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018A -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018A
KR20160048018A KR1020150148341A KR20150148341A KR20160048018A KR 20160048018 A KR20160048018 A KR 20160048018A KR 1020150148341 A KR1020150148341 A KR 1020150148341A KR 20150148341 A KR20150148341 A KR 20150148341A KR 20160048018 A KR20160048018 A KR 2016004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nic terminal
application
electron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870B1 (ko
Inventor
시에밍 구오
박재선
지아얀 리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04M1/72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SUBJECT PERFORMING OPERATION}
개시되는 일 실시예들은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작업의 수행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이 발달하고,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복수의 단말을 보유하는 사용자의 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으로 그 단말들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최근, 복수의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으로 그 단말들을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이 각광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서, 사용자가 어느 단말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든, 사용자는 수행되던 작업을 이어서 다른 단말에서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에 항상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되어, 단말의 용량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단말에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경우,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통한 네트워크를 경유해야 하므로 접근성이 떨어지고, 속도 또한 느려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한다.
따라서, 복수의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으로 그 단말들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여전히 필요하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들은, 복수의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으로 그 단말들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사용자 단말로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피어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수신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오래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적응적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검색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작업은 상기 피어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검색 특성의 검색 범주와 관련된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고,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피어 단말의 인증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작업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단말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신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오래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운영 체제에 적응적인,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운영 체제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검색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작업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고,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작업이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피어 단말이 수행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피어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수신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오래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적응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검색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작업은 상기 피어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검색 특성의 검색 범주와 관련된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고,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피어 단말의 인증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작업이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단말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신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오래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운영 체제에 적응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운영 체제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검색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작업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고,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작업이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되는 제5 측면은 제3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되는 제6 측면은 제4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 의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되는 단말이고, 제2 전자 단말에서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거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맞춤형 (personalized)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색된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의 동일한 프로그램에서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 상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되고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고, 제2 전자 단말에서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거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의 성립이 감지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검색 특성에 따라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검색 특성에 따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검색된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에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이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검색 특성에 따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검색 특성에 따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제2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 검색된 데이터를 2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전자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검색된 데이터를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하는 사용자 데이터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전자 단말은 상기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고, 상기 다른 전자 단말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전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검색 특성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사용 상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전자 단말에서 계정에 로그인하는 로그인부 (login unit)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되고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 데이터에 따라 사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따라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및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연계 채널의 성립이 감지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 및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검색 특성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 및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검색된 데이터를 전자 단말에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검색 특성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검색 특성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검색 히스토리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결정부는,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결정부는,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는 검색 특성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는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 다른 전자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고, 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송신부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검색 특성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따라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하는 사용자 데이터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사용 상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전자 단말에서 계정에 로그인하는 로그인부 (login unit)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되고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및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연계 채널의 성립이 감지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및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검색 특성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검색 특성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디바이스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전자 단말 및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검색된 데이터를 전자 단말에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검색 히스토리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결정부는,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결정부는,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이 수행되는 검색부;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검색부는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 다른 전자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하고,송신부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송신부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검색 특성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전자 단말에서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연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방법들에 의해, 전자 단말과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이 수행되는 경우, 전자 단말과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전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연결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이 설정될 수 없을 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동일한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은 로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은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으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결 정보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계정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결 판단부;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치 결정부;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연결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통신 채널이 설정될 수 없을 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결정하는, 버전 결정부;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은 로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은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으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ㅁ
또한, 연결 판단부는,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결 정보에 따라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판단부는,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디바이스는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결 판단부;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치 결정부;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연결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통신 채널이 설정될 수 없을 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결정하는, 버전 결정부;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은 로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은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으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판단부는,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결 정보에 따라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판단부는, 계정을 통해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방법은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상기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되거나 수행됨은, 그들이 근거리 통신 연결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상기 다른 하나 상의 상기 호출을 처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 확인 요청이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이 수신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지 여부가 됨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 피드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이 호출 전달 대상으로서 기능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로컬 단말에게 호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피어 단말에게 호출 전달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에게 상기 호출 전달 지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호출 전달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측면의 장치는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상기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그들이 근거리 통신 연결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중 상기 다른 하나 상의 상기 호출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1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1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부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정부는 상기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1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인부는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정부는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인부는 상태 정보 확인 요청을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 모듈,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 피드백에 따라,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피어 단말에게 호출 전달 지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로컬 단말이 호출 전달 대상으로서 기능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로컬 단말에게 호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2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로컬 단말이 상기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에게 상기 호출 전달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3 검출부, 및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2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인부는,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확인부는,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호출 전달 설정을 해제하는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먼저 획득되고,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상기 식별 정보가 설정되고,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가 외부 장치에게 전송될 수 있다. 현재 방법, 즉, 호출 전달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 시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면, 상기 호출 전달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호출 전달 번호로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개시되는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들은 그들 간에 자동으로 호출 전달을 수행할 수 있고, 호출 전달을 구현하는 번잡도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호출을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a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b는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의 도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9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의 도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작업 대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본 발명은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부", "모듈" 등의 구성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되어,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 (software component) 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전자 칠판, 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laptop), 마이크로 서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 (curvature) 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 (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 (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 (bended) TV, 곡률 가변형 TV,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단말, 전자 단말, 사용자 단말, 로컬 단말, 피어 단말, 모바일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사용자 장치, 로컬 장치, 피어 장치, 모바일 장치,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 로컬 디바이스, 피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팔찌, 반지, 안경, 헤어 밴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트"는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수신, 또는 저장되는 데이터 자체, 또는 그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각화된 (visualized) 객체를 의미한다. 콘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배경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는 전자적인 형태로 네트워크 등을 통해 유통 (distribute) 되거나, 공유 (share) 될 수 있다. 콘텐트는 웹기반 (web-based) 으로 제작되어, 인터넷 브라우저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애플리케이션 기반 (application-based) 으로 제작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나아가, 콘텐트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interaction) 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콘텐트의 세부 항목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은 모바일 통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PC, 패널 컴퓨 (panel computer), 게임 콘솔 (game console),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다른 전자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하는 허가 (permission) 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smartphone) 과 스마트 시계가 연계되면, 스마트 시계는 스마트 폰에서 시작된 전화 호출 (phone call) 을 수신하거나 응답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메일 및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응답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은 스마트 시계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호출을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연계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스캔하는 방법 (예를 들어, 2D 코드) 에서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자동적으로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은 스마트 시계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페어링 (pairig) 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스마트 시계의 연계 (association) 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마트 시계와 페어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개의 전자 단말을 관리한다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된 전자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개의 전자 단말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된다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된 전자 단말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연계 채널은 WIFI, ZIGBEE, NFC,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통신 채널이 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이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과 제2 전자 단말이 연계 채널이 성립되면 (예를 들어, 두 개의 전자 단말이 연계 채널의 통신 범위 내에 있으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연계 채널이 연결될 수 없는 경우, 두 개의 전자 단말은 다른 통신 채널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 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연계 채널은 근거리 통신 채널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 채널과 원격 통신 채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과 제2 전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 밖에 있으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원격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어,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획득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 (OS, Operating System) 에서 구현되는 기능 프로그램 (function program)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1에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이거나 설치될 프로그램일 수 있고,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 (personalized data)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는,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직접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입력 방법 (예를 들어, Sogou 입력 방법, 또는, swipe 입력 방법) 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계정을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방법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고, 사용자의 입력 습관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맞춤형 어휘 목록 등) 일 수 있다.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browsing) 히스토리 데이터,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즈 (browse) 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동작 단계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입력 박스 (input box) 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문자 입력,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상품들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한 페이지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페이지 (예를 들어, 쇼핑 바구니 페이지) 로부터 다음 페이지 (예를 들어, 결제 페이지) 로 이동하는 것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되거나,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101은,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수행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으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 의 좌측에 도시된 제2 전자 단말 (20a) 과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제1 전자 단말 (20b) 이 연계될 수 있고, 동일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 단말 (20b) 과 제2 전자 단말 (20a)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 (20b) 은, 쇼핑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고 제2 전자 단말 (20a)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 (20b) 에서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단말 (20b) 에서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 (20a) 에 설치된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잇다.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제2 전자 단말 (30a) 과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제1 전자 단말 (30b) 이 연계될 수 있고, 동일한 입력 방법이 제1 전자 단말 (30b) 및 제2 전자 단말 (30a) 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단말 (30b) 은, 상기 입력 방법과 연계되고 제2 전자 단말 (30a)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 (30b) 에서 상기 입력 방법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단말 (30b) 에서 상기 입력 방법을 사용할 대, 제1 전자 단말 (30b) 에서의 사용자 어휘 목록 (user lexicon) 은 제2 전자 단말 (30a) 에서 상기 입력 방법의 사용자 어휘 목록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데이터 획득 방법은, 검색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서,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 (version number)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02에서,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검색된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상기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 상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즉, 제1 전자 단말이 인터넷에서 특정 웹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경우,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1 전자 단말에게 인증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전자 단말이 제1 전자 단말의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인증작업을 요청하는 외부 서버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이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를 외부 서버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의 인증 상태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단말의 인증 상태는, 제1 전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관한 제2 전자 단말의 인증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전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관한 제2 전자 단말의 인증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예컨대, 그 웹 리소스에 관한 제2 전자 단말의 인증 횟수, 인증 지속 기간, 또는 인증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 또한 사용자의 별도의 인증 작업 없이 인증될 수 있다. 인증 상태에 대한 기준의 예는 상술한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에서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계정의 사용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전자 단말에서 특정 횟수 이상 계정을 이용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경우, 계정은 제2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전자 단말에서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직접적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데이터 제공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제공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서 구현되는 기능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01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이거나 설치될 프로그램일 수 있고,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방법 (예를 들어, Sogou 입력 방법, swipe 입력 방법) 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계정을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방법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고, 사용자의 입력 습관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맞춤형 어휘 목록 등) 일 수 잇다.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browsing) 히스토리 데이터,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즈 (browse) 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동작 단계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입력 박스 (input box) 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문자 입력,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의 성립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 방법은, 검색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401에서,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는,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검색된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검색 수행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 수행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에 설치되고 검색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 수행 방법은, 제2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서 구현되는 기능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501 에서,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이미지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연계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되는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스캔하는 방법 (예를 들어, 2D 코드) 에서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자동적으로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은 스마트 시계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페어링 (pairig) 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스마트 시계의 연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마트 시계와 페어링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개의 전자 단말을 관리한다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된 전자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개의 전자 단말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된다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된 전자 단말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연계 채널은 WIFI, ZIGBEE, NFC,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통신 채널이 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이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과 제2 전자 단말이 연계 채널이 성립되면 (예를 들어, 두 개의 전자 단말이 연계 채널의 통신 범위 내에 있으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연계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연계 채널이 연결될 수 없는 경우, 두 개의 전자 단말은 다른 통신 채널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 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연계 채널은 근거리 통신 채널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 채널과 원격 통신 채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단말과 제2 전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 밖에 있으면, 두 개의 전자 단말은 원격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되고, 검색 특성에 따라 제1 전자 단말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 (version number)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된 데이터는,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검색 특성에 따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은, 검색 결과가 제1 전자 단말과제2 전자 단말 중 어느 단말로부터 획득된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검색되는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에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를 제2 전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과 제2 전자 단말에 의해 각각 검색된 데이터는,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서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위하여, 제1 전자 단말에게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a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8a의 좌측에 도시된 제2 전자 단말 (80a) 및 도 8a의 우측에 도시된 제1 전자 단말 (80b)이 연계될 수 있고,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 단말 (80b) 및 제2 전자 단말 (80a)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단말 (80a)에서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특성을 입력하면,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 (80b)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단말 (80b)에서 검색작업의 결과값, 즉, 검색된 이미지는, 제1 전자 단말 (80b)로부터 제2 전자 단말 (80a)로 수신되어, 제2 전자 단말 (80a)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2 전자 단말 (80a)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은 제2 전자 단말 (80a)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 (80b)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계된 전자 단말에서 반복적으로 검색을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연계된 전자 단말에서 검색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b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8b의 좌상단에 도시된 제2 전자 단말 (80c) 및 도 8b의 우상단에 도시된 제1 전자 단말 (80d)이 연계되고, 도 8b의 좌상단에 도시된 제2 전자 단말 (80c) 및 도 8b의 우하단에 도시된 제1' 전자 단말 (80e)이 연계되고,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 단말 (80d) 및 제2 전자 단말 (80c)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1' 전자 단말 (80e)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단말 (80c)에서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특성을 입력하면, 제1' 전자 단말 (80e)에서는 이미지를 브라우징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전자 단말 (80e)에서는 검색이 수행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제1' 전자 단말 (80e)과 제2 전자 단말 (80c)이 통신하는 일이 감소하여, 단말들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단말 (80c)에 입력된 검색 특성과 관련하여 검색 범주 또는 검색 클래스가 지정되는 경우, 지정된 검색 범주나 검색 클래스에 연관되는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단말에서는 검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특성과 관련하여 검색 범주 또는 검색 클래스가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지정되는 경우, 지정된 검색 범주나 검색 클래스에 연관되는 기능은 카메라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제1' 전자 단말 (80e)에서는 검색이 수행되더라도, 유의미한 결과값이 도출되기 어려우므로, 애초에 카메라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제1' 단말에서는 검색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단말 (80c)에 입력된 검색 특성과 관련하여 검색 범주 또는 검색 클래스가 지정되는 경우, 지정된 검색 범주나 검색 클래스에 연관되는 기능을 보유하는 단말에게 검색 특성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되어 검색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구현된 기능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고,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1에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602에서,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전자 단말에게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검색된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데이터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데이터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수행 방법은, 검색 특성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전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와 같은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성 요소는, 전용 칩과 같은 전용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는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구현된 기능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전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단말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사용자 데이터 설정부 (102)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사용자 데이터 설정부 (102) 이외에, 제1 전자 단말을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은, 모바일 통신 단말, 패널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단말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2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특정 입력 방법 (예를 들어, Sogou 입력 방법) 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계정을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입력 방법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사용자의 입력 습관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맞춤형 어휘 목록)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 입력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즈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동작 단계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입력 박스에 대하여 수행되는 입력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문자 입력, 선택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수행되는 검색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연계 채널이 성립되면,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연계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으면,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101) 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설정부 (102) 는,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은, 연계 결정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연계 결정부는, 제1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과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방법 (예를 들어, 2D 코드) 으로 현재 전자 단말과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자동적으로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단말은, 스마트 시계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페어링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스마트 시계의 연계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 동작에 따라 스마트폰은 스마트 시계와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 상태는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복수의 단말이 연결된 상태로서, 서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연계 결정부는, 계정을 통해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동일한 계정으로 두 개의 전자 단말을 관리하면, 연계 결정부는 두 개의 전자 단말이 연계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한 계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전자 단말에서 사용되면, 연계 결정부는 두 개의 전자 단말이 연계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은, 수신부 (미도시), 검색부 (미도시), 및 송신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색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부는, 제2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은, 결정부 (미도시) 및 로그인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는,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처음 로그인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로그인부는, 사용 상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처음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결정부는 제2 전자 다말의 WeChat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정의 사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부는, 사용자가 제2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횟수 이상 로그인했다고 판단하면, 로그인부는, 제2 전자 단말에서 추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전자 단말에서 계정을 이용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로그인할 수 있다.
도 1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 (202)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 (202)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이 모바일 통신 터미널, 패널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단말로써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직접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맞춤형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입력 방법 (예를 들어, Sogou 입력 방법) 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계정을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방법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되고, 사용자의 입력 습관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맞춤형 어휘 목록 등) 일 수 있다.
맞춤형 데이터는,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 브라우징 (browsing) 히스토리 데이터,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징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즈 (browse) 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동작 단계를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단계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재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입력 박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문자 입력,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히스토리 데이터는,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을 기록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는,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획득부 (201) 는, 감지부 (미도시) 및 획득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획득부는,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연계 채널의 성립이 감지되면,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된 사용자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 (202) 는 제1 전자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 (202) 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송신부 (202) 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은, 연계 결정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계 결정부는, 제2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결정부는, 계정을 통해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전자 단말은, 검색부 (미도시), 송신부 (미도시), 및 수신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부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을 수행하는 제2 전자 단말은, 검색부 (301), 연계 결정부 (302), 송신부 (303), 및 수신부 (304)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색을 수행하는 제2 전자 단말은, 검색부 (301), 연계 결정부 (302), 송신부 (303), 및 수신부 (304)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이 모바일 통신 터미널, 패널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단말로 동작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색부 (301) 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계 결정부 (302) 는, 제2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결정부 (3020은, 제2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되는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스캔하는 방법 (예를 들어, 2D 코드) 에서 현재 전자 단말에 연계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자동적으로 다른 전자 단말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은 스마트 시계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페어링 (pairig) 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스마트 시계의 연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마트 시계와 페어링될 수 있다.
또한, 연계 결정부 (302) 는, 계정을 통해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1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전자 단말에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은 계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개의 전자 단말을 관리한다면, 연계 결정부 (320) 는, 두 개의 전자 단말이 서로 연계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송신부 (303) 는, 제1 전자 단말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신부 (303) 는,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수신부 (304) 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 (3030은,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송신부 (303) 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 (304) 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되는 데이터를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구현하는 제2 전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검색된 데이터를 제2 전자 단말에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단말에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 및 제2 전자 단말에 의해 각각 검색되는 데이터는,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구현하는 제2 전자 단말은, 검색 히스토리 송신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 송신부는, 제1 전자 단말이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전자 단말에게 검색 히스토리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전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1 전자 단말은, 제2 전자 단말과 연계될 수 있고, 검색 특성에 따라 제2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단말은 수신부 (401), 검색부 (402), 및 송신부 (403)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전자 단말은, 수신부 (401), 검색부 (402), 및 송신부 (403)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단말은, 제1 전자 단말이 모바일 통신 터미널, 패널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단말로써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부 (401) 는, 제2 전자 단말로부터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특성은 입력 검색 키워드, 클래스 선택을 통해 지정된 검색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색부 (402) 는,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제1 전자 단말은, 결정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는, 검색 특성이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특성인 경우,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부 (402) 는,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 특성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 (402) 는, 제1 전자 단말이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제2 전자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송신부 (403) 는, 제2 전자 단말에게 검색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 (401) 는, 연계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채널이 성립될 수 없는 경우, 수신부 (401) 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검색 특성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을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 (403) 는, 검색된 데이터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제1 전자 단말은, 기록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록부는, 검색 특성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검색 히스토리 기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제1 전자 단말은 연계 결정부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계 결정부는, 제1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계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연계 결정부는, 계정을 통해 제1 전자 단말과 연계된 제2 전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4a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전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구현된 기능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4a을 참조하면, 단계 S141에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일 실시예로서, 두 전자 단말들의 연결성은 하나의 전자 단말이 다른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 제어하는 권한을 가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 폰 및 스마트 워치를 예로 들면,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가 연결된 후,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폰에 착신된 통화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반응할 수 있고, 스마트 폰에 전송된 메시지 및 메일을 수신하고 답장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은 스마트 워치에 메시지를 푸시할 수 있고, 착신 전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결 정보를 통해,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연결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과 다른 전자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고, 이미지 (예를 들어, 2차원 코드) 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현재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단말은 스마트 워치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짝이 될 수 있는 스마트 폰이고,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폰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스마트 워치와 짝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지 여부는 계정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두 전자 단말들을 하나의 계정을 통해 관리한다면, 두 전자 단말들이 전자 단말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전자 단말들에서 사용된다면, 두 전자 단말들은 전자 단말들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 채널은 WIFI,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접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이 연결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두 전자 단말들이 연결 채널의 통신 범위 이내인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은 연결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연결 채널이 설정될 수 없는 경우, 통신은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 채널은 근접 통신 채널에 제한되지 않으며, 근접 통신 채널과 원격 통신 채널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은, 근접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근접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근접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를 벗어난 때 원격 통신 채널을 통한 두 전자 단말들 통신을 위해,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통신은 WIFI,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일 수 있고, 원격 통신 채널은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일 수 있다.
한편, 전자 단말과 다른 전자 단말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전자 단말에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의 모델명, 디바이스 정보, 사양, 운영 체제, 운영 체제 버전, 또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식별 정보는,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피어 단말의 ID 번호, 피어 단말에 의해 점유된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식별 정보와 함께, 페어링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페어링 허용 메시지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전자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전자 단말은, 이후 단계 S143 에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141에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42가 실행된다. 단계 S142에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은 스크린 터치 동작, 물리적인 키 입력 동작, 소리 제어 동작 등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141에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단말은 사용자가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려주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전자 단말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을 소리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할지 여부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은, 로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의미한다. 만약,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이 'On' 상태로 미리 설정되었다면,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이 'Off' 상태로 미리 설정되었다면,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는지 여부가 먼저 감지된다;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은지 여부가 먼저 감지된다;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으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최근 버전이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업데이트가 빠르고 편리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다른 전자 단말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42에서,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단계 S143이 실행된다. 단계 S143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등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번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연결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채널이 설정될 수 없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먼저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판단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판단되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가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만약 전자 단말 및 다른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들이 다른 경우 (예를 들어, 하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이고 다른 하나는 IOS 운영 체제인 경우),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다르다. 만약, 전자 단말이 스마트 폰이고, 다른 전자 단말이 스마트 워치인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의 운영 체제가 동일하더라도 (예를 들어, 운영 체제가 모두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인 경우)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다르고,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적응할 수 있는 버전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이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버전 번호 등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되면, 다른 전자 단말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동작에 반응하여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도 14b는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44에서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전자 단말의 모델명, 디바이스 정보, 사양, 운영 체제, 운영 체제 버전, 또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별 정보와 함께, 페어링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페어링 허용 메시지가 다른 전자 단말로부터 전자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단말과 페어링된다 (S145).
여기서, 전자 단말과 다른 전자 단말 간의 페어링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 단말과 다른 전자 단말이 페어링될 수 있다.
단계 S146에서 전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단말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에 그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이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그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하기" 기능을 선택한 경우, 그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 S147 에서 전자 단말은,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다른 전자 단말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거나 서로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다른 전자 단말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전자 단말에 적어도 설치가 되어 동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즉,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단계 S144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전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의 모델명, 디바이스 정보, 사양, 운영 체제, 운영 체제 버전, 또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예컨대, 다른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운영 체제에 적합하고, 전자 단말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계 S148 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계 S149 에서 다른 전자 단말은,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도 1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전자 단말은 모바일 통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웨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PC (Personal Computer), 패널 컴퓨터 (panel computer), 게임 콘솔 (game console),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다른 전자 단말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은, 연결 판단부 (151), 설치 결정부 (152) 및 정보 전송부 (153) 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은 전용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구성들은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FGP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와 같은 일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되거나, 전용 칩과 같은 전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은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있는 모듈로서 구현되고,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에 구현된 기능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판단부 (151), 설치 결정부 (152) 및 정보 전송부 (153) 에 추가하여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단말이 모바일 통신 단말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웨이러블 디바이스, 패널 컴퓨터, 게임 콘솔,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연결 판단부 (151) 는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사용된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 판단부 (151) 는 전자 단말에 기록된 연결 정보를 통해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현재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된 것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전자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고, 이미지 (예를 들어, 2차원 코드) 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현재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은 다른 전자 단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단말은 스마트 워치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기어) 와 짝이 될 수 있는 스마트 폰이고,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폰은 사용자 동작에 따라 스마트 워치와 짝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 판단부 (151) 는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지 여부를 계정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두 전자 단말들을 하나의 계정을 통해 관리한다면, 연결 판단부 (151) 는 두 전자 단말들이 전자 단말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시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동일한 계정을 통해 두 전자 단말들에서 사용된다면, 연결 판단부 (151) 는 두 전자 단말들이 전자 단말들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판단부 (151) 가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 채널은 WIFI,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접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이 연결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두 전자 단말들이 연결 채널의 통신 범위 이내인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은 연결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연결 채널이 설정될 수 없는 경우, 통신은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 채널은 근접 통신 채널에 제한되지 않으며, 근접 통신 채널과 원격 통신 채널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은, 근접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근접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근접 통신 채널의 통신 범위를 벗어난 때 원격 통신 채널을 통한 두 전자 단말들 통신을 위해,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통신은 WIFI,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일 수 있고, 원격 통신 채널은 모바일 통신 채널, 유선 통신 채널 등일 수 있다.
설치 결정부 (152) 는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로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설치 결정부 (152) 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은 스크린 터치 동작, 물리적인 키 입력 동작, 소리 제어 동작 등일 수 있다.
또한, 전자 단말이 다른 전자 단말에 연결된 것임을 설치 결정부 (152) 가 판단한 때, 설치 결정부 (152) 는 사용자에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려주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설치 결정부 (152) 에 의해, 전자 단말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음을 소리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치 결정부 (152) 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할지 여부를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은, 로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연결된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의미한다. 만약,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이 'On' 상태로 미리 설정되었다면, 설치 결정부 (152) 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결 설치 설정이 'Off' 상태로 미리 설정되었다면, 설치 결정부 (152) 는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치 결정부 (152) 는 감지부 (미도시) 및 결정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정부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은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보다 낮으면,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감지부가 다른 전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최근 버전이 아닌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결정부는 연결된 전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업데이트가 빠르고 편리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다른 전자 단말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 (153) 는,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다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등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번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정보 전송부 (153) 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연결 채널 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채널이 설정될 수 없는 경우, 정보 전송부 (153) 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정보 전송부 (153) 는 버전 결정부 (미도시) 및 전송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버전 결정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부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만약 전자 단말 및 다른 전자 단말의 운영 체제들이 다른 경우 (예를 들어, 하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이고 다른 하나는 IOS 운영 체제인 경우),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및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다르다; 만약, 전자 단말이 스마트 폰이고, 다른 전자 단말이 스마트 워치인 경우, 두 전자 단말들의 운영 체제가 동일하더라도 (예를 들어, 운영 체제가 모두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인 경우)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다르고,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적응할 수 있는 버전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른 전자 단말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이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다른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는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전자 단말에 적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버전 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는 각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과 그 전자 단말은, 전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다른 전자 단말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전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전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은 로컬 단말에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로컬 단말은 스마트폰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010 에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피어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 호출 전달을 수행하는 피어 단말은 용이하게 휴대하기 위한 작은 사이즈의 핸드폰, 예컨대, 카드 또는 서비스 카드 사이즈의 핸드폰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피어 단말은 또한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이거나, 스마트폰의 다른 종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별 정보는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피어 단말의 ID 번호, 피어 단말에 의해 점유된 전화 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020 에서,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된다.
여기서,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면, 이전에 설정된 호출 전달 번호가 업데이트되고, 또는,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호출 전달 지시가 외부 장치로 보내지고, 여기서 호출 전달 지시는 식별 정보를 지닌다. 여기서 호출 전달 지시는, 수신자 변경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호출을 수신하는 주체가 결정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단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호출 전달 조건은, 호출 전달을 수행하는 단말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인지 여부, 단말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 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드폰의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작은 까닭에, 카드폰을 보유한 많은 사용자들은 다른 스마트폰 또한 보유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2개의 폰으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도록, 카드폰 및 스마트폰은 각각의 카드 모듈로부터 각각 전화 번호를 먼저 획득하고, 단말들 간의 통신 연결이 성립된 후, 카드폰 및 스마트폰은 피어 단말에게 각각의 전화 번호를 보내고, 이로써 카드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이든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피어 단말의 미리 저장된 전화 번호에 따라서 호출 전달을 수행할 수 있고, 단말들 간의 자동 호출 전달이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호출에 정상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호출 전달 설정 방법에 따르면, 여기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먼저 획득되고, 그리고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호출 전달 지시가 외부 장치로 보내지고, 그리고 호출 전달 지시는 식별 정보를 지닌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서의 방법, 즉, 호출 전달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 시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면, 호출 전달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에 따르면,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설정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 간의 자동 호출 전달이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출 전달을 구현하는 번잡도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호출을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10 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수신된다.
여기서, 로컬 단말은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전송, WIFI 전송,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전송, 등을 통해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방법에 의해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미리 수신함으로써,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호출 전달을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고, 단말들은 호출 전달 대상의 저장된 식별 정보에 따라서 단말들 간에서 자동으로 호출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을 위해,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기능이 제어되거나, 수행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되거나 수행될 수 있는, 다른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예컨대, 전화 걸기, 전화 응답, 음악 재생, 메시지 알림, 또는, 연락처 정보의 동기화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이 근거리 통신 연결 내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중 다른 하나 상의 호출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2020 에서,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된다.
로컬 단말에 호출 전달 번호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면, 이전에 설정된 호출 전달 번호가 업데이트될 수 있고, 로컬 단말에 호출 전달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2030 에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호출 전달 지시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고, 여기서 호출 전달 지시는 식별 정보를 지닌다.
여기서,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의 분리가 검출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되는 이유는 단말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그가 가진 2개 이상의 단말 중 오직 하나만을 휴대한 것일 수 있으므로, 호출 전달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하지 않은 단말로부터의 호출에도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드폰 및 스마트폰을 보유하는 경우, 카드폰 및 스마트폰은 WIFI 를 통해 그들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유지하고, 서로의 전화 번호가 각각 호출 전달 번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드폰 및 스마트폰 중 하나의 단말만을 휴대하는 경우, 두 단말들 간의 거리는 점점 더 멀어질 것이고, 결국 카드폰 및 스마트폰 간의 WIFI 연결이 분리될 것이다. 이 경우 스마트폰으로 온 호출이 있고, 스마트폰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은 단말인 경우, 스마트폰은 카드폰과의 WIFI 연결의 분리에 기초하여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은 카드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네트워크측 서버에 전송하고, 네트워크측 서버는 카드폰의 전화 번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온 호출을 카드폰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카드폰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온 호출에도 응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 간의 자동 호출 전달이 구현되어 사용자는 어느 단말로부터의 호출이든 정상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예시적인 설명임이 주지되어야 하고,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가지는 단말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은 카드폰 및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은 작은 사이즈의 다른 핸드폰, 웨어러블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다른 종류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의 분리가 검출되는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 방식의 시나리오가 블루투스인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 방식은 상대적으로 단말 간에 가까운 거리가 유지될 것을 요구하고, 블루투스 연결이 분리되더라도, 사용자는 복수의 단말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각각의 상태 정보가 정상인 이상, 사용자는 단말 상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이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여, 호출 전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자동 호출 전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더 결정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호출 전달 지시 정보가 피어 단말에게 전송되어, 로컬 단말이 호출 전달 대상으로서 기능하도록 지시하거나, 피어 단말이 로컬 단말에게 호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단말은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 또는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내부 센서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은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된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 또는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더 결정함으로써, 어느 단말에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인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이로써 자동 호출 전달의 정확도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되기 위한 조건"은,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결정되어,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만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즉, 로컬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은 단말인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호출 응답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 예를 들어, 피어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호출 응답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피어 단말의 현재 신호 세기가 호출 응답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결정함으로써, 피어 단말이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가 판단되어, 호출 전달의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된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는 로컬 단말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또한, 피어 단말의 피드백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피어 단말의 피드백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는, 상태 정보 확인 요청을 피어 단말에게 먼저 전송하는 단계,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호출 전달 지시 정보가 피어 단말에게 전송되기 위한 조건"은,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어,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만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즉, 로컬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인 경우, 피어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은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피어 단말로 호출이 온 경우, 호출이 전달이 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호출 응답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 예컨대, 로컬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호출 응답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로컬 단말의 현재 신호 세기가 호출 응답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더 결정함으로써, 로컬 단말이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가 판단되어, 호출 전달의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연결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검출되어,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되기 위한 조건"은,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만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즉, 로컬 단말이 정상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호출 응답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더 결정함으로써, 피어 단말이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가 판단되어, 호출 전달의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단말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의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5%, 10%,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설정이 해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단말 배터리 잔량이 5% 이상인 경우, 로컬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3%로부터 회복하여 5%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설정이 해제되고, 이로써 로컬 단말에 의한 불필요한 호출 전달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연결되는 경우,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설정이 해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설정이 해제된 후, 사용자는 링톤, 진동, 텍스트 알림 정보 디스플레이, 등의 알림 방식을 통해 호출 전달 설정이 해제되었음을 통지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호출 전달 설정 방법에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가 먼저 획득되고, 그리고 식별 정보가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설정된다.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가 외부 장치에게 전송된다. 현재 방법, 즉, 호출 전달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 시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면, 호출 전달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들은 그들 간에 자동으로 호출 전달을 수행할 수 있고, 호출 전달을 구현하는 번잡도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호출을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의 도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획득부 (3010), 설정부 (3020), 및 전송부 (3030) 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 (3010) 는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부(303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통신부 (13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설정부 (3020) 는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획득부 (301) 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설정부 (302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부 (11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송부 (3030) 는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한다. 전송부 (303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통신부 (13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성의 기능에 대응하는 설명들은, 도 16의 대응하는 설명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은 반복 설명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먼저 획득하고, 그리고 나서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현재 방법, 즉, 호출 전달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 시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면, 호출 전달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들은 그들 간에 자동으로 호출 전달을 수행할 수 있고, 호출 전달을 구현하는 번잡도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호출을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9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의 도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획득부 (4010), 설정부 (4020), 및 전송부 (4030) 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 (4010) 는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부 (401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통신부 (13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설정부 (4020) 는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획득부 (4010) 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설정부 (402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부 (11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송부 (4030) 는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한다. 전송부 (4030) 는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통신부 (1300)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부 (4010) 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에 의해,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이 근거리 통신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다른 하나에 온 호출을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1 결정부(40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정부(4040)는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1 검출부 (4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부 (4050) 는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검출부 (4040) 는 또한,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검출부 (4040) 는 또한,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피어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분리된 것으로 검출되고,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1 확인부 (406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인부 (4060) 는 로컬 단말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검출부 (4040) 는 또한,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확인부 (4060) 는 전송 모듈 (40601), 수신 모듈 (40602), 및 확인 모듈 (40603) 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 (40601) 은 상태 정보 확인 요청을 피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모듈 (40602) 은 피어 단말로부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확인 모듈 (40603) 은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 피드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부 (4030) 는 또한 피어 단말에게 호출 전달 지시 정보를 전송하여,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이 호출 전달 대상으로서 기능하도록 지시하거나, 피어 단말이 로컬 단말에게 호출 전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2 검출부 (407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검출부 (4070) 는 로컬 단말이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경우,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송부 (4030) 는 또한,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피어 단말에게 호출 전달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3 검출부 (4080) 및 제2 결정부 (409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검출부 (4080) 는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결정부 (4090) 는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제2 확인부 (401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확인부 (4010) 는 로컬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확인부 (4090) 는 또한, 피어 단말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단말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또는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해제부 (4011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제부 (40110) 는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로컬 단말 및 피어 단말의 호출 전달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전술된 각 구성들은 도 20 및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부 (1100), 통신부 (1300), 또는 제어부 (1100) 와 통신부 (1300) 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여기서 각 구성의 기능에 대응하는 설명들은, 도 16 및 도 17의 대응하는 설명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은 반복 설명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단말은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먼저 획득하고, 그리고 나서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식별 정보를 지니는 호출 전달 지시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현재 방법, 즉, 호출 전달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 시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되는 방법과 비교하면, 호출 전달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로컬 단말의 호출 전달 번호로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호출 전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들은 그들 간에 자동으로 호출 전달을 수행할 수 있고, 호출 전달을 구현하는 번잡도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호출을 놓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9 에서 전술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5000)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5000) 는 통신부 (5300), 및 제어부 (5100) 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9 에서 전술된 각 전자 단말의 각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각 구성 요소 또는 2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 (53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5000) 와 외부 장치, 예컨대,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제어부 (5100) 는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인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통신부 (5300) 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인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제어부 (5100) 는 수신된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을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작업을 전자 디바이스 (5000) 와 함께 또는 전자 디바이스 (5000) 를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5000)와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은 모두 피어 단말로 지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5000)와 모바일 단말은,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또는, NFC 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동일한 계정으로 각 단말 또는 각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이 전자 디바이스(5000)의 피어 단말로 지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 (5100) 는 피어 단말과 전자 디바이스(5000) 중에서 전자 디바이스(5000)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00)는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상태에 따라, 피어 단말과 전자 디바이스(5000) 중에서 전자 디바이스(5000)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5000)의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 에서 설명된 로컬 단말의 상태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5100)는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피어 단말과 전자 디바이스(5000) 중에서 전자 디바이스(5000)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피어 단말의 상태에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피어 단말의 상태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작업이 모바일 단말에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와 같은 호출을 수신하는 수신작업,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고, 위에서 예로 든 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와 같은 호출을 수신하는 수신작업에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 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 및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에 관련하여서는, 도 1 내지 도 13 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관련하여서는, 도 14a, 도 14b, 및 도15 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 모바일 단말을 비롯하여, 전술된 각종 전자 단말들은 도 20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일 수 있다.
단계 S6010에서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는, 예컨대, 모바일 단말에 탑재된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번호, 모바일 단말의 ID 번호,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점유된 전화번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전송, WIFI 전송, 또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전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가 반드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것으로 한정되진 않는다.
단계 S6020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6010에서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피어 단말로 지정한다.
피어 단말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은 전술된,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30 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6020 에서 지정된 피어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지정된 피어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 에서 설명된 로컬 단말의 상태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 복수의 피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피어 단말의 상태에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된 피어 단말의 상태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피어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피어 단말이 구비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 후보군에서 그 피어 단말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13 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작업들이 다른 단말들에서도 수행되어, 사용자가 다른 단말들에 대해 그 작업을 손수 수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작업들이 다른 단말들에서도 수행되므로, 각 단말들의 데이터가 동기화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지 않고서도 동기화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각 단말의 저장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작업 대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와 같은 호출을 수신하는 수신작업이 피어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신작업이 피어 단말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이 설명된다.
단계 S7010 에서,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 단말에게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7020 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7010 에서 수신된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을 피어 단말로 지정한다.
단계 S7030 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신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피어 단말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수신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사용자 단말과 피어 단말 중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수신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 피어 단말의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도 16 내지 도 19 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7040 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7030 에서 수신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가 피어 단말로 결정되면,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를 외부 서버에게 전송한다.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의 수신자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단계 S7050 에서 외부 서버는, 수신된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의 수신자를 피어 단말로 변경한다.
단계 S7060 에서 외부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 S7070 에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피어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외부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080 에서 모바일 단말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에 응답하는 경우, 예컨대, 그 전화가 부재중 전화로 남아 모바일 단말을 통해 다시 전화를 거는 경우,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 답신하는 경우, 발신자가 사용자 단말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0에서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 (5000) 는 도 23 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대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제어부 (5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부 (1100) 에 대응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5000) 의 통신부 (53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통신부 (1300) 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 에서 전술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일 수 있고, 도 20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 있고, 도 2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전술된 제어부 (1100), 및 통신부 (1300) 이외에, 이동 통신부 (12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센싱부 (1700), 디스플레이부 (1800), 및 저장부 (19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 에서 전술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각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 요소 또는 2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 (1100) 는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저장부 (19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센싱부 (1700), 저장부 (1900), 및 디스플레이부 (1800) 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프로세서 (Processor, 1110) 를 포함한다. 제어부 (1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ROM, 1120)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외부, 예컨대,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RAM, 1130)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코어 (core) 와 GPU를 포함하는 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또는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110), 롬 (1120) 및 램 (1130) 은 버스 (bus) 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동 통신부 (1200) 및 통신부 (13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외부 장치, 예컨대,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 (1300) 는 무선랜 (1310), 및 근거리 통신부 (1320) 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을 통해, AP (access point) 가 설치된 장소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무선으로 AP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Wi-Fi) 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은 미국전기전자학회 (IEEE) 의 무선랜 규격 (IEEE802.11x) 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부 (1320) 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AP없이 무선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0) 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 (Zigbee) 통신부, 적외선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 (Wi-Fi Direct) 통신부, UWB (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 (1200) 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무선 신호가 송수신된다. 이동 통신부 (1200) 는 연결가능한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 메시지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 (1400) 는 방송 수신부 (1410), 오디오 재생부 (1420), 비디오 재생부 (1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 (1410) 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 (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 (예를 들어, EPS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 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비디오 코덱 (video code) 및 오디오 코덱 (audio codec) 을 이용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 (1420) 에 의해, 저장부 (1900) 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오디오 파일) 가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 (1420) 에 의해, 입/출력부 (1600) 에서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 (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등) 이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 재생부 (1430) 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저장부 (1900) 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비디오 파일) 가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및/또는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코덱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코덱 및 오디오 코덱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 (1500) 를 통해,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가 촬영될 수 있다. 카메라 (1500) 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상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 (11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 (1900) 에 저장되거나, 통신부 (1300) 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1500) 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제어부 (1100) 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1800) 에서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이 향하는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8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15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서로 상이한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 (151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에 위치되고, 제2 카메라 (152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면 상에서 인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면 상에서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비디오가 촬영될 수도 있다. 카메라 (1500) 는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외에 더 많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1500) 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시 (153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1500) 는 광각, 망원, 및/또는 접사 촬영을 위한, 별도의 어댑터에 착탈가능한 추가 렌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 (1600) 를 통해, 입/출력부 (16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로 데이터가 입력되고,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입/출력부 (1600) 는 하나 이상의 버튼 (1610), 마이크 (1620), 스피커 (1630), 및 진동 모터 (16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입/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는 홈 버튼, 메뉴 버튼, 돌아가기 버튼 등일 수 있다.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측면에 위치되는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등일 수 있다.
버튼 (1610) 은 물리적 버튼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외부의 베젤 상에서 터치 버튼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 버튼 (1610) 은 스마트 워치의 용두일 수 있다.
마이크 (1620) 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생성된다. 마이크 (1620) 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오디오 코덱에서 변환되어 저장부 (1900) 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 (1630) 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62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 (noise) 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스피커 (1630) 를 통해,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또는 센싱부 (1700) 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신호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사진 촬영 등) 및 저장부 (1900) 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 (163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음, 또는 사진 촬영버튼 조작음) 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163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또는 센싱부 (1700) 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진동 모터 (164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전체를 진동시키거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 부분만을 진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 (1600) 는 터치 패드, 커넥터, 키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입력 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 는, 접촉식 정전 용량 (capacitive) 방식, 압력식, 저항막 (resistive)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acoustic wave)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전자기 공명 (EMR; electromagnetic resonan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 (1800) 와 레이어 구조를 구성하거나, 디스플레이부 (1800) 자체에 직접 위치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1800) 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 (1100) 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8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 (1100) 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직접 터치 (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직접 터치 (real-touch) 및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는 모두 "터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터치 (real-touch)"는 터치 패드에 포인터 (pointer) 가 물리적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하고, "근접 터치 (proximity-touch)"는 포인터 (pointer) 가 터치 패드에 물리적으로 터치되지 않더라도, 해당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접근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 (pointer)"는 터치 패드를 직접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는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등일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를 더 정교하게 감지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터치 패드의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위치되는 촉각 센서 (Tactile Sensor),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센서를 통해,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를 통해,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압력의 크기가 감지될 수 있다.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스처 (gesture) 입력이 더욱 다양화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tap)"은, 터치 패드 상에서 포인터가 한 번 터치된 후 터치 패드로부터 포인터가 떨어짐으로써, 인가되고, "더블 탭 (double tap)"은 소정 시간 내에 두 번, "멀티플 탭 (multiple tap)"은 세 번 이상 터치 패드가 터치됨으로써, 인가된다. "롱 탭 (long tap)"은, 소정 시간 이상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까지 터치 패드에 터치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인가된다.
"드래그 (drag)"는, 터치 패드와 포인터가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인터가 터치 패드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인가된다. "스와이프 (swipe)"는 포인터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드래그"보다 빠른 입력을 의미한다.
핀치 아웃 (pinch-out) 은, 터치 패드 상에서 두 손가락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 냄으로써, 인가되고, 핀치 인 (pinch-in) 은 반대로 두 손가락을 꼬집듯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모음으로써 인가된다.
커넥터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전원 소스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의 제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 (19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입력되고,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액세서리 (예를 들어, 스피커, 키보드 도크 (keyboard dock) ) 와 연결될 수도 있다.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키패드는 터치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패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등일 수 있다.
센싱부 (17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 (1700) 는 사물체의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Proximity Sensor, 171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Illuminance Sensor, 1720), X, Y, 및 Z축에 대한 각 속도를 측정하여 변화한 각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Gyro Sensor, 1730)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 (170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에서, GPS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실내에서, 무선 AP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도 있다. 실내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는, 무선 AP의 ID를 이용한 셀 아이디 (cell-ID) 방식, 무선 AP의 ID와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를 이용한 강화 셀 아이디 (enhanced cell-ID) 방식 또는 AP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수신되는 각도를 이용한 AoA (Angle of Arrival) 방식 등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또는, 무선 비컨 (beacon) 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도 있다.
센싱부 (1700) 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탐지하는 지자기 센서 (Magnetic sensor), X, Y, 및 Z 축 각각에 대한 가속도 (중력 가속도 및 운동 가속도) 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Acceleration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 (Gravity Sensor), 빛의 RGB (Red, Green, Blue, 및 White) 색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RGB 센서,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 (Hall Sensor), 자계 (Magnetic Field) 의 세기를 측정하는 마그네토미터 (Magnetometer), IR (적외선) 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 (IR Sensor), 경사도를 인식하고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 (Altimeter), 지문 인식 센서 (Finger scan Sensor), 심박수 측정 센서 (Heart rate Sensor), 압력 센서 (Pressure Sensor), UV 센서, 온도 습도 센서 (Temperature Humidity Sensor) 또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Motion Recognition Sensor)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 (1900) 는 제어부 (1100) 의 제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900) 는 통신부 (1300), 입/출력부 (1600), 및 디스플레이부 (1800) 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 (19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900) 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메모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1800) 는 다수의 픽셀들 (pixels) 을 구비하고, 픽셀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처리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18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구동되는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과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디스플레이부 (1800) 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수신, 사진 촬영, 비디오 보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800) 는 예를 들어,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 (Plasma Display Panel),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electrophoretic display), 및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180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1800) 는 힌지 (hinge) 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명세서에에 병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 (logic),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 C, C++, 자바 (Java), 어셈블러 (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 (routines) 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범위 (range) 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 (예들 들어, 등등) 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사용자 단말로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피어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수신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피어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오래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적응적인, 사용자 단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운영 체제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검색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피어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피어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작업은 상기 피어 단말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호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특성은, 상기 피어 단말로 지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 중 상기 검색 특성의 검색 범주와 관련된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한 웹 리소스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되는 인증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 단말이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피어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자 변경 요청 메시지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되고,
    상기 웹 리소스에 대한 상기 피어 단말의 인증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작업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15.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단말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페어링 (pairing)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언페어링 (unpaired) 되는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전화 및/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주체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검색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검색작업을 위한 검색 특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검색작업의 수행 결과에 의한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19.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피어 단말이 수행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peer) 단말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피어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함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피어 단말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48341A 2014-10-23 2015-10-23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15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72718.8A CN104270732B (zh) 2014-10-23 2014-10-23 呼叫转移的配置方法和装置
CN201410572718.8 2014-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18A true KR20160048018A (ko) 2016-05-03
KR102415870B1 KR102415870B1 (ko) 2022-07-04

Family

ID=5216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41A KR102415870B1 (ko) 2014-10-23 2015-10-23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70338973A1 (ko)
EP (2) EP3214894B1 (ko)
KR (1) KR102415870B1 (ko)
CN (1) CN104270732B (ko)
WO (1) WO20160642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801A (ko) * 2016-09-06 2019-05-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4156B (zh) * 2015-08-10 2019-07-19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其运作方法
CN105050075B (zh) * 2015-08-31 2019-03-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虚拟sim卡的通话处理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US20170108939A1 (en) * 2015-10-16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based on personalized profiles on a wearable device
CN105430596B (zh) * 2015-10-27 2019-02-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虚拟sim卡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05472183A (zh) * 2015-11-20 2016-04-06 蔡畅 一种呼叫转移控制方法
CN105682064B (zh) * 2015-12-30 2020-06-19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来电的呼叫转移方法及装置
CN105635475A (zh) * 2016-01-11 2016-06-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与智能手机关联的方法及系统
CN105979482A (zh) * 2016-04-25 2016-09-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知被叫端应答的方法和服务端
CN105939513A (zh) * 2016-06-24 2016-09-1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呼叫转移的方法及装置
CN106231137A (zh) * 2016-09-27 2016-12-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基于电量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453890A (zh) * 2016-10-10 2017-02-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转接电话的方法及装置
CN107277801A (zh) * 2017-04-28 2017-10-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呼叫转移状态的查询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0012146B (zh) * 2018-01-0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共享方法及终端
CN110830649B (zh) * 2019-10-29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电子设备以及穿戴设备
CN112272260A (zh) * 2020-10-23 2021-01-26 岭东核电有限公司 核电作业场景下的呼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5175114A (zh) * 2021-04-07 2022-10-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呼叫转移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438372B (zh) * 2021-06-11 2023-06-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呼叫功能设置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4189574B (zh) * 2021-12-08 2023-08-04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反诈骗预警过程中的呼叫转移识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5473A1 (en) * 2012-08-13 2014-02-13 GreatCall, Inc. (028233) Intelligent call forwarding
WO2014062714A1 (en) * 2012-10-15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ea network enabled mobile device accessory
KR20140080958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101420574B1 (ko) * 2013-08-29 2014-07-17 지현구 통신 기기 간 자동 통신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40098597A (ko) *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023B1 (en) * 1999-09-22 2003-02-18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ed internet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GB0007942D0 (en) * 2000-04-01 2000-05-17 Hewlett Packard Co Distributed search method
US6714233B2 (en) 2000-06-21 2004-03-30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video telephone system
US7164885B2 (en) 2000-12-18 2007-01-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ervice access
KR2003005673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용컴퓨터에 저장된 주소록 검색 방법
US9374451B2 (en) 2002-02-04 2016-06-21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short-cuts to digital services
US8095500B2 (en) * 2003-06-13 2012-01-10 Brilliant Digital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content in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s
EP3379777B1 (en) * 2006-11-01 2020-12-23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forwarding short messag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2348251B (zh) * 2010-08-03 2014-03-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呼叫路由方法及装置、通信系统及处理设备
KR101267983B1 (ko) * 2011-04-21 2013-05-27 아이테크 도쿄 코포레이션 무선랜 기반 피어투피어 응용간 연결 방법, 무선랜 기반 피어투피어 응용간 연결성 유지 방법 및 무선랜 기반 피어 단말
WO2013133836A1 (en) * 2012-03-08 2013-09-12 Intel Corporation Transfer of communication from one device to another
CN102983890B (zh) * 2012-11-14 2015-08-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设备配对连接的方法及装置
US9466187B2 (en) 2013-02-04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ple wearable haptic devices
US9854081B2 (en) 2013-03-15 2017-12-26 Apple Inc. Volume control for mobile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238535B1 (ko) * 2014-10-01 2021-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8363A (ko) 2014-11-20 2014-12-03 박동원 두 개의 휴대폰이 하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5473A1 (en) * 2012-08-13 2014-02-13 GreatCall, Inc. (028233) Intelligent call forwarding
WO2014062714A1 (en) * 2012-10-15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ea network enabled mobile device accessory
KR20140080958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20140098597A (ko) *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1420574B1 (ko) * 2013-08-29 2014-07-17 지현구 통신 기기 간 자동 통신 전환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801A (ko) * 2016-09-06 2019-05-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US11184754B2 (en) 2016-09-06 2021-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8973A1 (en) 2017-11-23
CN104270732A (zh) 2015-01-07
US20210006616A1 (en) 2021-01-07
EP3709607A1 (en) 2020-09-16
EP3709607B1 (en) 2022-06-08
WO2016064250A2 (ko) 2016-04-28
EP3214894A2 (en) 2017-09-06
WO2016064250A3 (ko) 2016-06-09
EP3214894B1 (en) 2020-04-22
US11546410B2 (en) 2023-01-03
CN104270732B (zh) 2020-02-07
EP3214894A4 (en) 2017-11-29
KR102415870B1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870B1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04631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228676B2 (ja) 接続状態プロンプ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US20190306277A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US11382069B2 (en) Method for indicating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coreset of RMSI, method for obtaining coreset of RMSI, and UE
US991765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KR201700298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046352A1 (en) Method by which portabl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wear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EP269660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in mobile device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KR20170137445A (ko) 파일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767857A (zh) 基于云名片的电话呼叫方法及装置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606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llaborative gesture-based sharing of ressources between devices
KR101931141B1 (ko)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8503149A (ja) 情報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552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85629B2 (en) Module-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42815B1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47059A (ko) 정보 표시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966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0570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08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