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229B1 -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229B1
KR101265229B1 KR1020120101354A KR20120101354A KR101265229B1 KR 101265229 B1 KR101265229 B1 KR 101265229B1 KR 1020120101354 A KR1020120101354 A KR 1020120101354A KR 20120101354 A KR20120101354 A KR 20120101354A KR 101265229 B1 KR101265229 B1 KR 10126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ibration
damping spring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Priority to KR102012010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3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incorporating yielding means or 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천장에 전식 방지를 위하여 절연매립전을 설치하고, 상기 절연매립전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금구와, 상기 지지애자금구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차선을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와, 상기 지지애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로에 있어서,
상기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함으로서, 열차운행시 팬터그래프의 압상에 의해 강체 전차선이 압상되면서 스프링의 유연한 가요성에 의해 팬터그래프에 추종성이 발생함으로서 전차선에 이선을 방지하여 아크 및 전차선 마모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rigid-bar}
본 발명은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강체 전차선에 이선을 방지하고 전차선의 마모를 경감시키기 의하여 강체 bar와 지지금구 사이에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삽입하여 강체전차선 마모 경감 및 열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차선로의 강체 가선방식은 전차선을 조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가선을 사용하지 않고 강체 bar를 사용하여 직접 조가하는 방식으로, 커티너리식의 가공전차선을 지하구간에 가선하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보수 작업의 어려움과 터널단면이 대폭적으로 확대되어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선사고 등 안전상 문제 때문에 협소한 지하구간에 어울리는 가공 전차선 방식으로 개발된 것이 강체 가선방식이다.
이러한, 강체 전차선로의 가선 구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천정에 전식 방지를 위하여 절연 매립전을 설치하고 이 절연 매립전에 지지금구를 5[m]~10[m] 간격으로 설치하고, 애자에 의해서 T-bar 또는 R-bar를 고정 시키고 이 bar의 아래면에 전차선을 직접 삽입하는 R-bar 구조와 롱이어(Long ear)에 의해 전차선을 지지하는 T-bar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기 강체 전차선로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터널 구조물의 단면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건설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전차선이 도체 성형재와 일체로 시설되므로 장력조정장치, 곡선당김장치, 진동방지장치가 필요 없으며, 보수 유지가 쉽고 전차선의 단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직류방식에서는 급전선 및 조가선을 별도로 시설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현재 운행되고 있는 강체 전차선로의 구간은 강체 가선의 특성 때문에 유연한 가요성이 없어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간에 추종성이 없고, 터널내의 열차 운행시 진동에 의해 구조물과 강체 전차선 간에 2차적인 진동이 전달되어 집전 특성이 더욱 나빠지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가 지속됨으로서 전차선에 이선이 발생되고, 열차 운행 속도가 제한되어 저속 운전에만 적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393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체전차선로에 형성되는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 사이에 완충용 스프링을 삽입 고정하여 열차운행시 팬터그래프의 압상에 의해 강체 전차선이 압상되면서 스프링의 유연한 가요성에 의해 팬터그래프에 추종성이 발생함으로서 전차선에 이선을 방지하여 아크 및 전차선 마모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완충용 스프링에 점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점탄성체로 형성함으로서 잔여 진동을 감소시키고 강체전차선 마모 경감 및 열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점탄성 스프링의 하부에 보호커버를 위치시켜 상기 스프링의 외면에 점착된 점탄성 특수 테이프가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지지금구에 형성될 돌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터널 천장에 전식 방지를 위하여 절연매립전을 설치하고, 상기 절연매립전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금구와, 상기 지지애자금구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차선을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와, 상기 지지애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를 포함하는 직류 강체전차선로에 있어서,
상기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포트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장간애자와, 상기 장간애자의 나머지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며 강체전차선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R-bar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를 포함하는 교류 강체전차선로에 있어서,
상기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진동흡수부는 상기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감쇠스프링과 상기 감쇠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쇠스프링은 스프링의 외측에 점탄성을 지닌 특수 테이프를 부착하여 스프링에 가하는 진동 및 충격 입력을 차단하고, 점탄성 테이프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프링의 반복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호커버는 상기 감쇠스프링에 부착된 점탄성 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금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금구는 상기 T-bar 또는 R-bar가 닿는 일측 끝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동흡수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R-bar는 상기 진동흡수부의 감쇠스프링이 닫는 부분이 경사 되어 있으므로 온도 변화에 의한 전차선 이동량만큼 수평하게 깍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는 팬터그래프에 의해 전달되는 열차 진동과, 구조물에 전달되는 열차 진동이 지지금구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과, 공기 저항에 의해 강체 전차선에 진동이 전달됨으로서 발생되는 강체전차선의 진동을 점탄성 감쇠스프링에 의해 감쇠시켜 전차선과 팬터그래프간의 이선을 감소시키고 아크를 방지하여 전차선의 마모를 경감시키며,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강체 전차선이 압상되면서 유연한 가요성에 의해 팬터그래프에 추종성이 발생하므로 열차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강체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T-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T-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 브래킷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 브래킷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진동흡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T-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T-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 브래킷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R-bar 브래킷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진동흡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차선로의 강체가선방식은 T-bar 방식 또는 R-bar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T-bar 방식을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천장에 전식 방지를 위하여 절연매립전(10)을 설치하고, 상기 절연매립전(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금구(20)와, 상기 지지애자금구(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차선(80)을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T-bar(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30)와, 상기 지지애자(30)의 하부에 위치하여 T-bar(5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40)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로에 있어서,
상기 T-bar(50)와 지지금구(40)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매립전(1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지지금구(40)를 취부하기 위하여 5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연매립전(10)은 전식 방지를 위하여 아세탈 또는 나이론재의 절연물로 제작되며,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하고 스프링을 연결하여 2개가 1조를 이루도록 시공하여 콘크리트 거푸집 철거후 볼트를 삽입하여 지지금구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애자금구(20)는 상기 절연매립전(10)에 지지애자(30)와 T-bar(50)를 지지하기 위한 금구로서 주요 자재는 등변ㄱ형강, 평강 등을 사용하여 전차선의 높이, 편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애자(30)는 전차선(80)을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T-bar를 지지하는 것으로 250mm 크기의 애자를 사용한다. 자기부와 갭, 베이스로 구성되고 T-bar를 지지하는 누름금구가 부착된다.
상기 지지금구(40)는 상기 지지애자(30)의 하부에 위치하여 T-bar(5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금구(40)와 T-bar(50)가 닿는 일측 끝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동흡수부(9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T-bar(50)는 커티너리 가선방식의 급전선과 조가선을 겸한 역할을 담당하며, T자형의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고, 단면적을 2,100㎟로 1개의 길이는 10m이며 아르곤 가스 용접으로 T-bar 상호간을 접속한다.
상기 롱이어(60)는 알루미늄 T-bar(50)와 동일 재질로 전차선(80)을 T-bar(50)에 밀착시켜 연속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금구로서 2개 1조로 되어 있고 길이는 1,000mm이며, 250mm마다 볼트로 체결하며 T-bar(50)에 전차선(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차선(80)은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팬터그래프(pantograph)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선이다.
상기 진동흡수부(90)는 상기 T-bar(50)와 지지금구(40)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감쇠스프링(91)과 상기 감쇠스프링(9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82)를 포함한다.
상기 감쇠스프링(91)은 상기 지지금구(40)의 일측에 형성된 돌부(41)과 상기 T-bar(50)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열차운행시 팬터그래프의 압상에 의해 강체 전차선이 압상되면서 스프링의 유연한 가요성에 의해 팬터그래프에 추종성이 발생함으로서 전차선의 이선을 방지하고, 아크 및 전차선 마모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쇠스프링(91)의 외측에는 점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스프링에 가하는 진동 및 충격 입력을 차단하고, 점탄성 테이프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프링의 반복되는 진동을 줄여 출력 측에 완충, 제진이 가능한 원리를 이용하여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커버(92)는 상기 감쇠스프링(9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쇠스프링(91)의 높이에 대략 1/3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감쇠스프링(9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 저면에는 관통공(9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금구(40)의 돌부(41)가 내삽되어 상기 진동흡수부(90)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92)는 상기 감쇠스프링(91)에 부착된 점탄성 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R-bar 방식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선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을 사용한 방법으로, 급전선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bar를 지지애자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T-bar 대신 R-bar를 설치한 것 이외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이후에는 브래킷을 이용한 방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서포트(11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장간애자(130)와, 상기 장간애자(130)의 나머지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며 강체전차선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앵글부재(140)와, 상기 앵글부재(14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R-bar(17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150)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로에 있어서,
상기 R-bar(170)와 지지금구(150)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190)를 더 포함한다. 다만, 상기 R-bar(170)는 상기 진동흡수부(190)의 감쇠스프링(91)이 닫는 부분이 경사 되어 있으므로 온도 변화에 의한 전차선 이동량 만큼 수평하게 깍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110)는 브래킷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상 구간이나 터널 구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H-빔을 지상 구간이나 터널 구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간애자(130)는 서포트(11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어 전차선(180)을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기가 서포트(110)를 비롯한 기타 구조물들로 전달되지 않게 절연함과 더불어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의 일단이 고정부재(110)에 용접 고정되고, 나머지 타단은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앵글부재(140)는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되 강체전차선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장간애자(130)에 고정되고, 나머지 타단이 장간애자(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앵글부재(140)와 연결된다.
상기 앵글부재(140)의 타단에는 유지 및 보수시 고전압의 전기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접지봉연결구(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봉연결구(160)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봉으로서, 그의 양단이 앵글부재(14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앵글부재(140)와 접지봉연결구(16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미도시된 접지봉을 위치시킴으로써 접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금구(150)는 상기 앵글부재(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R-bar(17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금구(150)와 R-bar(170)가 닿는 일측 끝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동흡수부(19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bar(170)는 지하구간에서 조가선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티너리 구간에서 조가선과 전차선을 합성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R-bar(17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다.
상기 전차선(180)은 전기철도에서 전기동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팬터그래프(pantograph)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선이다.
상기 진동흡수부(190)는 상기 R-bar(170)와 지지금구(150)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감쇠스프링(191)과 상기 감쇠스프링(19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192)를 포함한다.
상기 감쇠스프링(191)은 상기 지지금구(150)의 일측에 형성된 돌부(151)과 상기 R-bar(170)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열차운행시 팬터그래프의 압상에 의해 강체 전차선이 압상되면서 스프링의 유연한 가요성에 의해 팬터그래프에 추종성이 발생함으로서 전차선의 이선을 방지하고, 아크 및 전차선 마모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쇠스프링(191)의 외측에는 점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스프링에 가하는 진동 및 충격 입력을 차단하고, 점탄성 테이프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프링의 반복되는 진동을 줄여 출력 측에 완충, 제진이 가능한 원리를 이용하여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커버(192)는 상기 감쇠스프링(19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쇠스프링(191)의 높이에 대략 1/3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감쇠스프링(19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 저면에는 관통공(19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금구(150)의 돌부(151)가 내삽되어 상기 진동흡수부(190)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92)는 상기 감쇠스프링(191)에 부착된 점탄성 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절연매립전 20 : 지지애자금구
30 : 지지애자 40 : 지지금구
50 : T-bar 60 : 롱이어
70 : R-bar 80 : 전차선
90 : 진동흡수부

Claims (7)

  1. 터널 천장에 전식 방지를 위하여 절연매립전을 설치하고, 상기 절연매립전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차선의 높이 및 편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금구와, 상기 지지애자금구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차선을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애자와, 상기 지지애자의 하부에 위치하여 T-bar 또는 R-bar 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T-bar 또는 R-bar와 지지금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스프링의 외측에 점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스프링에 가하는 진동 및 충격 입력을 차단하고, 점탄성 테이프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프링의 반복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감쇠스프링과, 상기 감쇠스프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감쇠스프링에 부착된 점탄성 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금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2. 서포트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장간애자와, 상기 장간애자의 나머지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며 강체전차선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여 R-bar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R-bar와 지지금구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R-bar와 지지금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스프링의 외측에 점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스프링에 가하는 진동 및 충격 입력을 차단하고, 점탄성 테이프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프링의 반복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감쇠스프링과, 상기 감쇠스프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감쇠스프링에 부착된 점탄성 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금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금구는 T-bar 또는 R-bar가 닿는 일측 끝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동흡수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7. 삭제
KR1020120101354A 2012-09-13 2012-09-13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KR10126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4A KR101265229B1 (ko) 2012-09-13 2012-09-13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4A KR101265229B1 (ko) 2012-09-13 2012-09-13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229B1 true KR101265229B1 (ko) 2013-05-27

Family

ID=4866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354A KR101265229B1 (ko) 2012-09-13 2012-09-13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22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483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KR20180023674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CN108058620A (zh) * 2018-01-18 2018-05-22 天津益昌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刚性接触网系统
KR20190021824A (ko) * 2017-08-24 2019-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CN109703372A (zh) * 2019-02-22 2019-05-03 中铁建电气化局集团康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弓网受流系统及其安装方法
CN110329115A (zh) * 2019-07-18 2019-10-15 天津益昌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电气化轨道交通减震刚性接触网
KR20200000049U (ko) 2018-06-28 2020-01-07 대구도시철도공사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KR102063830B1 (ko) * 2019-08-16 2020-03-02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 클램프 구조
KR20210155972A (ko) * 2020-06-17 2021-12-24 대구도시철도공사 중앙고정금구 충격 완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8029A (ja) * 2010-02-22 2011-09-01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
KR101164497B1 (ko) * 2010-09-10 2012-07-18 한국전력공사 전기설비용 애자의 지진격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8029A (ja) * 2010-02-22 2011-09-01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
KR101164497B1 (ko) * 2010-09-10 2012-07-18 한국전력공사 전기설비용 애자의 지진격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775B1 (ko) * 2016-07-27 2018-10-0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KR20180012483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KR20180023674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KR101893777B1 (ko) * 2016-08-26 2018-09-13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KR20190021824A (ko) * 2017-08-24 2019-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2436276B1 (ko) 2017-08-24 2022-08-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CN108058620A (zh) * 2018-01-18 2018-05-22 天津益昌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刚性接触网系统
KR20200000049U (ko) 2018-06-28 2020-01-07 대구도시철도공사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CN109703372A (zh) * 2019-02-22 2019-05-03 中铁建电气化局集团康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弓网受流系统及其安装方法
CN110329115A (zh) * 2019-07-18 2019-10-15 天津益昌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电气化轨道交通减震刚性接触网
KR102063830B1 (ko) * 2019-08-16 2020-03-02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 클램프 구조
KR20210155972A (ko) * 2020-06-17 2021-12-24 대구도시철도공사 중앙고정금구 충격 완화 장치
KR102425246B1 (ko) * 2020-06-17 2022-07-27 대구도시철도공사 중앙고정금구 충격 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229B1 (ko)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CN206339566U (zh) 一种高速铁路监控系统的风速风向仪支架
KR200497341Y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5480119A (zh) 轨道交通直流牵引供电系统独立回流轨技术
KR20130073268A (ko) 완충과 캔트 기능이 구비된 강체 전차선용 지지장치
KR20170109284A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20130087778A (ko) 신축이음장치
KR200491262Y1 (ko)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CN105835725A (zh) 独立回流轨专用绝缘子
KR100730732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행거이어
KR200460764Y1 (ko) 순환전류 장애 방지용 곡선당김금구
CN205104857U (zh) 用于动车组的高压电缆安装结构及动车组
KR102599071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KR100928464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KR20110106212A (ko) 상승 높이 제한 장치가 구비된 판토그라프
CN110920468B (zh) 一种电力机车t型轨地面“受流-回流”混合系统
KR101489431B1 (ko) 충격흡수 및 높이조절형 지지철물
CN207657613U (zh) 双极刚性接触网式交通供电系统
KR101195168B1 (ko) 보호덮개가 구비된 제3궤조 전차선로
CN206870890U (zh) 一种接触轨端部弯头绝缘缓冲装置
DK2613962T3 (en) Stretch separation device for a busbar conduit system
CN216033908U (zh) 一种具有张紧力调节功能的接触网补偿装置
KR102602939B1 (ko) 강체전차선 및 강체전차선 평행개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