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70B1 -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70B1
KR101890170B1 KR1020170036800A KR20170036800A KR101890170B1 KR 101890170 B1 KR101890170 B1 KR 101890170B1 KR 1020170036800 A KR1020170036800 A KR 1020170036800A KR 20170036800 A KR20170036800 A KR 20170036800A KR 101890170 B1 KR101890170 B1 KR 10189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lt
circular
connection bolt
vari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7003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벽 지주를 원형강관으로 구비함으로 시설물의 외적인 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키고, 방음판의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형태의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원형지주(10)와; 상기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는 전면 고정판(20)과; 상기 전면 고정판(20)과 가변 가능한 이격 간격을 이룸으로서 방음판(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후면 가변판(30)과; 상기 후면 가변판(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와; 상기 후면 가변판(30)과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볼트(50)와; 상기 연결볼트(50)의 타단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20)측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지지구(60)와; 상기 연결볼트(5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후면 가변판(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너트(51);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SOUND PROOF PANEL SUPPORT STRUCTURE WITH CIRCLE TYPE PILLAR}
본 발명은 방음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지주가 원형지주 타입으로 구비되는 방음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및 학교 등의 주거지에 근접한 도로에는 방음벽을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방음벽의 종래 일 예로 특허 등록 제898577호에서는 지주 일체형 방음벽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방음벽은 적층 설치되는 방음판의 지지를 위한 지주가 H빔 형태의 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차량 충돌시 차량 파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음벽 지주를 원형 강관 형태로 변경함으로서 시설의 경량화를 이룸과 함께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방음판의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형태의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원형지주와; 상기 원형지주에 용접 고정되는 전면 고정판과; 상기 전면 고정판과 일정 이격 간격을 이룸으로서 방음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후면 가변판과; 상기 후면 가변판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원형지주에 용접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가변판과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의 타단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측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지지구와; 상기 연결볼트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후면 가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음벽 지주가 원형강관으로 구비됨으로 시설물의 외적인 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방음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 현장 시공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방음판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판 지지상태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방음판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방음판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방음판 지지장치의 부분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방음판 지지장치에 의한 방음벽 시공상태 정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면 가변판측 설치상태 단면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탄성스프링 지지부 부품도.
도 8은 도 6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음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주부재는 중공 형태의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원형지주(10)로 구성되고, 원형지주(10)에는 방음판(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전면고정판(20) 및 후면 가변판(30)이 구비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전면 고정판(20)은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고, 후면 가변판(30)은 전면 고정판(20)과의 이격 간격이 가변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후면 가변판(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고, 후면 가변판(30)에는 연결볼트(50)의 일단부가 연결 구성되며, 연결볼트(50)의 타단측 머리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20)측에는 볼트 지지구(60)가 고정 설치되고, 연결볼트(50)의 일단부에는 조절너트(51)가 체결되어 후면 가변판(30)의 위치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볼트 지지구(60)는 전면 고정판(20)의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되어 방음판(1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함으로서 방음판(100)이 연결볼트(50)과 접촉 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 지지구(60) 일측에는 연결볼트(5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착탈홈(6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0)는 후면 가변판(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41)이 형성되는 "ㄴ"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것을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방음판(100)의 보호를 위해 후면 가변판(30)의 내벽면측에 부착되어진 고무패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방음판 지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원형지주(10)가 콘크리트 기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시공되어지면, 각 원형지주(10) 사이에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판(100)을 적층 설치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원형지주(10)의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전면 고정판(20)과 후면 가변판(30) 사이의 간격을 여유있게 확보하여 방음판(100)의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너트(51)를 조여서 후면 가변판(30)이 방음판(100)을 가압 시키도록 함으로서 방음판(100)의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후면 가변판(30)은 가이드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안내홈(41)을 따라 유동이 안내되어지게 됨으로서 안정적인 방음판(100) 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음벽은 방음판(100)을 지지하는 지주가 원형지주(10)로 이루어짐으로서 시설물의 외관이 부드러운 느낌을 나타냄과 함께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전면 고정판(20)과 후면 가변판(3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 다양한 두께의 방음판(100)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방음판(100)의 교체작업시에는 조절너트(51)를 풀어서 후면 가변판(30)을 원형지주(10)로 부터 분리시키면, 방음판(100)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방음벽의 시공 뿐만 아니라 보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이드 플레이트(40) 일단부에는 후면 가변판(30)을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42)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후면 가변판(30)측에는 탄성스프링(42)의 일측이 삽입.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스펀지 또는 우레탄 재질의 탄성패드(3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안내홈(41) 내벽면에는 후면 가변판(30)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코팅층(41a)이 형성된다. 상기 윤활코팅층(41a)은 테프론 30~50중량%, 에폭시수지 20~30중량%, 엘라스토머 10~30중량%, 이산화티탄 10~20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0중량%, 치오글리콜산 1~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후면 가변판(30)이 탄성스프링(4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짐으로서 연결볼트(50)를 따라 조립 또는 분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탄성스프링(42)은 일측이 탄성패드(32)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가압 과정에서 스프링의 변형 내지는 이탈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후면 가변판(30)은 탄성스프링(42) 및 탄성패드(32)에 의한 2중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안내홈(41) 내벽면에 형성되는 윤활코팅층(41a)은 윤활성 재질인 테프론 외에 탄력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엘라스토머 및 이산화티탄이 포함되어져 있기 때문에 후면 가변판(30)과의 마찰에 따른 코팅층의 크랙발생이 방지되며, 지용성 화합물인 토코페릴아세테이트가 첨가됨으로 산화방지 및 윤활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염기성의 치오글리콜산이 함유됨으로 테프론 분말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여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10 : 원형지주 20 : 전면 고정판
30 : 후면 가변판 31 : 고무패드
40 : 가이드 플레이트 41 : 안내홈
50 : 연결볼트 51 : 조절너트
60 : 볼트지지구 61 : 착탈홈
100 : 방음판

Claims (5)

  1. 중공 형태의 원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원형지주(10)와;
    상기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는 전면 고정판(20)과;
    상기 전면 고정판(20)과 가변 가능한 이격 간격을 이룸으로서 방음판(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후면 가변판(30)과;
    상기 후면 가변판(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원형지주(10)에 용접 고정되되, 후면 가변판(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41)이 형성되는 "ㄴ"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가이드 플레이트(40)와;
    상기 후면 가변판(30)과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볼트(50)와;
    상기 연결볼트(50)의 타단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20)측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지지구(60)와;
    상기 연결볼트(5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후면 가변판(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너트(51);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지지구(60)는 전면 고정판(20)의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성되어 방음판(1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함으로서 방음판(100)이 연결볼트(50)과 접촉 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 지지구(60) 일측에는 연결볼트(5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착탈홈(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 일단부에는 후면 가변판(30)을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42)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후면 가변판(30)측에는 탄성스프링(42)의 일측이 삽입.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탄성패드(3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41) 내벽면에는 후면 가변판(30)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코팅층(41a)이 형성되며, 상기 윤활코팅층(41a)은 테프론 30~50중량%, 에폭시수지 20~30중량%, 엘라스토머 10~30중량%, 이산화티탄 10~20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0중량%, 치오글리콜산 1~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KR1020170036800A 2017-03-23 2017-03-23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KR10189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00A KR101890170B1 (ko) 2017-03-23 2017-03-23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00A KR101890170B1 (ko) 2017-03-23 2017-03-23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170B1 true KR101890170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800A KR101890170B1 (ko) 2017-03-23 2017-03-23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11B1 (ko) 2019-10-16 2020-03-20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 보수를 위한 지주 결합형 커버를 갖는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2175801B1 (ko) * 2019-06-1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599A (ja) * 2004-03-05 2005-09-15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防音壁
KR20160020319A (ko) * 2014-08-13 2016-02-23 매크로드 주식회사 친환경 방음 터널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599A (ja) * 2004-03-05 2005-09-15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防音壁
KR20160020319A (ko) * 2014-08-13 2016-02-23 매크로드 주식회사 친환경 방음 터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01B1 (ko) * 2019-06-13 2020-11-06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KR102091111B1 (ko) 2019-10-16 2020-03-20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 보수를 위한 지주 결합형 커버를 갖는 방음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75B1 (ko) 투명 방음판의 탈착이 용이한 방음벽
KR101890170B1 (ko) 원형지주 방음판 지지장치
JP5104764B2 (ja) 建物の天井構造
KR101970392B1 (ko) 강재 슬릿댐퍼와 점탄성댐퍼가 결합된 복합댐퍼
KR101575743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KR100762223B1 (ko)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KR102147395B1 (ko) 이격거리 조절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JP2007162263A (ja) 建物用制振装置
KR101359395B1 (ko) 방음벽 방음패널 이탈 및 파손방지 고정장치
KR101946985B1 (ko) 방음터널용 패널파이프 지지장치
KR20150003817U (ko) 방음벽용 복합 소음저감장치
KR20150042580A (ko) 방음벽지주
JP5337379B2 (ja) 建物用制振構造
CN213511893U (zh) 一种铁路通信机房设备用支撑底座
KR101785530B1 (ko) 프리캐스트 부유 궤도장치 및 이를 위한 진동 저감장치
JP2010185171A (ja) 仕口用ダンパー
JP7168442B2 (ja) 壁体取付用インパクトダンパ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壁体
JP2019078093A (ja) 床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US20070215423A1 (en) Dual Mass Linear Mass Damper
JP2009174159A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JP2010196440A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KR102175801B1 (ko)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JP2020067107A (ja) 防振装置
CN220537260U (zh) 一种电梯导轨组件
JP4442490B2 (ja) 建物の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