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280B1 -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 Google Patents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280B1
KR101889280B1 KR1020170057601A KR20170057601A KR101889280B1 KR 101889280 B1 KR101889280 B1 KR 101889280B1 KR 1020170057601 A KR1020170057601 A KR 1020170057601A KR 20170057601 A KR20170057601 A KR 20170057601A KR 101889280 B1 KR101889280 B1 KR 10188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ublic terminal
command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591A (ko
Inventor
이상욱
성주원
오경진
오진영
임지희
장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5/872,9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50816B2/en
Publication of KR2018008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서비스를 도출하는 도출부;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판단부는 도출된 서비스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공용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SERVER AND DEVICE FOR PROVINING SERCIVE IN RESPONSE TO VOICE COMMAND}
본 발명은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과 기제작된 음성 인식 모델과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포함된 의도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음성 기반 서비스의 분야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 의도와 다른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한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보다 디테일한 음성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선행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8523호에는 기저장된 복수의 매뉴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명령어를 공용 단말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된 명령어의 답변에 기초한 서비스를 공용 단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서비스를 도출하는 도출부;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버는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명령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는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음성 신호의 해석 결과에 대해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해석 결과 및 상기 공용 단말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공용 단말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공용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기초한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대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서비스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공용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공용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에서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용 단말(10), 서버(2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용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인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은 공용 단말(10)에서 도출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서비스로 판단된 경우, 해당 서비스에 해당하는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와 연동하여 내부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또는 오디오 신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은 공용 단말(10)에서 도출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이거나 해당 음성 인식 결과가 해석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 해석된 음성 인식 결과를 서버(2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그대로 서버(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서버(20)는 공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음성 신호가 서버(20)의 서비스 판단을 요구하는 지에 따라 수신된 음성 인식 결과로부터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또는 서비스를 도출하여 공용 단말(10)로 전송하거나 공용 단말(1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의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또는 서비스를 도출하여 공용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공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인식 결과 또는 서버(20)에 의해 해석된 음성 신호의 음성 인식 결과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공용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음성 인식 결과로부터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서비스로 판단된 경우, 해당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은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서비스를 공용 단말(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거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공용 단말(10)로 내부 서비스와 구별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서비스(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VOD 서비스)란 3rd party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의 연동 없이 내부 인프라 및 자원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고, 외부 서비스(예를 들어, 공용 단말에 별도로 설치된 외부 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란 내부적인 인프라 및 자원의 이용 없이 3rd party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공용 단말(10)로 내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가 방송 서버인 경우, 공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를 공용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가 VOD 서비스 제공 서버인 경우, 공용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VOD 서비스를 공용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10), 서버(2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의 공용 단말(10), 서버(2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서버(20)는 공용 단말(1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 S203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공용 단말(10)은 입력받은 음성 신호을 직접 인식하여 응답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용 단말(10)은 도출된 응답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0)이 입력받은 음성 신호을 직접 인식하여 응답을 도출한 경우, 공용 단말(10)은 응답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서버(20)는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서버(20)는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공용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09에서 공용 단말(10)은 서비스에 해당하는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40)와의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11에서 서버(20)는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도출하고, 단계 S213에서 도출된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1 내지 S2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3의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3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대화 서버(10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의 명령어에 대한 문맥 및 발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공용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 서버(100)는 명령어 분석을 통해 명령어에 답변을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 또는 공용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본체 및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단말(110)은 웹캠과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셋탑박스는 웹캠이 없이도 동작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의 본체의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및 내장 모듈은 하기의 기능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는 전원버튼(전원상태표시 및 리모컨 수신 LED 포함), IR 수신부, 마이크, 볼륨조절버튼(또는 볼륨조절터치), 이더넷 연결 상태 LED, 와이파이 연결상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는 RJ-45 이더넷 포트, HDMI 출력 포트, S/PDIF 출력 포트, 전원어댑터 단자, 전원 on/off 스위치, USB 포트, Micro SD 슬롯,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 WPS 사생활보호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는 본체 카메라 인터페이스, 서비스 상태 LED(감정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모듈은 블루투스 송수신부, 스피커 와이파이 클라이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의 카메라는 전면부, 후면부 및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부는 카메라 동작 상태 LED를 포함하고, 후면부는 홈캠 서버 연결 상태 LED를 포함하고, 하면부는 본체카메라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원거리 음성 및 화자를 인식할 수 있고, 캐릭터 및 TTS(Text to Speech)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와 지능형 감성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10)은 주소록, 알람, 일정, 갤러리 등을 설정할 수 있고, 홈 IoT를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음성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뮤직 서비스, TV 기반의 음성 및 영상 통화, OTV 서비스와 음성 인식 서비스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공용 단말(110)을 제어하는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공용 단말(110) 내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 또는 공용 단말(110)의 페어링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공용 단말(110) 내에 설치된 런처 앱(예컨대, 뮤직 앱, 주소록, 일정, 알람, 주소록, 갤러리 등)을 연동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명령어 리스트, O2O 서비스 연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고, 공용 단말(110)은 복수의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복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공용 단말(110)과 연계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탑 PC,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단말은 제 1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을 통해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 2 사용자 단말은 제 2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날씨 알림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을 통해 제 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장치, 별도의 보조 단말(예컨대, 리모컨 등)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과 연동되는 별도의 카메라 또는 공용 단말(110)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공용 단말(11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140), 사물 인터넷 장치 또는 별도의 보조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각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 단말(110)에는 복수의 음성 인식 서비스(또는 영상 인식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런처 앱(예컨대, 주소록 앱, 갤러리 앱, 디스플레이 장치 연동 앱, IoT 연동 앱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은 영상 통화 연결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예를 들어, 특정 제스쳐에 대한 영상 또는 특정 사물에 대한 영상)를 입력받은 경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스쳐로부터 영상 통화 연결에 대한 요청 신호를 도출하고, 도출된 요청 신호에 따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하거나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에 설치된 런처 어플리케이션과 페어링된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오늘 일정 알려줘'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공용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일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달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이 방송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키워드에 기초하여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게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고,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응답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대화 서버(100)로 전송하여 명령어에 대한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공용 단말(11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공용 단말(140)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따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 유무를 결정하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를 통해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여 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서버(130)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기설정된 음성 명령어 목록 중에서 텍스트화된 음성 신호와 일정 유사도 이상인 명령어를 도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에는 공용 단말(110)을 제어하는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4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링크 및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40)은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40)과의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고,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공용 단말(140)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공용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별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은 뮤직 기능(ID 로그인, 재생 이력 조회), 통화 기능(주소록 정보 관리, 통화 이력 조회, SMS/MMS 이력 조회), 일정/알람 기능(캘린더 설정, 알람 설정, 조회/수정/삭제/등록), 홈 IoT 기능(홈 IoT ID 로그인, 홈 IoT 앱 링크), 갤러리 기능(사진 가져오기/내보내기, 갤러리명 조회/수정/삭제/등록), 교통 기능(정류장 등록, 버스 노선 노출, 지하철역 등록, 지하철 노선도 노출, 내비게이션 앱 링크), O2O 기능(목적지 조회/등록/삭제, 콜택시 앱 링크, 배달업체 등록/조회/삭제), 설정 기능(페어링, 블루투스, 공용 단말 해상도/초기화면/ 생활 정보 설정, 캐릭터, 네트워크 정보(무선 AP 목록, 유선 IP 정보))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40)은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40)에 설치된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런처 어플리케이션은 셋업 및 페어링 기능(설정안내, provisioning,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 간 페어링 제공), 갤러리/메모 기능(사진보기, 사진 import/export, 메모 관리 제공), 알람/일정 기능(알람 설정, 일정 import/export, 일정 관리 제공), 이벤트 처리 기능(입력 디바이스 연동, 음성 이벤트 처리, 서비스 히스토리 관리), 서비스 개통 기능(OTV 개통, 인터넷 전화 개통, 지니뮤직 개통), 업그레이드/서비스 제어 기능(앱 업그레이드, 캐릭터 앱 연동, TTS 앱 연동), 환경 설정 기능(사용자 정보 조회, 유무선 네트워크 설정, 블루투스 설정), 팝업 기능(서비스별 이벤트별 팝업, 시스템 팝업 노출), 기타 기능(음성명령 이력 관리, 하드웨어 상태 관리, 캐릭터 설정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탑 PC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40)은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컴패니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사용자 단말(140)뿐만 아니라 공용 단말(110)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대화 서버(10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에 해당하는 서버단을 통해 처리되는 기술적 특징은 공용 단말(110)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대화 서버(10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를 통해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각 기술적 특징을 모듈로서 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대화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화 서버(100)는 수신부(400), 분석부(410), 전송부(420) 및 DB(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대화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400)는 공용 단말(110)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 질의, 감성 대화 등을 포함)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어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인식 서버(130)에 의해 도출되고,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 전송된다.
수신부(40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명령어와 함께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신하고,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한 명령어에 대한 사용자의 발화 분석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수신부(40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명령어를 포함한 사용자의 발화 분석을 요청받은 경우,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요청하고,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콘텍스트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텍스트는 명령어에서 누락된 정보를 추론하거나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의도를 분석 및 해석하거나,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텍스트에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음성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공용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부(41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해석하고 명령어에 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410)는 콘텍스트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정보에 따라 명령어에서 누락된 정보를 추론 및 보완한 후, 명령어에 대한 문장 해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의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선호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거주지 및 근무지 정보, 컨텐츠(예컨대, 뉴스, 음악 등)의 선호 장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명령어가 장소에 대한 언급없이 날씨 관련 질의(예컨대 '날씨 어때?')만으로 구성된 문장인 경우,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명령어를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날씨 질의(예컨대, '우면동 날씨 어때?')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콘텍스트에 포함된 명령어 이력 정보로부터 이전 명령어를 참조하여 명령어에 대한 의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명령어 이력 정보에 날씨 관련된 명령어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의 현재 명령어에 특정 날짜(예컨대, '모레는?')를 포함하는 정보만이 포함된 경우, 해당 명령어를 특정 날짜의 날씨에 대한 질의(예컨대, '모레 날씨는?')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복수의 기능(예컨대,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추천/변경/검색 기능, 웹 검색 기능, 음성/영상 통화 기능, 공용 단말(110)과 페어링된 IoT 단말의 제어 기능, 공용 단말(110)과 감성 대화, 사용자의 생활 서비스 등의 모든 기능을 포함) 각각에 대해 콘텍스트에 포함된 공용 단말(110)의 기능 사용 빈도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써 명령어에 대한 의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공용 단말(110)를 통한 사용자의 제 1 기능 서비스(예컨대, VOD 컨텐츠 재생 기능)에 대한 이용 빈도수가 제 2 기능 서비스(예컨대, 음악 컨텐츠 재생 기능)에 대한 이용 빈도수보다 높은 경우, 제 1 기능 서비스에 제 1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 1 가중치보다 낮은 제 2 가중치를 제 2 기능 서비스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화 명령한 특정 명령어(예컨대, '틀어줘')에 대해서, 분석부(410)는 해당 명령어와 연관된 기능 서비스 중 가중치가 높은 제 1 기능 서비스(예컨대, VOD 컨텐츠 재생 기능)의 제공을 해당 명령어에 대한 의도로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응답 패턴에 따라 음성 기반 서비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각 기능에 대해 가중치를 조정하여 명령어에 대한 답변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사용자가 평소 제 1 음성 명령(예컨대, '틀어줘')에 대해서 제 1 기능 서비스(예컨대, VOD 컨텐츠 재생 기능)에 대한 해석의 긍정 응답이 높은 경우, 해당 제 1 기능 서비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410)는 음성 기반 서비스에 대한 각 기능 별 누적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추론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명령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같은 명령어가 반복된다고 판단한 경우 기존의 답변과 다른 패턴의 답변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사용자가 동일한 명령어를 반복하여 질의하는 경우, 반복되는 명령어에 대해 사용자의 질문의도를 묻는 답변(예컨대, '왜 자꾸 같은 질문을 하세요')을 추론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사용 기간 정보에 따른 시스템 친숙도를 고려하여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의 시스템 친숙도는 사용자의 사용 기간에 비례하므로 분석부(410)는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기간이 늘어나면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서 불필요한 안내 문구 등을 제거하여 답변 문구를 간결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410)는 VOD 재생 기능에 대한 답변으로서 '요청하신 VOD 컨텐츠를 재생합니다'를 'VOD 재생 또는 재생'으로 간결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410)는 공용 단말(110)의 숙련도에 따라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간결하게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상황 정보로부터 공용 단말(110)을 통해 제공 중인 서비스를 참조하여 명령어에 대한 문장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을 통해 제공 중인 서비스에 대한 기능 및 상태 정보, 공용 단말(110)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한 기능 및 상태 정보에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의 대기 모드, 음성/영상 통화 여부, 통화 메뉴 정보, OTV 시청 여부, 회의 메뉴 정보, 런처 메인 화면 정보, 런처 서브 화면 정보(예컨대, 설정, 알람, 팝업, 리스트 웹뷰 등), 런처 선택 UI 상태 정보, 컨텐츠 시청 정보, 블루투스 스피커의 사용 여부, 뮤직 컨텐츠의 이용 여부, 캐릭터 정보, USB 뮤직 이용 여부, 인터넷 라디오 이용 여부, TV HDMI 연결 상태 정보, 리모컨 정보, 원거리 음성 입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용 단말(110)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에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성별, 인원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런처 선택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번호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발화한 경우, 분석부(410)는 해당 명령어를 'SELECT'로 해석하거나 '특정 번호의 채널로의 이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라디오 서비스(또는 뮤직 서비스)를 이용 중일 때, 사용자로부터 이동 명령어(예컨대, '다음')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 경우, 분석부(410)는 이동 명령어를 '라디오 다음 채널로의 변경'(또는, 뮤직 서비스의 다음 곡으로의 변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부(41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분석한 명령어에 따라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420)는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 또는 공용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부(420)는 명령어에 대한 답변이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답변에 기초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해 도출된 서비스는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이 필요한 서비스로서, 명령어에 대한 답변(명령어 해석 결과)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도출된 외부 서비스일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에 기초하여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를 결정하거나 복수의 서비스 모듈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 별 템플릿은 명령어와 관련된 상위 개념에 해당 명령어를 매핑한 매핑 정보이고, 질의 타입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는 질의 타입별로 음성 명령의 상황에 맞게 매칭된 기설정된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야구와 관련된 명령어는 스포츠 타입 템플릿으로 매핑될 수 있고, 스포츠 타입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로는 스포츠 정보 검색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전송부(420)는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공용 단말(110)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화 서버(100)에서 공용 단말(110)로 전송되는 서비스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이 필요 없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예컨대, 통화 종료)의 음성 인식 결과인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화 응답 문장(예컨대, '통화를 종료합니다')이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로서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거나 공용 단말(11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DB(430)는 대화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대화 서버(100)와 대화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43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콘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400), 분석부(410), 전송부(420) 및 DB(4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4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단계 S505에서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의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집되거나 상시로 수집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에게 명령어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명령어에 대해 발화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화 서버(100)에게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대화 서버(100)는 분석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공용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서버(100)는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해당되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공용 단말(110)에게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공용 단말(110)은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5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단계 S605에서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의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에게 명령어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대화 서버(100)는 분석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서버(100)는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해당되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이거나 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를 제공할 서비스 모듈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하여 답변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출된 서비스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단계 S617에서 공용 단말(110)은 수신된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은 수신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시키거나 공용 단말(11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고, 공용 단말(110)과 페어링된 IoT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14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서비스 관리 서버(12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부(700), 요청부(710), 및 서비스 제공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700)는 공용 단말(110)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700)는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 별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 별 템플릿은 명령어와 관련된 상위 개념에 해당 명령어를 매핑한 매핑 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질의 타입 별 템플릿 각각은 질의 타입에 대응하는 서비스 별로 분류될 수 있다.
요청부(710)는 공용 단말(11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관련 정보, 공용 단말(110)의 사용 이력 정보 등을 관리 및 저장하는 DB로부터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텍스트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음성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공용 단말(110)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공용 단말(110)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청부(710)는 대화 이력 DB(미도시)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명령어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요청부(710)는 사용자 프로파일 DB(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주소, 사용자 선호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요청부(710)는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대화 서버(100)에게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요청부(710)는 명령어에 대한 발화 해석을 요청할 때, 명령어와 함께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대화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요청부(710)는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대해 발화 해석이 요구되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서버(100)에게 발화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요청부(710)는 대화 서버(100)로부터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의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에,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하여 대화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질의 타입 별 템플릿 각각을 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관련된 대상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주소록 템플릿을 주소록 인명 교정 검색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하고, 미디어 템플릿을 미디어 정보 검색/추천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하고, 날씨 템플릿을 날씨 정보 검색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하고, IoT 템플릿을 IoT 제어 서비스와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의 해석 결과에 대해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해석 결과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도출하고, 도출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해석 결과를 공용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00)에 의해 분석된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를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이 필요한 서비스인 경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하여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를 도출하고, 도출된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의 연동 필요 유무는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환율 정보 조회'의 경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조회한 후, 공용 단말(110)에게 환율 정보의 조회 결과를 텍스트 정보로 응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사용자의 일상과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예컨대, '교통(대중교통 정보, 내비 정보, 택시 호출 등) 조회', '음식 배달', 등)의 경우, 각각의 해석 결과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기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예컨대, 등록된 공용 단말(110)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선호 정보, 등록된 사용자의 거주지/근무지 주소, 등록된 정류장 정보 등)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뉴스 정보 조회'인 경우, 기등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뉴스 채널을 조회하고, 조회된 뉴스 채널에서 제공하는 뉴스 정보(예컨대, VOD 영상 컨텐츠의 URL 링크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요청하여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날씨 정보 조회'인 경우, 명령어로부터 날씨 조회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부(720)는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제공 서버에게 공용 단말(110)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날씨 정보 조회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를 서비스로 판단하여 공용 단말(110)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내부 서비스 모듈(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 중 해당 해석 결과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시간 관련 질의(예컨대, '지금 몇시?')에 대해서 제 1 내부 서비스 모듈을 통해 날짜/시간 정보(예컨대, '지금 00시 00분 입니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스케줄 관련 질의에 대해서 내부 서비스 모듈을 통해 일정 조회/추가/삭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복수의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 중에서 해당 해석 결과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통화 연결과 관련된 경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주소록 상에서의 통화 연결 대상자의 이름을 검색하여 통화를 요청하거나 주소록 상에 해당 연결 대상자의 이름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연결 대상자의 이름을 주소록 상에 추가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미디어 추천과 관련된 경우,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추천 검색어와 현재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미디어 서비스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가 '지식 검색' 또는 '웹 검색'으로 판단된 경우,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된 검색 결과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40)과 연계하여 공용 단말(110)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40)을 이용하여 공용 단말(110)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하여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모듈을 공용 단말(110)을 통해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에서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부(720)는 명령어에 대한 해석 결과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을 통해 출력 중인 미디어 서비스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720)는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으로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DB(미도시)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 관리 서버(120)와 서비스 관리 서버(12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DB는 질의 타입 별 템플릿과 연계된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B는 사용자 프로필 모듈, 도량형/계산기 모듈, 미디어 정보 모듈, 미디어 추천모듈, 지도 정보 모듈, 지도 검색 모듈, 택시정보모듈, 대중교통정보모듈, IoT 기기연동모듈, 증권/환율 모듈, 뉴스정보모듈, 지식검색모듈(SparQL, DBpedia), 지식정보모듈(용어사전, 백과사전 기능 탑재), 대화DB, 3서드파티모듈(연동프로토콜, 연동정보 저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700), 서비스 제공부(710), 요청부(710) 및 서비스 제공부(7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7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8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단계 S805에서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음성 인식 서버(130)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질의 타입별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0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질의 타입별 템플릿과 연계되는 대상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811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의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813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에게 명령어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15에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81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1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답변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21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답변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 없이 제공되는 서비스인 경우, 답변을 공용 단말(110)로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23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답변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의 연동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인 경우, 답변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82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도출된 외부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2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8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9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단계 S905에서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의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90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명령어가 기설정된 이벤트 값으로 구성된 능동형 추천 명령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능동형 추천 명령어는 예를 들면,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력이 있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911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가 능동형 추천 명령어인 경우,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를 호출하여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에게 명령어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913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에 의해 추천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91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가 능동형 추천 명령어가 아닌 경우, 대화 서버(100)에게 명령어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917에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91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로부터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21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답변에 따라 추천 상황을 판단하고,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와 연동하여 추천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923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에게 서비스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92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에 의해 추천된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2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공용 단말(110)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용 단말(110)은 음성 입력부(1000), 전송부(1010) 및 출력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공용 단말(1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음성 입력부(10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입력부(1000)는 공용 단말(110)의 원거리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공용 단말(110)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따라 화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전송부(1010)는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인식 서버(130)에 의해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대화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부(1020)는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20)는 대화 서버(100)에서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에 대한 의도를 분석한 경우, 분석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100)로부터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는 예를 들면, 공용 단말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0)는 대화 서버(100)에 의해 분석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기초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서 해당 답변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와 연동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 또는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 서비스 관리 서버(120)의 복수의 서비스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20)는 공용 단말(110)에 설치된 복수의 런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주소록 앱, 갤러리 앱, 디스플레이 장치 연동 앱, IoT 연동 앱 등) 각각과 페어링된 복수의 장치를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120) 또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50),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0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사용자의 감성 질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감성 질의에 반응하는 대화 서비스를 공용 단말(11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020)는 공용 단말(1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 중인 미디어 서비스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음성 입력부(1000), 전송부(1010) 및 출력부(10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공용 단말(110)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용 단말(110)는 음성 입력부(1100), 전송부(1110), 수신부(1120) 및 서비스 요청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공용 단말(1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음성 입력부(1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송부(1110)는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서버(130)에 의해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대화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부(112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요청 의도로 분석되는 경우, 분석된 명령어로부터 도출된 키워드를 대화 서버(100)로부터 서비스 관리 서버(120)를 통해 수신하거나, 대화 서버(10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120)는 명령어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요청 의도로 분석되는 경우, 분석된 명령어로부터 도출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키워드(예컨대, 방송 서비스 요청에 필요한 방송 제목, 방송 시간대 등)를 대화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부(1130)는 수신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고,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요청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음성 입력부(1100), 전송부(1110), 수신부(1120) 및 서비스 요청부(11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110)에서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11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음성 인식 서버(13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2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음성 인식 서버(130)에 의해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가 도출되고 도출된 명령어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12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00)에 의해 분석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에 따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201 내지 S12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12의 대화 서버(100), 공용 단말(110), 서비스 관리 서버(120), 음성 인식 서버(130) 및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01에서 공용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서버(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303에서 음성 인식 서버(130)는 공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명령어를 도출하고, 단계 S1305에서 도출된 명령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07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명령어의 발화 해석에 요구되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30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대화 서버(100)에게 명령어 및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를 전송하여 발화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311에서 대화 서버(100)는 공용 단말(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1313에서 대화 서버(100)는 명령어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요청 의도로 분석된 경우, 단계 S1315에서 명령어로부터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예를 들면, 방송 서비스의 요청에 필요한 방송 제목, 배우, 방송 시간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17에서 대화 서버(100)는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게 도출된 키워드를 전송하고, 단계 S1319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키워드를 공용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21에서 공용 단말(110)은 키워드에 기초하여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게 방송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323에서 공용 단말(110)은 방송 서비스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요청된 키워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301 내지 S132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용 단말
20: 서버
3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
40: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
100: 대화 서버
110: 공용 단말
120: 서비스 관리 서버
130: 음성 인식 서버
140: 사용자 단말
15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
160: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7)

  1.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서비스를 도출하는 도출부;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상기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버에 있어서,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명령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 또는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답변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를 경유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되도록 상기 답변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답변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답변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되도록 상기 답변을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는 대화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답변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해 도출된 서비스는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되는 대화 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 선호 정보에 따라 상기 명령어에서 누락된 정보를 추론 및 보완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문장 해석 및 의도 분석을 수행하는 대화 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명령어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명령어 이력 정보로부터 이전 명령어를 참조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의도 분석을 수행하는 대화 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기능 사용 빈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기능 사용 빈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각 기능에 대해 가중치를 조정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의도 분석을 수행하는 대화 서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응답 패턴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각 기능에 대해 가중치를 조정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변 추론을 수행하는 대화 서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명령어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명령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같은 명령어가 반복된다고 판단한 경우 기존의 답변과 다른 패턴의 답변 추론을 수행하는 대화 서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 기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 기간 정보에 따른 시스템 친숙도를 고려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인, 대화 서버.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상황 정보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제공 중인 서비스를 참조하여 상기 명령어에 대한 문장 해석을 수행하는 것인, 대화 서버.
  11.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공용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음성 신호의 해석 결과에 대해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해석 결과 및 상기 공용 단말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를 경유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내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한 서비스 판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해석 결과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도출된 외부 서비스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해석 결과가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 없이 제공되는 서비스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해석 결과를 상기 공용 단말로 그대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텍스트는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상기 공용 단말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공용 단말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출력 중인 미디어 서비스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KR1020170057601A 2017-01-16 2017-05-08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10188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72,966 US10650816B2 (en) 2017-01-16 2018-01-16 Performing tasks and returning audio and visual feedbacks based on voice comm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7446 2017-01-16
KR1020170007446 2017-01-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1A Division KR20180092915A (ko) 2017-01-16 2018-08-08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591A KR20180084591A (ko) 2018-07-25
KR101889280B1 true KR101889280B1 (ko) 2018-08-21

Family

ID=630591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601A KR101889280B1 (ko) 2017-01-16 2017-05-08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1020180092141A KR20180092915A (ko) 2017-01-16 2018-08-08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1A KR20180092915A (ko) 2017-01-16 2018-08-08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89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96B1 (ko) * 2018-12-26 2020-07-13 지의소프트 주식회사 대화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9385B1 (ko) * 2019-03-14 2021-01-06 이승훈 노인 가구를 위한 노인 서비스 제공자 매칭 및 관리 시스템
US11508375B2 (en) 2019-07-03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ntrol command identification tool generated by using a control command identified by voice recognition identify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 vo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66651A (ko) 2019-11-28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50807A (ko) 2021-10-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530A (ja) * 2002-03-29 2004-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音声対話インターフェースを利用した情報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317722A (ja) * 2005-05-13 2006-11-24 Xanavi Informatics Corp 音声処理装置
KR100768653B1 (ko) * 2006-05-26 2007-10-18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기반의 ip-tv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그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866A (ja) * 1994-10-14 1996-06-25 Hitachi Ltd 対話型インターフェースを具備した編集支援システム
JPH1020884A (ja) * 1996-07-04 1998-01-23 Nec Corp 音声対話装置
US8694313B2 (en) * 2010-05-19 2014-04-08 Google Inc. Disambiguation of contact information using historical data
KR102247533B1 (ko) * 2014-07-30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530A (ja) * 2002-03-29 2004-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音声対話インターフェースを利用した情報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317722A (ja) * 2005-05-13 2006-11-24 Xanavi Informatics Corp 音声処理装置
KR100768653B1 (ko) * 2006-05-26 2007-10-18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기반의 ip-tv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그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915A (ko) 2018-08-20
KR20180084591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279B1 (ko)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9280B1 (ko)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US10983753B2 (en) Cognitive and interactive sensor based smart home solution
EP32327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KR102621114B1 (ko) 사용자 맞춤형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096998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WO2016090826A1 (zh) 配置方法及装置
US20170133013A1 (en)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KR101483191B1 (ko)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서버
US11140534B2 (en) Non-intrusive proximity based advertising and message delivery
KR20160048018A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70201624A1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US1110747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by using sound
KR20160078024A (ko)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JP2017502433A (ja) 情報取得方法、情報取得装置及び情報取得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89278B1 (ko)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용 단말 및 방법,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캐릭터를 제공하는 공용 단말
KR2018008139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117993B1 (ko)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827854A (zh) 操作处理方法及装置
KR102128107B1 (ko) WebRTC 기반의 음성정보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2249A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서버 및 방법
KR20190033138A (ko) 인공지능 기반 화상 고객센터 서비스 방법
CN111522787B (zh) 分布式系统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