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64B1 -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64B1
KR101892264B1 KR1020110094115A KR20110094115A KR101892264B1 KR 101892264 B1 KR101892264 B1 KR 101892264B1 KR 1020110094115 A KR1020110094115 A KR 1020110094115A KR 20110094115 A KR20110094115 A KR 20110094115A KR 101892264 B1 KR101892264 B1 KR 10189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mask pattern
display devic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558A (ko
Inventor
고무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64B1/ko
Priority to US13/415,759 priority patent/US8647931B2/en
Publication of KR2013003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8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덮도록 상기 기판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위에 금속막을 적층 형성하고,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에 각기 대응하는 마스크 패턴들 및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1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대해,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1 마스크 패턴을 통해서 제1 이온을 주입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2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있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2 마스크 패턴을 통해 제2 이온을 주입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ME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HAVING A PLAIRTY OF THIN FILM TRANSISTORS AND DISPLAY DEVICE FORMED THEREB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는 구동을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이들 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양질의 상태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표시 장치에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에 이온 주입 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로는 통상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다.
그러나,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할 때에는 포토레지트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불필요한 모바일 이온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으로 이동되어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필수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이에 따른 공정 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포토레스트가 제거될 때 뒤따르는 세정 공정 등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부위가 오염될 확률이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성을 위한 이온 주입시,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덮도록 상기 기판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위에 금속막을 적층 형성하고,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에 각기 대응하는 마스크 패턴들 및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1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대해,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1 마스크 패턴을 통해서 제1 이온을 주입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2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있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2 마스크 패턴을 통해 제2 이온을 주입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의 형성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및 제2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형성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및 제1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은, 하프톤 노광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이 각기,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가 NMOS 박막 트랜지스터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가 PMOS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 구성을 위한 이온 주입시, 마스크로서 포토레지스트가 아닌 금속막을 이용하게 되므로, 반도체층으로 불필요한 이온이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양질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표시 장치는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양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영역 도핑 공정을 통하여 채널 도핑의 효과로 문턱전압(Vth)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액티브 영역 및 소스/드레인 영역 형성을 위한 도핑 공정을 하나의 공정을 통해 이룰 수 있어, 공정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배선의 저항이 감소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 위에 버퍼막(12)과 폴리 실리콘막(14)이 형성된다.
이후 폴리 실리콘막(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크 공정을 통해 복수의 반도체층으로 형성되는 바, 여기서 반도체층들은 N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위한 제1 반도체층(16)과 P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위한 제2 반도체층(18)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기판(10) 위에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제1 반도체층(16)과 제2 반도체층(18)을 덮으면서 게이트 절연막(20)이 형성되고, 이 게이트 절연막(20) 위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금속막(22)이 적층 형성된다. 여기서 금속막(22)은 이후 설명될 마스크 패턴으로 패터닝되어 게이트 전극을 이루기 위한 금속막으로서, 통상의 게이트 전극을 이루기 위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막(22)은 제2 마스크 공정을 통해 제1 반도체층(16)에 대응하는 제1 마스크 패턴(24)과 제2 반도체층(18)에 대응하는 제2 마스크 패턴(28)으로 패터닝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마스크 공정은,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한 하프톤 노광법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따라 제1 마스크 패턴(24)과 제2 마스크 패턴(28)은 그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1 마스크 패턴(24)의 높이(h1)가 제2 마스크 패턴(24)의 높이(h2)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물론, 게이트 절연막(20) 위에 형성된 제1 마스크 패턴(24)과 제2 마스크 패턴(28)의 최종 위치는, 각기 제1 반도체층(16)과 제2 반도체층(18)이 갖게 될 액티브 영역의 상부이다.
한편, 제2 마스크 공정을 통해 기판(10)에는 제2 마스크 패턴(24)과 같은 높이를 같은 패턴이 더욱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패턴은 게이트 배선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제1 반도체층(16)에 대한 채널 도핑 및 소스/드레인 영역의 형성을 위한 제1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2 반도체층(18) 형성 영역에 대해서는, 게이트 절연막(20) 위로 제2 반도체층(18)과 제2 마스크 패턴(28)이 가려지도록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30)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되는데, 그 결과, 제1 마스크 패턴(24)를 지나도록 도핑된 이온들은, 제1 반도체층(16)의 액티브 영역(32)을 형성하고, 제1 마스크 패턴(24)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위를 지나도록 도핑된 이온들은 제1 반도체층(16)의 소스 영역(34) 및 드레인 영역(36)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이온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일 수 있으며, 제1 마스크 패턴(24)을 관통하여 제1 반도체층(16)의 액티브 영역(32)에도 도핑됨으로써 제1 박막 트랜지스터는 문턱전압(Vth)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온이 제1 마스크 패턴(24)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마스크 패턴(24)의 두께는 1000 Å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이온 주입 공정은 제3 마스크 공정으로서 제1 마스크 패턴(24)이 마스크로서 기능하면서 수행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제1 반도체층(16)에 대한 액티브 영역 및 소스/드레인 영역에 대한 도핑을 일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하프톤 노광법을 통해 형성된 제1 마스크 패턴(24)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한 제1 이온 주입 공정이 끝나게 되면, 제2 반도체층(18) 및 제2 마스크 패턴(28)을 위한 포토레지스트(30)는 게이트 절연막(20)로부터 제거되고, 다음으로는 제2 반도체층(18)에 대한 제2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에는 제1 반도체층(16) 및 제1 마스크 패턴(24)을 가리도록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38)가 게이트 절연막(20) 위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반도체층(18)에 대한 제2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되는 바, 이 때, 제2 마스크 패턴(28)이 제2 반도체층(18)에 형성될 소스 영역(40) 및 드레인 영역(42)의 형성을 위한 마스크로서 기능한다. 제2 이온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일 수 있으며, 제2 이온 주입 공정은 제1 이온 주입 공정과 다르게 제2 마스크 패턴(28)은 제1 마스크 패턴(24)의 비해 높은 높이(약, 1500 내지 3000 Å)를 가지므로 제2 이온이 제2 마스크 패턴(28)을 관통하지 못하므로 액티브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2 이온 주입 공정은 제4 마스크 공정으로서 제2 마스크 패턴(28)을 마스크로 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제2 반도체층(18)에 소스 영역(40) 및 드레인 영역(42)이 형성되면, 제1 반도체층(16)을 위한 포토레지스트(38)가 게이트 절연막(20)로부터 제거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1 마스크 패턴(24)과 제2 마스크 패턴(28)은, 각기 제1 반도체층(16)과 제2 반도체층(18)에 대응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2 박막 트랜지스터를 위한 제1 게이트 전극(44) 및 제2 게이트 전극(46)으로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판(10) 상에 제1,2 반도체층들(16)(18)과 제1,2 게이트 전극들(44)(46)이 형성되면, 제1,2 게이트 전극들(44)(46)을 덮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20) 위에 층간 절연막(48)이 형성되고(도 6 참조), 이 층간 절연막(48)에는 제5 마스크 공정을 통해 각각의 소스 영역(34)(40) 및 드레인 영역(36)(42)에 대응하여 컨택홀들(50)(52)(54)(56)이 형성된다(도 7 참조).
계속해서, 층간 절연막(48) 위에 컨택홀들(50)(52)(54)(56)을 매우면서 소스/드레인 전극 위한 물질막(58)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도 8 참조), 이 물질막(58)은 제 6 마스크 공정을 통해 패터닝되어 각기 소스 전극(60)(64) 및 드레인 전극(62)(66)으로 형성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기판(10) 상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면, 이후 공정은, 이들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10)을 포함한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냐에 따라 그에 따른 일련의 후속 공정이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기판 12: 버퍼막
16: 제1 반도체층 18: 제2 반도체층
20: 게이트 절연막 22: 금속막
24: 제1 마스크 패턴 28: 제2 마스크 패턴
30,38: 포토레지스트 34,40: 소스 영역
32: 액티브 영역 36,42: 드레인 영역
44,46: 게이트 전극

Claims (15)

  1. 기판 위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을 덮도록 상기 기판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위에 금속막을 적층 형성하고,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에 각기 대응하는 마스크 패턴들과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1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대해,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1 마스크 패턴을 통해서 제1 이온을 주입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들 중, 제2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에 있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상기 마스크 패턴들 중, 제2 마스크 패턴을 통해 제2 이온을 주입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의 형성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및 제2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형성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및 제1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패턴의 높이가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의 높이보다 작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은, 하프톤 노광법에 의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이 각기,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형성되는 박막 트렌지스터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가 NMOS 박막 트랜지스터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가 PMOS 박막 트랜지스터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 중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크 패턴과 상기 제2 마스크 패턴이 각기,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의 높이보다 낮은, 표시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극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배선을 더욱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
KR1020110094115A 2011-09-19 2011-09-19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KR10189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115A KR101892264B1 (ko) 2011-09-19 2011-09-19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US13/415,759 US8647931B2 (en) 2011-09-19 2012-03-08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and display device form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115A KR101892264B1 (ko) 2011-09-19 2011-09-19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558A KR20130030558A (ko) 2013-03-27
KR101892264B1 true KR101892264B1 (ko) 2018-08-28

Family

ID=4787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115A KR101892264B1 (ko) 2011-09-19 2011-09-19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47931B2 (ko)
KR (1) KR101892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221B1 (ko) * 2011-09-20 2018-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85384B1 (ko) * 2014-09-15 2021-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CN107359205B (zh) * 2017-07-28 2019-1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制备方法、阵列基板及制备方法、显示面板
KR20190143549A (ko) * 2018-06-19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225A1 (en) 2004-07-02 2006-01-05 Connie Gurley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cart liner
US20060278875A1 (en) 2005-06-10 2006-12-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135849A1 (en) 2006-12-12 2008-06-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501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721553B1 (ko) * 2004-06-30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씨모스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그를 사용하여제조된 씨모스 박막트랜지스터
KR100669457B1 (ko) 2004-11-24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20060109638A (ko) 2005-04-18 2006-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7807516B2 (en) * 2005-06-30 2010-10-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896671B2 (ja) * 2006-11-06 2012-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ハーフトーンマスク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
KR101856221B1 (ko) * 2011-09-20 2018-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225A1 (en) 2004-07-02 2006-01-05 Connie Gurley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cart liner
US20060278875A1 (en) 2005-06-10 2006-12-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135849A1 (en) 2006-12-12 2008-06-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558A (ko) 2013-03-27
US20130069070A1 (en) 2013-03-21
US8647931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866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080732B1 (ko) 이중 게이트 구조를 기반으로 한 저온 폴리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7935581B2 (en) Method of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US7696033B2 (en) Method of fabricating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thin film transistor (TFT)
KR101856221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650345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533408B (zh) 薄膜電晶體和主動矩陣有機發光二極體組件及製造方法
JP5150555B2 (ja) キャパシ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基板、これを具備した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該キャパシタ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JP2006114871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917198B2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060246639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5123975A1 (zh) 阵列基板及制备方法、显示面板
KR101892264B1 (ko)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US9159773B2 (en) Thin film transistor an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TWI419336B (zh) 半導體元件及其製作方法
KR1003074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245607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KR100611759B1 (ko) Cmos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42082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95803B1 (ko) 씨모스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TWI449004B (zh) 畫素結構及其製造方法
KR100441436B1 (ko) 투과율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TWI434356B (zh) 顯示裝置及其形成方法,以及包含顯示裝置之電子裝置
JP2004056025A (ja) 薄膜トランジス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6793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이 박막 트랜지스터를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