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043A -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043A
KR20120036043A KR1020100097705A KR20100097705A KR20120036043A KR 20120036043 A KR20120036043 A KR 20120036043A KR 1020100097705 A KR1020100097705 A KR 1020100097705A KR 20100097705 A KR20100097705 A KR 20100097705A KR 20120036043 A KR20120036043 A KR 2012003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ingle yarn
roll
nozzle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548B1 (ko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이걸주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걸주,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이걸주
Priority to KR102010009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548B1/ko
Priority to US12/942,737 priority patent/US85789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3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45Extrusion nozzle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ly arranged ports, for simultaneously extruding multiple strands, e.g. for pelle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22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65/028Particular heating or weld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use of inherent heat, i.e. the heat for the joining comes from the moulding process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69General aspects of joining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간단한 제조 장치로 조밀한 단사를 가지는 시트을 제공하며, 동일한 재료로 더 향상된 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를 합지롤로 공급하는 시트 공급롤, 시트 공급롤로부터 공급된 시트에 단사가 형성되는 합지롤, 노즐을 통하여 합지롤을 통과하는 시트에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용융 상태로 공급하는 압출기, 및 시트에 접착된 단사에 의해 유로가 형성된 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시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PRODUCING METHOD AND PRODUCING APPARATUS OF SHEET PASTED SHORT YARN}
본 발명은 단사가 접착된 시트, 그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조밀한 유로가 형성되게 하는 단사가 접착되는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장시간의 보관을 필요로 하는 육류나 육류가공품을 포함하는 식품의 경우 진공이 가능한 비닐팩에 음식물을 담아 에어펌프나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고 입구를 밀봉하여 보관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포장용 비닐팩을 제조하기 위하여, 특허공개 제2002- 68468호에는 일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다르게는 특허 제465508호와 같이 단사를 시트에 부착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종래의 단사를 시트에 부착하는 방법이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법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다수의 압출구멍(7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72)를 갖는 압출기(70)의 몸체(71)에 삽입하고 압출하여 단사(1)를 직접 제조한 후, 시트에 접합하여 열가소성수지 단사의 제조공정과 시트의 제조과정을 일체화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 에서는 압출기(70)에서 나온 열가소성수지 단사(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홈(81)이 형성된 단사공급롤(80)과 역시 가이드홈(11)이 형성된 가이드 롤(10)을 거치면서 상부합지롤(22)에 이송되는데, 상기 압출기(70)에서 압출된 열가소성수지 단사(1)들은 용융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냉각효과를 갖는 단사공급롤(80)을 거치면서 단사(1)들을 고화시킨 다음 가이드 롤(1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열가소성수지 단사(1)들은 시트공급롤(30)에서 공급되어 하부합지롤(21)로 이송되어온 시트(2)와 가열기(4)에 의해 접촉부위의 외부 표면이 약간 용융된 상태에서 합지롤(20)에 의해 접착 및 압착되어 단사(1)와 시트(2)가 결합된 유로층을 갖는 진공 포장지용 시트(3)가 형성된다. 이렇게 접착된 시트(3)는 냉각롤(50)을 거쳐 권취롤(60)에 권취되면서 단사 돌출부를 갖는 시트로 완성되는 것이다.
도 2 에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단사가 부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압출기의 저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압출기(70)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저장할 수 있는 몸체(71)와, 하단부에는 다수의 압출구멍(7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노즐부(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출기(70)의 몸체(71)에 용융된 상태로 존재하는 수지들은 노즐부(72)의 압출구멍(73)을 통해 다수의 합성수지 단사(1)들이 압출되어 나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도 1 과 같이 단사의 제조와 단사의 접착이 별도의 공정에서 일어나는 경우,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가열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구멍(73)으로부터 압출되는 수지의 직경(D)은 단사 공급롤(80)에 부착되어 회전됨에 따라서, 늘어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수지의 직경(D)은 최종적으로 늘어난 직경(d)으로 단사 공급롤(8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부착되는 단사의 직경(d)이 압출구멍(73)에서 수지의 직경(D)보다 작기 때문에, 압출구멍(73) 사이의 간격은 단사 공급롤(80)에 부착될 때 더 넓어지게 된다. 특히, 압출구멍(73) 사이의 거리는 초기에 수지 간의 부착을 막기 위해서 소정의 거리를 둘 수 밖에 없기에, 단사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렇게 단사 간격이 충분히 좁혀지지 않은 시트가 진공 비닐팩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진공 흡입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기에 실용화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로 조밀한 단사를 가지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재료로 더 향상된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를 합지롤로 공급하는 시트 공급롤; 시트 공급롤로부터 공급된 시트에 단사가 형성되는 합지롤; 노즐을 통하여 합지롤을 통과하는 시트에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용융 상태로 공급하는 압출기; 및 시트에 접착된 단사에 의해 유로가 형성된 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시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에는 단사 압출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열로 형성되며, 한 열의 단사 압출 구멍과 다른 열의 단사 압출 구멍은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단사 압출 구멍은 상기 노즐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경사면에 수직하게 단사를 압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합지롤은 냉각롤이어서 단사가 시트에 접착됨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단사 압출 구멍은 인접한 단사 압출 구멍과의 끝단 거리가 0.7 ㎜ 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단사 압출 구멍의 직경은 0.2㎜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지롤에서 압출기로부터의 단사가 시트에 접착된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며, 단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공급롤로부터 합지롤에 시트를 공급하고, 합지롤로 공급된 시트에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접착시키고,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냉각시킨 후 권취함으로써,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상기 압출기에서 합지롤로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압출기에서 수지가 복수의 열로 서로 엇갈려 압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에 단사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냉각시키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즐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가지고 시트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간단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로 조밀한 단사를 가지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재료로 더 향상된 유로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노즐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단사가 단사 공급롤에 접착되는 상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노즐부의 저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압출구멍의 배치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100)는 시트 공급롤(120)로부터 공급된 시트(125)에 노즐부(110)의 노즐(115)을 통하여 공급된 단사(119)를 합지롤(130)에서 접착시키며, 단사(119)가 접착된 시트를 권취롤(140)에서 권취한다.
합지롤(130)은 롤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롤의 기능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노즐(115)로부터 융융된 수지제로 공급되는 단사(119)는 합지롤(130)을 통과하면서 고화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지롤(130)이 냉각롤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합지롤(130)과 권취롤(140) 사이에 냉각롤을 배치하여,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단사를 별도의 냉각롤에서 고화시킨 후 권취롤(140)에서 권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사를 별도로 제작한 후 시트(125)에 접착시키지 않고 시트(125)에 직접 단사(119)를 뽑으면서 바로 접착시키므로, 그 공정 및 장치가 간단하다. 또한, 종래의 패턴 형성법과는 달리, 단사(119)를 통하여 시트(125)에 유로를 형성하므로, 유로 바닥에 재료를 낭비하지 않아서,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로의 높이 역시 종전에 비하여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단사가 접착된 시트을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노즐부(110)는 합지롤(130)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서, 노즐부(110)의 노즐(115)은 중력방향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여, 수지는 합지롤(130)의 진행방향으로 압출된다. 압출되는 경사각(θ)은 대략 45°정도가 적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지롤(130)의 회전 속도 및 노즐부(110)에서의 압출 속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노즐(115)은 노즐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즐(115)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방식의 단사를 사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노즐(115)의 오염이 발생했을 때, 노즐부(110)로부터 노즐(115)을 탈착시켜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노즐(115)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합지롤(130)에는 가압부재(150)가 상기 합지롤(130)에서 노즐부(110)로부터의 단사(119)가 시트(125)에 접착된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어, 시트(125)에 단사(119)가 확실히 접착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부재(150)가 단사(119)를 시트(125)로 가압하여, 단사(119)와 시트(125)의 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가압부재(150)에 의해서 단사(119)를 과도하게 가압하는 경우에 단사(119)와 단사(119) 사이의 유로가 망가질 수 있으므로, 가압부재(150)는 시트(125)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면 희망하는 유로 높이까지만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재(150)는 단사(119)가 완전히 냉각되기 전에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는 노즐(115)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서 보이듯이, 노즐(115)의 내부에는 노즐부(110)의 내부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가 노즐(115)로 공급되는 유입부(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부(117)의 하방에는 압출구멍(118)이 형성되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는 노즐(115)의 압출구멍(118)을 통하여 합지롤(130)에 공급된다.
노즐(115)의 중앙부 프레임(116)은 경사면(116a)과 수평면(116b)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116a)에는 상기 유입부(117)와 연통되어 있는 압출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출구멍(118)은 경사면(116a)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압출구멍(118)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는 중력방향에 경사각(θ)을 가지고 압출된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노즐(115)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서 보이듯이, 노즐(115)의 경사면(116a)에는 복수의 압출구멍(118)이 2 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열의 압출구멍(118)은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한 열과 다른 열의 압츨구멍은 가로 방향에서 엇갈려 배치되어 있다.
도 8 에는 노즐(115)의 경사면(116a)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압출구멍(118)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서 보이듯이, 압출구멍(118)은 복수의 열, 예를 들면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아랫열과 윗열은 거리(H)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각 열에서 이웃하는 압출구멍(118)은 중심이 서로 거리(L)를 두고 떨어져 있다.
한편, 윗열의 압출구멍(118b)은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118a2)과 엇갈려 배치된다. 가로 방향만을 봤을 때, 윗열의 압출구멍(118b)은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 118a2)의 사이에 중앙에 위치한다(L1=L2).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윗열의 압출구멍(118b)과 아랫열의 한 압출구멍(118a1)과의 가로 거리(L1)는 윗열의 압출구멍(118b)과 아랫열의 다른 압출구멍(118b1)과의 가로 거리(L2)와 다르게, 예를 들면 L1>L2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윗열의 압출 구멍(118b)의 중심은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 118a2)의 중심과 가로 방향으로 거리(L1, L2)를 가지므로, 윗열의 압출구멍(118b)과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아래의 식 (1) 과 같이 얻어진다.
Figure pat00001
... 식 (1)
이와 같이, 윗열과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 118a2, 118b)은 가로 방향의 거리(L1, L2)와 함께 열사이의 거리(H)에 영향을 받으므로, 가로 방향의 거리(L1, L2)가 좁아지더라도 열사이의 거리(H)를 조정함으로써 윗열과 아랫열의 압출구멍(118a1, 118a2, 118b) 사이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출구멍 사이의 거리는 용융 상태에서 초기 수지간 부착을 막기 위하여, 소정의 거리를 둘 수 밖에 없다. 압출구멍과 압출구멍의 중심 사이의 거리(L)와 단사와 단사의 중심 사이의 거리(L)는 동일하나, 실제 압출구멍 사이의 거리(lh) 혹은 단사 사이의 거리는 중심사이의 거리(L)에서 압출구멍의 직경(D) 혹은 단사 사이의 직경(d)을 빼야한다(lh = L-D, ly1=L1-d). 압출구멍(118)을 나온 수지는 합지롤(130)에 단사로 접착 및 연신되어 롤에 감길 때 단사의 직경(d)은 초기 압출구멍의 직경(D)보다 작아지고(도 3 참고), 그에 따라 압출구멍과 압출구멍 사이의 거리보다 단사 사이의 거리는 넓어지게 된다.
이는 초기에 압출구멍(118)으로부터 압출된 수지가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면, 후에 합지롤(130)에 부착될 때에는 단사와 단사 혹은 수지와 수지가 부착될 염려가 없다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압출구멍(118)을 복수 열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한 열에서 압출구멍(118a1, 118a2) 사이의 초기의 압출구멍(118)을 통하여 압출된 수지간 부착을 막기 위한 중심 사이의 거리(L) 혹은 압출구멍 사이의 거리(lh) 사이에 하나의 압출구멍(118b)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초기의 압출구멍(118)을 통하여 압출된 수지 사이의 부착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후에는 더 조밀한 단사(119)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에 형성된 유로를 보다 밀도 있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간격의 단사(119)를 형성할 때에도 초기 수지간 부착의 우려가 없으므로, 종래의 제조 장치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단사를 시트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열과 열 사이의 거리(H)는 초기 압출구멍(118) 사이의 거리를 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나, 부착되었을 때에는 초기에 단사의 길이 방향의 차이를 가지게 되는 것에 불과하며, 연속적으로 단사를 롤에 부착하는 경우, 단사의 배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단사와 단사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같이 합지롤(130)에 비스듬하게 압출하여, 즉, 롤의 회전 방향으로 수지를 압출하여, 열과 열사이의 거리(H)가 단사의 배치에 영향이 없게 할 뿐만 아니라, 롤에 접착되어 회전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롤에 부착되기 전의 수지 간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 에는 도 8 의 압출 구멍(118)이 형성된 노즐(115)로 단사(119)를 생성하여 시트(125)에 부착되었을 때의 시트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 보이듯이, 부착된 단사(119)는 압출구멍(118a1)에서 압출되어 롤(125)에 부착된 단사(119a1)와 압출구멍(118a2)에서 압출되어 롤(125)에 부착된 단사(119a2) 사이에 압출구멍(118b)에서 압출된 단사(119b)가 부착된다.
이는 종래에 단사와 단사 사이의 거리(lh) 사이에 하나의 단사를 더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어서, 단사 사이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좁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가능하던 단사 사이의 거리에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단사간 부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압출구멍(118)과 압출구멍(118) 사이의 거리(lh)를 0.7mm 이하로 하는 경우에, 압출구멍(118)에서 수지간 부착이 발생하여, 압출구멍(118)과 압출구멍(118) 사이의 거리(lh)를 0.7 mm 초과로 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경우에, 그 사이에 하나의 압출구멍을 더 배치할 수 있어서, 최종 단사와 단사 사이의 거리를 0.2mm 까지의 간격을 가지는 단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단사와 단사 사이의 거리(ly1 , ly2)가 0.2mm 까지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압출구멍(118)의 직경은 0.2㎜ 이상 3.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압출구멍(118)의 직경이 0.2㎜ 이상이 되어야, 노즐부(110)에서 수지를 용융, 압출이 용이할 수 있으며, 압출구멍(118)의 직경이 3.0㎜ 이하가 되어야 권취롤(140)에 감기기 전에 냉각롤 혹은 냉각 장치에서 냉각이 완료될 수 있다. 만일, 냉각이 완료되기 전에 권취롤(140)에 감기는 경우 단사(119)의 형상이 눌리게 형성되어, 유로의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도 10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이듯이, 시트 공급롤(220)로부터 공급된 시트(225)에 노즐부(210)의 노즐(215)을 통하여 공급된 단사(119)를 합지롤(130)에서 접착시키며,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권취롤(140)에서 권취한다.
합지롤(130)은 롤 내부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롤의 기능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노즐(215)로부터 융융된 수지제로 공급되는 단사는 합지롤(230)를 통과하면서 고화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지롤(230)이 냉각롤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합지롤(230)과 권취롤(240) 사이에 별도의 냉각롤을 배치하여,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단사가 냉각롤에서 고화된 후 권취롤(240)에서 권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215)은 전의 실시예와는 달리 경사면(116a)을 포함하지 않으며, 노즐(215)에서 압출되는 수지 역시 합지롤(230)에 경사 방향이 아닌 중력방향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215)에서 압출되는 수지는 합지롤(230)의 회전 방향으로 공급되므로 배치되어, 즉, 합지롤(230)에 수지가 접착되는 지점의 접선이 대략 중력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합지롤(230)의 회전은 수지의 연신에만 관련되며, 수지의 방향들을 변경시키지 않아서, 수지간의 접착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10: 노즐부 115: 노즐
116: 프레임 117: 유입부
118, 118a, 118a1,118a2, 118b, 118b1: 압출구멍
119: 단사 120: 공급롤
125: 시트 130: 합지롤
140: 권취롤

Claims (11)

  1. 시트를 합지롤로 공급하는 시트 공급롤;
    시트 공급롤로부터 공급된 시트에 단사가 형성되는 합지롤;
    노즐을 통하여 합지롤을 통과하는 시트에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용융 상태로 공급하는 압출기; 및
    시트에 접착된 단사에 의해 유로가 형성된 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을 포함하는 시트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단사 압출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열로 형성되며,
    한 열의 단사 압출 구멍과 다른 열의 단사 압출 구멍은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단사 압출 구멍은 상기 노즐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경사면에 수직하게 단사를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롤은 냉각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 압출 구멍은 인접한 단사 압출 구멍과의 끝단 거리(l)가 0.7 ㎜ 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사 압출 구멍의 직경은 0.2㎜ 이상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롤에서 압출기로부터의 단사가 시트에 접착된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며, 단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장치.
  8. 시트 공급롤로부터 합지롤에 시트를 공급하고,
    합지롤로 공급된 시트에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접착시키고,
    단사가 접착된 시트를 냉각시킨 후 권취하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에서 합지롤로 열가소성 수지 단사를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압출기에서 수지가 복수의 열로 서로 엇갈려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단사를 접착시키는 단계와 냉각시키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가지고 시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097705A 2010-10-07 2010-10-07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22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05A KR101222548B1 (ko) 2010-10-07 2010-10-07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US12/942,737 US8578996B2 (en) 2010-10-07 2010-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ingle yarn-adhered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05A KR101222548B1 (ko) 2010-10-07 2010-10-07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43A true KR20120036043A (ko) 2012-04-17
KR101222548B1 KR101222548B1 (ko) 2013-01-16

Family

ID=4592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705A KR101222548B1 (ko) 2010-10-07 2010-10-07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78996B2 (ko)
KR (1) KR101222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8542B2 (en) 2018-06-12 2023-08-15 Lg Chem, Lt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inorganic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9606B2 (en) 2015-11-09 2018-02-13 Nike, Inc. Tack and drag printing
EP3875243A4 (en) * 2018-10-29 2021-12-22 Zuiko Corporation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4941A (en) * 1957-11-01 1962-05-15 Union Carbide Corp Tear beaded wrapping material
KR20010051892A (ko) 1999-11-25 2001-06-25 호야-숏트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조사방법 및 장치
US6969441B2 (en) * 2000-05-15 2005-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articles
WO2002066227A1 (en) 2001-02-21 2002-08-29 Gul-Joo Lee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for vacuum packaging bag, and vacuum packaging bag manufactured using the film
KR100465508B1 (ko) * 2001-08-27 2005-01-13 이걸주 진공 포장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US6799680B2 (en) * 2002-04-05 2004-10-05 The Holmes Group, Inc. Vacuum sealed contai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8542B2 (en) 2018-06-12 2023-08-15 Lg Chem, Lt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inorganic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548B1 (ko) 2013-01-16
US20120085484A1 (en) 2012-04-12
US8578996B2 (en)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0393A (zh) 用于形成保持装置的模制设备
KR101222548B1 (ko) 단사가 접착된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97861B1 (ko) 다중 압출 헤드
CN103717389A (zh) 树脂层压板
US11110632B2 (en) Roll-molding
KR101012991B1 (ko) 파우치 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40002607B1 (ko) 간격판 제조장치
JP4924368B2 (ja) プラスチック中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441577B1 (en) In-mold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90242B1 (ko) Tpu 필름 제조용 압출 성형가공기
KR102175894B1 (ko) 압출부 교체형 멀티컬러 3d프린터
JP6644161B2 (ja) フィラメント3次元結合体
JP5839216B2 (ja) 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71071B1 (ko) 의료용 포트 튜브 성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멀티 튜브 수액백 제조 설비
KR101872718B1 (ko) 3d 프린트용 기능성 원료공급 노즐장치
JP2004195910A (ja) 樹脂枠付き板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7525340A (ja) 多層フィルムのエンボス処理方法
US20040052885A1 (en) Mold roll for an apparatus fabricating vehicle mat sheets having non-skid protrusions
JP5950754B2 (ja) カバーフィルムで被覆された成形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品製造装置
WO2024071296A1 (ja) フィラメント3次元結合体の製造装置
KR101887366B1 (ko)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편물 모듈 형성 방법 및 편물 형성 방법
KR100857834B1 (ko) 자동 인쇄용 핫멜트 라벨지
JP4887811B2 (ja) 金型および製造方法
KR101933503B1 (ko) 저온합지시트제조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온합지시트
KR101893778B1 (ko) 물받이 시트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