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943B1 -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943B1
KR101891943B1 KR1020180009290A KR20180009290A KR101891943B1 KR 101891943 B1 KR101891943 B1 KR 101891943B1 KR 1020180009290 A KR1020180009290 A KR 1020180009290A KR 20180009290 A KR20180009290 A KR 20180009290A KR 101891943 B1 KR101891943 B1 KR 10189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racket
guide
pump
bracke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근
Original Assignee
윤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철근 filed Critical 윤철근
Priority to KR102018000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04D13/08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the pump and drive motor are both subme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더 설치한 것과;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한 것과;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이 내장되며, 하단이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의 탈착장치이다.
본 발명은, 탈착장치체결부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별도로 분리 제작(제조)하여 가공정밀도를 높이고 제조와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탈착연결대에는 유도가이드를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정확한 위치에 장전될 수 있도록 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을 인격시켜 장착하고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는 복의 가이드핀봉삽탈공을 형성하여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정탈착연결대에 슬라이딩브라켓이 완전하게 장전되어 고속운전에도 흔들림 없는 장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켜 줌으로써 고속운전 및 고압력에 따른 반력에 의해 펌프부가 외측으로 들려지거나 틈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브라켓의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여 접합부(접합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고 누수 되는 현상을 재차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A Discharge Connector for underwater pump}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를 수중에 설치된 탈착밴드뭉치에 탈착하기 위한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더 설치한 것과;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한 것과;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이 내장되며, 하단이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하여서 된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장을 비롯하여 배수펌프장 같은 곳에 저장된 유체는 주로 수중모터펌를 이용하여외부 이송시키게 되며, 수중모터펌프는 그 사용 목적과 용도 등에 따라 심정용, 상수도 가압용, 배수용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중모터펌프는 엘보를 이용한 배관방법을 이용하여 유체를 외부로 펌핑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엘보를 사용할 경우에 펌프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펌프 인양을 위해 펌프장 내의 모든 유체를 제거한 후 인양을 해야 하는 등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토출용 엘보에 자동탈착장치(Automatic Discharge Connector)를 구비하여 수중에 모터펌프를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탈착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터펌프내의 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토출용 엘보로부터 모터펌프만을 따로 인양할 수 있으므로 모터펌프를 효율적으로 보수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조의 물을 수조의 외부로 펌핑하는 수중모터펌프에 설치되는 종래의 탈착장치 및 자동탈착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65737호(수중펌프의 착탈구조),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16호(고양정 수중펌프의 자동착탈장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21538호(수중펌프의 자동연결장치), 공개특허 제10-2012-0025124호(수중펌프용 자동탁찰장치), 공개특허 제10-2016-0128032호(반영구적 수명을 갖는 수중펌프의 자동탁찰장치), 등록특허 제10-0728865호(고양정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등록특허 제10-0952664호(누설방지구조를 갖는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등록특허 제10-1010512호(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65737호(수중펌프의 착탈구조)와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65737호(수중펌프의 착탈구조)는 수중펌프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의 훅크부를 연결부재 잠금수단에 끼워 체결시켜서 된 것으로 엘보와 토출구를 결합시킬 때에 토출구에 설치되는 훅크부를 엘보에 걸어 설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토출구에 설치되는 훅크부를 엘보에 걸어주므로 체결 및 결속력이 약하여 수중펌프의 토출압력이 조금만 높아도 연결부재가 들려지면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팩킹이 엘보우의 플랜지와의 밀착력이 약하여 수중펌프와 엘보우의 연결부에서 물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수중펌프와 엘보우의 연결부가 쉽게 마모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16호(고양정 수중펌프의 자동착탈장치)는, 수중펌프의 플랜지면과 접합되는 자동착탈장치의 플랜지면에 홈을 가공하여 신축성이 높은 고무계통 재질의 도넛츠형 튜브를 단순하게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수중펌프의 플랜지면과 자동착탈장치의 플랜지면과의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틈의 발생과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21538호(수중펌프의 자동연결장치)는, 수중펌프의 자동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요홈부에 실링부재를 좌,우이동 가능토록 설치하여, 수중펌프의 가동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이송관측으로 이동되어 실링부재의 끝단부가 상기 이송관 내부로 진입되어 연결부재와 이송관 사이를 밀봉시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의 요홈부에 단순히 실링부재를 설치한 것에 불과하여 엘보와 연결부재의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틈의 발생과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25124호(수중펌프용 자동탁찰장치)는, 수중 바닥의 지지 구조물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수중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안내하는 엘보 배관; 상기 엘보 배관의 양측으로 수명으로 연장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바; 상기 수중펌프의 토출측의 펌프 배관과 연통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상기 엘보 배관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연결 배관; 상기 엘보배관측에 일정 각도로 경사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을 관통하여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링크는 상기 연결 배관의 출구측 플랜지에 돌출되는 가이드 브라켓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엘보 배관과 연결 배관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엘보배관의 플랜지와 연결배관의 플랜지를 단순하게 접속시키므로,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고압력에 의해 틈이 쉽게 발생하고,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128032호(반영구적 수명을 갖는 수중펌프의 자동탁찰장치)는 자동탈착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체결부측 입수구 내경선단에 형성된 카운터홈의 내부에는 링부재와 패킹부재를 함께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입수구의 핀공에는 고정핀이 링부재의 핀공에 삽입되어 링부재를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체결부측의 입수구 내경선단과 수중펌프의 배출구와의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틈의 발생과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728865호(고양정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는, 반력 방지용 클램프가 장착된 토출용 엘보에 씰이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브래킷을 밀착하여 접속하도록 된 것이나,
토출용 엘보와 슬라이드브래킷이 수직상태에서 접속되므로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없고,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틈의 발생과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52664호(누설방지구조를 갖는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는,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브래킷의 내면에는 장착되는 고정부로부터 슬라이드 브래킷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랩씰을 설치하여, 수중펌프에 의한
유체의 토출시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곧게 펼쳐져 토출용 엘보와 슬라이드 브래킷의 연결부를 커버하도록 변형되고, 유체의 토출이 정지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브래킷의 내측으로 오므라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엘보의 체결부와 슬라이드브래킷과의 결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압력이 조금만 높아지다라도 틈이 발생하거 누수현상도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010512호(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는, 수조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토출관에 수중펌프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관에서 상기 수조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중펌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되, 토출관에 결합되는 제1 연결관과 수중펌프의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에 결합되는 제2 연결관이 수직상태에서 결합되고, 제2 연결관에 구비되는 개폐부재의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 하여 난류를 방지하는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이 수직상태에서 접속되므로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없고, 접속력과 밀착력 및 결속력이 약하여 틈의 발생과 누수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시킨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더 설치한 것과;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한 것과;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이 내장되며, 하단이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착장치체결부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별도로 분리 제작(제조)하여 가공정밀도를 높이고 제조와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탈착연결대에는 유도가이드를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정확한 위치에 장전될 수 있도록 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을 인격시켜 장착하고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는 복의 가이드핀봉삽탈공을 형성하여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정탈착연결대에 슬라이딩브라켓이 완전하게 장전되어 고속운전에도 흔들림 없는 장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켜 줌으로써 고속운전 및 고압력에 따른 반력에 의해 펌프부가 외측으로 들려지거나 틈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브라켓의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여 접합부(접합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고 누수되는 현상을 재차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설치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와 슬라이딩브라켓에는 가이드핀봉삽탈공과 가이드핀봉을 동일 수직선상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딩브라켓이 승하강 될 때에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탈되도록 하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며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하며, 결착플레이트의 외면에서 하단에는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에 형성되는 가이드핀봉삽탈공을 결착플레이트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복수 개 뚫어주고 상기 가이드핀봉을 슬라이딩브라켓의 밑면에 가이드핀봉삽탈봉과 수직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하며 상기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형성된 가이드핀봉삽탈공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밑면에 장착되는 가이드핀봉이 삽탈될 수 있도록 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결착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에는 복수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에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축으로 장착하되 각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하단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장착한 것에 있어서;
결착플레이트의 양측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에는 작동편을 일체로 형성하되 작동편의 상단이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과 중첩되도록 한 것과;
중첩되는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과 작동편의 상단에는 장착공을 뚫어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설치한 것과;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외측 상단과 장착공의 하부 외측에 뚫어진 스프링걸이장착공에는 탄발스프링을 걸어 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더욱 개선된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는,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더 설치한 것과;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한 것과;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이 내장되며, 하단이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착장치체결부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별도로 분리 제작(제조)하여 가공정밀도를 높이고 제조와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탈착연결대에는 유도가이드를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정확한 위치에 장전될 수 있도록 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을 인격시켜 장착하고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는 복의 가이드핀봉삽탈공을 형성하여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정탈착연결대에 슬라이딩브라켓이 완전하게 장전되어 고속운전에도 흔들림 없는 장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켜 줌으로써 고속운전 및 고압력에 따른 반력에 의해 펌프부가 외측으로 들려지거나 틈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브라켓의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여 접합부(접합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고 누수되는 현상을 재차 차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가 설치된 수중모터펌프어셈블리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탈착밴드뭉치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를 탈착밴드뭉치에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가이드후크뭉치를 수중모터펌프부의 펌프에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가이드후크뭉치의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의 탈착장치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가이드후크뭉치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슬라이딩브라켓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배면도 및 평면도와 저면도 및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의 내부에 장전되는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탈착밴드뭉치(30)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탈착밴드뭉치(30)에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가이드후크뭉치(70)를 수중모터펌프부(10)의 펌프부(12)에 설치한 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가이드후크뭉치(70)의 측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평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가이드후크뭉치(70)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슬라이딩브라켓(80)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배면도 및 평면도와 저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60)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90)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에서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내부에 장전되는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는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출파이프(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엘보형의 탈착밴드뭉치(30)와, 상기 탈착밴드뭉치(30)와 수중모터펌프부(10)를 형성하는 펌프부(12)의 배출단과의 사이에는 탈착장치체결부(50)를 장착하였다.
상기 탈착장치체결부(50)는, 탈착밴드뭉치(30)의 수직플랜지(33)에 장착되는 고양정탈착연결대(60)와,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전방에서 수중모터펌프부(10)를 형성하는 펌프부(12)의 배출단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양정탈착연결대(60)와 밀착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으로 크게 분리하여 형성하였다.
토출파이프(20)에는 한 쌍의 가이드파이프(22)를 가이드서포트(21)에 의해 토출파이프(20)와 나란하게 장착하되, 상기 각 가이드서포트(21)의 하단은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탈착밴드뭉치(30)를 형성하는 만곡배출관(31)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하였다.
상기 토출파이프(20)의 하단(플랜지)과 탈착밴드뭉치(30)의 수평플랜지(32)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였는데, 상기 탈착밴드뭉치(30)는 엘보형으로 된 만곡배출관(31)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평플랜지(32)와 수직플랜지(33)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탈착밴드뭉치(30)의 수직플랜지(33)에는 탈착장치체결부(50)를 형성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장착하였다.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60)는 도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내부가 통공된 연결관(61)의 배면 상단에는 걸림블록(64)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걸림블록(64)의 외면을 결속경사면(64-1)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가이드후크뭉치(70)의 걸림돌편(71-2)이 걸려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관(61)의 양단에는 결속플레이트(62)와 결착플레이트(63)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결속플레이트(62)에는 장착공(62-1)을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탈착밴드뭉치(30)의 수직플랜지(33)에 볼트/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착플레이트(63)의 양측 단부에는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나란하게 형성하여,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사이로 수직으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을 흔들림 없이 유도하여 장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중모터펌프부(10)를 가동시켰을 때에 슬라이딩브라켓(80)이 요동(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실하게 억류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착플레이트(63)의 외면에서 상단에는 슬라이딩브라켓모서리경사유도면(64-2)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상단 내측모서리에는 슬라이딩브라켓내향유도경사면(66-1)을 각각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사이로 수직으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착플레이트(63)의 외면에서 하단에는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사이로 수직으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착플레이트(63)의 외면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삽탈공(65-1)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뚫어주었으며, 상기 가이드핀봉삽탈공(65-1)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의 밑면에 가이드핀봉삽탈공(65-1)과 수직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가이드핀봉(88)들이 삽탈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결착플레이트(63)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에는 복수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67)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여 도 9a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90)를 축으로 장착하여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사이로 수직으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의 배면 양단을 각각 지지하여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9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부채꼴형 클램핑판(91)의 내면 하단에는 작동편(93)을 일체로 형성하되 작동편(93)의 상단이 부채꼴형 클램핑판(91)의 내면 하단과 중첩되도록 하였고, 중첩되는 부채꼴형 클램핑판(91)의 내면 하단과 작동편(93)의 상단에는 장착공(91-1)을 뚫어 전술한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67)에 회전가능하게 축(92)으로 장착하였으며, 상기 부채꼴형 클램핑판(91)의 외측 상단과 장착공(91-1)의 하부 외측에 뚫어진 스프링걸이장착공(68)에는 탄발스프링(94)을 장착하여 상기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90)를 외향으로 견인(탄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수중모터펌프부(10)를 형성하는 펌프부(12)의 배출단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은 도 8a 내지 도 8e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유체유통공(82)이 중앙에 뚫어진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였고, 상기 유체유통공(82)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에는 복수개의 장착공(8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볼트/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펌프부(12)의 결착플랜지(13)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유체유통공(82)의 내주연에서 후측부에는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을 형성하되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과 유체유통공(82)의 내주연과의 사이에는 씰링가스켓지지단턱(83-1)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에는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을 결합(내장)하였다.
특히,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밑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88)을 장착하되, 각 가이드핀봉(88)들은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에 뚫어진 가이드핀봉삽탈공(65-1)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곳에 장착하였으며, 각 가이드핀봉(88)의 외주연 하단을 내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결착플레이트(63)의 가이드핀봉삽탈공(65-1)에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에 내장되는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은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형성된 씰링가스켓(96)과, 상기 씰링가스켓(96)의 외주면에는 어느 일측에 돌출 형성된 외향돌편(97)과, 상기 씰링가스켓(96)의 내주면에서 외향돌편(97)과의 반대편에는 삼각형상의 씰링밀착연설링(98)을 형성하되 상기 선단이 씰링가스켓(96)의 외면 보다 외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은 외향돌편(97)을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에 결합시키면, 씰링가스켓(96)의 내주면이 유체유통공(82)의 내주면과 일치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유체는 걸리거나 지체되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이동하게(흐르게) 되며, 씰링밀착연설링(98)은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결착플레이트(63)에 밀접하게 당접되어 유통되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브라켓(80)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상단면에서 양단에는 가이드후크지지단편(84-1)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가이드후크지지단편(84-1)의 사이에 가이드후크장착면(84)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가이드후크장착면(84)에는 복수의 가이드후크장착너트공(85)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후크뭉치(70)를 장착하였다.
상기 가이드후크뭉치(70)는, 평판형으로 되고 상면의 중앙 선단에 너트공(71-4)이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장착블록(71)에서 후측부에는 복수의 장착공(71-1)을 일정한 간격으로 각 장착공(71-1)에는 장착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끼워 슬라이딩브라켓(80)의 가이드후크지지단편(84-1)에 형성된 가이드후크장착너트공(85)에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써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슬라이딩브라켓장착블록(71)의 밑면에서 선단부와 중앙부에는 걸림돌편(71-2)과 결속단편(71-3)을 각각 형성하여 걸림돌편(71-2)은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걸림블록(64)의 결속경사판(64-1)과 밀접하게 당전되고, 결속단편(64)은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상단면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슬라이딩브라켓장착블록(71)의 전면 양측에는 지지암(72)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각 지지암(72)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링형가이드지지홀더링(73)을 일체로 형성하여, 각 반링형가이드지지홀더링(73)에는 가이드파이프(22)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수중모터펌프부(10)가 승하강기구 또는 승하강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상승시키면, 슬라이딩브라켓(80)이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결착플레이트(63)를 벗어나면서 상승하게 되고, 슬라이딩브라켓(80)의 상단에 장착된 가이드후크뭉치(70)는 가이드파이프(2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되며, 슬라이딩브라켓(80)을 비롯한 수중모터펌프부(10)는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결착플레이트(63)의 상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브라켓(80)을 비롯한 수중모터펌프부(10)는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결착플레이트(63)의 상측으로 이동(상승)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브라켓(80)과 수중모터펌프부(10)를 수리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브라켓(80)을 비롯한 수중모터펌프부(10)는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결착플레이트(63)의 상측으로 이동(상승)시킨 상태에서, 승하강기구 또는 승하강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80)과 함께 수중모터펌프부(10)를 하향시키면, 슬라이딩브라켓(80)이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결착플레이트(63)의 상단에 형성된 결속경사면(64-1)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내면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내향유도경사면(66-1)에 의해 유도되어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의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의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양측면이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내주면과 밀접하게 연접되면서 유입 장전된다.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의 사이로 유입되어 장전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의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은 하단면이 결착플레이트(63)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에 안치되고,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이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에 안치되면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밑면에 장착된 가이드핀봉(88)이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65)에 형성된 가이드핀봉삽탈공(65-1)에 삽입되는데, 가이드핀봉(88)의 외주하단부가 내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핀봉(88)은 가이드핀봉삽탈공(65-1)에 용이하게 삽입 장전된다.
따라서, 상기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사이로 수직으로 유입되는 슬라이딩브라켓(80)을 흔들림 없이 유도하여 장전시킬 수 있고, 수중모터펌프부(10)를 가동시켰을 때에 슬라이딩브라켓(80)이 요동(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실하게 억류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의 사이에서 결착플레이트(63)에 슬라이딩브라켓(80)의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이 장전되면, 결착플레이트(63)의 양측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에 장착된 복수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90)가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배면을 억류시키므로 슬라이딩브라켓(80)과 함께 수중모터펌프부(10)의 들림을 원천적으로 방지 및 봉쇄하여 유통되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과의 사이에서 결착플레이트(63)에 슬라이딩브라켓(80)의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이 장전되면,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씰링가스켓장전요홈(83)에 장전된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의 내주면이 유체유통공(82)의 내주면과 일치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유체는 걸리거나 지체되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이동하게(흐르게) 된다.
특히, 누수방지용 씰링가스켓(95)의 씰링밀착연설링(98)이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결착플레이트(63)에 밀접하게 당접되어 유통되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브라켓(80)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브라켓블록(81)의 가이드후크장착면(84)에 장착된 가이드후크뭉치(70)는, 각 지지암(7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반링형가이드지지홀더링(73)이 가이드파이프(22)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편(71-2)은 고양정탈착연결대(60)를 형성하는 걸림블록(64)의 결속경사판(64-1)과 밀접하게 당전되며, 결속단편(64)은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66)의 상단면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고양정탈착연결대(60)의 선단에 수중모터펌프부(10)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80)이 결합 장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1)는, 탈착장치체결부를 형성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별도로 분리 제작(제조)하여 가공정밀도를 높이고 제조와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탈착연결대에는 유도가이드를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정확한 위치에 장전될 수 있으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는 복수의 가이드핀봉을 인격시켜 장착하고 고양정탈착연결대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는 복의 가이드핀봉삽탈공을 형성하여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양정탈착연결대에 슬라이딩브라켓이 완전하게 장전되어 고속운전에도 흔들림 없는 장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복수개씩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이격 장착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켜 줌으로써 고속운전 및 고압력에 따른 반력에 의해 펌프부가 외측으로 들려지거나 틈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브라켓의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여 접합부(접합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고 누수되는 현상을 재차 차단할 수 있다.
1: 수중모터펌프탈착장치 10: 수중모터펌프부
11: 모터부 12: 펌프부
20: 토출파이프 21: 가이드서포트
22: 가이드파이프 30: 탈착밴드뭉치
31: 만곡배출관 50: 탈착장치체결부
60: 고양정탈착연결대 61: 연결관
62: 결속플레이트 63: 결착플레이트
64: 걸림블록 65: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
65-1: 가이드핀봉삽탈공 66: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
70: 가이드후크뭉치 71: 슬라이딩브라켓장착블록
72: 지지암 73: 반링형가이드지지홀더링
80: 슬라이딩브라켓 81: 슬라이딩브라켓블록
83: 씰링가스켓장전요홈 88: 가이드핀봉
90: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 95: 씰링가스켓
98: 씰링밀착연설링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엘보형으로 된 탈착밴드뭉치의 수평플랜지에는 토출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장착하고 탈착배드뭉치의 수평부에는 한쌍의 가이드파이프를 토출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나란하게 설치하며, 수중모터펌프부에서 펌프부의 선단 상단에는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며, 상기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렌지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펌프부의 선단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탈착밴드뭉치의 수직플랜지에는 펌프부의 선단에 장착된 슬라이딩브라켓을 수직으로 유도하고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의해 슬라이딩브라켓을 받쳐 지지하는 고양정탈착연결대를 설치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와 슬라이딩브라켓에는 가이드핀봉삽탈공과 가이드핀봉을 동일 수직선상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딩브라켓이 승하강 될 때에 가이드핀봉이 가이드핀봉삽탈공에 삽탈되도록 하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외면 양측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펌프부의 선단 상면에는 별도로 분할 형성된 가이드후크뭉치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씰링수단을 내장하며 슬라이딩브라켓을 장착하며, 결착플레이트의 외면에서 하단에는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슬라이딩브라켓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고양정탈착연결대에 형성되는 가이드핀봉삽탈공을 결착플레이트의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복수 개 뚫어주고 상기 가이드핀봉을 슬라이딩브라켓의 밑면에 가이드핀봉삽탈봉과 수직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하며 상기 슬라이딩브라켓받침블록에 형성된 가이드핀봉삽탈공에는 슬라이딩브라켓의 밑면에 장착되는 가이드핀봉이 삽탈될 수 있도록 하며, 고양정탈착연결대의 외면 양측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결착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에는 복수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에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를 축으로 장착하되 각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하단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장착한 것에 있어서;
    결착플레이트의 양측 각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에 장착되는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는;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에는 작동편을 일체로 형성하되 작동편의 상단이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과 중첩되도록 한 것과;
    중첩되는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내면 하단과 작동편의 상단에는 장착공을 뚫어 슬라이딩브라켓지지블록의 펌프흔들림방지용 클램프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설치한 것과;
    부채꼴형 클램핑판의 외측 상단과 장착공의 하부 외측에 뚫어진 스프링걸이장착공에는 탄발스프링을 걸어 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09290A 2018-01-25 2018-01-25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KR10189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90A KR101891943B1 (ko) 2018-01-25 2018-01-25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90A KR101891943B1 (ko) 2018-01-25 2018-01-25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943B1 true KR101891943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290A KR101891943B1 (ko) 2018-01-25 2018-01-25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34B1 (ko) 2021-03-10 2021-12-01 삼흥산업주식회사 조립치수 변경이 가능한 가이드훅 조립체를 구비한 수중펌프 자동탈착장치
KR102484485B1 (ko) 2022-01-20 2023-01-04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54Y1 (ko) * 2006-09-30 2006-12-08 지효근 착탈식 수중펌프의 고정장치
KR100917261B1 (ko) * 2009-03-18 2009-09-16 (주)지천펌프공업 수중 펌프용 자동 탈착 장치
KR101010512B1 (ko) * 2010-10-05 2011-01-26 대웅기업주식회사 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454Y1 (ko) * 2006-09-30 2006-12-08 지효근 착탈식 수중펌프의 고정장치
KR100917261B1 (ko) * 2009-03-18 2009-09-16 (주)지천펌프공업 수중 펌프용 자동 탈착 장치
KR101010512B1 (ko) * 2010-10-05 2011-01-26 대웅기업주식회사 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34B1 (ko) 2021-03-10 2021-12-01 삼흥산업주식회사 조립치수 변경이 가능한 가이드훅 조립체를 구비한 수중펌프 자동탈착장치
KR102484485B1 (ko) 2022-01-20 2023-01-04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943B1 (ko) 수중모터펌프 탈착장치
KR100728865B1 (ko) 고양정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CA2501187A1 (en) Suction distribu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for a submersible pump
CN103025973A (zh) 用于将抽吸管连接到干式离心泵的抽吸连接件
JP6462314B2 (ja) 口金付き空気弁
KR101622781B1 (ko) 수중펌프의 자동 탈착장치
KR101782038B1 (ko) 중심가이드를 구비한 배수펌프 탈착장치
KR101010512B1 (ko) 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KR101220231B1 (ko)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WO2018152726A1 (zh) 纤维束过滤器的布气装置
KR100952664B1 (ko) 누설방지구조를 갖는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JP4767068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可動底板シール装置
CN109506928A (zh) 阀门打压装置及打压测试方法
KR200400278Y1 (ko) 수중펌프용 자동탈착장치
CN207776831U (zh) 一种油管防污防溅导流器
JP2006257875A (ja) 水中ポンプ
KR101779657B1 (ko) 반영구적 수명을 가지는 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JP6587919B2 (ja) 閉塞装置、及び該閉塞装置を用いた管接続部材の撤去方法
CN106352177B (zh) 一种水下管汇连接器
CN205351280U (zh) 一种蒸汽发生器竖直接管防异物装置
CN218207919U (zh) 一种便于检修的阀门铸件
JP6456664B2 (ja) 弁体撤去装置
CN217431284U (zh) 旋转密封试验机真空滤油机构
JP2017155600A (ja) ポンプ着脱装置、及び、ポンプシステム
JP2020012438A (ja) 水中ポンプの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