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77B1 -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77B1
KR101893777B1 KR1020160109397A KR20160109397A KR101893777B1 KR 101893777 B1 KR101893777 B1 KR 101893777B1 KR 1020160109397 A KR1020160109397 A KR 1020160109397A KR 20160109397 A KR20160109397 A KR 20160109397A KR 101893777 B1 KR101893777 B1 KR 10189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der
sleeve
co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674A (ko
Inventor
최준식
김낙경
이기원
박윤철
박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0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7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체 열차선이 설치되는 클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브래킷(20)의 머리 금구(21)를 관통하는 슬리브(160)와, 상기 슬리브(16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머리 금구(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새들(120)과, 상기 슬리브(16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S)과, 상기 접시 스프링(S)을 덮는 스프링 커버(110)와, 상기 슬리브(160)와 접시 스프링(S)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바아(17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는 스프링 커버(190)에 고정되고, 하부는 강체 열차선(R)을 파지하는 홀더(150)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150)는 새들(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열차 팬타그래프와 컨덕터 라지드바 사이에 이선율이 감소되어 열차 팬타그래프의 집전성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열차의 속도향상에 기여하고 완충효과로 클램프와 브래킷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CLAMP WITH DISC SPRING AND DISPLACEMENT ADJUSTING METHOD FOR THE DISC SPRING}
본 발명은 강체 열차선이 설치되는 클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전차선에 일정 구간마다 클램프가 구비되는 각 구간 내에서 탄성차를 줄임으로써 열차 팬타그래프의 이선율을 줄이고, 추종성을 향상시켜 접전성능을 향상시키는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차량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에 고속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전기철도차량은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을 가설된 강체 열차선 및 집전장치인 팬타그래프를 통하여 공급받도록 되어 있어 가설되는 열차선의 안전성은 전기철도차량이 주행함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열차선의 가선방식으로 강체식은 열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터널 등 조가선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체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10)와, 상기 서포트(10)에 구비되는 브래킷(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20)은 강체 열차선(R)이 설치되는 클램프(30)와 상기 클램프(30)가 설치되는 머리 금구(21)와 상기 서포트(10)에 구비되는 꼬리 금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 금구(21)와 꼬리 금구(23)사이에는 장간애자 설치부(22)가 구비되어 장간애자(40)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강체 열차선(R)이 설치되면 그 무게에 의해 클램프에 하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상기 강체 열차선과 클램프에 상측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즉, 클램프에 상하 방향의 힘이 반복적으로 작용되는데, 종래의 클램프에는 이러한 상하 방향의 힘을 완충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열차 팬타그래프의 집전과 열차속도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 브래킷과 클램프 및 강체 열차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1-171394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88-25133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739328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74781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90768호 유럽 등록 특허 제24352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램프가 구비되는 전차선의 각 구간 내에서 전차선의 탄성차를 줄임으로써 열차 팬타그래프와 라지드바 사이에 추종성이 향상되고, 열차가 브래킷을 통과하는 순간에 이선율을 감소시켜 접전성능이 향상된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접시 스프링의 강성 조절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래킷(20)의 머리 금구(21)를 관통하는 슬리브(160)와, 상기 슬리브(16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머리 금구(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새들(120)과, 상기 슬리브(16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S)과, 상기 접시 스프링(S)을 덮는 스프링 커버(110)와, 상기 슬리브(160)와 접시 스프링(S)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바아(17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는 스프링 커버(190)에 고정되고, 하부는 강체 열차선(R)을 파지하는 홀더(150)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150)는 새들(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커버(110)의 상부를 관통한 후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 고정구(19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150)는 중공이고, 하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이동 바아(170)의 하부에 구비되는 홀더 본체(151)와, 상기 홀더 본체(151)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어 강체 열차선(R)이 삽입되도록 요홈부(153a)가 형성된 파지부(1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153) 저면에 배치되는 고정판(155)과, 상기 홀더 본체(151)에 형성되는 관통공(152)을 관통한 후 상기 파지부(153)와 고정판(155)을 관통하는 고정구(154)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클램프의 접시 스프링의 강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홀더(150)에 강체 열차선(R)을 장착하여 홀더(150)가 하강되는 하강 거리(L1)와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상승되는 홀더(150)의 상승 거리(L2)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하도록 하는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수학식1]
L1 = L * X(단 0.7<X<0.9)
L2 = L * Y(단 0.1<Y<0.3)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열차 팬타그래프와 컨덕터 라지드바 사이에 이선율이 감소되어 열차 팬타그래프의 집전성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열차의 속도향상에 기여하고 완충효과로 클램프와 브래킷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강체 열차선을 파지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로서 접시 스프링이 생략된 단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강체 열차선의 장착 전후를 비교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승하강 길이 제한을 설명하기 위해 홀더와 이동 바아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 전후의 접시 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단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강체 열차선 장착 전후를 비교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승하강 길이 제한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 전후의 접시 스프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0)의 머리 금구(21)를 관통하는 슬리브(160)와, 상기 슬리브(16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머리 금구(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새들(120)과, 상기 슬리브(16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S)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시 스프링(S)은 스프링 커버(110)가 덮고, 상기 슬리브(160)와 접시 스프링(S) 내부는 이동 바아(1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는 상기 스프링 커버(190)에 고정되고, 하부는 강체 열차선(R)을 파지하는 홀더(150)에 고정된다.
즉, 새들(120)은 머리 금구(21)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슬리브(160)는 새들(12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이동 바아(170)의 하부는 홀더(150)에 고정되어 홀더(150)의 승하강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홀더(150)는 새들(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는 스프링 커버(190)에 고정되고, 접시 스프링(S)은 스프링 커버(190) 내부에 배치되되 슬리브(160)상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 바아(170)가 하강하면 스프링 커버(190)가 하강하고 상기 하강된 스프링 커버(190)는 상기 슬리브(160)상에 배치된 접시 스프링(S)을 압축하여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강체 열차선(R)과 홀더(150)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이동 바아(17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시 스프링(S)이 그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클램프(100)는 상기 접시 스프링(S)을 구비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클램프와 브래킷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새들(120)은 머리 금구(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들(120)과 머리 금구(21)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새들 고정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커버(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S)상에 배치되며 이동 바아(17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커버(110)의 상부를 관통한 후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 고정구(19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 커버(110)는 중공이되 하측면은 개방된 커버 본체(111)와 상기 커버 본체(111) 상면에 형성되어 커버 고정구(190)가 삽입되는 관통공(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구(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2)을 통해 진입한 후 접시 스프링(S)의 내부에 배치된 이동 바아(170)상면에 고정되는 나사부(192)와, 상기 나사부(192)상면에 형성되어 스프링 커버(110) 상면에 배치되는 마감부(19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커버(110)와 커버 고정구(190)에 의해 이동 바아(170)와 스프링 커버(110)가 연동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바아(170)는 접시 스프링(S) 내부에서 승하강 되며, 상기 접시 스프링(S) 상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부는 나사산(171)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171)에는 너트(N)가 구비되며 접시 스프링(S)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 바아(170)와 접시 스프링(S)이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너트(N)와 접시 스프링(S)사이에는 테프론 와셔(W2)가 구비되고, 상기 테프론 와셔(W2)의 상부에는 평와셔(W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테프론 와셔(W2)에 의해 절연이 가능하고, 상기 풀림 방지 너트(N)와 평와셔(W1)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접시 스프링(S )하측과 슬리브(160)사이에 또 다른 와셔(W3)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단부는 스프링 커버(110)의 커버 본체(111) 내부 천정까지 배치된 후 커버 고정구(190)에 의해 고정된다
강체 열차선(R)을 파지하는 홀더(15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고, 하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이동 바아(170)의 하부에 구비되는 홀더 본체(151)와, 상기 홀더 본체(151)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어 강체 열차선(R)이 삽입되도록 요홈부(153a)가 형성된 파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153a)가 형성된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파지부(153)가 홀더(15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153) 저면에는 고정판(155)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홀더 본체(151)에 형성되는 관통공(152)을 고정구(154)가 관통한 후 상기 파지부(153)와 고정판(155)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램프(100)에 대한 작동 관계와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53)에 강체 열차선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의 홀더(150)의 밑면의 위치A를 기준으로 한다.
만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체 열차선(R)이 홀더(150)에 장착되면 그 자중에 의해 홀더(150)와 이동 바아(170)와 스프링 커버(110)가 하강하며, 위치 B까지 하강하며(하강 거리 L1), 스프링 커버(110) 내부에 배치된 접시 스프링(S)은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강체 열차선(R)과 홀더(150)가 C지점 까지 상승되며(상승 거리L2) 상기 접시 스프링(S)은 이완된다.
이때, 상기 하강 거리L1과 상승 거리 L2를 제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시 스프링(S)에 의해 정해지는 홀더(150)의 최대 하강 거리(L)와, 상기 홀더(150)에 강체 열차선(R)을 장착하여 홀더(150)가 하강되는 하강 거리(L1)와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상승된 홀더(150)의 거리(L2)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하도록 제한한다.
[수학식1]
L1 = L * X(단 0.7<X<0.9)
L2 = L * Y(단 0.1<Y<0.3)
즉, 강체 열차선(R)을 장착한 경우의 하강 거리(L1)는 지점 A에서 지B까지로서 접시 스프링(S) 자체의 특성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 하강 거리(L)(지점A에서 지점D까지의 거리)를 초과하면 않된다.
이는 하강 거리(L1)가 최대 하강 거리(L)를 초과하면 접시 스프링(S)의 파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때, 보다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L1은 L의 0.7 내지 0.9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의 팬타그래프의 접촉에 의해 홀더(150)가 상승하면 지점A로부터 지점 C까지의 거리(L2)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L2를 제한해야 하며 이는 홀더(150)가 지점A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접시 스프링(S)이 완충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L2는 수학식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대 하강 거리L의 0.1 내지 0.3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의 구조물이나 팬타그래프의 치수 공차를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팬타그래프의 크기가 큰 경우 상승 거리 L2가 원래 지점A를 초과하여 상승될 수 있다.
또한, 터널의 구조물 크기가 달라져서 클램프의 위치가 변경되어 원래 지점A를 초과하여 상승될 수 있으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L2를 제한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접시 스프링(S)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의 경우가 단위 체적당 탄성에너지가 크고 모양이 간단해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시 스프링(S)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편리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접시 스프링(S)의 개당 변위(e)는 접시 스프링(S)이 압축되지 않은 높이(H)에 접시 스프링(S)이 완전 압축되는(B) 판두께(t)의 차이만큼 변위(e)가 발생한다.
이때, 접시 스프링(S)의 개당 변위 e=H-t 이며, 전체 변위(E)는 접시 스프링(S)의 전체 개수(n)을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즉, 접시 스프링(S)의 전체 변위 E=en=(H-t)n을 만족한다.
그리고 전체 변위 E를 산출함으로써 홀더(150)의 최대 하강 거리(L)(지점A에서 지점D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시 스프링(S)의 개당 변위(e)를 산출하고 그 개수를 곱하면 전체 변위(E)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설계 시 접시 스프링(S)을 보다 편리하게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시 스프링(S)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지름(D1)은 접시 스프링(S)이 압축된 상태의 지름(D2)보다 작으며(D1<D2), 이동 바아(170)가 구비되는 접시 스프링(S)의 내부 관통공에는 이동 바아(17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접시 스프링(S)이 압축될 때, 각각의 접시 스프링(S)이 이격되지 않고 평행한 상태로 압축되도록 상기 스프링 커버(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 본체(111)의 내주면이 압축된 접시 스프링(S)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접시 스프링(S)이 가지런히 압축되어 집중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시 스프링(S)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시 스프링(S)을 이용하면 안정적인 완충작용이 가능하다. 즉,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부하가 제거된 경우 원래 지점으로 복귀한 후 관성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완충 작용을 하기가 어렵다.
이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이 접시 스프링(S)을 이용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과 달리 원래 지점으로 복귀한 후 반대 방향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안정적인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강 거리(L1)와 상승 거리(L2)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접시 스프링(S)의 강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홀더(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새들(120)은 슬리브(16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새들(120)에 고정된 새들 고정구(140)를 해제한 후 상기 새들(120)을 회전하면 슬리브(160)가 상대적으로 승하강된다.
이때, 상기 홀더(150)에 설치되는 강체 열차선(R)과 열차의 팬타그래프가 결합되는 높이는 동일하므로 결국 홀더(150)와 이동 바아(170)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 바아(170)에 고정된 스프링 커버(190) 역시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결국 스프링 커버(190) 내부에 배치된 접시 스프링(S)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슬리브(160)가 새들(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면 접시 스프링(S)은 이완된 상태가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S)의 현재 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상승 거리 (L2)와 하강 거리(L1)를 제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클램프 110 : 스프링 커버
111 : 커버 본체 112 : 관통공
120 : 새들
140 : 새들 고정부 150 : 홀더
151 : 홀더 본체 152 : 관통공
153 : 파지부 154 : 고정구
155 : 고정판 160 : 슬리브
170 : 이동 바아 190 : 커버 고정구

Claims (5)

  1. 브래킷(20)의 머리 금구(21)를 관통하는 슬리브(160)와, 상기 슬리브(160)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머리 금구(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새들(120)과, 상기 슬리브(16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S)과, 상기 슬리브(160)와 접시 스프링(S)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바아(17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바아(170)의 하부는 강체 열차선(R)을 파지하는 홀더(150)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150)는 새들(120)의 저면에 배치되되,
    상기 접시 스프링(S)에 의해 정해지는 홀더(150)의 최대 하강 거리가 L 일때,
    상기 홀더(150)에 강체 열차선(R)을 장착하여 홀더(150)가 하강되는 하강 거리 L1은 L1 = L * X(단 0.7<X<0.9)로 형성되고,
    열차의 팬타그래프와 접촉 시 상승된 홀더(150)의 거리 L2는 L2 = L * Y(단 0.1<Y<0.3)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홀더(150)는 중공이고, 하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이동 바아(170)의 하부에 구비되는 홀더 본체(151)와,
    상기 홀더 본체(151)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어 강체 열차선(R)이 삽입되도록 요홈부(153a)가 형성된 파지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153) 저면에 배치되는 고정판(155)과,
    상기 홀더 본체(151)에 형성되는 관통공(152)을 관통한 후 상기 파지부(153)와 고정판(155)을 관통하는 고정구(154)를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 바아(170)의 상부는 스프링 커버(110)에 고정되고, 접시 스프링(S)은 스프링 커버(190) 내부에 배치되어 슬리브(160)상에 배치되어 고정됨에 따라, 이동 바아(170)가 하강하면 스프링 커버(110)가 하강하고 상기 하강된 스프링 커버(110)는 상기 슬리브(160)상에 배치된 접시 스프링(S)을 압축하여 충격이 완화되며
    상기 스프링 커버(110)을 고정하는 커버고정구(190)는 스프링커버(110)의 관통공(112)을 통해 진입한 후 접시 스프링(S)의 내부에 배치된 이동 바아(17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나사부(192)와, 상기 나사부(192)상면에 형성되면서 스프링 커버(110)상면에 배치되는 마감부(191)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프링 커버(110)와 커버 고정구(190)에 의해 상기 이동 바아(170)와 스프링 커버(110)가 연동되며
    상기 이동바아(170)의 위쪽 외부에는 나사산(171)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산(171)에는 너트(N)가 체결되되 접시 스프링(S) 상부에 배치되도록 체결됨에 따라 이동 바아(170)와 접시 스프링(S)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너트(N)와 상기 접시 스프링(S)사이에는 테프론 와셔(W2)가 구비되고, 상기 테프론 와셔(W2)의 상부에는 평와셔(W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테프론 와셔(W2)에 의해 절연이 되면서 상기 너트(N)와 상기 평와셔(W1)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53) 저면에 배치되는 고정판(155)과,
    상기 홀더 본체(151)에 형성되는 관통공(152)을 관통한 후 상기 파지부(153)와 고정판(155)을 관통하는 고정구(154)를 더 포함하는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5. 삭제
KR1020160109397A 2016-08-26 2016-08-26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KR10189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97A KR101893777B1 (ko) 2016-08-26 2016-08-26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97A KR101893777B1 (ko) 2016-08-26 2016-08-26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74A KR20180023674A (ko) 2018-03-07
KR101893777B1 true KR101893777B1 (ko) 2018-09-13

Family

ID=6168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397A KR101893777B1 (ko) 2016-08-26 2016-08-26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86B1 (ko) 2021-09-03 2022-03-21 (주)신우디엔시 강체 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2579541B1 (ko) 2022-10-21 2023-09-19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KR102579545B1 (ko) 2022-10-21 2023-09-19 (주)신우디엔시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41Y1 (ko) * 2018-11-13 2023-10-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985C (zh) 2002-09-18 2004-11-17 毛新悦 无源直载式碟形弹簧张力补偿器
KR101265229B1 (ko) * 2012-09-13 2013-05-2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428B2 (ja) 1987-04-03 1995-08-3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車線支持装置
JPH0565039A (ja) * 1991-09-06 1993-03-19 Dengiyou:Kk 防振ハンガイヤー
JPH06171402A (ja) * 1992-12-04 1994-06-21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ダンパー付ハンガイヤ
JP4285717B2 (ja) 1999-12-14 2009-06-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剛体トロリ装置
DE202004009416U1 (de) 2004-06-16 2004-10-21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Stromschienenhaltevorrichtung
KR100739328B1 (ko)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강체전차선 브래킷
DE102009033447A1 (de) 2009-05-29 2010-1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Oberleitungsanlage
CN102947126B (zh) 2010-06-24 2015-10-21 富雷尔+弗赖股份公司工程处-法尔莱通斯布 导电轨装置
KR101930539B1 (ko) * 2011-12-23 2018-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완충과 캔트 기능이 구비된 강체 전차선용 지지장치
KR102174434B1 (ko) * 2014-03-07 2020-11-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985C (zh) 2002-09-18 2004-11-17 毛新悦 无源直载式碟形弹簧张力补偿器
KR101265229B1 (ko) * 2012-09-13 2013-05-2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86B1 (ko) 2021-09-03 2022-03-21 (주)신우디엔시 강체 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2579541B1 (ko) 2022-10-21 2023-09-19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KR102579545B1 (ko) 2022-10-21 2023-09-19 (주)신우디엔시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74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777B1 (ko)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KR101893775B1 (ko)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EP2615225A2 (en) Anchoring device
CN203628182U (zh) 平板电脑的固定架
CN201864436U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下分支扶手带的导托装置
JP5554097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固定装置
SE529091C2 (sv) Lasthållarfot för fastspänning av en lasthållare
CN215988595U (zh) 一种便于运输的新型继电器
KR200460764Y1 (ko) 순환전류 장애 방지용 곡선당김금구
CN205407680U (zh) 一种用于铁皮屋顶的太阳能板安装组件
CN204213474U (zh) 可滑移的高压电缆浮动组合固定装置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JP5679848B2 (ja) 揚力調整部材付きパンタグラフ
CN214527534U (zh) 一种便于调节的电梯轿厢结构
CN202435183U (zh) 可调式风力发电机弹性支撑件
KR200441296Y1 (ko) 항만 크레인 레일용 앵커 볼트 장치 및 항만 크레인 레일시스템
EP1816049A1 (en)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CN216184917U (zh) 一种增加固定点的多功能支架
CN201150732Y (zh) 电力钢塔攀爬防坠安全器
CN220139186U (zh) 一种电缆支架
CN208985783U (zh) 托线组件
CN211444624U (zh) 一种滑轨导轮轨靴
JP6477322B2 (ja) トロリ線把持具及び電力供給設備
CN201247940Y (zh) 导线防振锤
CN216598879U (zh) 一种电缆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