놓일 때 푸코(foucault) 전류가 용기의 바닥부 상에 생성된다. 그 후 전기에너지가 열에 의해 소진되면서 용기 내에 들어있는 음식물을 가열한다.
문헌 WO 2010/080738은 인덕션 가열 겸용 용기 및 그 용기에 장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물품을 개시한다. 그 용기는 가열 수단 위에 놓이는 용기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덧붙여진 베이스를 포함한다. 그 베이스는 가열 수단들에 의해 형성된 1차 인덕터의 전기에너지를 회수하는 2차 인덕터의 역할을 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그 코일은 베이스와 용기 사이에 배치된다. 그 용기는 그 베이스로부터 제거하거나 그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 위에 놓일 수 있다. 단열용 플레이트가 그 용기의 바닥부와 베이스 및 코일로 형성된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에 의해 회수된 에너지는 제어회로, 온도 센서, 디스플레이 수단들 및 손잡이 내에 마련된 통신 수단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하며, 그리고/또는 그 또한 손잡이 내에 배치된 저장용 소자(커패시터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그러한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은, 인덕션 가열 수단들과 코일 사이에 위치한 코일 지지용 베이스를 갖는 다수의 소자들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구성을 갖는다. 그 2개의 소자가 존재함으로써 그 어셈블리는 운반하기에 무겁게 된다. 베이스가 접착제에 의해 용기에 고정된 경우, 수차례의 세척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접착제의 노화로 인하여, 베이스는 일부 또는 전체가 용기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하여 베이스의 접점들과 용기의 접점들 사이의 전기 접속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고, 더욱 단순하고 사용하기에 더욱 용이하며 더욱 강한 개념의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그 조리 물품은:
- 음식물을 담아두는데 적합하고, 자화 가능한(즉 인덕션 가열 겸용인) 바닥부 및 그 바닥부의 둘레로 세워져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금속 기재를 포함하는 금속 용기(그 바닥부는 음식물을 담는 내면과 외부 인덕션에 의한 가열 수단 상에 놓이도록 적용된 외면을 가짐),
-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
- 전기 및/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의 급전을 위하여 인덕션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속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를 포함하는, 손잡이 또는 뚜껑 등과 같은, 용기의 부속품인 조리 용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은 바닥부 영역에서:
- 용기 바닥부의 내면 또는 외면상에, 또는
- 상기 금속 기재 내에,
* 성형 된 금속 물질 내에 , 또는
* 전기 저항체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점착성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금속층 내에,
매립되어 배치된다.
코일은 용기 바닥부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 그 면들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일은 용기 바닥부의 외면 또는 내면이 코일을 탑재하도록 그 외면 또는 내면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을 탑재한 베이스 등의 추가 소자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간단한 개념의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부품의 개수가 감소한다.
그 조리 물품은 또한 사용하기에 더욱 용이하며 더욱 튼튼하다.
나아가, 코일이 용기의 외면상에 배치될 때, 본 발명은 코일에 의해 회수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코일이 전기 절연층에 의해 커버될 때, 코일이 인덕션 가열 면과 직접적으로, 또는 거의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또는 권선형의 코일은 특히 바닥부 영역에 배치된다. 인덕션 가열 면에 의해 생성된 자기에너지는 중간 소자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다.
한편, 강한 불을 사용하는 경우를 유리하게 만족시키기 위하여, 저항체의 위치(매립되어 있든지 표면상에 있든지)에 상관없이, 안정된 방식으로, 전기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용기의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열원과 대면하여 놓게 되어 있는 하부면을 갖는 컬로트의 바닥부가 상기 외부 열원의 열기에 저항하도록 적용될 것이 권장되고, 이를 위하여 그 바닥부는:
- 금속 기재 구조(역학적 및 열적 이유로, 우선적으로 금속 또는 여러 다른 금속의 합금일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그러한 층), 및/또는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 또는
* 금속 기재의 가단성 금속층에 장착된 자화 가능한(예를 들어, 강자성의) 금속으로 된 인서트 및/또는 그 가단성 금속층(하부면 측)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한 금속으로 된 인서트를
포함할 것이 권장된다.
그와 같이 상기한 어떤 외부 열원에서도, 열적 및 기계적 성능이 장시간 지속되는 우수한 내구성과 결합 된다.
따라서 그러한 가능성들 중에서 강화 바닥부 및/또는 인덕션 가열 겸용 바닥부를 갖는 컬로트(또는 용기)의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마련되는데, 즉 바닥부와 측벽이 모노블록을 이루고 동일한 금속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로 되어 있는 그 컬로트는 외부에서, 그것의 바닥부 하부에서,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강으로 되고, 따라서 자화 가능하거나 강자성인 하부 컵(cup)을 규정하는 금속 층보다 더욱 가단성 있는 금속층(알루미늄 등의)과 본딩(bonding) 되어 있고, 그 하부 컵을 규정하는 금속층은 더욱 가단성 있는 상기 금속층을 커버한다. 그에 따라, 금형작업(측벽을 구현하기 위한)과 동반되는 온간 스탬핑(다층 바닥부를 구현하기 위한)이 특히 제조 기술로서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인데, 그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음식물을 담기에 적합하며, 그 방법은 용기가 바닥부 및 그 바닥부의 둘레에 세워지는 측벽을 갖도록 용기에 오목(hollow)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제1 방식에 따르면,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용기 바닥부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 장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은 증착에 의해 장착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그것은 외면 하부에서일 것이다. 그로 인하여 제조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
방법의 제2 방식에 따르면:
- a) 금속 기재가 그것의 바닥부와 측벽을 갖게 되도록 금속 기재에 오목 형태를 부여할 것이고,
- b) * 그 오목 형태 부여시에 금속 기재 내에 코일을 매립하거나,
* 단계 a) 이전 또는 이후에, 금속 기재가 포함할 2개의 도전성 금속층 사이에 코일을 삽입한 후 그 금속 기재 내에 그러한 코일을 매립할 것이다.
그 제2 방식에 따르면, 한편, 코일과 상기 2개의 도전성 금속층을,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 본딩 하면서 금속 기재 내에 코일을 매립할 것이 권장된다.
코일에 대한 위험 없이 원하는 안정된 장착 및 제조 품질을 얻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과 하나 또는 다수의 금속층 사이에 전기 절연층을 삽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절대로 한정적이지 않게 이하 기술될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탈부착 가능 손잡이의 조감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조감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조감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고정식 조오(jaw)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단자의 상세 종단면도.
도7은 용기의 접점에 접속된 상기 전기 접속 단자의 상세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한 형태의 접점과 대면하는 전기 접속 단자의 상세 종단면도.
도9는 상기 오목한 형태의 접점에 접속된 전기 접속 단자의 상세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인덕션 코일들을 도시.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도시.
도12는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전동식 집게를 구비한 탈부착가능 손잡이의 종단면도.
도13은 용기의 가장자리 단부에 접속가능한 접점을 포함하는 손잡이의 단면도.
도14는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
도15는 뚜껑을 구비한 용기를 도시.
도15a는 상기 용기의 접점들의 상세도.
도16은 LED를 구비한 용기를 도시.
도17은 하나의 알루미늄층과 하나의 페라이트 강으로 된 2개의 금속층 사이에 배치된 전기절연 피복으로 둘러싸인 금속선을 포함하는 바닥부의 횡단면도.
도18은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으로 형성된 코일을 포함하는 바닥부의 횡단면도.
도19는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으로 각각 형성된 중첩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바닥부의 횡단면도.
도20은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
도21 및 도22는 각각, 전기에너지 회수용 코일이 배치된 바닥부가 덧붙여진 용기의, 바닥부가 상부에 있는 수직 반단면도.
도23 및 도24는 코일이 내장된 바닥부를 더욱 국소적으로 도시하는 2개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은 음식물을 담기에 적합하고 자화 가능한(즉 인덕션 가열 겸용의) 바닥부(9) 및 그 바닥부(9)의 둘레에 세워진, 즉 바닥부(9)의 전체 둘레를 따른 연장면 상에 있는 측벽(4)을 포함하는 금속 기재를 포함하는 금속 용기(3)를 포함한다. 바닥부(9)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내면(14a)(음식물은 그 내면(14a)과 접촉하게 됨) 및 외부 인덕션 가열 수단(15) 상에 놓기에 적합한 외면(14b)을 갖는다.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의 실시예가 문헌 FR2919168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유형의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들이 가능하다. 그 조리 물품들은 한 층은 강자성 층인 다수의 금속층을 적어도 바닥부의 영역에 포함한다.
조리 물품은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 및 조리 물품의 파지(grip)를 위하여 용기(3)에 장착된 손잡이(1)를 포함한다.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손잡이 내에 또는 예를 들어 용기 상에와 같이(그것이 전기 기계 디바이스인 경우) 또는 용기(3)의 부속품인 뚜껑 또는 다른 조리 용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 용구라 함은 용기의 모든 부속품으로서, 용기(3)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거나 이동식인 것을 말한다.
도3의 실시예에서, 손잡이는 그립 본체(7) 및 그 그립 본체(7) 내에 수용된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를 포함한다. 조리 물품은 인덕션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속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전기에너지의 회수를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6)을 포함한다. 그 자속은 손잡이(1)의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에 급전할 수 있게 한다. 코일(16)은 용기(3)의 바닥부(9) 외면(14b) 상에,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른 곳, 특히 내면(14a) 상에 배치된다.
코일(16)은 용기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중 한 면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일(16)은 바닥부의 외면상에 장착되어 그 면이 코일을 탑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호층이 코일을 커버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코일(16)은 용기의 표면들 중 한 면에 풀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용접 또는 그외의 방법으로 장착된 금속 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16)은 용기(4)의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증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일(16)은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을 수득하도록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증착된다.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은 또는 구리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코일(16)은 용기(3)의 바닥부(9)의 외면(14b)상에 배치되어, 인덕션 가열 수단(15)의 표면과, 그들 사이의 마그네틱 스크린 없이(PTFE 층 또는 에나멜층이 그러한 스크린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가능), 근접 가능하다.
코일(16)은 에나멜 또는 폴리에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세라믹 또는 래커일 수 있는 보호층으로 커버될 수 있다. 그 보호층은 코일(16)의 역학적, 열적, 물리화학적 보호를 보장한다.
용기는 유리하게는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증착된 전기 절연층을 포함한다. 그 전기 절연층은 코일(16)로부터 금속 면, 즉 도전성 면을 분리한다. 코일(16)은 그 전기 절연층 상에 증착된다.그 전기절연층은 에나멜 또는 폴리에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세라믹 또는 래커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코일(16)은, 점착성 접착제 없이 직접적 금속 접촉(압력하에서)에 의해 인터레이싱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결합(연속성을 갖는)에 의해 서로 본딩되고 코일(16)과는 적어도 거리를 둔 다수의 금속 층들 가운데에서 금속 기재 내에 통합된다.
금속 기재 층들은 유리하게는 냉간 또는 온간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금속층들은 금속의 가소성 변형에 의해 서로 본딩된다.
코일(16)은 금속 기재 내에서 성형 된 금속물질 가운데에 매립될 수 있다.
코일(16)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피복(57)으로 둘러싸이고 알루미늄을 기반으로 한 층(58)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기반으로 한 층(59)으로 된 2개의 층 사이에서 유지되는 금속 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여러 다른 층으로 형성된 바닥부(9)는 수평면에 대하여 90°회전된 방향으로 도시됨). 페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기반으로 한 층(59)은 인덕션 가열면과 마주하게 되는 바닥부(9)의 외층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바닥부(9)의 외층은 바닥부의 외면(14b)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기반 층(58)은 보호용 내층(67)으로 커버된다. 전기절연 피복(57)은 자속을 투과하고 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층(58)은 금속선(56)을 수용하는 홈을 갖는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기반으로 한 층(59)은 가능하면 최대한 자속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1cm 미만, 바람직하게는 0.6 c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코일(16)은 한 층은 알루미늄 기반 층(58)이고 한 층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기반 층(59)인 2개의 층 사이에 배치된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기반 층(58)은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이 그 상부에 증착되는 전기절연체로 커버된다.
알루미늄기반 층(58)은 경우에 따라 그 자체로 보호용 내부 코팅으로 커버된 스테인리스강 기반 층으로 커버될 수 있다.
알루미늄기반 층(58)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도18은 실크스크린인쇄된 트랙으로 형성되고 바닥부(9)의 외면(14b) 상에 증착된 코일(16)을 포함하는 바닥부(9)의 다른 실시예(수평면에 대하여 90°회전된 방향으로 도시된)를 도시한다. 그 트랙은 자속을 투과하는 보호층(68)으로 커버되어 있다. 바닥부(9)는 그 상부에 트랙이 증착된 전기절연체(57)를 포함한다. 절연체(57)는 금속 결합에 의해 알루미늄기반 층(58)에 고정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기반 층(59)을 커버한다. 알루미늄기반 층(58)은 보호용 내층(67)으로 커버된다.
도19는 중첩된 2개의 코일들(16, 16')을 포함하는 바닥부(9)의 실시예(수평면에 대하여 90°회전된 방향으로 도시됨)를 도시한다. 각각의 코일은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9)는 알루미늄기반 층(58)에 금속 결합으로 고정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기반 층(59)을 포함한다. 알루미늄기반 층(58)은 보호용 내층(67)으로 커버된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기반 층(59)은 제2 전기절연체(57')로 커버된 제1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16)에 의해 그 자체도 커버된 제1 전기절연체(57)로 커버된다. 제2 전기절연체(57')는 제1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16)에 중첩된 제2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16')에 의해 커버된다. 제2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16')은 자속을 투과하는 보호층(68)에 의하여 커버된다.
변형예로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바닥부(9)는 알루미늄기반 층(58)을 커버하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추가 금속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는 용기(3)에 영구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유리하게는 용기(3)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1)는,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용기(3)에 접속가능하고 그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장착 수단들(2)과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도1)을 포함한다. 접속 접점(10, 10')은 용기(3) 상에 구비되고 코일(1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보 접점(11, 11')과 전기 접속이 가능하다.
장착 수단들(2)은 용기(3) 상에서 손잡이(1)의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용기(3) 상에 마련된 상보 접촉면(13)과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접촉면(12)을 포함한다. 장착 수단들(2)의 접촉면(12)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을 갖는다.
장착 수단들(2)은 손잡이(1)를 장착하기 위하여 집게를 형성하고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2개의 조오(jaw)(2a, 2b)를 포함한다. 2개의 조오(2a, 2b) 중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한다.
2개의 조오(2a, 2b)는 적어도 하나의 상보 접점(11, 11')이 그 상부에 배치된 용기(3)의 벽(4)을 집는다. 손잡이(1)의 각각의 접속 접점(10, 10')은 그 상보 접점(11, 11')과 접촉한다.
집게를 형성하는 2개의 조오(2a, 2b)는 그립 본체(7)에 대하여 고정된 조오(2b) 및 이동식인 조오(2a)를 포함한다. 접속 접점(10, 10')들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조오(2b)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조오(2b)는 용기(3)의 벽의 외면(14c)과 접촉하는 그립 본체(7)의 전방부(17)에 의해 형성된다.
변형예로서, 손잡이(1)는 그립 본체(7) 내에 수용되고 그 자체의 충전을 위하여 코일(16)에 전기 접속되는 동시에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급전하기 위하여 그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접속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수단들(6)(축전지 또는 수퍼 커패시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전지는 3.6 볼트 전압과 780 밀리암페어*시간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16)은 개방형 루프 및 용기(3)의 측벽(4) 상에 고정된 전기 접속부(19a, 19b)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18a, 18b)를 포함한다. 전기 접속부(19a, 19b)는 측벽(4)의 상부 가장자리(20)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손잡이(1)의 접속 접점(10, 10')들 중 하나에 접속 가능한 용기(3)의 상보 접점(11, 11')을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전기 접속부(19a, 19b)는 용기(3)의 측벽(4)의 외면(14c) 상에 장착된다. 2개의 전기 접속부(19a, 19b)는 거의 직선이고 용기(3)의 바닥부(9)와 수직이며 근접하다. 전기 접속부(19a, 19b)들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전달된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가능한 한 최소로 한다. 전기 접속부(19a, 19b)들은 인덕턴스 및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그것들의 길이는 축소되고, 두께는 증가하며 루프들은 짧다. 전기 접속부(19a, 19b)들은 각각의 인덕턴스(생성된 자장)를 상쇄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최대로 근접한다. 전기 접속부(19a, 19b)들 사이의 거리는 4A (24 Volt)의 전류에 대하여 인덕턴스(L)가 100 μH 미만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1)는 전기 접속부(19a, 19b)들에 접속 가능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고 그 접속 접점(10, 10')들은 손잡이가 용기 상에 장착되었을 때(도1) 바닥부(9)와 거의 평행하게 정렬된다. 손잡이는 그와 같이 용기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단거리 상에서 높이가 조절 가능하다.
변형예로서, 그 2개의 전기 접속부(19a, 19b)들은 곡선일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기 접속부(19a, 19b)는 측벽(4)을 둘러싸는 둘레부(21a, 21b) 및 그 둘레부(21a, 21b)를 코일(16)의 단부(18a, 18b)들 중 하나에 연결하는 중간부(22a, 22b)에 의해 형성된다. 그 둘레부(21a, 21b)는 서로 이격 되어 있다. 그 경우, 손잡이(1)는 각각의 둘레부(21a, 21b)에 접속 가능하고, 용기(3)의 바닥부(9)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정렬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한다(도5). 도5의 실시예에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은 수직 하게, 평평하고 수평인 바닥부(9)와 수직이 되도록 정렬된다. 그 둘레부(21a, 21b)들은 원형이다. 그것들은 또한 난형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둘레부(21a, 21b)들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공간(3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도4). 그것은 변형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둘레부(21a, 21b)들 사이의 거리는 4A (24 Volt)의 전류에 대하여 인덕턴스(L)가 100 μH 미만이 되도록 하는 거리이다.
전기접속부(19a, 19b)들이 서로 교차할 때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층이 그 전기접속부(19a, 19b)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둘레부(21a, 21b)들은 용기(4)의 가장자리(20)에 근접한다. 따라서 손잡이(1)를 측벽(4)의 전체 둘레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어떤 위치도 사전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용기(3)가 가열될 때 유용하다.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하여 잘못 위치된 용기를 이동하거나 돌릴 필요가 없다. 화상 위험이 방지된다. 나아가, 둘레부(21a, 21b)의 한 영역이 오염되었거나 손상되었을 때, 손잡이(1)를 다른 영역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로서, 코일(16)은 하나 이상의 나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11의 실시예는 2개의 나선을 포함하는 코일(16)을 도시한다. 하나의 나선이 약 20 W를 회수할 수 있게 한다. 2개의 나선은 80 W를 회수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나선이 있을 때, 접속부(18b)는 바람직하게는 나선들의 내부에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도시되지 않음), 접속부(19b)는 코일의 트랙들과 교차한다. 교차 영역에서, 그 전기접속부들이 코일과 교차할 때 전기 접속을 피하기 위하여, 전기접속부(19b)들 사이에 전기절연층이 마련된다. 단부(18a, 18b)들은 가능한 한 최대로 루프를 폐쇄하기 위하여 인접해 있다.
도11의 실시예에 역시 해당되는 가능한 실시예에서, 코일의 둘레에 위치한 코일(16)의 제1 단부(18a)는 손잡이(1)의 제1 접속 접점(10)에 접속되기 위하여 전기접속부(19a)에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코일(16)의 제2 단부(18b)는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며(루프를 가능한 한 최대로 폐쇄하기 위하여 제1 (2a)와 상당히 근접함) 용기(3)의 금속층들 중 하나에 접속하게 되어 있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그 금속층은 손잡이(1)의 제2 접속 접점(10')이 접촉하는 측벽(4)의 영역까지 전기를 전도한다.
코일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심원을 이루고, 트랙들 사이에 절연층을 첨가하는 조건하에 증착될 수 있다. 그 코일들이 중첩된 경우, 결과 인덕턴스는 거의 제로이다.
도14 및 도20의 실시예는, 코일(16)의 제2 단부(18b)가 그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고 용기(3)의 금속층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손잡이(1)의 제2 접속 접점(10')이 접촉하는 용기의 제2 상보 접점(11')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측벽(4) 영역까지 전기를 전도하게 되는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4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바닥부의 외면(14b)상에 코일(16)을 포함한다. 코일(16)은 측벽(4)을 둘러싸는 둘레부(21a)를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9a)에 연결된 제1 단부(18a) 및 코일(16)의 단부(18a)에 둘레부(21a)를 연결하는 중간부(22a)를 포함한다. 코일의 제2 상보 접점(11')는 둘레부(21a)의 근방에 위치한 외부 보호층(68) 내의 개방부(69)에 의해 형성된다. 그 개방부(69)는 손잡이(1)의 제2 접속 접점(10')이 용기(3)의 외부 금속층과 접촉하게 되도록 외부 보호층(68)이 없는 구역에 해당한다.
도20은 바닥부의 외면(14b) 상에 코일(16)을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다. 코일(16)은 용기의 제1 상보 접점(11)을 형성하는 전기접속부(19a)에 연결되는 제1 단부(18a)를 포함한다. 코일의 제2 상보 접점(11')은 외부 보호층(68) 내에서 제1 상보 접점(11)의 근방에 위치하고 용기의 상부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한 개방부(69)에 의해 형성된다. 그 개방부(69)는 손잡이(1)의 제2 접속 접점(10')이 용기(3)의 외부 금속층과 접촉하도록 외부 보호층(68)이 없는 구역에 해당한다.
도13에 도시된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는 문헌 EP-1991098에 예시로서 개시된 바와 같은 기계적 장착 수단들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기계적 장착 수단들도 사용가능하다.
이동식 조오(2a)를 정면에 위치한 고정식 조오(2b)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체(7)에 대하여 종방향(61)을 따라 병진이동 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드 (60), 및 피봇팅하는 제1 및 제2 로드(62, 63)를 사용한다. 제2 로드는 이동식 조오(2a)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본체(7) 상에 로킹(rocking) 하도록 장착된 조작 버튼(64)은 제2 로드(63)에 힘을 가하고, 그것에 의하여, 조오(2a)에서 종료되는 막대(66)의 개구부를 돌기부(65)를 통하여 횡단하는 관절연결된 체인(60, 62, 63)에 힘을 가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문헌 EP 2007260에 기재되어 있다.
그 실시예에서, 고정식 조오(2b)는 용기의 측벽(4) 상에 배치된 전기접속부(19a)에 의해 형성된 용기의 제1 상보 접점(11)과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의 제1 접속 접점(10) 및 용기의 굴곡진 가장자리(30)의 단부(53)와 접촉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용기의 제2 상보 접점(11')을 형성하는 하나의 제2 접속 접점(10')으로 구성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한다. 코일(16)은 용기를 형성하는 금속층과 접촉하는 단부(18a)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류는 굴곡진 가장자리(30)의 단부(53)까지 그 금속층을 횡단할 수 있다.
용기의 제1 접속 접점(10)은 그립 본체(7)의 하부 벽 근방에 위치된다. 그립 본체(7)는 고정식 조오(2b)의 접촉면(12)과 이동식 조오(2a) 사이에 위치한 하우징(54)을 포함한다. 그 하우징(54)은 용기의 굴곡진 가장자리(30)의 단부(53)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제2 접속 접점(10')은 용기의 굴곡진 가장자리(30)의 단부(53)와 접촉하도록 하우징(54) 내에 배치된다.
기계적 장착 수단들에 대하여 유효한 그 실시예들은 전기 기계적 장착 수단들에도 마찬가지로 해당된다.
변형예로서, 바닥부(9)는 각각 2개의 단부(18a, 18b)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덕션 코일(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10은 용기(3)의 벽면상에 장착된 전기접속부(19a, 19b)에 접속하게 되어 있는 단부(18a, 18b)를 각각 구비한 2개의 인덕션 코일(16)을 포함하는 용기(3)의 바닥부(9)를 도시한다. 인덕션 코일(16)들 중 하나는 나머지 코일(16)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 코일들은 거의 동심원을 이룬다. 루프 형태의 코일(16)은 약 20 W를 회수한다.
그 실시예에서, 손잡이는 용기의 벽면상에 배치된 4개의 접점들에 접속 가능한 4개의 접점들을 포함한다(도시되지 않음).
변형예로서, 바닥부(9)가 2개의 인덕션 코일(16)들을 포함할 때, 손잡이는 2개의 접속 접점(10, 10')들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에 대하여 손잡이를 다르게 위치시킴으로써, 손잡이의 접점들을 하나의 코일 또는 나머지 코일 상에 접속할 수 있다. 코일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 가능하다. 그 경우 단 2개의 상보 접점(11, 11')만을 형성하도록 전기접속부들(19a, 19b) 및 상보 접점(11, 11')을 용기의 표면상에 위치시킨다.
변형예로서, 용기가 네 개의 접점들을 포함할 때, 손잡이는 급전해야하는 전기기구에 따라 여러 다른 전압을 수득하기 위하여 병렬화 또는 직렬화를 보장한다. 손잡이 내에서의 전자 변환 또는 용기 상에서의 손잡이의 다른 위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
루프 또는 나선의 개수는 급전해야 하는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의 에너지 필요량에 따라 적용되도록 되어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100 mW를 소비하고 장착 수단의 이동식 조오(2a)를 작동하기 위하여는 6 W가 소모된다. 따라서 20 W를 회수하는 단 하나의 루프가 필요하다.
코일(16)은 구리, 은, 알루미늄, 또는 그 원소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한다.
코일(16)의 기하학 형태는 나선의 물질, 지름 및 단면적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코일은 용기(3)의 바닥부(9)의 반경 중간에 위치한다.
실시예로서, 코일(16)은 용기 외면상에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일 수 있다.
코일(16) 및 전기접속부(19a, 19b)는, 코일(16)과 금속성인 용기(3)의 외면(14b, 14c) 사이에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증착에 의해 배치된, 전기 절연층 덕분으로 용기(3)의 컬로트의 나머지 부분과 전기 절연된다.
용기와 트랙 사이의 유일한 접점은 코일에 의해 전류가 연속적으로 순환되므로 아무 영향이 없다. 이는 제조 과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한 절연은 무한정일 필요는 없다. 저항값은 전류가 주로 용기를 통하여서가 아닌 트랙에 의해서 순환되도록 충분히 크다. 용기의 저항은 트랙의 저항 및 충전 전하량을 초과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충전 저항은 트랙 저항을 상당히 초과한다. 24V하에서 6 W 전력을 위한 전하량에 대응하는 저항은 100 ohm으로서, 100 ohm을 초과한 값, 이상적으로는 무한정한 값이 필요하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1)의 접속 접점(10, 10')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복원 수단들(24)에 의해 눌려지는 전기 접촉 단자들(23)이다. 그것들은 접촉 저항을 100 mohm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0 mohm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특히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각 전기 접촉 단자(23)는 길죽한 형태와 원형 단면을 갖는다. 각 전기 접촉 단자(23)는 적어도 0.5 A의 전류, 바람직하게는 3A의 전류에 저항하기 위하여 적어도 0.75 mm2의 단면을 갖는다.
각 전기 접촉 단자(23)는 용기(3)의 상보 접점(11, 11'), 더욱 명확하게는 용기(3)의 전기접속부(19a, 19b)와 접촉하게 되어있는 그것의 단부들 중 하나에 헤드(26)를 포함한다. 그 헤드(26)는 바람직하게는 둥글거나 볼록한 형태이다.
각 전기 접촉 단자(23)는 원통 형태의 지지부(39) 내에 유지되고 그 전기 접촉 단자(23)가 하나의 접점과 접촉하지 않는 펼침 위치(도6)와 그 전기 접촉 단자(23)가 용기(3)의 상보 접점(11, 11')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고 압축되어 있는 오므림 위치(도7) 사이에서 지지부(39)에 대하여 병진 이동 가능하다.
그 지지부(39)는 그 단자의 중앙부를 둘러싸는 용수철(24)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 용수철(24)은 외부를 향하여 전기 접촉 단자(23)의 헤드(26) 하부에 대항하여 힘을 가한다. 그 용수철(24)은 지지부(39)의 바닥부에 대항하여 누른다. 그 전기 접촉 단자(23)는 그것의 나머지 단부에 위치하고 지지부(39)의 외부에 배치된 족부(foot)(40)를 포함한다. 그 족부(40)는 단자(23)가 펼침 위치(도6)에 있을 때 지지부(39)의 외면에 대향하여 기대게 된다. 단자의 헤드(26)는 또한 지지부(39)의 외부에 배치된다. 헤드(26)는 단자(23)가 오므림 위치(도7)에 있을 때 지지부(39)의 외부 전방 면에 대향 하여 기댄다. 따라서, 단자(23)는 그 지지부(39)에 의해 유지되면서 지지부(39)에 대하여 이동한다.
단자(23), 지지부(39) 및 용수철(2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손잡이의 고정식 조오(2b)가, 즉 그립 본체(7)의 전방부(17)가 탑재한다. 단자의 헤드(26)는 단자(23)가 펼침 위치(도6)에 있을 때 고정식 조오(2b)의 표면(12)상으로 돌출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3)의 각 전기 접속부(19a, 19b)는 손잡이(1) 상에 구비된 전기 접촉 단자(23)들 중 하나의 단부(2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형 접점(25)을 포함한다. 오목형 접점(25)은 용기(3)의 측벽(4) 내에서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단자(23)의 헤드(26)는 오목형 접점(25)의 형태와 상보적인 볼록 형태를 갖는다. 오목형 접점(25)은 손잡이(1)의 최상의 전기 접촉 및 최상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단자(23)의 헤드(26)는 고정식 조오(2b)의 접촉면(12) 상의 돌출부와 추가 압점의 형성을 피하면서, 오목형 접점(2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오와 벽 사이의 광범위한 접촉면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식 조오(2b)의 거의 모든 면이 측벽(4)의 외면(14c)에 대향하여 기댄다.
도2의 실시예의 경우에, 각 전기 접속부(19a, 19b)는 용기(3)의 가장자리(20) 근방에 배치된 단 하나의 오목형 접점(25)을 포함한다. 오목형 접점(25)은 용기(3)의 상보 접점(11, 11')을 형성한다.
도4의 실시예의 경우, 전기 접속부(19a, 19b)의 각 둘레부(21a, 21b)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형 접점(25) 및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둘레 상에 분배된 다수의 오목형 접점(25)들을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가능한 손잡이 장착 위치를 수득할 수 있다.
용기(3)가 인덕션 플레이트 상에 놓일 때, 인덕션 플레이트의 인덕터는 가열하는 용기(3)에 의해 수집되는 자속을 생성한다. 에너지의 일부가 코일(16)에 의해 회수되고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 및/또는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에 급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일은 용기(3)의 가열을 교란시키지 않기 위하여 가능한 최대로 가늘다. 구리 코일의 두께와 폭은 내부 순환 전류를 갖지 않도록 가능한 최대로 가늘어야 한다. 그와 같이 그 코일 내에 유도된 전류는 일반적으로 약 25 KHz 주파수의 교류이다. 정류기와 필터링 수단들이 마련될 수 있다. 반작용 손실을 피하기 위한 컨덴서(공진으로 작동하는 인덕턴스를 보상하는) 또한 마련될 수 있다. 전압 조절기 또한 마련될 수 있다. 그 소자들은 손잡이(1) 내에 수용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전동식 장착 수단을 이루는 장착 수단들(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는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들(27)을 포함한다. 그 디바이스는 모터(28) 및 그 모터(28)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 디바이스(29)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디바이스(29)는 이동식 조오(2a)를 작동하게 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장착 수단들은 기계식일 수 있고 손잡이(1)에 결합 되고 용기의 측벽 상에 마련된 오리피스 내에 삽입되게 되어 있는 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루-너트 시스템 등의 다른 장착 수단들 또한 가능하다. 그 경우,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수단들 또는 모터(28)에 의해 작동되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수단들은 용기(3)의 측벽(4) 또는 그 측벽에 결합된 스티럽(stirrup)과 같은 용기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립 본체(7)는 길죽한 형태를 갖고 종방향(X)을 따라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집게를 형성하는 2개의 조오(2a, 2b)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X)으로 움직일 수 있다.
손잡이는 조리 용구 유형(냄비, 팬 등)의 용기(3)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측벽(4)은 부어 내는 용도의 돌출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부 위에 굴곡진 가장자리(30)를 가질 수 있다. 도3 및 도12의 실시예는 외부를 향하여 굴곡진 가장자리(30)를 포함하는 측벽(4)을 위해 제시된다. 고정식 조오(2b)는 그립 본체(7)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명확하게는, 그립 본체(7)는 용기(3)의 측벽(4)의 외면(14c)과 접촉하게 되어 있는 접촉면을 갖는 전방부(17)를 포함한다. 본체의 전방부(17)의 접촉면은 측벽(4)의 외면(14c)의 형태와, 더욱 명확하게는 용기(3)의 굴곡진 가장자리(30)의 외면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다. 더욱 특별하게는, 그립 본체(7)의 전방부(17)의 접촉면은 그립 본체(7)의 내부를 향하여 굴곡진 부분(32)에 의해 연장되는 평평한 부분(31)을 갖는다. 그립 본체(7)는 바람직하게는 베이클라이트로 되어 있다. 탈부착 가능 손잡이(1)가 용기(3) 상에 장착될 때, 그 손잡이는 용기(3) 측벽(4)의 탄젠트 면에 거의 수직이다. 이동식 조오(2a)는 측벽의 내면(14d)의 형태와, 더욱 명확하게는 용기(3)의 굴곡진 가장자리(30)의 내면의 형태와, 상보적 형태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손잡이(1)의 집게를 형성하는 2개의 조오(2a, 2b)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가장자리 없는 곧은 측벽 상에 장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동식 조오(2a)는 그립 본체(7) 내에 마련된 슬라이드 홈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아암(33)에 의해 연장된다. 그 아암(33)은 종방향(X)을 따라 연장된다. 그것은 납작한 형태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모터(28)는 예를 들어 전자석, 보조모터, 압축공기식 잭 또는 전기작동식 잭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전기모터(28)는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6) 및/또는 코일(16)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다. 전기모터(28)는 회전구동되는 축(34)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기모터(28)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전기모터(28)의 회전 속도는 적어도 분당 340 회전이며, 바람직하게는 분당 360 회전이다. 모터의 구동 우력은 적어도 80 mN/m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mN/m이다.
작동 디바이스(29)는 전기모터(28)의 회전운동을 이동식 조오(2a)와 연동 되는 제2 트랜스미션 수단들(36)에 전달하여 이동식 조오(2a)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을 일으키도록 적용된 제1 트랜스미션 수단들(35)을 포함한다.
가능한 변형예에 따르면, 제1 트랜스미션 수단들(35)은 전지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스레드 로드(threaded rod)(35)를 포함한다. 제2 트랜스미션 수단들(36)은 스레드 로드(35) 내에 구속되는 스레드 오리피스(threaded orifice)를 구비한 이동식 소자(36)를 포함한다. 스레드 로드(35)의 회전은 그 스레드 로드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식 소자(36)의 병진 이동을 일으키고 그 결과 이동식 조오(2a)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구동한다. 스레드 로드(35)는 무한 스레드 나사일 수 있다. 스레드 로드(35)는 전기모터(28)의 축(34)에 연결된다. 스레드 로드(35), 축(34) 및 이동식 집게를 형성하는 조오(2a, 2b)는 종방향(X)을 따라 거의 일렬로 정렬된다. 스레드 로드(35)는 회전식이며 병진운동은 하지 않는다.
스레드 로드(35) 및 이동식 소자의 스레드 오리피스(36)는 이동식 조오(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식 조오(2a)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0.65 mm 내지 0.85 mm 사이에 포함되는 나선 피치(pitch)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나선 피치는 0.75 mm이다.
실시예로서, 스레드 로드(35)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식 소자(36)의 10 mm 병진 이동에 해당하는, 이동식 조오(2a)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10 mm 이동 경로를 위하여 모터의 속도는 분당 360 회전이고 스레드 로드(35) 및 이동식 소자(36)의 스레드 오리피스의 나선 피치는 0.75 mm이다. 그러한 컨피규레이션은 이동식 조오(2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효과적으로 이동식 조오(2a)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동식 소자(36)는 예를 들어 너트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작동 디바이스(29)는 기어 시스템{피니언(pinion) / 래크(rack) 또는 원뿔형 바퀴 또는 원통형 바퀴}, 볼(ball) 시스템(볼 스크루), 도르래, 벨트, 톱니바퀴, 체인, 마찰에 의한 트랜스미션 또는 크랭크 암 / 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조오(2a)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일 수 있다. 이동식 조오(2a)는 슬라이드를 형성하고 그립 본체(7) 내부로 연장되는 직선 아암(33)에 의해 연장된다. 그 아암(33)은 이동식 조오(2a)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그립 본체(7) 내에 마련된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제2 트랜스미션 수단들(36) 및 더욱 명확하게는 이동식 소자(36)는 그 아암(33)과 연동한다. 주어진 실시예에서, 이동식 소자(36)는 아암(33)에 장착되어 있다.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1)는 전기 모터(28)의 회전 방향을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그립 본체(7)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스위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향은 이동식 조오(2a)의 개방에 할당된다. 제2 반대 회전 방향은 이동식 조오(2a)의 폐쇄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이동식 조오(2a)의 폐쇄에 할당된 회전 방향이 스위치(37)에 의해 사전 선택되었을 때, 제어용 버튼(27) 상에 가해진 압력이 전기모터(28)를 그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이동식 조오(2a)를 폐쇄하도록 한다.
변형예로서, 탈부착 가능 손잡이(1)는 용기(3)와 접한, 또는 용기(3)와 매우 근접한 손잡이(1)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의 작동으로써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이동식 조오(2a)의 자동 폐쇄를 구동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장착 수단들 이외의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음식물을 교반, 분쇄, 혼합하기 위한 전기 기계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는 축에 연결된 회전식 브러시 또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실시예에서, 손잡이(1)는 수동으로 또는 전기 기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장착 수단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그 전기 기계 디바이스는 스레드 로드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캠은 스레드 로드와 연동되고 그 스레드 로드의 전방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캠은 그립 본체(7) 내에 마련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그 하우징은 그립 본체(7)의 상부 면을 통하여 외부로 열려있다. 캠은 그 캠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휴식 위치와 그 캠이 손잡이(1)의 상부 면 상으로 돌출되는 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전기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 휴식 위치에서, 캠의 주축은 손잡이(1)의 수평면과 거의 평행하다. 활성 위치에서, 캠의 주축은 손잡이(1)의 수평면과 거의 수직이고 손잡이(1)가 수평 지지대 상에 놓인 용기(3)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부를 향한다. 그 활성 위치에서, 캠은 손잡이(1)의 상부 면 상에서 돌출되고 음식물이 용기(3) 내에서 가열될 때 수증기 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용기(3) 상에 놓인 뚜껑의 가장자리를 다소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변형예로서, 전기 기계 디바이스는 그 자체는 전기모터(28)(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스레드 로드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톱니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톱니바퀴는 스레드 로드와 연동되고 스레드 로드의 전방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톱니바퀴는 그립 본체(7) 내에 마련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그 하우징은 그립 본체(7)의 상부 면을 통하여 외부를 향해 열려있다. 톱니바퀴는 뚜껑 상에 배치된 래크를 구동하도록 전기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 래크는 용기(3)의 바닥부에 배치된 음식물(예를 들어, 퓌레,야채 볶음, 수프)을 교반할 수 있게 하는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한다.
변형예로서, 손잡이(1)는 용기 위에 놓인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리프팅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6) 및/또는 코일(16)에 의해 급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디스플레이 수단들은 무엇보다도 전기에너지의 지속시간, 시각, 잔여 조리시간 또는 용기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예를 들어 액정 크리스털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크리스털 스크린은 손잡이(1)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또는 용기(3) 내에 들어있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등의 측정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또는 무게는 액정 크리스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손잡이(1)는 시계와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수단들은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6) 및/또는 코일(16)에 의해 급전되고 전자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정보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수단들은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6) 및/또는 코일(16)에 의해 급전되는 라디오주파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회로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스테이션은 손잡이(1)로 조리 레시피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레시피는 액정 크리스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손잡이(1)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용기의 온도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용기(3) 내의 음식물들을 조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다이오드 등의 조명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수단들은 손잡이(1)의 상부면 상에서 전방부에 배치된다. 조명 수단들은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들(6) 및/또는 코일(16)에 의해 급전된다.
상기 변형예들은 용기(3)에 영구적으로 장착된 손잡이 도는 용기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에 가능하다.
전자 카드 또는 전자 회로는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 방향, 이동식 조오(2a)의 조임 상태 감지, 손잡이(1) 상태(개방/폐쇄, 작동지속시간, 특정 문제)에 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리물품용 용기(3)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용기(3)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층으로 형성되고 음식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그 층들 중 한 층은 철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하나의 바닥부(9)와 그 바닥부(9)의 둘레에 세워진 측벽(4)을 갖게 되도록, 용기(3)에 오목 형태를 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16)이 용기(3)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장착된다.
그 방법은 또한 전기 접속부(19a, 19b)를 용기(3)의 벽 외면(14c) 또는 내면(14d) 상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의 일부분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단계는 코일(16) 장착 단계 이후에 실시된다.
전기 접속부(19a, 19b) 및 코일(16)은 용기의 동일한 면, 외면 또는 내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에, 전기절연층이 용기(3)의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증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16)이 그 전기절연층 상에 장착된다.
전기접속부(19a, 19b) 및 코일(16)은 경우에 따라 또 다른 전기절연층으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일(16)은 증착에 의해 장착된다. 그 증착은 실크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용사(thermal spray), 전사 또는 레이저 소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코일(16)의 장착은 절연된 도선의 기계적 삽입으로 실시될 수 있다.
용기 하나만으로도 진보성이 있으므로 그 자체만 따로 청구범위로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예로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품은 교반기(72)를 구동하는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를 포함하는 뚜껑(1') 및 손잡이(1)를 포함할 수 있다.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은, 뚜껑(70) 상에 마련된 전기 접속부(73)에 의해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접속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한다. 그 2개의 접속 접점(10, 10')은 용기의 2개의 상보 접점(11, 11')에 접속가능하다(도15a).
변형예로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품은 용기의 상부 개방부 둘레로 안정되도록(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하도록), 디스크 방식으로, 놓이고, 용기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LED를 포함하는 조명용 부속품(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용 부속품(1'')은 LED에 연결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한다. 그 2개의 접속 접점(10, 10')은 용기의 2개의 상보 접점(11, 11')에 접속가능하다. 충분한 조명을 위한 백색 LED에 급전하기 위한 전류는 예를 들어 2W (>100mA)이다.
이전 실시예들은, 용기의 부속품이며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를 탑재한 조리 용구는 용기를 위한 유틸리티임을 개시한다(조명, 교반, 탑재용 소자). 용기의 (유일한) 전기 가열 또는 인덕션 가열 이외의 기능들이 그 조리 용구 자체 내에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조리 용구에 관한 것일 것이다. 따라서 특히 그것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또는 그것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잡고 있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그것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또는 그것에 의한 용기의 운반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로부터, 그 조리 용구 및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 각각:
* 전기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 및
* 그 접속 접점과 전기 접속 가능하고 코일(16)에 연결된 상보 접점(11, 11')
을 포함할 것이고,
- 그 조리 용구가 용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탑재될 것이고 따라서 상기 접점 및 상보 접점들에 의해 접촉되도록 적용될 것임도 또한
이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 탑재된 조리 용구는 용기에 접속 가능하고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장착 수단들(2)을 포함하고,
- 그 장착 수단들(2)은 용기 상의 조리 용구의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보 접촉면(13)과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접촉면(12)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1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속 접점(10, 10')을 지닐 것임도 바람직할 것임 또한
주목해야 한다.
도21 및 도22에서 용기(3)의 바닥부(9)는 강자성 등의 자화가능 금속으로 된 인서트(80)를 포함한다.
그 인서트는 금속 기재(83)의 가단성 금속층(81)에 장착된다. 그 층은 알루미늄으로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하여, 인서트(80)는 그 인서트가 장착될 가단성 금속층(81)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
그 인서트(도21) 또는 가단성 금속층(22)은 그 내부에 코일(16)이 배치된 홈(85)을 갖는다.
코일(16)은 전기 절연층(16a)으로 둘러싸여 있다.
금속 기재(83)의 바닥부의 층들(9a, 81, 80)은 여기서 온간 스탬핑에 의해 서로 고정되었다.
바닥부 층(9a) 둘레의 연속된 벽(4)은 금형 작업에 의해 수득 되었다.
홈(85)은 협소하게 코일을 둘러싸며 따라서 코일은 바람직하게는 절연된다. 압력하에 제조되므로, 홈(85)은 가단성 금속층들(80-81)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재폐쇄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시에 가단성 금속층(81)이 흘러나오는 경우일수록, 잠재적으로 홈(85)의 적어도 일부를 그것이 채우는 경우일수록 더 해당된다(도21). 도22에서, 가단성 금속층(81)은 절연된 코일(16) 형태를 금속과 거의 일치시켰다. 홈은 더 이상 거의 보이지 않는다.
도23에서 용기(3)의 바닥부(9)는 용기의 측벽(도21 및 도22와 같은)에 의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바닥부(도시되지 않음)의 부분의 가단성 금속층(9a)보다 더 단단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87)를 포함한다. 인서트(87)는 바람직하게는 자화 가능하다(인덕션 가열 겸용).
압력에 의해(예를 들어 스탬핑에 의해), 인서트(87)는 상기 부분(9a)의 최대한 가단성 있는 금속 내에 매립된다. 인서트(87)의 통로(89)를 통하여 그 최대 가단성 금속층이 흘렀다. 따라서, 2개의 층들(87, 9a)은 거의 통로(89)의 둘레 위치에 통로가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이른다.
인서트(87)의 내면(87a) 내에서 홈(91)은 코일(16)을 협소하게 둘러싸고 따라서 코일은 바람직하게는 절연된다. 압력하에 제조되므로, 홈(85)은 층들(9a-87)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거의 재폐쇄될 수 있다. 그 부분(9a)의 가단성 금속층은 홈(85)을 채운다.
그 부분(9a)의 외벽(95) 내에 각인된 오목한 압흔(93)들은 또한 바닥부를 강화할 수 있다.
도24에서 용기의 바닥부(9)는 금속 기재(83)의 구조를 포함한다. 외부 층(97)(열원 또는 작업면과 맞닿게 되는)은 자화 가능하고, 여기서는 강자성이다. 그 외부 층(97)과 밀접하게 본딩되어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내부 금속층(99)이 있다. (14a)에 용기 내에서 음식물과 접촉할 수 있는 표면이 있다.
그 층들 중 한 층은 그 내부에 코일(16)이, 바람직하게는 (16a)에 의해 절연된 코일(16)이 배치된 홈(101)을 새로이 포함한다. 그것은 롤 본딩 된 것일 수 있다. 층들(97, 99)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홈(101)은 여기서 적용된 제조 방법에 따라 거의 폐쇄된다.
코일(16)을 갖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그 방법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이하 2개의 방법 중 하나를 따를 것이다.
1) 첫째로, 코일이 금속 기재 용기의 바닥부(9)에 매립된 경우:
- a) 금속 기재가 상기 바닥부(9) 및 그 바닥부의 둘레에 서있는 측벽(4)을 갖도록 그 금속 기재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고,
- b) * 그 금속 기재 내에 코일(16)(바람직하게는 절연된)을 그 오목 형태 부여 시에 매립하거나(사례 1.1)
* 단계 a) 이전 또는 이후에 그러한 코일을 그 금속 기재가 포함하는 2개의 도전성 금속층 사이에 삽입한 후, 그 금속 기재 내에 그 코일을 매립하는 것(사례 1.2)이
권장된다.
사례 1.1은 전형적으로 성형작업일 수 있을 것이다. 사례 1.2는 전형적으로 스탬핑, 금형 작업, 롤 본딩일 수 있을 것이다.
코일이 금속 기재(83) 내에 매립되는 그 솔루션에서(예를 들어 도21-24 참조), 상기 2개의 도전성 금속층들(도23의 9a-87 또는 도24의 97-99) 사이를 점착성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 연결할 것이 권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코일(16)과 근접한 금속층들 사이에 전기절연층 피복(16a) 또는 전기절연 증착층을 삽입할 것이다.
2) 대체예로서, 금속 기재(83)상에 도금된(우선적으로 삽입된 절연물에 의해) 표면 코일(도2 또는 도4와 같이)로써, 용기의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그 용기의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코일(16)을 장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코일을 증착(패드 프린팅, 실트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장착할 것이 권장된다.

Claims (27)

  1.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으로서:
    - 음식물을 담기에 적합하고, 자화 가능한 바닥부(9) 및 상기 바닥부(9)의 연장면 내에서 상기 바닥부(9)의 둘레에 세워진 측벽(4)을 포함하는 금속 기재를 포함하는 용기(3)-상기 바닥부(9)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내면(14a)과 외부 인덕션 가열 수단(15) 상에 놓기에 적합한 외면(14b)을 가짐-; 및,
    -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 및,
    -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인덕션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속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6); 및
    -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를 포함하는, 손잡이 또는 뚜껑 과 같은, 상기 용기의 부속품인 조리 용구
    를 포함하는 인덕션 가열 겸용 조리 물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은 상기 바닥부(9) 영역에서,
    - 상기 금속 기재를 포함하는 용기(3)의 상기 바닥부(9)의 상기 내면(14a) 또는 외면(14b) 상에, 또는,
    - 상기 금속 기재 내에서:
    * 성형된 금속 물질 내에 매립되거나,
    * 점착성 접착제 없이, 변형 또는 물리-화학적 금속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금속층들 내에 매립되어,
    - 상기 조리 용구 및 상기 용기는:
    - 각각:
    *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 및
    * 상기 접속 접점과 전기 접속 가능하고 상기 코일(16)에 연결된 상보 접점(11, 11')을
    포함하고,
    - 상기 조리 용구가 상기 용기에 안전하게 탑재되도록 하고, 따라서 상기 접속 접점들 및 상보 접점에 의해 접촉하도록 적용되며,
    - 상기 코일(16)은 개방된 루프 및 상기 용기(3)의 벽에 장착된 전기 접속부(19a, 19b)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18a, 18b)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속부(19a, 19b)는 상기 측벽(4)의 상부 가장자리(20)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상기 용기(3)의 상보 접점(11, 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 금속 기재 구조, 또는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 또는
    * 상기 금속 기재의 가단성 금속층에 장착된, 또는 상기 가단성 금속층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 금속으로 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금속 기재 내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금속 기재 내에서 상기 코일은 도전성인 상기 금속 기재로부터 상기 코일을 분리하는 전기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은 상기 금속 기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16)은 전기 절연층에 의해 상기 금속 기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은, 알루미늄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층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바닥부(9)의 외면(14b)을 포함하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2개의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물품은 상기 조리물품의 파지를 위하여 상기 용기(3) 상에 장착되는 손잡이(1)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는:
    - 상기 용기(3)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용기(3)로부터 분리 가능한 장착 수단들(2), 및
    -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3) 상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1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보 접점(11, 11')과 전기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들(2)은, 상기 용기(3) 상의 상기 손잡이(1)의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3) 상에 마련된 상보 접촉면(13)과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접촉면(12)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수단들(2)의 상기 접촉면(12)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조리 용구는 상기 용기(3)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용기(3)로부터 분리 가능한 장착 수단들(2)을 포함하고,
    - 상기 장착 수단들(2)은, 상기 용기(3) 상의 상기 조리 용구의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3) 상의 상보 접촉면(13)과 접촉하게 되도록 적용된 접촉면(12)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수단들(2)의 상기 접촉 면(1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들(2)은 상기 손잡이(1)를 장착하기 위하여 집게를 형성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2개의 조오(2a, 2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조오(2a, 2b)들 중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오(2a, 2b)들은 적어도 하나의 상보 접점(11, 11')이 상부에 배치된 상기 용기(3)의 벽(4)을 집으며, 상기 손잡이(1)의 각 접속 접점(10, 10')은 상기 상보 접점(11, 11')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집게를 형성하는 상기 2개의 조오(2a, 2b)들은 하나의 고정식 조오(2b) 및 그립 본체(7)에 대하여 이동식인 하나의 조오(2a)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접점(10, 10')은 상기 고정식 조오(2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 접점(10, 10')은, 접촉 저항을 100 mohms 미만으로, 또는 10 mohms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탄성 복원 수단들(24)에 의하여 눌려지는 전기 접촉용 단자(23)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4. 삭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2개의 전기 접속부(19a, 19b)는 거의 직선이고, 상기 용기(3)의 상기 바닥부(9)에 수직이며 서로 인접하고,
    - 상기 손잡이(1)는 상기 전기 접속부(19a, 19b)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바닥부(9)에 거의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 각 전기 접속부(19a, 19b)는 상기 벽을 둘러싸는 둘레부(21a, 21b) 및 상기 둘레부(21a, 21b)를 상기 코일(16)의 단부들(18a, 18b) 중 하나에 연결하는 중간부(22a, 22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둘레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 상기 손잡이(1)는 상기 각 둘레부(21a, 21b)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용기(3)의 바닥부(9)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정렬된 2개의 접속 접점(10,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은 상기 용기(3)에 증착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19a, 19b)들 사이의 거리는 4A의 전류에 대하여 인덕턴스가 100 μH 미만이 되도록 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는 그립 본체(7) 내에 수용된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6)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 수단(6)들은 그것의 전기에너지의 재충전을 위하여 상기 코일(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5)는 전동식 장착 수단들을 이루는 장착 수단들(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자화 가능한 금속으로 된 인서트(80, 87)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80, 87)는:
    - 상기 금속 기재의 가단성 금속층에 장착되고, 또는
    - 상기 인서트(80, 87)가 장착된 상기 가단성 금속층보다 더 단단하며,
    상기 인서트 또는 상기 가단성 금속층은 상기 코일(16)이 그 내부에 배치된 홈(85, 9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자화 가능한 외층(97)을 갖는 금속 기재(97, 99)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층들 중 한 층은 상기 코일(16)이 그 내부에 배치된 홈(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
  23. 조리 물품의 용기(3)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적어도 하나의 가단성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음식물을 담기에 적합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용기(3)가 바닥부(9)와 상기 바닥부(9)의 둘레에 세워진 측벽(4)을 갖게 되도록 상기 용기(3)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16)이 상기 용기(3)의 상기 바닥부(9)의 외면(14b) 또는 내면(14a)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조리 물품의 용기(3)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금속 기재를 포함하고 내면에서 음식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방법은:
    - a) 상기 금속 기재가 바닥부(9)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에서 세워진 측벽(4)을 갖게 되도록 상기 금속 기재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 및
    - b) * 상기 오목 형태 부여시에 상기 금속 기재 내에 코일(16)을 매립하는 단계, 또는
    * 상기 단계 a)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금속 기재가 포함하는 2개의 도전성 금속 층들 사이에 상기 코일(16)을 삽입시킨 후, 상기 코일을 상기 금속 기재 내에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을 상기 금속 기재 내에, 접착제 없이, 변형 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 2개의 도전성 금속 층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면서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과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금속 층들 사이에 전기 절연층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6)을 증착에 의해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03454A 2011-07-13 2012-07-11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9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6375 2011-07-13
FR1156375A FR2977776B1 (fr) 2011-07-13 2011-07-13 Article culinaire alimente par induction et procede pour fabriquer le recipient d'un tel article
PCT/FR2012/051643 WO2013007953A1 (fr) 2011-07-13 2012-07-11 Article culinaire alimente par induction et procede pour fabriquer le recipient d'un tel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182A KR20140053182A (ko) 2014-05-07
KR101894618B1 true KR101894618B1 (ko) 2018-10-04

Family

ID=4663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454A KR101894618B1 (ko) 2011-07-13 2012-07-11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731475B1 (ko)
JP (1) JP6223970B2 (ko)
KR (1) KR101894618B1 (ko)
CN (1) CN103648336B (ko)
ES (1) ES2688352T3 (ko)
FR (1) FR2977776B1 (ko)
WO (1) WO2013007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786A1 (en) * 2012-10-11 2014-04-17 Arcelik Anonim Sirketi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US20150257576A1 (en) * 2012-10-11 2015-09-17 Arcelik Anonim Sirketi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EP2823740B1 (de) * 2013-07-12 2018-02-28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FR3010609B1 (fr) * 2013-09-06 2017-10-20 Seb Sa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cooperant avec un recipient de cuisson
FR3010293B1 (fr) * 2013-09-06 2015-09-25 Seb Sa Calotte d'un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support muni d'un dispositif electrique
FR3015210B1 (fr) * 2013-12-20 2016-01-01 Seb Sa Article culinaire inductif communicant et procede d'appairage d'un tel article
MX2016008034A (es) * 2013-12-20 2017-03-03 Saudi Basic Ind Corp Composicion de poliolefina.
US20150245419A1 (en) * 2014-02-25 2015-08-27 Whirlpool Corporation Glass pan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formed induction layer
CN105725868A (zh) * 2014-12-09 2016-07-06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自发热电炒勺
KR20170017165A (ko) * 2015-08-05 2017-02-1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FR3041518B1 (fr) * 2015-09-29 2017-10-20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DE102017102452A1 (de) 2017-02-08 2018-08-09 Axel Fickert Topf mit integrierter Energiewandlungseinheit und Rührvorrichtung
CN111447861B (zh) * 2017-12-07 2021-12-10 三菱电机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CN108955746A (zh) * 2018-04-28 2018-12-07 百色学院 可回收无线传感器
KR102088174B1 (ko) 2018-05-14 2020-03-13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교반기 및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
CN108497917B (zh) * 2018-05-31 2024-04-19 武义华康电器有限公司 夹钳式压力锅
KR101995318B1 (ko) * 2018-08-30 2019-07-03 김민석 자동 요리 지원이 가능한 취사 기구
IT201900013785A1 (it) * 2019-08-02 2021-02-02 Irca Spa Riscaldatore a induzione per un piano di cottura
DE102020109490A1 (de) 2020-04-06 2021-10-07 Miele & Cie. Kg Küchengeschirr
FR3113360A1 (fr) * 2020-08-11 2022-02-18 Patrick Herbault Ustensile de cuisine alimenté par plaque de cuisson à induction
DE102021126808A1 (de) 2021-10-15 2023-04-20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chgeschirrs und Kochgeschirr
DE102021126810A1 (de) 2021-10-15 2023-04-20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chgeschirrs und Kochgeschirr
EP4368076A1 (de) * 2022-11-09 2024-05-15 Miele & Cie. KG Kochgeschirr, koch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432A (ja) * 1999-11-01 2001-07-17 Nikkei Products Co 容器の着脱式取手
JP2006102084A (ja) * 2004-10-05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用被加熱容器
JP2008510531A (ja) * 2004-08-26 2008-04-10 クラード リツェンツ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磁誘導コンロに適した調理器具を変形によって製造するための多層プレート状の複合材
WO2010080738A1 (en) * 2009-01-06 2010-07-1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mart cookwa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178A (en) * 1971-12-29 1973-06-26 Gen Electric Induction cooking appliance including cooking vessel having mean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temperature data
JP2847837B2 (ja) * 1989-12-20 1999-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用鍋と誘導加熱調理器
AU2411599A (en) * 1998-02-10 1999-08-30 Aktiebolaget Electrolux A control system for use with induction heating cooktops
US6534753B1 (en) * 2000-06-15 2003-03-18 Wilmingt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Backup power supply charged by induction driven power supply for circuits accompanying portable heated container
KR20050052082A (en) * 2003-11-29 200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composite cooking apparatus
FR2898031B1 (fr) 2006-03-06 2008-04-18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FR2898032B1 (fr) 2006-03-06 2008-04-18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avec moyens d'ouverture des organes formant pince
FR2919168B1 (fr) 2007-07-25 2009-09-11 Seb Sa Article culinaire en fonte d'aluminium compatible avec un chauffage par induc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19484B1 (fr) * 2007-08-01 2014-02-07 Seb Sa Article culinaire a fentes allongees anti-deformation.
US20090065498A1 (en) * 2007-09-07 2009-03-12 Bose Corporation Induction cookw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432A (ja) * 1999-11-01 2001-07-17 Nikkei Products Co 容器の着脱式取手
JP2008510531A (ja) * 2004-08-26 2008-04-10 クラード リツェンツ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磁誘導コンロに適した調理器具を変形によって製造するための多層プレート状の複合材
JP2006102084A (ja) * 2004-10-05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用被加熱容器
WO2010080738A1 (en) * 2009-01-06 2010-07-1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mart cook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7953A1 (fr) 2013-01-17
EP2731475B1 (fr) 2018-08-08
KR20140053182A (ko) 2014-05-07
ES2688352T3 (es) 2018-11-02
FR2977776A1 (fr) 2013-01-18
CN103648336A (zh) 2014-03-19
JP2014520624A (ja) 2014-08-25
EP2731475A1 (fr) 2014-05-21
JP6223970B2 (ja) 2017-11-01
CN103648336B (zh) 2016-08-17
FR2977776B1 (fr)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18B1 (ko) 인덕션 급전 조리 물품 및 그러한 조리 물품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69130B1 (ko) 재충전 가능한 탈부착 가능 손잡이
US11641700B2 (en) Induction heater and dispenser
EP2907363B1 (en)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KR101965015B1 (ko) 탈부착 가능한 전기 기계 그립 디바이스
KR102579343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
KR101889129B1 (ko) 가열 측벽을 갖는 조리 물품 및 방법
KR20140109921A (ko) 유도 쿠킹 시스템
EP2380397A1 (de) Haushaltsgerät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CN102014714A (zh) 使牛奶或其它奶基液体发泡的装置
US20190104573A1 (en) 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978833B1 (en) Cooling device and cooking system
EP3446543B1 (en) Induction heater and dispenser
CN205433293U (zh) 烹饪器具
CN211022058U (zh) 磁感加热保温杯装置
CN212878893U (zh) 一种锅具及电磁烹饪器具
CN218588835U (zh) 一种烹饪效果好的炒菜机
CN110786701A (zh) 磁感加热保温杯装置
CN105534272A (zh) 一体化电磁锅
CN206963125U (zh) 用于电磁烹饪器具的线圈盘和具有其的电磁烹饪器具
KR20230018286A (ko) 발열 용기
CN208610535U (zh) 电磁炉用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