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654B1 -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 Google Patents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654B1
KR101892654B1 KR1020170173241A KR20170173241A KR101892654B1 KR 101892654 B1 KR101892654 B1 KR 101892654B1 KR 1020170173241 A KR1020170173241 A KR 1020170173241A KR 20170173241 A KR20170173241 A KR 20170173241A KR 101892654 B1 KR101892654 B1 KR 10189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traction machine
slip
synchronous motor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Priority to KR102017017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고출력 고토크의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구동 시 회전 토크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와 슬립 방지용 플레이트를 조립하고 조립품을 다시 고정자 프레임 전면부에 조립하여 고 회전 토크에서도 고정자의 슬립 발생을 고정자 프레임에 체결되어 있는 슬립 방지용 플레이트가 고정자를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때문에 슬립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결선부 파단 시 순간적인 과전류로 인한 권상기 손상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Synchronous motor type traction machine for preventing stator slip}
본 발명은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권상기의 전동기에서 고정자의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권상기가 설치되고,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권상로프에 연결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건물 내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의 신속한 이동을 위하여 운행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건물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권상기에서 활차(Sheave)에 권취된 로프를 이동시킴에 따라 로프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권상기는 권상로프를 걸고 활차를 회전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켜주는 장치로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엘리베이터 카를 권상로프에 매달아 상하운동을 하도록 감아주는 활차,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 및 정지 시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켜주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권상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수단은 엘리베이터 카의 기동, 가속, 주행, 감속, 착상 및 정지 등의 일련의 운동을 수행해야 하며, 권상기 모터부에 3상의 전원이 투입되면서 가능하다.
그리고, 동기전동기의 경우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 위상각을 추적하도록 위치센서가 있으므로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 위상각을 기억하면서 3상의 전원이 적절히 제어되면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동기전동기의 경우 3상의 전원이 투입되면서 동선이 감긴 고정자와 영구자석이 부착된 회전자와의 전자기적 관계로 인해 순차적인 전자력 발생으로 인해 회전방향의 토크력이 발생된다.
만약, 권상기가 구동하고 정지되는 과정에서 회전자로 인해 발생된 고 회전 토크가 고정자에 전해져 슬립이 발생할 경우, 고정자와 회전자 영구자석 간의 전기각이 틀어지면서 모터가 정지하고 인버터에서 과전류가 흘러서 권상기가 손상이 된다.
특히, 초고층용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권상기의 경우 하중이 매우 커 발생되는 회전토크량도 함께 커져서 이러한 슬립발생 우려가 더욱 많아지게 된다.
만약, 소손에 의한 전동기 고장이 발생하면 보수가 불가능하여 교체 외는 별다른 방법이 없으며, 더욱이 고층 또는 초고층 빌딩에서 많이 발생되므로서 교체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권상기는, 전동기, 브레이크, 제동디스크, 활차, 회전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전동기는 고정자 부분과 회전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프레임(10)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에 설치가 용이한 프레임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설치랙(20)에 의해 머신빔에 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강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자(30)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회전자(60)와 억지끼우맞춤 공차관계로 열박음을 통해 조립되고, 내부의 양단에 있는 베어링(40)이 회전자(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자(30)는, 프레임(10)에 외주면에 고정되며, 프레임(10) 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하고 있고, 여자 시 회전자(60)의 영구자석과 상호 기전력에 의해 회전토크를 발생시켜 회전자(60)의 회전 동력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40)은, 회전력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받아내고, 내륜은 회전자(60)의 축에 열박음되어 슬립 없이 함께 회전되며, 외륜은 프레임(10)과 회전자 축(50)에 장착되어 회전지지를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자 축(50)은, 회전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축으로서, 활차(70)에 가해지는 로프하중, 즉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이겨내며, 회전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자 축(50)에는 양단에 베어링(40)이 삽입되어 회전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고, 활차(70)를 키로 고정시켜 슬립 없이 함께 회전하며, 동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고정자(30)와 회전자(60)의 영구자석이 서로 대치되는 원주상에서 일정간격의 에어 갭(공극)을 두고 대치되면서 전원 인가 시 전자력 발생에 의한 토크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회전자(60)가 회전하게 된다.
활차(70)는,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받으며, 회전자 축(50)과 키로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직접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활차(70)의 외경에는 로프를 견인할 수 있도록 "V" 또는 "U자" 형태의 홈이 원주 상에 다수 가공되어 있고, 홈에 로프가 안착되어 회전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로프가 움직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자 축(50)의 회전이 엘리베이터 카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므로서, 엘리베이터의 카가 견인되면서 승하강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회전센서(80)는, 회전자 축(50)의 다른 일단에 삽입되어 축의 회전, 즉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센서(80)의 감광디스크는 회전자 축(50)과 함께 회전하며, 센서 몸체는 회전자 축(50)에 고정되고 회전센서(80)의 축은 회전자 축(50)과 같이 회전하며, 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10)과 고정되어 회전센서(8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대(90)는, 단자박스 내부에 수용되며, 전동기 내의 고정자(30)에서 인출되는 3상 리드선 3가닥을 고정하고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정자(30)에서 인출되는 3상의 리드선은 적정한 길이와 장력이 유지되면서 단자대(9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단자대(90)에 불완전하게 고정되어 있을 경우,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풀리면 전원이 차단될 수 있고, 쇼트에 의한 고정자(30) 내의 소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용량이 고속기종으로 확장되면서 전동기에 요구되는 부하도 점점 더 커지게 될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회전 토크발생량도 함께 커지게 되고 회전 토크가 증가하게 되면 고정자의 슬립이 발생할 확률도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의 3상 리드선의 결선부가 장력을 이기지 못해 파단 되면서 쇼트에 의한 고정자 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전동기 권상기는 고정자가 프레임 내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의 회전자 축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 고속 권상기의 전동기는 높은 회전수와 상대적으로 큰 회전 토크로 인해 전동기 외주면에 고정된 고정자가 회전 토크의 영향으로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 영구자석 간 전기각이 틀어지면서 전동기가 멈추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멈추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프레임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그곳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방식이었다. 드릴로 프레임에 구멍을 내는 과정에서 칩이 권상기 내부에 침투하여 영구자석에 달라붙게 되면, 권상기의 소음과 진동에도 영향을 주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뿐더러, 고정핀의 역할에 한계가 있어 빠지게 되면 고정자를 고정 시킬 수가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권상기를 교체해야 되는 경제적인 손실로 발생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전동기부 조립 방법은 억지끼움공차로 인해 고정자와 열을 가한 프레임을 열박음하여 단단히 고정시켜 슬립을 억제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점차 높아지는 회전 토크력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자와 프레임을 열박음을 한 후, 프레임 옆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고정핀을 박아 넣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드릴로 구멍을 뚫음으로 인해 미세한 칩들이 프레임 내부로 침투되었을 때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회전자의 영구자석에 칩들이 붙게 되어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며 이용객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위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권상기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고정자 회전 방지를 위한 여러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974호(2015년 09월 16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정자로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억제하여 고정자의 슬립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고 토크용 권상기의 결선부 파단으로 인한 과전류 유입과 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 토크로 인한 슬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고정자 프레임과, 상기 고정자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 및 공극(air gap)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영구자석이 구비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로서, 상기 고정자 프레임과 상기 고정자 사이에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몸체의 내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탭홀이 형성된 판상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몸체의 외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리벳(rivet)홀이 형성된 판상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자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리벳홀을 통해 삽입되는 리벳에 의해 상기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자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의 폭(L1)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폭(L2) 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조립 과정 중, 고정자가 회전하여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자 프레임과 고정자 사이에서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를 부착함으로써, 고정자로 가해지는 회전 토크가 억제되어 고 토크용 권상기의 결선부 파단으로 인한 과전류 유입과 모터의 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조립 과정 중,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 토크로 인한 슬립 발생을 방지하는 경제성이 높은 정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에서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고 토크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의 고정자 회전 방지 구조의 방안으로 권상기의 고정자와 고정자 프레임에 조립이 되는 슬립 방지용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전동기 구동 시 발생되는 회전 토크를 억제하여 슬립을 방지하여 소음과 진동 억제와 슬립이 발생하여 생기는 과전류로 인한 권상기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에서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a) 및 정면도(b)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는, 전동기(30, 60), 고정자 프레임(10), 활차(70), 회전센서(80) 및 단자대(9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기는, 고정자(30)와 회전자(60)를 구비한다.
고정자 프레임(10)은, 권상기의 활차(70)에 가해지는 엘리베이터 하중에 대하여 전동기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에 설치가 용이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이루는 설치랙(20)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자 프레임(10)은 고정자(30)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정자(30)와 억지끼워맞춤 공차 관계로 고정자 프레임(10)을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가열하여 내경을 확장시킨 후, 고정자(30)를 삽입하여 냉각시키면 내경이 다시 수축되면서 고정자(30)의 외경을 조여주는 효과를 주게 되어, 회전토크 발생 시 슬립을 억제해 주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 있는 베어링(40)을 통해 회전자(6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자(30)는, 고정자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자 프레임(10)의 내주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자 시 회전자(60)와 상호 기전력에 의한 회전토크를 발생시켜 회전자(60)의 회전동력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자 축(50)의 회전력을 유도하는 역할로서 베어링(40)이 마련된다.
회전자 축(50)은, 회전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활차(70)에 가해지는 로프하중, 즉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이겨내며, 회전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자 축(50)에는 베어링(40)이 삽입되어 회전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자(60)의 외경에는 고정자(30)와 에어 갭(air gap)을 사이에 두고 대치되는 영구자석(미도시)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30)와 영구자석이 서로 대치되는 원주상에서 일정간격의 에어 갭을 두고 대치되면서 전원 인가 시 전자력 발생에 의한 토크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회전자(60)가 회전하게 된다.
활차(70)는, 엘리베이터의 양중하중을 받는 것으로서, 이러한 활차(70)는 회전자 축(50)에 장착되어 회전운동을 직접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활차(70)의 홈에 로프가 권취되어 회전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로프가 움직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자 축(50)의 회전이 엘리베이터 카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므로서, 엘리베이터의 카가 견인되면서 승하강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회전센서(80)는, 회전자 축(50)의 다른 일단에 삽입되어 축의 회전, 즉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센서(80)의 감광디스크(미도시)는 회전자 축(50)과 함께 회전한다.
단자대(90)는, 단자박스 안에 들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단자대(90)는 전동기 내 고정자(30)에서 인출되는 3상 리드선(미도시)의 3가닥을 고정하고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고정자 프레임(10)과 고정자(30) 사이에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가 설치될 수 있다.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열박음 억지끼워맞춤 구조로 결착되어 있는 고정자 프레임(10)과 고정자(30) 사이에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를 설치하여 서로 간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속구조를 이루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110), 제1 고정부(120) 및 제2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이때, 제1 고정부(120)의 폭(L1)이 제2 고정부(130)의 폭(L2) 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제1 고정부(120)는, 판상형으로 몸체(110)를 기준으로 몸체(110)의 일단에서 몸체(110)의 내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탭홀(121)이 형성된다.
제2 고정부(130)는, 제1 고정부(120)와 마찬가지로 판상형으로 몸체(110)를 기준으로 몸체(110)의 타단에서 몸체(110)의 외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리벳(rivet)홀(131)이 형성된다.
이렇게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를 제작하여 고정자(30) 외주 부분의 분할 고정자 코어 세트를 연결하여 주는 보조 플레이트에 리벳(R)을 통해 조립하여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킨 다음, 탭홀(12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B)에 의해 고정자 프레임(10)의 내측에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의 체결 시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의 탭홀(121)에 상응하여 고정자 프레임(10)의 벽면에도 고정볼트(B)의 관통을 위한 고정볼트 홀(미도시)이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고정자(30)와 고정자 프레임(10)이 슬립 방지용 플레이트(100)와 연결이 되어 권상기 구동 시 발생하는 회전 토크력을 고정자 프레임(10)이 하중을 버티어주며 고정자(30)의 슬립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방지용 플레이트(100)를 리벳홀(131)을 통해 고정자(30)에 고정을 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탭홀(121)을 통해 고정자 프레임(10)과 체결되어 회전 토크로부터 고정자(30)가 슬립되어 결선부가 파단되는 현상을 없애 슬립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과전류를 방지하여 권상기 모터의 소손과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고정자 프레임 20: 설치랙
30: 고정자 40: 베어링
50: 회전자 축 60: 회전자
70: 활차 80: 회전센서
90: 단자대 100: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
110: 몸체 120: 제1 고정부
121: 탭홀 130: 제2 고정부
131: 리벳홀 B: 고정볼트
R: 리벳

Claims (4)

  1. 고정자 프레임(10)과, 상기 고정자 프레임(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30) 및 공극(air gap)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자(30)와 마주보는 영구자석이 구비된 회전자(60)를 포함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로서,
    상기 고정자 프레임(10)과 상기 고정자(30) 사이에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서 몸체(110)의 내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탭홀(121)이 형성된 판상의 제1 고정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타단에서 몸체(110)의 외경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리벳(rivet)홀(131)이 형성된 판상의 제2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 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120)는,
    상기 탭홀(12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B)에 의해 상기 고정자 프레임(10)의 내측에 상기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130)는,
    상기 리벳홀(131)을 통해 삽입되는 리벳(R)에 의해 상기 슬립 방지용 고정 플레이트(100)가 상기 고정자(30)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120)의 폭(L1)이 상기 제2 고정부(130)의 폭(L2) 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KR1020170173241A 2017-12-15 2017-12-15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KR10189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41A KR101892654B1 (ko) 2017-12-15 2017-12-15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41A KR101892654B1 (ko) 2017-12-15 2017-12-15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654B1 true KR101892654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241A KR101892654B1 (ko) 2017-12-15 2017-12-15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6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31A (ja) * 2007-12-05 2009-06-25 Aisin Seiki Co Ltd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2010068569A (ja) * 2008-09-09 2010-03-25 Aisin Seiki Co Ltd ステータ
JP2014138487A (ja) * 2013-01-17 2014-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KR20150104974A (ko) 2014-03-07 2015-09-16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고 하중용 권상기의 고정자 슬립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31A (ja) * 2007-12-05 2009-06-25 Aisin Seiki Co Ltd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2010068569A (ja) * 2008-09-09 2010-03-25 Aisin Seiki Co Ltd ステータ
JP2014138487A (ja) * 2013-01-17 2014-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KR20150104974A (ko) 2014-03-07 2015-09-16 주식회사 코리아엘텍 고 하중용 권상기의 고정자 슬립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9829C1 (ru) Подъем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JP5627681B2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内に外周側ロータおよびモータを有したエレベータマシン
JP4491143B2 (ja) 反転式ローター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機械
EP0630849B1 (en) Elevator drive machine placed in the counterweight
JP5604356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137962A (ja) エレベータ機械
KR10018739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7137963A (ja) カウンタウエイト内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駆動機械
JP453054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92654B1 (ko) 고정자의 슬립이 방지되는 고 토크용 동기전동기형 권상기
JP396171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20150104974A (ko) 고 하중용 권상기의 고정자 슬립 방지 장치
JP2009268328A (ja) 永久磁石形同期回転電機の磁石固定構造
KR101919944B1 (ko) 영구자석의 이탈방지와 이격거리 유지가 가능한 고토크용 엘리베이터의 외전형 권상기
JP2000095461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US20200153308A1 (en) Winding overhang
KR20170127236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KR100784923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KR20070105150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KR100343982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2005247514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1770623B1 (ko) 고 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자 조립 지그
KR2004216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314941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19011140A (ja) 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