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78B1 -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78B1
KR101893778B1 KR1020160037849A KR20160037849A KR101893778B1 KR 101893778 B1 KR101893778 B1 KR 101893778B1 KR 1020160037849 A KR1020160037849 A KR 1020160037849A KR 20160037849 A KR20160037849 A KR 20160037849A KR 101893778 B1 KR101893778 B1 KR 10189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roller
connecting member
width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781A (ko
Inventor
강성우
Original Assignee
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우 filed Critical 강성우
Priority to KR102016003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7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공급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인출된 시트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결부재를 공급하는 연결부재 공급부; 상기 연결부재가 높여진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접착제를 배출하는 접착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접힘부를 형성하는 접힘 형성부; 및 상기 접힘 형성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를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인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DOWNSPOUT SHEET}
본 발명은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 외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발생하는 물방울들을 모으는 물받이 시트 또는 수막 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영하의 추운 겨울에도 농지를 활용한 소득을 올리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를 농지에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비닐하우스를 형성하는 비닐에 물방울이 발생되고, 그 물방울들이 바닥으로 낙하되어 고이거나 얼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난방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내부에 발생된 물방울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막 물받이 또는 수막 시트 내지 물받이 시트(10, 이하에서는 "물받이 시트"라고 함)가 사용된다.
물받이 시트(10)는 판상의 고무재 또는 비닐재로 제작되며,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된 기둥 또는 별도의 구조물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공되어 비닐에 맺혀 낙하하는 물방울을 포집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는 기둥과 연결되는 실과 같은 연결부재(5)가 마련되며, 이 연결부재(5)는 물받이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접어 형성된 접힘부(11)의 내측 공간에 마련된다.
따라서, 물받이 시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가 기둥 상에 연결됨에 따라 물방울을 포집할 수 있는 포물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는 기둥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물받이 시트(10)는 성형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나, 기존의 성형방식으로는 연결부재(4)를 수용하기 위한 접힘부(11)를 형성하기 어렵고 복잡하여 물받이 시트(10)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접힘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또한, 물받이 시트(10)의 사이즈마다 성형틀을 각각 제작하거나 대형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대형의 물받이 시트(10)를 성형한 뒤 재단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물받이 시트(10)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7147호의 '비닐하우스용 물받이 시트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폭방향 양단을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접힘부 내에 연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물받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시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시트에 형성되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시트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 물받이 시트가 정해진 방향으로 이송되지 않고 사행(斜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공급부;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인출된 시트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결부재를 공급하는 연결부재 공급부; 상기 연결부재가 놓여진 시트의 폭방향 양측을 접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접합 가능한 상태가된 시트의 폭방향 양단을 상기 시트의 중앙 쪽으로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접힘 형성부; 및 상기 접힘 형성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인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공급부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 사이에는 제1인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인장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에 마련된 권취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가이드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의 상기 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감겨져 있는 연결부재 권취롤러 및 상기 연결부재 권취롤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는 상기 제2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인출되는 상기 시트와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놓여진 상기 연결부재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인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인장부는,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3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4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놓인 상기 연결부재보다 상기 시트의 폭방향 중앙 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형성부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과 일단이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의 상면과 마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시트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부를 천공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펀칭부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부와 상기 접힘 형성부 사이에는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상기 시트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시키는 제3인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인장부는, 상기 접힘 형성부를 경유하여 이송된 상기 시트를 가이드하는 제5가이드롤러; 상기 제5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6가이드롤러; 상기 제6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7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7가이드롤러 보다 낮고 상기 제6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8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가이드롤러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유동방지홈이 상기 제5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접힘부를 형성하고 그 접힘부 내에 연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성형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나의 공정으로 즉시 사용이 가능한 물받이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는 다수개의 인장부를 구비하므로, 물받이 시트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주름이 발생하거나 물받이 시트가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주름 발생 또는 물받이 시트의 비스듬한 이송에 의해 물받이 시트가 파손되거나 제조 장치의 작동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물받이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받이 시트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시트 공급부와 연결부재 공급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접착부와 접힘 형성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3인장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물받이 시트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물받이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받이 시트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시트 공급부와 연결부재 공급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접착부와 접힘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3인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물받이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100)는, 시트 공급부(110)와, 상기 시트 공급부(110)에서 인출된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결부재(5)를 공급하는 연결부재 공급부(130)와, 상기 연결부재(5)가 놓여진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접착제를 배출하는 접착부(160)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접힘부(11)를 형성하는 접힘 형성부(170) 및 상기 접힘 형성부(17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10)를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인장부(120, 140,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공급부(110)는 권취롤러(111)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롤러(111)에는 띠형의 시트(10)가 롤 형태로 감겨 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시트(10)는 방수성을 가지는 고무재 또는 비닐재로 제작되며, 최초 작업시에 작업자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111) 상에서 풀려져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공급부(110)의 권취롤러(111)는 물받이 시트(10)가 이송되는 힘에 의해서 피동적으로 회전할 뿐 자체적인 회전 구동부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만약, 권취롤러(111)가 독자적인 회전 구동부가 있다면 권취롤러(111)에서 물받이 시트(10)가 풀려 나가는 속도와 인장부(120, 140, 180)에서 물받이 시트(10)를 끌어 당기는 힘 또는 속도가 다를 경우 물받이 시트(10)의 이송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는 상기 권취롤러(111)에 감기어진 시트(10)의 인출 방향 측에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감기어진 연결부재(5)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31)은 상기 시트 공급부(110)에서 인출되는 시트(10)의 폭방향 양측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31)에 마련된 연결부재 권취롤러(132)에 권취되어 있는 연결부재(5)는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인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재(5)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기둥이나 기타 기둥에 감기어져 묶여질 수 있는 실, 노끈 및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는 물받이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에서부터 동일한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연결부재(5)의 이송방향 및 이송속도는 물받이 시트(10)의 이송방향 및 이송속도와 동일해야 한다.
물받이 시트(10) 상에서 연결부재(5)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받이 시트(1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5)의 공급위치를 안내하고 연결부재(5)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부재 공급롤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5)는 지지브라켓(131)에 마련된 연결부재 권취롤러(132)에서 풀려 나온 후 연결부재 공급롤러를 거치면서 물받이 시트(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물받이 시트(10)와 연결부재(5)는 동일한 이송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시트 공급부(110)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 사이에는 제1인장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장부(120)는, 상기 시트 공급부(110)에서 인출된 시트(10)를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권취롤러(111)에서 인출된 시트(10)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제1가이드롤러(121) 및 제2가이드롤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121)는 상기 권취롤러(11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는 상기 권취롤러(111)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롤러(121) 및 제2 가이드롤러(123)는 물받이 시트(10)의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동시에 물받이 시트(10)가 이송에 필요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롤러(121) 및 제2 가이드롤러(123)는 물받이 시트(10)기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롤러이다. 만약, 물받이 시트(10)가 팽팽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면 후술하는 물받이 시트(10)가 구겨지거나 접혀진 상태로 제1이송부(150) 등에 진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럴 경우 물받이 시트(10)가 파손되거나 장치(100)에 고장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111)에서 인출된 시트(10)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121)의 상부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111)에서 인출된 시트(10)는 상향 경사진 자세로 인출되어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롤러(121)는 권취롤러(111) 보다 높은 지점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121)의 상부를 경유한 시트(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취롤러(111)에서 인출된 시트(10)는 상기 제1인장부(120)에 의해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에 마련된 연결부재(5)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을 향해 인출되어 시트(10)의 상부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와 상기 접착부(160) 사이에는 제2인장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장부(140)는,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를 경유하여 인출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놓여진 연결부재(5)가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송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제3가이드롤러(141) 및 제4가이드롤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롤러(141)와 상기 제4가이드롤러(143)는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되는 바,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에 근접한 측으로 배치된 상기 제3가이드롤러(141)가 상기 제4가이드롤러(143)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를 경유하여 인출되는 시트(10)는 상기 제3가이드롤러(141)의 상부와 상기 제4가이드롤러(143)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접착부(16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이드롤러(141)와 상기 제4가이드롤러(14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롤러(123)에서부터 제4 가이드롤러(143)를 거치면서 시트(10)가 팽팽한 긴장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인장부(140)와 상기 접착부(160) 사이에는 제1이송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150)는 상기 권취롤러(111)에 감기어진 시트(10)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에 마련된 연결부재(5)가 상기 권취롤러(111) 및 상기 지지 브라켓(131) 상에서 각각 인출되는 힘을 제공하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151, 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하에 마련된 한 쌍의 이송롤러(151, 153)의 사이에 끼인 상태로 물받이 시트(10)와 연결부재(5)가 이송되는 힘에 의해서 권취롤러(111)와 연결부재 권취롤러(132)에서부터 시트(10)와 연결부재(5)가 각각 풀려 이송된다. 따라서, 권취롤러(111) 및 연결부재 권취롤러(132)가 독자적인 구동력이 없어도 제1 이송부(150)에 의해서 시트(10) 및 연결부재(5)가 풀려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시트(10) 및 연결부재(5)가 한 쌍의 롤러(151, 153) 사이에서 끼인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151, 15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즉, 위쪽에 있는 이송롤러(1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아래쪽에 있는 이송롤러(15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 한다.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151, 153)는 상기 제2인장부(140)의 제4가이드롤러(143)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10)와 상기 연결부재(5)를 회전 가압하여 상기 접착부(16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15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 공급부로부터 접착제를 공급받아 상기 시트(10)상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160)는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연결부재(5)의 위치에서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중앙 측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부(160)는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5)보다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중앙 측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접착부(160)에서 배출되는 접착제가 상기 시트(10)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5)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접착부(160)에서 배출되는 접착제가 상기 연결부재(5)가 배치된 시트(10)로 도포되면 후술할 접힘부(1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5)가 접착제에 의해 시트(5)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유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부(160)는 접착제를 배출하는 노즐유닛(161)과 상기 노즐유닛(161)으로 접착제를 전달하는 공급관(1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구성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착부(160)는 시트(10)를 가열하여 후술하는 접힘부(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접착부(160)는 연결부재(5)가 놓인 일측의 시트(10)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5)의 위치를 기준으로 시트(10)의 가장자리와 마주 보는 부분을 접착부(160)가 가열할 수 있다. 접착부(160)는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접착부(160)의 열풍에 의해서 시트(10)는 어느 정도 녹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10)가 녹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접힘 형성부(170)에 의해서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이 접혀서 접힘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60)가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에 접착부(160)는 시트(10)의 상하면 각각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부(160)는 접착제와 열풍을 모도 이용하여 접힘부(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힘 형성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16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가열되어 어느 정도 녹은 상태의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접어 접힘부(11)를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힘 형성부(170)는,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171)과, 상기 프레임(171)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단과 접촉되는 접촉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73)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71)의 상부에서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착부(16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은 상기 접촉부재(173)의 하면에 의해 가압을 받아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세워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173)의 일단에는 경사면(17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10)의 가장자리 상면에 위치하는 접촉부재(173)의 하면에는 경사면(173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10)의 이송방향 정면에서 접촉부재(173)를 바라보면, 경사면(173a)은 접촉부재(173)의 상면에서부터 하면을 향해 쐐기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173)은 상기 접촉부재(173)의 일단에 의해 세워진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시트(10)의 폭방향 중앙 측으로 가압하여 접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73)에 의해 접혀진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은 상기 접착부(160)에서 배출된 접착제 또는 녹은 상태에 의해 시트(10)의 상면과 접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에 접힘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가 배치된 시트(10)의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173a)에 의해 접혀진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은 상기 연결부재(5)가 배치된 시트(10)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 즉,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10)의 부위와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힘부(11)에는 상기 연결부재(5)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173)는 시트(10)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7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힘 형성부(170)는 상기 접촉부재(17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175)과 상기 장공(175)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71)과 체결되는 체결부재(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71) 상에는 상기 접촉부재(173)에 형성된 장공(171)과 대응되는 또 다른 장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173)에 형성된 장공(175)과 상기 프레임(171)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177)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173)의 위치가 상기 프레임(171) 상에서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10)의 폭과 대응하여 상기 접촉부재(173)를 상기 프레임(171)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힘 형성부(170)에 의하여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에 접힘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힘 형성부(170)에 의하여 접힘부(11)가 형성된 시트(10)는 제3인장부(18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3인장부(180)는 상기 접힘부(11)가 형성된 시트(10)를 팽팽한 긴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접힘 형성부(180)와 후술할 펀칭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인장부(180)는, 상기 접힘 형성부(17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시트(10)의 폭방향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접힘부(11)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시트(10) 상에 고정적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인장부(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5가이드롤러(181) 내지 제8가이드롤러(1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 형성부(17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는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상부와 상기 제6가이드롤러(183)의 하부와 상기 제7가이드롤러(185)의 상부 및 상기 제8가이드롤러(187)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 내지 상기 제8가이드롤러(187)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채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높이는 상기 제6가이드롤러(18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가이드롤러(183)의 높이는 상기 제7가이드롤러(18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8가이드롤러(187)의 높이는 상기 제7가이드롤러(185)의 높이보다 낮고 제6가이드롤러(183) 보다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인장부(180)를 구성하는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 내지 제8가이드롤러(187)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3인장부(180)를 경유하는 시트(10)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여러 번 꺾여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시트(10)가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시트(10)가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사행(斜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유동방지홈(18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홈(181a)은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홈(181a)은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하는 시트(10)가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의 길이방향, 즉, 상기 시트(10)의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장부(18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는 상기 제5가이드롤러(181)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동방지홈(181a)에 의하여 직진성을 유지한 채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100)는 펀칭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칭부(200)는, 상기 제3인장부(180)를 경유하여 이송된 시트(10)에 다수개의 구멍(12, 도 1참조)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바, 상기 시트(10)의 접힘부(11)를 천공하여 기둥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12)을 형성한다.
상기 펀칭부(20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어 상기 제3인장부(180)를 경유한 시트(10)의 접힘부(11)를 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분야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펀칭부(200)와 상기 제3인장부(180)의 사이에는 제2이송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는 앞에서 설명되었던 제1이송부(150)와 마찬가지로, 상기 권취롤러(111)에 감기어진 시트(10)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130)에 마련된 연결부재(5)가 상기 권취롤러(111) 및 상기 지지 브라켓(131) 상에서 각각 인출되는 힘을 제공하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와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하에 배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191, 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190)의 이송롤러(191, 193)는 상기 제3인장부(18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시트(1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회전 가압하여 상기 펀칭부(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100)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접힘부(11)를 형성하고 그 접힘부(11) 내에 연결부재(5)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성형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받이 시트(1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수개의 성형틀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받이 시트(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물받이 시트(10)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물받이 시트(10)가 구겨지거나 물받이 시트(10)가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것을 다수개의 인장부(120, 140, 180))를 통하여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름에 의해 시트가 롤러 사이에 끼이는 현상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물받이 시트의 생산라인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부(160)에서 배출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시트(10)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접합방식을 통하여 시트(10)의 폭방향 양단을 시트(10)의 상면에 접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열융착 프레스를 이용하여 시트(10)의 폭방향 양단과 시트(10)의 상면에 열을 가하여 열접착 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110 : 시트 공급부 120 : 제1인장부
130 : 연결부재 공급부 140 : 제2인장부
150 : 제1이송부 160 : 접착부
170 : 접힘 형성부 180 : 제3인장부
190 : 제2이송부 200 : 펀칭부

Claims (12)

  1. 시트 공급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인출된 시트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결부재를 공급하는 연결부재 공급부; 상기 연결부재가 놓여진 시트의 폭방향 양측을 접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접합 가능한 시트의 폭방향 양단을 상기 시트의 중앙 쪽으로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접힘 형성부; 상기 접힘 형성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인장부; 및 상기 접힘부를 천공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펀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시트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제1인장부;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인장부를 경유하여 인출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놓여진 상기 연결부재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제2인장부; 및 상기 접힘 형성부와 상기 펀칭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상기 시트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제3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장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는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상기 시트를 인출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1이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인장부와 상기 펀칭부의 사이에는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상기 시트를 인출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2이송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힘부의 형성시 상기 연결부재와의 간섭 및 결합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놓인 상기 연결부재보다 상기 시트의 폭방향 중앙 측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장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에 마련된 권취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가이드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의 상기 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감겨져 있는 연결부재 권취롤러 및 상기 연결부재 권취롤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장부는,
    상기 연결부재 공급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3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4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형성부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과 일단이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시트의 폭방향 양단의 상면과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시트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장부는,
    상기 접힘 형성부를 경유하여 이송된 상기 시트를 가이드하는 제5가이드롤러;
    상기 제5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6가이드롤러;
    상기 제6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7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7가이드롤러 보다 낮고 상기 제6가이드롤러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제8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가이드롤러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유동방지홈이 상기 제5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KR1020160037849A 2016-03-29 2016-03-29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KR10189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49A KR101893778B1 (ko) 2016-03-29 2016-03-29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49A KR101893778B1 (ko) 2016-03-29 2016-03-29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81A KR20170111781A (ko) 2017-10-12
KR101893778B1 true KR101893778B1 (ko) 2018-08-31

Family

ID=601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49A KR101893778B1 (ko) 2016-03-29 2016-03-29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7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688A (ja) * 1998-06-26 2000-01-11 Takashi Uchino シート牽引装置及びシートの牽引方法
JP6061869B2 (ja) * 2011-02-17 2017-01-18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位置マッピン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37Y1 (ko) * 1993-08-25 1996-07-22 이정희 보강사가 삽입된 환기 조절용 비닐하우스 필름의 제조장치
KR20050094620A (ko) * 2004-03-23 2005-09-28 안찬진 연결끈이 설치된 비닐하우스용 수막 물받이 시트 및 그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688A (ja) * 1998-06-26 2000-01-11 Takashi Uchino シート牽引装置及びシートの牽引方法
JP6061869B2 (ja) * 2011-02-17 2017-01-18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位置マッピ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8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023B1 (ko) 지제(紙材)빨대, 이 지제 빨대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US20110039676A1 (en) Plastic bag making apparatus
US20070144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cellular structural panels
US1083611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ing fiber base material, and reinforcing fiber base material
KR101876446B1 (ko) 도장용 마스킹 필름 폴딩 장치
US11364702B2 (en) Straw forming machine
US9505189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flexible pouches from a continuous web of film
KR10160562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접착시트 제조장치
JPH04101952A (ja) ウエブ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製造装置
KR101786415B1 (ko) 중공사막 시트 형상물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893778B1 (ko)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KR101012991B1 (ko) 파우치 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1892U (ko) 4층 합지기의 접착제 도포장치
JP2004306577A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のための方法とその装置
KR100948392B1 (ko)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20190037622A (ko) 이중포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598859B1 (ko)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JP5677504B2 (ja) 養生シート設置装置及び養生シート設置方法
TWI599328B (zh) Followed by the member attaching device and the member attachment method
JP2009296960A (ja) 海苔の連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79781Y1 (ko) 초배지 제조장치
KR20120036043A (ko)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6879278B (zh) 种绳制造机
JP2009039018A (ja) 海苔連接装置及び海苔の連接方法
JP3749692B2 (ja) 積層複合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