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49B1 -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49B1
KR101887649B1 KR1020160045729A KR20160045729A KR101887649B1 KR 101887649 B1 KR101887649 B1 KR 101887649B1 KR 1020160045729 A KR1020160045729 A KR 1020160045729A KR 20160045729 A KR20160045729 A KR 20160045729A KR 101887649 B1 KR101887649 B1 KR 10188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voltage
equipme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814A (ko
Inventor
강경달
Original Assignee
강경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달 filed Critical 강경달
Priority to KR102016004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49B1/ko
Priority to PCT/KR2017/003585 priority patent/WO2017179841A1/ko
Publication of KR2017011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복잡한 측정 기구가 필요치 않으며, 기계 장비의 실제 구동에 시간 및 구동 강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고, 기계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 장비에 설치되어 기계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발신기; 상기 장비 발신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고객 컴퓨터; 상기 고객 컴퓨터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상기 로그를 전송받아, 상기 로그에 대응되는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상기 고객 컴퓨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Maintenance system of facility}
본 발명은,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메뉴얼을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복잡한 측정 기구가 필요치 않으며, 기계 장비의 실제 구동에 시간 및 구동 강도에 따른 유지 관리 메뉴얼을 제공할 수 있고, 기계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을 주 업으로 하는 소기업의 생산 설비는 통상 고가의 장비이며, 이는 소기업 자산의 80% 내지 90%에 육박할 정도로 큰 재산이다.
그러나, 소기업은 그 인원이 매우 적어 기계 장비의 유지 관리만을 위한 인원을 별도로 배치할 여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잦은 인원의 교체에 의한 메뉴얼의 인수 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계 장비의 셋업 당시에는 판매 회사로부터 사용법 및 유지 관리 메뉴얼을 인수 인계 받았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메뉴얼의 분실 및 인수 인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무자가 단순히 기계를 온오프할 뿐 직접 유지 관리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메뉴얼이 있다 하더라도 생산 설비 대부분이 외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영문으로 된 메뉴얼을 숙지하지 못해 알맞은 시기에 교환, 수리 등 정확한 유지 관리를 시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유지 관리의 부재는 장비와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사소한 고장으로부터 결국 장비 전체의 가동이 멈춰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여, 기계 장비를 용이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499728(등록번호) 2015.03.02.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측정 기구가 필요치 않은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실제 구동에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구동 강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계 장비에 설치되어 기계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발신기; 상기 장비 발신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고객 컴퓨터; 상기 고객 컴퓨터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상기 로그를 전송받아, 상기 로그에 대응되는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상기 고객 컴퓨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리 서버는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경과 시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며, 상기 경과시간은 모든 시간이 포함되는 절대 경과 시간과, 기계 장비의 동작 시간인 구동 경과 시간으로 구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계 장비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중공형의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 브라켓과, 상기 임펠라 브라켓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복수의 임펠라와,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선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정전기 또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스파크 감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장비 발신기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 전원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전원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구동 전압 측정부;와 상기 스파크 감지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크 감지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이상 전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전압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압이 제 3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고객 컴퓨터에 상기 기계 장비의 구동 정지를 요청한다.
본 발명은,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의 구동 전압만을 측정하여도 기계 장비의 전체적인 구동 강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복잡한 측정 기구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압 측정부에 의해 냉각팬의 구동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기계 장비의 실제 구동에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압 측정부에 의해 냉각팬의 구동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기계 장비의 구동 강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의 이상 작동을 감지하여 처리함으로써 기계 장비 본체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보수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의 냉각팬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의 냉각팬의 고장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장비(10)에 설치되어 기계 장비(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발신기(100)와, 장비 발신기(1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고객 컴퓨터(200)와, 고객 컴퓨터(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로그를 전송받아 로그에 대응되는 관리 메뉴얼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로그는 기계 장비(10)의 설치시점 및 가동시간 같은 시간정보와, 오류, 경고 또는 운영정보 같은 기계 장비 운용상의 정보, 전압, 전류 등 전기정보를 포함한다.
장비 발신기(100)는, 기계 장비(10)에 설치되어 기계 장비(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기계 장비(10)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된 기계 장비(10)에 추가로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장비 발신기(100)는 타임 측정부, 구동 전압 측정부(110), 이상 전압 측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임 측정부는 기계 장비(10)가 셋업된 이후 경과된 시간 또는 기계 장비(10)의 전면 보수, 즉, 메인테넌스를 실시한 이후 경과된 시간을 측정한다. 이 경과시간에는 기계 장비(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시간을 포함한 전체 시간을 포함하는 절대 시간으로 관리 서버(300)로 하여금 철판, 철근, 볼(134a)트, 구동계 등 기계 장비(10)의 구조적 노후화에 대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과 시간에는 기계 장비(10)가 작동한 구동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시간은 기계 장비(10)가 실제 작업을 한 시간을 의미한다.
구동 전압 측정부(110)는 기계 장비(10)가 구동된 시간 또는 기계 장비(10)가 고출력으로 구동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기계 장비(10)의 냉각팬(130)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측정한다.
구동 전압 측정부(110)는 기계 장비(10)의 전원부 또는 메인 보드 근처에 장착되는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냉각팬(130)의 구동 전원선(111)상에 설치된다.
구동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기계 장비(10)가 저강도로 구동될 때와 고강도로 구동될 때이다. 기계 장비(10)가 저강도로 구동될 때에는 냉각팬(130)의 구동은 저속으로 이루어지고, 기계 장비(10)가 고강도로 구동될 때에는 냉각팬(130)의 구동 역시 고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동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되는 전압들은 고객 컴퓨터(200)를 통해 관리 서버(300)에 전송되며, 관리 서버(300)에 의해 냉각팬(130)이 저속으로 구동된 시간과 고속으로 구동된 시간이 누적 판별되게 된다.
이때, 구동 전압은 기계 장비(10)의 메인 모터, 유압 또는 공압 컴프레셔 등의 구동 속도를 측정하여도 무방하나, 이러한 기계 장비(10)의 기계적 장치들은 타임 측정부에서 측정된 시간 및 구동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구동력 대비 시간에 따른 결과를 조합하여 정비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복잡한 측정을 시행하지 않아도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만을 측정하면 기계적 장치들의 정비 타이밍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전압 측정부(120)는, 냉각팬(130)의 팬 하우징(131)과 임펠라(137)의 마찰에 의한 스파크 또는 정전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냉각팬(130)의 스파크 감지선(121)상에 설치되어 구비된다.
통상 냉각팬(130)은 기계 장비의 고장전까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랜 시험끝에 기계 장비가 고장전이라도 냉각팬은 그 사용 시간이 오래되면 교환기간이 되기 전이라도 베어링(134)이 마모되거나 또는 스프링(135)이 탄성을 잃어 임펠라(137)와 팬 하우징(131)이 접촉되며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냉각팬(130)의 고장은 전원부 또는 메인 보드의 과열을 유발시키고, 쇼트, 누전, 파손 등의 심각한 결함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게 된다.
이상 전압 측정부(120)로부터 과도한 전압값이 측정되면 관리 서버(300)에서 이를 확인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즉각적인 장비의 구동 중단을 명령함으로써 기계 장비(10)의 더 큰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냉각팬(130)은, 기계 장비(10)의 전원부, 메인 보드 또는 별도의 중요 부속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기계 장비(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팬 하우징(131)과, 팬 하우징(131)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축(132)과, 고정축(132)의 중심부에 베어링(134)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축(133)과, 회전축(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 브라켓(136)과, 임펠라 브라켓(136)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복수의 임펠라(137)와, 임펠라 브라켓(136)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마그네틱(138)과, 고정축(132)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코일(139) 및 코일(139)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선(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냉각팬(130)은 코일(139)에 의해 둘러쌓인 고정축(132)과, 고정축(13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임펠라 브라켓(136) 및 임펠라(137)의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임펠라 브라켓(136)에 장착된 마그네틱(138)이 코일(139)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적 힘을 받아 회전되어 임펠라(137)가 바람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각팬(130)은 고정축(132)을 고정하기 위하여 중공형의 팬 하우징(131)이 구비되며, 팬 하우징(131)의 중앙부에 고정축(132)이 고정된다. 이때, 팬 하우징(131)은 임펠라(137)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통과될 수 있도록, 고정축(132)의 지지는 복수의 얇은 지지대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냉각팬(130)의 회전축(133)은 고정축(132)과의 사이에 베어링(134)이 구비되며, 베어링(134)은 통상의 베어링(134) 구조로서, 상호 이격되어 동심을 이루는 가이드(134b)와, 내측 가이드(134b)의 외주 및 외측 가이드(134b)의 내주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볼(13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134b)의 외주는 고정축(132)의 내주연에 고정되고, 내측 가이드(134b)의 내주는 회전축(133)의 외주연에 구정되어서, 회전축(133)이 고정축(132)에 대하여 동심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133)의 회전시 회전축(133)이 고정축(132)에 대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베어링(134)을 상하 쌍으로 구성하고, 베어링(134)의 사이에 스프링(13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130)의 코일(139)에는 구동 전원선(111)이 연결되는데, 구동 전원선(111)상에 구동 전압 측정부(110)가 설치되어 냉각팬(13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구동 전원선(111)과 별도로 회전수 측정용 배선을 별도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선 역시 구동 전원선(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노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구동 전원선(111)상에 구동 전압 측정부(110)가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냉각팬(130)을 오랜 기간 사용하다보면 베어링(134)의 볼(134a) 또는 가이드(134b)가 마모되어 회전축(133)이 고정축(132)과 동심을 이루지 못하고 흔들리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 과 같이, 임펠라(137)가 팬 하우징(131)의 일측과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냉각팬(130)의 구동 중 임펠라(137)가 팬 하우징(131)과 접촉되는 순간 접촉 부위에서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심한 경우 스파크가 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전기 또는 스파크 등 이상 전압의 측정을 위하여 팬 하우징(131)의 일측에 팬 하우징(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파크 감지선(121)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스파크 감지선(121)상에는 이상 전압 측정부(120)가 설치되어 냉각팬(130)의 이상 동작을 고객 컴퓨터(200) 및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계 장비에 접지 시설이 좋지 않으면, 낙뢰가 발생할 때 기계 장비의 컴퓨터나 전기 콘트롤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데, 전압 측정부에 인해 낙뢰에 의한 피해가 누적되어 기계 장비가 고장이 나기 전에 알려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외부에 의한 순간적인 정전 상태 또는 일부 감압과 같은 전압 변동의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현재로는 이런 피해가 누적이 되어 기계 장비의 동작이 멈추는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인지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전압 측정부는 이러한 전압 변동이 누적되어 기계 장비에 가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여 누적에 의한 피해를 방지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객 컴퓨터(200)는, 장비 발신기(100)의 타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셋업 시간 이후 경과 시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경과 시간의 정보, 구동 전압 측정부(110)로부터 전송되는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 정보, 이상 전압 측정부(120)로터 전송되는 냉각팬(130)의 이상 전압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고객 컴퓨터(200)는 장비 발신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데스크탑PC뿐만 아니라, 랩탑, PDA, 스마트폰 등 기계 장비(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가 포함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고객 컴퓨터(200)는 장비 발신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로그화하여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로그에 대응되는 유지 관리 지침을 전송받아 이를 표시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로부터 기계 장비(10)의 긴급 정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별도의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관리자의 이동 전화 또는 무전기에 이를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 서버(300)는, 고객 컴퓨터(200)로부터 장비 발신기(100)의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로그를 전송받아, 로그에 대응되는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유지 관리 지침은 부속, 장치들의 점검사항, 고장시 대처 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기계 장비(10)의 점검 결과 또는 고장에 따른 설비 업자의 호출 또는 관련 부속의 발주가 원클릭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준으로 상세히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 서버(300)는 우선, 로그에 포함된 정보 중 타임 측정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계 장비(10)의 최초 셋업 이후 경과된 시간에 따른 설정된 시점들에서의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그러나, 타임 측정부는 장비 발신기(100)에 필수로 포함되지 않고, 기계 장비(10)가 설치되는 시점 또는 기계 장비(10)의 메인테넌스가 실시된 시점에 관리 서버(300)에 해당 시점을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기계 장비(10)의 실제 구동과 관계없는 부분을 변수로 하는 것이기에 가능한 조치이며, 기계 장비(10)의 최초 셋업 당시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는 시점에 메인테넌스를 실시한 후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유지 관리 지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계 장비(10)의 최초 셋업 시간은 실제 기계 장비(10)의 최초 셋업 시점을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로그에 포함된 정보 중 구동 전압 측정부(11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계 장비(10)의 실제 구동 시간에 따른 설정된 시점들에서의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이는 모터, 컴프레셔, 내연기관 등 실제 구동 시간에 따라 내구성에 차이가 발생되는 부품들을 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관리 서버(300)는 구동 전압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된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 정보를 토대로 기계 장비(10)의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관리 서버(300)는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이 제 1 설정 전압 이상 유지된 시간을 체크한다. 제 1 설정 전압이라 함은 기계 장비(10)의 대기 전압에 준하는 전압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 1 설정 전압 이상의 전압값이 측정되는 경우 기계 장비(10)가 저강도의 구동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이 제 2 설정 전압 이상 유지된 시간을 체크한다. 제 2 설정 전압은 기계 장비(10)가 최대로 가동되는 시점의 전압보다는 낮지만 기계 장비(10)가 저강도로 구동될 때의 전압값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 잔업이 제 2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기계 장비(10)가 고강도로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기계 장비(10)가 저강도로 구동된 시간 및 고강도로 구동된 시간을 누적하여 해당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이때, 유지관리 메뉴얼의 생성은 저강도로 구동된 누적 시간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고 고강도로 구동된 누적 시간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저강도로 구동된 시간과 고강도로 구동된 시간에 가중치를 추가하여 혼합된 형태의 누적 시간에 따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이상 전압 측정부(12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계 장비(10)의 긴급 정지 명령을 생성하여 고객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이는 냉각팬(130)의 고장을 감지하여 더 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상 전압 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된 전압값이 제 3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기계 장비(10)의 긴급 정지 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제 3 설정 전압이라 함은 정전기 또는 스파크에 대응하기 위한 기준값이므로 비교적 매우 높은 전압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관리 서버(300)는 예정된 유지 보수 항목중에 미리 결정된 항목이 발생될 경우에는 고객 컴퓨터(200) 이외에도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내부 직원들의 기기에도 해당 고객사 이름, 유지 보수 항목의 종류를 전송하여 내부 직원이 직접 고객사에 연락하여 심각한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계 장비(10)의 셋업 이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만을 측정하여도 기계 장비(10)의 전체적인 구동 강도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복잡한 측정 기구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압 측정부(110)에 의해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기계 장비(10)의 실제 구동에 시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전압 측정부(110)에 의해 냉각팬(130)의 구동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기계 장비(10)의 구동 강도에 따른 유지 관리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130)의 이상 작동을 감지하여 처리함으로써 기계 장비(10) 본체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기계 장비
100 : 장비 발신기
110 : 구동 전압 측정부
111 : 구동 전원선
120 : 이상 전압 측정부
121 : 스파크 감지선
130 : 냉각팬
131 : 팬 하우징
137 : 임펠라
200 : 고객 컴퓨터
300 : 관리 서버

Claims (4)

  1. 기계 장비에 설치되어 기계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발신기;
    상기 장비 발신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받아 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고객 컴퓨터;
    상기 고객 컴퓨터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상기 로그를 전송받아, 상기 로그에 대응되는 유지 관리 지침을 생성하여 상기 고객 컴퓨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기계 장비의 셋업 이후 경과 시간 또는 메인테넌스 이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며, 상기 경과시간은 모든 시간이 포함되는 절대 경과 시간과, 기계 장비의 동작 시간인 구동 경과 시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기계 장비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중공형의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중심부에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펠라 브라켓과, 상기 임펠라 브라켓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복수의 임펠라와,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선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정전기 또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스파크 감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장비 발신기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 전원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전원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구동 전압 측정부와, 상기 스파크 감지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스파크 감지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이상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전압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정전기 또는 스파크에 해당되는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베어링의 볼 또는 가이드가 마모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축과 동심을 이루지 못하고 흔들림으로써 상기 임펠라가 상기 팬 하우징과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고객 컴퓨터에 상기 기계 장비의 구동 정지를 요청하는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45729A 2016-04-14 2016-04-14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88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29A KR101887649B1 (ko) 2016-04-14 2016-04-14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PCT/KR2017/003585 WO2017179841A1 (ko) 2016-04-14 2017-03-31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29A KR101887649B1 (ko) 2016-04-14 2016-04-14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14A KR20170117814A (ko) 2017-10-24
KR101887649B1 true KR101887649B1 (ko) 2018-08-10

Family

ID=6004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729A KR101887649B1 (ko) 2016-04-14 2016-04-14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649B1 (ko)
WO (1) WO20171798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48B1 (ko) * 2019-08-13 2020-02-20 정의한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92048A (ko) 2019-01-24 2020-08-03 강경달 기계 장비의 고장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10023132A (ko) 2019-08-22 2021-03-04 호봉식 유압구동장비 수리 제작 기술 노하우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759A (ko) 2018-11-26 2020-06-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230011119A (ko) * 2021-07-13 2023-01-20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90B1 (ko) * 2012-05-03 2013-09-25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스마트 아웃렛을 이용한 아이티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28B1 (ko) * 2006-05-12 2007-08-23 한국기계연구원 회전 기계 운전 상태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51776B1 (ko) * 2009-03-31 2011-07-2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계측장비의 실시간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72288B1 (ko) * 2012-04-30 2018-06-28 주식회사 스맥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499728B1 (ko) 2013-11-21 2015-03-18 이선휘 설비고장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90B1 (ko) * 2012-05-03 2013-09-25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스마트 아웃렛을 이용한 아이티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048A (ko) 2019-01-24 2020-08-03 강경달 기계 장비의 고장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79748B1 (ko) * 2019-08-13 2020-02-20 정의한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3132A (ko) 2019-08-22 2021-03-04 호봉식 유압구동장비 수리 제작 기술 노하우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841A1 (ko) 2017-10-19
KR20170117814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49B1 (ko)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US7336462B2 (en) Alternator and starter tester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7535888A (ja) 電力供給装置
CN206710565U (zh) 智能电机集成式多参数融合健康诊断及预警系统
US10125780B2 (en) Battery monitoring system
US20190253017A1 (en) Integrated Motor Operation Data Collection and Operation Protection Device
US20210102664A1 (en) Automatic lubricator for lubricating an object
KR101976585B1 (ko) 스마트 센서 기반 IoT 모터 모니터링 시스템
CN110429478A (zh) 一种可远程监控的配电柜
KR20170069034A (ko) 팬 모니터링 시스템
JP6006706B2 (ja) 風力発電用風車の監視システム、風力発電システム、風力発電用風車の監視方法及び風力発電用風車の監視プログラム
CN109720814B (zh) 一种带式输送机远程故障监测与诊断系统
KR102045264B1 (ko) 모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26642Y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실시간 이상 발생 자동 감지 및 원격제어용 부스터 펌프 제어장치
Irfan et al. Analysis of bearing outer race defects in induction motors
CN101840369A (zh) 一种远程控制并诊断服务器电源故障的方法
KR102034001B1 (ko) 냉각팬 제어부와 이를 이용한 변압기 냉각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11554246U (zh) 一种轴流风扇在线测试系统
KR20190117844A (ko) IoT 네트워크 기반 모터밸브 불량검출 및 불량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13233A (ko) 전동기 절연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205855751U (zh) 一种扶梯的冗余测速安全系统
KR100860865B1 (ko) 추가 전력 인입선을 이용한 전자식 전력량계용 변류기의2차측 코일 단선 자기진단장치
CN216785382U (zh) 一种电梯防雷监测装置
CN205991029U (zh) 可调节的风机系统
AU2015201505B2 (en) An alternator having integrated therewith a facility for performance parameter history log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