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93B1 -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93B1
KR102117993B1 KR1020140040487A KR20140040487A KR102117993B1 KR 102117993 B1 KR102117993 B1 KR 102117993B1 KR 1020140040487 A KR1020140040487 A KR 1020140040487A KR 20140040487 A KR20140040487 A KR 20140040487A KR 102117993 B1 KR102117993 B1 KR 10211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
call
call channel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436A (ko
Inventor
이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4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중계 서버와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화 채널, 상기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중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ay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청각 및 발화 장애인을 위한 통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현재 많은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막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막 방송은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문자 방송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자막 방송은 가수가 노래할 때 가사를 자막으로 보여주는 오픈 캡션(open captioning)과,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본 방송과는 별도로 오디오를 자막으로 처리하여 부가 방송 형태로 제공되는 클로스드 캡션(closed captioning)이 있다.
보통 자막 방송은 클로스드 캡션을 말한다. 자막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자막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수상기나 셋톱 박스로 캡션 기능을 선택할 때 볼 수 있다. 자막 처리 방법은 사전 처리 방법과 실시간으로 속기사나 음성 인식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법원 또는 회의에는 재판 또는 회의 과정을 증거로 남기기 위하여 속기사가 참석하여 기록을 하게 된다.
컴퓨터의 보급이 일반화되기 이전에는 직접 기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전자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술한 자막 방송이나 재판 또는 회의 과정을 증거로 남기기 위한 속기를 이용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수업이나 강의시 문자 중계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문자 중계 시스템은 청각 장애인 옆에 속기사가 위치하고, 수업이나 강의 내용을 듣고 속기사가 자신의 컴퓨터에 속기를 입력하면, 컴퓨터의 속기 프로그램은 이를 수신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는 청각 장애인이 소지한 컴퓨터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청각 장애인도 수업 또는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속기사 이외의 수화를 통해서도 수업이나 강의 내용을 청각 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문자 중계 방법은 항상 속기사 또는 수화자가 청각 장애인 옆에 위치하여야 하며, 문자중계의 경우에도 고가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를 구비한 청각 장애인에게만 문자 중계를 제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가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고성능 카메라와 고속의 영상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선명한 영상 통화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청각이나 언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비장애인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시간 전화 중계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일 예로,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107 손말이음센터’가 있다.
‘107 손말이음센터'는 청각 장애인이 비장애인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청각 장애인은 중계사에게 비장애인의 연락처를 전달하면, 중계사는 해당 연락처로 음성 통화를 연결한다. 청각 장애인은 중계사와 설정된 채팅 창을 통해 문자로 의사를 전달하면, 중계사가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비장애인에게 전달한다. 반대로, 비장애인이 청각 장애인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비장애인은 '107'번으로 전화를 걸어 중계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비장애인이 청각 장애인의 연락처를 구두로 알려주면 중계사가 해당 연락처로 청각 장애인과 영상 통화를 설정한다. 이 후, 중개사는 청각 장애인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로 의사 소통을 하고, 비장애인에게 수화 내용을 음성으로 번역하여 전달한다.
상기한‘107 손말이음센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청각 장애인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하기의 이유들로 획기적으로 나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107번’ 번호에 대한 홍보 부족이다. 현재, 107번은 ‘손말이음센터’ 번호로 지정되어있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의 인지 부족으로 평소에 청각 장애인에게 전화 연결을 시도할 때 원래의 연락처(집 전화번호 또는 핸드폰 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둘째, 청각 장애인은 직접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첫 번째 이유와 직결되어있으며, ‘107손말이음센터’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일 수 있다. 청각 장애인에게 수신되는 많은 전화가 중 ‘107번’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청각 장애인은 걸려온 전화를 끊고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으로 “본인은 청각 장애가 있으니 문자로 연락바랍니다.” 또는 “107번을 통해서 연락주십시오” 라고 보낼 수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 메시지 수신자로부터 회신 연락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셋째, 발화가 유창한 청각 장애인에게는 활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구화를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은 듣지는 못하지만 발음이 비교적 정확한 편이다. 따라서, 음성 통화 중 상대방에게 본인의 음성을 그대로 전달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107 손말이음센터’는 중계사를 통해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달 지연이 발생하고 화자의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 타입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화 가능 청각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직접 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단말 조작을 통해 3자 통화 설정이 가능한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중계 서버와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화 채널, 상기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환경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 통신 중계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중계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패킷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여기서,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제1 통화 채널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문자 채팅을 위한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난청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이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가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에 제3 통화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이되,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수화 영상 또는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3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와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제2 단말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화 채널 및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패킷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화 영상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거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문자 채팅을 위한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문자를 음성 데이터 신호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문자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난청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와 연동하여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제1 단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과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중계 서버와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통화 채널, 상기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와 연동하여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입력 받는 수단과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통화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는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제2 단말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화 채널 및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발화 가능 청각 장애인의 음성 통화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장애 타입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화 채널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통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을 통해 청각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전달 지연을 최소화하여 청각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보다 실시간으로 의사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발신인)과 비장애인(수신인)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장애인(발신인)과 청각 장애인(수신인)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호에 대한 중계 모드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호에 대한 중계 모드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중계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이고 청각 정상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이고 청각 정상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난청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난청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mobile device)로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가능한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이하, 간단히 "단말"이라 명함)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다자 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패킷 데이터 통화 등이 적용되는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표준에 따른 LTE(Long Term Evolusion)/ LTE-A(Advanced) 접속 수단, IEEE 802.16e 및 IEEE 802.20 표준 규격을 만족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수단-예를 들면, Wimax 접속 수단 등을 포함함-이 탑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 시스템의 일 예로서 3GPP LTE/LTE-A 시스템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Serving-Gateway)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은 ENB 및 SGW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ENB는 3GPP의 또 다른 무선망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 포함되는 NodeB에 대응될 수 있다. ENB는 UE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NodeB에 비해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을 위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S-GW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베어러를 할당하거나 제거한다. 또한,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복수의 ENB들과 연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제1 단말(10), 제2 단말(20), 중계 서버(30), 무선망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10)은 비장애인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이고, 제2 단말(20)은 청각/언어 장애를 가진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2 단말(10 내지 20)은 무선망 시스템을 통해 음성/영상/패킷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2 단말(10 내지 20)은 무선망 시스템을 통해 중계 서버(30)와 다자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통화 세션을 통해 중계 서버(30)로부터 통화 중계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중계 서비스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택에 따라 문자 중계 모드 또는 영상 중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중계 서버(30)는 단말의 중계 요청에 따라 필요한 통화 채널을 무선망 시스템을 통해 설정하고, 설정된 통화 채널을 통해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중계 서버(30)는 중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중계 타입 식별자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중계 서버(30)에는 전화 번호 또는 IP 주소가 미리 할당될 수 있으며, 단말은 해당 중계 서버(30)에 대응되는 전화 번호 또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중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계 서버(30)는 제2 단말(20)에 의해 제1 단말(10)로의 영상 중계가 요청된 경우, 제2 단말(20)과 영상 통화 채널을 설정하고 제1 단말(10)과는 음성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중계 서버(30)는 설정된 영상 통화 채널 및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제2 단말(20)과 제1 단말(10) 사이의 수화/음성 변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계 서버(30)의 다양한 통화 중계 서비스는 하기의 도면들 및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 내지 20)은 크게 제어부(200)와 무선 통신부(210), 센싱부(220), 전원 공급부(230), 외부 인터페이스부(240), 출력부(250), A/V(Audio/Video) 입력부(260), 메모리부(270), 입력 키 모듈(280) 등을 포함하는 하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단말(10 내지 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음성 통화, 패킷 데이터 통신, 영상 통화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10 내지 20)과 무선망 시스템(40) 사이 또는 단말(10 내지 20)과 특정 무선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무선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0 내지 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 소정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NodeB, ENB 등을 포함함),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영상 통화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단말(10 내지 2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센싱부(2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단말(10 내지 20)의 개폐 상태 정보, 단말(10 내지 2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단말(10 내지 2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단말(10 내지 2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단말(10 내지 2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단말(10 내지 2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등과 같이 단말(10 내지 2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는 단말(10 내지 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10 내지 2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10 내지 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단말(10 내지 20)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251), 음향 출력 모듈(253), 알람부(255) 및 햅틱 모듈(2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1)은 단말(10 내지 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10 내지 2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 내지 2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51)은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단말의 환경 설정이 통신 중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착/발신 통화에 대응되는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사용자는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원하는 중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의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2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10 내지 2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 내지 2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2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253)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3)은 단말(10 내지 2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53)은 단말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모듈(253)은 장애 타입이 난청인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가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53)은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의 출력(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난청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알람 모듈(255)은 단말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 모듈(25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이나 음향 출력 모듈(2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6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257)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261)와 마이크(26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61)는 영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27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61)는 단말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6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211)에 의해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상에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6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270)는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지도, 게임, 채팅, 웹 서핑 일정관리, 금융, 사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등에서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프로그램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메모리부(27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280)은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28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서버(30)는 크게 제어부(300)와 통신부(310), 변환부(320), 출력부(330), A/V 입력부(340), 메모리부(350), 입력 키 모듈(360) 등의 하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330), A/V 입력부(340), 입력 키 모듈(360) 등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중계 서버(30)에는 다수의 중개인이 접속하여 통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30)는 중계인의 도움 없이, 내부 구비된 변환부(320)를 통해 자동으로 비장애인과 청각/언어 장애인 사이의 통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310)는 중계 서버(30)와 무선망 시스템(40)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 모듈(311), 무선 인터넷 모듈(313), 유선 통신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311)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망 시스템(40)의 기지국(NodeB, ENB 등을 포함함),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영상 통화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중계 서버(3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315)은 을 동축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등의 유선 매체상의 전기 신호를 소정 유선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무선망 시스템(40)과의 유선 통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상의 전송 프로토콜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IP-LAN(Internet Protocol based Local Area Network),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at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서버(30)는 무선망 시스템(40)과 무선 연결 및(또는) 유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변환부(3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단말에 의해 요청된 중계 타입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변환부(320)는 수화/음성 변환 모듈(321), 음성/문자 변환 모듈(323), 음성 증폭 모듈(3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화/음성 변환 모듈(321)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화 영상을 음성 신호로 변화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는 일차적으로 문자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문자는 디스플레이 모듈(331)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1)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하는 수화 영상이 카메라(341)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수화 영상은 미리 설정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해당 수신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외부로부터 수화 영상이 수신된 경우, 수화/음성 변환 모듈(312)은 수신된 수화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331)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중개인은 표시된 수화 영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음성을 입력 키 모듈(360) 또는 A/V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 또는 음성은 미리 설정된 패킷 데이터 채널 또는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해당 수신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성 변화 모듈(321)은 음성을 수화로 변환하거나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부(350)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수화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어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수신된 수화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해당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 수화/음성 변화 모듈(321)은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절 또는 단어 단위로 분리하여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이 후, 수화/음성 변화 모듈(321)은 변환된 문자에 대응되는 수화 이미지를 수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수화 이미지는 하나의 문장 단위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그룹화된 수화 이미지는 연속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나의 수화 영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재구성된 수화 영상은 미리 설정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해당 수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문자 변환 모듈(323)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증폭 모듈(325)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의 수신 단말이 난청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화부(320)는 외부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해당 음성 신호의 수신 대상인 난청인 장애인의 단말인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함과 동시에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이 후, 증폭된 음성 신호 및 변환된 문자가 동시에 해당 수신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계 서버(30)는 난청인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보다 명확한 의사 소통을 지원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331), 음향 출력 모듈(3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1)은 중계 서버(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30)가 영상 중계 모드인 경우 중계 대상 단말과의 영상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중계 서버(30)가 문자 중계 모드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가 소정 UI 또는 GUI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33)은 중계 요청 메시지 수신, 중계 시작 및 종료 시점 또는 녹음 시작 및 종료 시점 등에서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와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333)은 중계 서버(3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333)은 중계 서버(3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3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341)와 마이크(3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41)는 영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3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3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41)는 중계 서버(3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43)는 중계인에 의한 통화 중계 서비스 시 중계인의 음성을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 수신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343)는 중계 서버(3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350)는 제어부(3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송/수신 제어 메시지, 문자 메시지, 화상 통화 영상, 수화 이미지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350)는 특정 단어에 매핑되는 수화 이미지가 소정의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350)은 사용자가 중계 서버(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중계인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350)은 키 보드(key board), 마우스(Mou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발신인)과 비장애인(수신인)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 단말(20)은 그룹 통화 요청을 통해 중계 서버(30) 및 비장애인 단말(10)과의 3자 통화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는 청각 장애인 단말(20)로부터 비장애인 단말(10)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그룹 통화 요청 또는 중계 요청을 수신하면 비장애인 단말(10)과의 음성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청각 장애인 단말(20)과 중계 서버(30) 사이에는 문자 또는 영상 중계를 위한 패킷 데이터 채널 또는 영상 통화 채널이 설정될 있으며, 청각 장애인 단말(20)과 비장애인 단말(10) 사이에는 음성 통화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청각 장애인이 발화 가능하고 청각 장애가 있는 경우, 청각 장애인은 음성 통화 채널을 자신의 음성을 비장애인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반면, 비장애인의 음성은 비장애인 단말(10)과 중계 서버(30) 사이에 설정된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중계 서버(30)에 전송된 후, 중계 서버(30)가 이를 문자로 변환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청각 장애인이 발화가 불가능하고 청각이 정상인 경우, 상기한 예에서, 청각 장애인 단말(20)과 중계 서버(30) 사이에는 영상 통화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애인 단말(20)은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청각 장애인의 수화 영상을 중개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중개 서버(30)는 수신된 수화 영상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비장애인 단말(10)에 전달 수 있다. 비장애인의 음성은 청각 장애인 단말(20)과 비장애인 단말(10) 사이에 설정된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직접 청각 장애인 단말(2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장애인(발신인)과 청각 장애인(수신인)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 단말(20)은 비장애인 단말(1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중계 서버(30)로 비장애인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또는 그룹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후, 중계 서버(30)는 수신된 비장애인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비장애인 단말(10)과의 음성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애인은 자신의 장애 타입에 따라 문자 중계 또는 영상 중계를 중계 서버(30)에 요청할 수 있으며, 중계 서버(30)는 청각 장애인 단말(20)의 중계 요청에 따라 문자 중계를 위한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을 설정하거나 수화 중계를 위한 영상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 타입은 청각 장애 여부, 발화 장애 여부, 난청 여부 등의 장애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청각 장애인이 발화가 가능하고 듣기가 불가능한 경우-즉, 장애 타입이 발화 가능 및 청각 장애임-, 중계 서버(30)는 비장애인 단말(10)로부터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화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장애인의 음성은 기 설정된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비장애인 단말(10)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청각 장애인이 발화 및 청각에 모두 장애가 있는 경우, 중계 서버(30)와 청각 장애인 단말(20) 사이에는 수화 중계를 위한 영상 통화 채널이 설정되고, 중계 서버(30)와 비장애인 단말(20) 사이에는 음성 중계를 위한 음성 통화 채널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비장애인 단말(10)과 청각 장애인 단말(20) 사이에는 직접적인 통신 연결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 청각 장애인의 수화 영상은 중계 서버(30)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비장애인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비장애인의 음성은 중계 서버(30)에 의해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청각 장애인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비장애인(발신인)이 청각장애인(수신인)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 있어서, 비장애인(발신인) 단말(10)이 청각장애인(수신인) 단말(20)에게 일반 통화를 요청하면 하나의 세션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청각장애인(수신인) 단말(20)은 상기 형성된 세션에 중계인을 초대 하기 위해 중계 서버(30)로 그룹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서버(30)는 비장애인 단말(10)을 상기 형성된 세션에 초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장애인 단말(10), 청각장애인 단말(20) 및 중계 서버(30)는 모두 하나의 그룹통화 세션에 동시에 존재할 수 가 있다.
상기한 그룹통화 세션이 형성되면, 비장애인의 음성을 중계사가 듣고 이를 문자 또는 수화 영상으로 통역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청각장애인이 발화가 가능한 경우, 상기 형성된 그룹통화 세션을 통해 직접 비장애인에게 의사전달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발화가 어려운 청각장애인의 경우, 문자 또는 수화 영상을 통해 중계사에게 의사가 전달될 수 있으며, 중계사는 이를 음성으로 통역하여 비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호에 대한 중계 모드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사용자가 소정의 환경 설정 화면을 통해 통신 중계 모드를 ON으로 설정한 경우(도면 번호 620), 수신자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에 따라 중계 모드-여기서, 중계 모드는 문자 중계 및 영상 중계 포함함-를 선택할 수 있다.
중계 모드가 선택되고, 통화 버튼(630)이 클릭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중계 서비스가 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호에 대한 중계 모드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사용자가 소정의 환경 설정 화면을 통해 통신 중계 모드를 ON으로 설정한 경우(도면 번호 720), 외부로부터 전화-예를 들면, 음성 통화-가 걸려오면, 도면 번호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에 따라 중계 모드-여기서, 중계 모드는 문자 중계 및 영상 중계 포함함-를 선택할 수 있다.
중계 모드가 선택되고, 통화 버튼(730)이 클릭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중계 서비스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선택 가능한 중계 타입이 문자 중계와 영상 중계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보다 세분화된 장애 타입에 따라 중계 타입이 정의될 수도 있다. 세분화된 중계 타입은 후술할 도 10 내지 도 17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중계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상세하게, 도 8은 걸려온 전화(착신호)에 대한 문자 중계 모드에서의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문자 중계 모드에서의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중계사 정보 표시 영역(810), 대화창(820),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830), 문자 입력창(840), 보내기 버튼(845), 통화 추가 버튼(850), 통화 종료 버튼(860), 다이얼 버튼(8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계사 정보 표시 영역(810)에는 현재 중계사의 사진 및 이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중계사가 필요하지 않은 자동 중계 서비스인 경우, 중계사 정보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화창(820)은 비장애인과 청각 장애인 사이의 문자 통신 내역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대화 표시 영역이다.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830)은 착신호에서의 발신인의 정보-예를 들면, 발신인 전화 번호, 발신인 이름 등을 포함함-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8에는 발신인 전화 번호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만약, 주소록에 발신인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발신인의 이름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문자 입력창(840)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으로서, 문자 입력창(840)의 일측에 입력된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보내기 버튼(845)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추가 버튼(850)은 대화 대상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주소록과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주소록상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대화 상대를 추가할 수도 있다.
통화 종료 버튼(860)는 연결된 통화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고, 다이얼 버튼(870)은 다이얼 키 패드가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는 다이얼 버튼(870)을 터치하여 직접 추가할 대화 상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중계 모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중계 모드에서의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중계사 정보 표시 영역(910), 중계 영상 표시 영역(920),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930), 본인 영상 표시 영역(940), 통화 추가 버튼(950), 통화 종료 버튼(960), 다이얼 버튼(9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계 영상 표시 영역(920)은 비장애인의 음성 영상을 수화로 통역한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중계사에 의해 실시간으로 통역된 수화 영상이거나 중계 서버(30)에 의해 기계적으로 변환된 수화 영상일 수 있다.
본인 영상 표시 영역(920)은 중계 영상 표시 영역(9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중계사 정보 표시 영역(910),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930), 통화 추가 버튼(950), 통화 종료 버튼(960) 및 다이얼 버튼(970)은 상기한 도 8의 중계사 정보 표시 영역(810),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830), 통화 추가 버튼(850), 통화 종료 버튼(860) 및 다이얼 버튼(87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은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제2 단말(2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한다(S1001). 이때, 제2 단말(20)은 소정의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에 상응하는 영상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003). 이때,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의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2 단말(20)은 영상 중계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제1 음성 호를 해제하고(S1005),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영상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007).
연이어, 중계 서버(30)는 제2 단말(20)과 영상 호를 설정하고, 제1 단말(20)과는 제2 음성 호를 설정할 수 있다(S1009 내지 S1011).
이 후, 중계 서버(30)는 제2 음성 호를 통해 제1 단말(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S1003),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고(S1015), 변환된 수화 영상을 기 설정된 영상 호를 통해 제2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S1017).
또한, 중계 서버(30)는 기 설정된 영상 호를 통해 제2 단말(20)로부터 수화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수화 영상을 음성 데이터로 변화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제2 음성 호를 통해 제1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S1019 내지 S1023).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한 경우(도면 번호 620),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수신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S1101),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에 상응하는 영상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103).
제2 단말(20)은 영상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영상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105).
이 후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도 10의 1011 단계 내지 1023 단계의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이고 청각 정상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은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제2 단말(2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한다(S1201). 이때,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720), 제2 단말(20)은 소정의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에 상응하는 발화 장애 문자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203). 이때,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의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2 단말(20)은 발화 장애 문자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발화 장애 문자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205).
연이어, 중계 서버(30)는 문자 중계를 위해 제2 단말(20)과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S1207), 제1 단말(10)과는 제2 음성호를 설정할 수 있다(S1209). 여기서, 패킷 데이터 호는 채팅 문자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패킷 데이터 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채팅 응용 프로그램은 조인(Join), 카카오톡, 라인 등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은 SMS(Short Message Service)에 비해 전송 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 후, 제2 단말(20)은 제1 음성 호를 통해 직접 제1 단말(10)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11). 또한, 발화가 불가능한 제2 단말(20) 사용자는 패킷 데이터 호를 통해 문자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하고, 중계 서버(30)는 수신된 문자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2 음성 호를 통해 제1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S1213 내지 S1217).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장애이고 청각 정상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620),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수신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S1301),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에 상응하는 발화 장애 문자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303).
제2 단말(20)은 발화 장애 문자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1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하고,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발화 장애 문자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305 내지 S1307).
이 후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도 12의 1207 단계 내지 1217 단계의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은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제2 단말(2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한다(S1401). 이때,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720), 제2 단말(20)은 소정의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에 상응하는 청각 장애 문자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403). 이때,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의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2 단말(20)은 청각 장애 문자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청각 장애 문자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405).
연이어, 중계 서버(30)는 문자 중계를 위해 제2 단말(20)과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S1407), 제1 단말(10)과는 제2 음성호를 설정할 수 있다(S1409).
중계 서버(30)는 제2 음성 호를 통해 제1 단말(10)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패킷 데이터 호를 통해 제2 단말(20)에 전송한다(S1411 내지 S1415).
제1 단말(20)은 제1 음성 호를 통해 제2 단말(10)의 음성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S1417).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620),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수신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S1501),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에 상응하는 청각 장애 문자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503).
제2 단말(20)은 청각 장애 문자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1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하고,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청각 장애 문자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505 내지 S1507).
이 후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도 14의 1407 단계 내지 1417 단계의 내용으로 대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난청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착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음성 호를 설정한다(S1601). 이때,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720), 제2 단말(20)은 소정의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정상 및 난청)에 상응하는 난청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603). 이때,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의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2 단말(20)은 난청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난청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605).
연이어, 중계 서버(30)는 난청 중계를 위해 제2 단말(20)과 제2 음성 호를 설정하고(S1607), 제1 단말(10)과는 제3 음성호를 설정할 수 있다(S1609).
중계 서버(30)는 제3 음성 호를 통해 제1 단말(10)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난청 장애인이 잘 들을 수 있는 소정 레벨로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 데이터를 제2 음성 호를 통해 제2 단말(20)에 전송한다(S1611 내지 S1615).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30)는 제1 단말(10) 사용자의 발화 속도가 느려지도록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20)은 제1 음성 호를 통해 제2 단말(10)의 음성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S1617).
상기한 도 16의 예에서는 중계 서버(30)가 비장애인의 음성을 증폭하고 비장애인의 음성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난청 장애의 경우, 별도의 중계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2 단말(20)에서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내부적으로 증폭하고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 정상이고 난청인 장애인 단말에서의 발신호에 대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단말(20)의 통신 중계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도면 번호 620),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10)에 대응하는 수신 전화 번호-이하, 제1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S1701), 도면 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단말(20) 사용자는 자신의 장애 타입(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에 상응하는 난청 중계를 선택할 수 있다(S1703).
제2 단말(20)은 난청 중계가 선택되면, 제1 단말(10)과 제1 음성 호를 설정하고, 제1 단말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여기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난청 중계임-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전송한다(S1705 내지 S1707).
이 후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도 16의 1607 단계 내지 1617 단계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세하게, 도 18은 청각 및(또는) 발화 장애를 가진 장애인의 단말-이하, 제2단말(20)-에서 비장애인 단말-이하, 제1 단말(10)-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통화 중계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단말(20) 사용자는 소정 환경 설정 메뉴 화면상의 통신 중계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통신 중계 모드를 활성화(ON)시킬 수 있다(S1805).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S1810).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때,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은 팝업 창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중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1815).
연이어, 제2 단말(20)은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로 전송한다(S1820).
이 후,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이 제2 단말(20)과 중계 서버(30) 사이에 설정되며, 제2 단말(20)은 제1 통화 채널,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단말(10)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S1830 내지 S1840).
여기서, 상기한 제1 통화 채널 및 제2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패킷 데이터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계 타입 식별 정보가 청각 장애 및 발화 장애인 경우, 제1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를 제공하고,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중계 타입 식별 정보가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인 경우, 제1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를 제공하고 제2 통화 채널은 패킷 데이터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세하게, 도 19는 중계 서버(30)에서 제2 단말(20)로부터 제1 단말(10)과의 중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중계 서버(30)는 제2 단말(20)로부터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910).
중계 서버(30)는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통화 채널을 제2 단말(20)과 설정한다(S1920).
연이어, 중계 서버(30)는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제1 단말과 설정한다(S1930).
이 후, 중계 서버(30)는 제1 통화 채널 및 제2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 사이의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S194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제1 단말 20: 제2 단말
30: 중계 서버 40: 무선망 시스템
320: 변환부 610: 중계 모드 선택 화면

Claims (28)

  1.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중계 서버와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화 채널, 상기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서버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환경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 통신 중계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중계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패킷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제1 통화 채널이 해제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문자 채팅을 위한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인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인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난청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이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가 상기 중계 서버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에 제3 통화 채널이 설정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이되,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수화 영상 또는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3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4. 단말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서버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중계 서버에서의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제2 단말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화 채널 및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서버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패킷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화 영상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거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수화 영상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이거나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문자 채팅을 위한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인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발화 장애 및 청각 정상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문자를 음성 데이터 신호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발화 정상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문자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타입이 상기 난청인 경우, 상기 제1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중계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1항 내지 제3항, 제 8항 내지 제16항,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중계 서버와 연동하여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제1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중계 서버와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화 채널, 상기 제2 통화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통화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서버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이 수신하는
    단말.
  27. 중계 서버와 연동하여 중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입력받는 수단;
    소정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중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단말, 상기 중계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통화를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계 서버에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이 수신하는
    단말.
  28. 제1 단말 전화 번호 및 중계 타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중계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단말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과 제1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채널을 상기 제2 단말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화 채널 및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 타입 식별 정보는 장애 타입에 따라 미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은 발화 장애 여부, 청각 장애 여부, 난청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 요소를 조합하여 정의되고,
    상기 장애 타입이 발화 장애 및 청각 장애인 경우, 상기 제2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채널이고,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화 영상이 전송되고, 상기 수화를 음성으로 변환해 줄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수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화 이미지를 상기 제2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

KR1020140040487A 2014-04-04 2014-04-04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1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87A KR102117993B1 (ko) 2014-04-04 2014-04-04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87A KR102117993B1 (ko) 2014-04-04 2014-04-04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36A KR20150115436A (ko) 2015-10-14
KR102117993B1 true KR102117993B1 (ko) 2020-06-02

Family

ID=5435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87A KR102117993B1 (ko) 2014-04-04 2014-04-04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257B1 (ko) * 2020-03-19 2020-12-22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CN116097903A (zh) * 2020-09-29 2023-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方式确定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647A (ja) * 2001-07-30 2003-02-14 Ntt Docomo Tohoku Inc 通話中継システム、通話中継方法、通話中継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60026001A1 (en) * 2001-08-31 2006-02-02 Communication Service For The Deaf, Inc. Enhanced communications services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101208564B1 (ko) * 2011-09-01 2012-12-06 주식회사 미라넷 무선 캡션 전화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819A (ko) * 2012-06-18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자 기반의 보청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647A (ja) * 2001-07-30 2003-02-14 Ntt Docomo Tohoku Inc 通話中継システム、通話中継方法、通話中継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60026001A1 (en) * 2001-08-31 2006-02-02 Communication Service For The Deaf, Inc. Enhanced communications services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101208564B1 (ko) * 2011-09-01 2012-12-06 주식회사 미라넷 무선 캡션 전화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36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5436B (zh) 基于主题的即时消息隔离的系统和方法
US9622052B1 (en) Methods for using a caption device with a mobile device
US957828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video and text in communication greetings for the audibly-impaired
US9215409B2 (e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controlling audio communications between a relay service and an audio endpoint
US9843678B2 (en) Visual assistanc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3068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reminder
CN104365088A (zh) 使用多个摄像头的多通道通信
JP2016540461A (ja)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を用いた呼操作
US10158749B2 (en) Method by which portabl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wear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US10250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video call handling
JP7467635B2 (ja) 使用者端末、ビデオ通話装置、ビデオ通話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101456A (zh) 一种呼叫联系人的方法及装置
WO2021169472A1 (zh) 语音通话转移方法及电子设备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JP2017142610A (ja) サーバ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67392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mergency notifications to the hearing impaired
KR102117993B1 (ko)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739538B (zh) 一种翻译方法、装置、耳机和服务器
CN111696552B (zh) 一种翻译方法、装置和耳机
US20170310802A1 (en) Emergency services access device
JP7467636B2 (ja) 使用者端末、放送装置、それを含む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730722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US10237402B1 (en)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KR101644028B1 (ko) Pt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ptt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