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119A -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119A
KR20230011119A KR1020210091756A KR20210091756A KR20230011119A KR 20230011119 A KR20230011119 A KR 20230011119A KR 1020210091756 A KR1020210091756 A KR 1020210091756A KR 20210091756 A KR20210091756 A KR 20210091756A KR 20230011119 A KR20230011119 A KR 2023001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alarm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09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119A/ko
Priority to US17/861,338 priority patent/US20230016426A1/en
Priority to EP22184394.9A priority patent/EP4120035A1/en
Priority to CN202210821141.4A priority patent/CN115617622A/zh
Publication of KR2023001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72Means for error signaling, e.g. using interrupts, exception flags, dedicated error regi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84Routing of error reports, e.g. with a specific transmission path or data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은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지정한 기계설비의 동작오류에 따른 에러정보에 알람을 제공받는 실행단말; 상기 기계설비의 동작상태 및 동작에러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집한 후, 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에 따른 에러정보를 추출한 후, 웹 또는 앱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A platform that supports error history lists and alarm services, and a system that supports them}
본 발명은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생산하는 산업현장에는 무수히 많은 기계와 장비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계나 장비들은 주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때로는 장비가 고장이 나거나 멈춰 섰을 때 빠르게 대응을 해야 큰 손실을 줄이 수 있다.
이러한 장비의 문제점은 이상이 발생했을 때 이를 알려주는 방법이 적색 표시등이나 사이렌과 같은 소리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방식이외에는 없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주위에서 이를 발견하고 조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으면 시간만 흘러가고 손해는 쌓여만 갈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222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지정한 기계설비의 동작오류에 따른 에러정보에 알람을 제공받는 실행단말; 및 상기 기계설비의 동작상태 및 동작에러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에 따른 에러정보를 추출한 후, 웹 또는 앱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설비에 연동된 PLC로부터 부품들의 동작에 따른 상태정보 및 환경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계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계측모듈이 구비된 설비No,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가 기록된 에러 리스트 및 에러 리스트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에러 리스트에 기록된 에러 정보가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과 매칭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및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에러 리스트 내의 에러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에러 비중을 상, 중, 하로 표시하고, 상기 에러 비중 및 에러 횟수에 따른 에러 유형 및 에러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기간을 조정한 분석결과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제n 에러발생 시점과 제n+1 에러발생 시점간의 간격이 제n-1 에러발생 시점과 제n 에러발생 시점 간의 간격보다 배 이상 단축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또는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비상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 중 설정된 동작값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또는 느리게 동작되는 동작구간(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2 기계설비의 동작에러의 발생 인과율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은 에러발생 유무, 이력,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 각각의 에러발생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지정한 기계설비가 상기 에러발생 범위를 충족할 경우, 지정된 번호로 알람문자를 발송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의 에러발생이력을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에러발생이력을 기 설정된 파일형태로 편집 및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러 리스트 내역을 저장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유지보수기간을 산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에러의 종류, 종류별 빈도, 기간별 에러발생 유형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심에러 및 비관심 에러를 분류하여 사용자자 지정한 에러발생 유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실행단말에서 실행된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차트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8은 실행단말의 동작순서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실행단말에서 실행된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차트 정보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실행단말(200) 및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기계설비에 연동된 PLC로부터 부품들의 동작에 따른 상태정보 및 환경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는 계측모듈(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측모듈(30)은 기계설비(예컨대, AC 설비)의 접지저항 및 접지저항과 기준저항(설정저항) 간의 차를 검출할 수 있고, 측정 대상 설비가 AC 설비의 경우, AC 설비의 인가전압(AC) 및 인가전압(A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누설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설비가 DC 설비일 경우, 상기 DC 설비의 인가전압 및 상기 인가전압(D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누설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접지저항), AC 전압, DC 전압의 검출값을 로그(log)파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실행단말(200) 및 모니터링 서버(300)는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실행단말(200)은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통해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모니터링하는 기계설비의 에러현황, 에러 리스트 및 에러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편집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에러발생 유무, 이력,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를 지정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계측모듈이 구비된 기계설비의 설비No,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를 표시하고, 지정하기 위한 체크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 각각의 에러발생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지정한 기계설비가 상기 에러발생 범위를 충족할 경우, 지정된 번호로 알람문자를 발송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의 에러발생이력을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표시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상기 에러발생이력을 기 설정된 파일형태로 편집 및 출력하기 위한 제5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행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후술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부여된 사용권한자의 종류(사용자 및 관리자)에 따른 서로 다른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실행단말(200)은 상기 플랫폼(10)을 실행하는 단말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행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영상 캠, 콘솔 조작부 등)과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각 단말(200, 40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단말(200)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단말(20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200), 상기 가맹점 단말(3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실행단말(200)에서 지정한 기계설비의 동작상태 및 동작에러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에 따른 에러정보를 추출한 후, 웹 또는 앱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계측모듈(30)이 구비된 설비No,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가 기록된 에러 리스트 및 에러 리스트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에러 리스트에 기록된 에러 정보가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과 매칭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및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리스트 내의 에러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에러 비중을 상, 중, 하로 표시하고, 상기 에러 비중 및 에러 횟수에 따른 에러 유형 및 에러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기간을 조정한 분석결과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n 에러발생 시점과 제n+1 에러발생 시점간의 간격이 제n-1 에러발생 시점과 제n 에러발생 시점 간의 간격보다 배 이상 단축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또는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비상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 중 설정된 동작값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또는 느리게 동작되는 동작구간(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2 기계설비의 동작에러의 발생 인과율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0는 정보 수집부(310), 상태 분석부(320), 에러 리스트 작성부(330), 알람부(340) 및 플랫폼 관리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310)는 기기설비의 PLC와 연결된 계측모듈로부터 기기설비의 환경정보, 부품재원, 부품별 또는 모드별 동작상태정보, 동작에 따른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310)는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설정값은 실행단말에서 모니터링할 기기설비의 종류(No), 부품, 에러종류, 에러범위를 설정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310)는 오라클(Oracle), MYSQL, MSSQL,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은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필드 또는 엘리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태 분석부(320)는 정보수집부(310)에서 수집한 기기설비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상태 분석부(320)는 후술하는 에러 리스트 작성부에서 작성된 에러 리스트 내의 에러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에러 비중을 상, 중, 하로 분석하여 제공하고, 상기 에러 비중 및 에러 횟수에 따른 에러 유형 및 에러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기간을 조정한 분석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태 분석부(320)는 제n 에러발생 시점과 제n+1 에러발생 시점간의 간격이 제n-1 에러발생 시점과 제n 에러발생 시점 간의 간격 비율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상태 분석부(320)는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 중 설정된 동작값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또는 느리게 동작되는 동작구간(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2 기계설비의 동작에러의 발생 인과율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분석부(320)는 계측모듈(30)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AC, DC)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한 후, 측정값이 기준 설정값(제한값)을 초과할 경우, 초과하는 시간구간의 윈도우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계측모듈(3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의 제한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AC 설비 및 DC 설비의 PLC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동작정지 이벤트를 후술하는 알람부(340)로 제공한다.
또한, 기계설비의 접지저항 제한값, 인가전압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설정한 제한값 및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러 리스트 작성부(330)는 상태 분석부(320)에서 분석된 기기설비의 부품별 및 동작모드별 에러상황을 리스트로 작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리스트 작성부(330)는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차트 정보가 반영된 에러 리스트를 작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리스트 작성부(330)는 실행단말로 에러 리스트를 편집(수정, 삭제,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알람부(340)는 실행단말에서 지정한 기계설비에서 발생된 에러가 사용자가 지정한 에러 요건에 충족되면, 실행단말 및 실행단말에서 지정한 번호로 경고알람을 발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 관리부(350)는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실행단말(200)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실행 단말(2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은 에러발생 유무, 이력,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 각각의 에러발생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지정한 기계설비가 상기 에러발생 범위를 충족할 경우, 지정된 번호로 알람문자를 발송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의 에러발생이력을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에러발생이력을 기 설정된 파일형태로 편집 및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8은 실행단말의 동작순서의 일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방법(S700)은 먼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실행단말(200)에 설치된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에러발생 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정보를 알람으로 받고자 하는 기계설비 No, 에러발생 범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에러발생 범위는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 에러 유형 및 에러 주기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기계설비의 동작상태 및 동작에러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에러범위에 내에 부합되는 에러정보가 발생되면 실행단말로 에러정보가 포함된 알람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실행단말(200)은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상기 계측모듈이 구비된 설비No,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가 기록된 에러 리스트 및 에러 리스트의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실행단말(200)은 에러발생이력을 기 설정된 파일형태로 편집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리스트 내의 에러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에러 비중을 상, 중, 하로 제공받고, 상기 에러 비중 및 에러 횟수에 따른 에러 유형 및 에러주기를 분석하여 조정된 유지보수 기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러 리스트 내역을 저장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유지보수기간을 산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에러의 종류, 종류별 빈도, 기간별 에러발생 유형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심에러 및 비관심 에러를 분류하여 사용자자 지정한 에러발생 유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200: 실행단말
300: 모니터링 서버
310: 정보 수집부
320: 상태 분석부
330: 에러 리스트 작성부
340: 알람부
350: 플랫폼 관리부

Claims (9)

  1.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지정한 기계설비의 동작오류에 따른 에러정보에 알람을 제공받는 실행단말; 및
    상기 기계설비의 동작상태 및 동작에러를 모니터링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에 따른 에러정보를 추출한 후, 웹 또는 앱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설비에 연동된 PLC로부터 부품들의 동작에 따른 상태정보 및 환경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계측모듈을 더 포함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계측모듈이 구비된 설비No,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부품정보,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가 기록된 에러 리스트 및 에러 리스트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에러 리스트에 기록된 에러 정보가 상기 실행단말에서 설정한 정보 설정값과 매칭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및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에러 리스트 내의 에러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에러 비중을 상, 중, 하로 표시하고, 상기 에러 비중 및 에러 횟수에 따른 에러 유형 및 에러주기를 분석하여 유지보수 기간을 조정한 분석결과를 상기 실행단말로 제공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제n 에러발생 시점과 제n+1 에러발생 시점간의 간격이 제n-1 에러발생 시점과 제n 에러발생 시점 간의 간격보다 배 이상 단축될 경우, 상기 실행단말 또는 관리자가 지정한 단말번호로 비상알람 문자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1 기계설비의 동작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기계설비들의 동작상태 중 설정된 동작값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또는 느리게 동작되는 동작구간(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제2 기계설비의 동작에러의 발생 인과율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에러가 발생된 해당 설비의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가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은
    에러발생 유무, 이력,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 각각의 에러발생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지정한 기계설비가 상기 에러발생 범위를 충족할 경우, 지정된 번호로 알람문자를 발송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계설비의 에러발생이력을 에러발생 시간, 에러발생 횟수를 log 함수 및 프랙탈 차원 함수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에러발생이력을 기 설정된 파일형태로 편집 및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91756A 2021-07-13 2021-07-13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20230011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56A KR20230011119A (ko) 2021-07-13 2021-07-13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17/861,338 US20230016426A1 (en) 2021-07-13 2022-07-11 Error log list and alarm service platform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same
EP22184394.9A EP4120035A1 (en) 2021-07-13 2022-07-12 Error log list and alarm service platform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same
CN202210821141.4A CN115617622A (zh) 2021-07-13 2022-07-13 错误发生历史列表及报警服务平台及支持其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56A KR20230011119A (ko) 2021-07-13 2021-07-13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19A true KR20230011119A (ko) 2023-01-20

Family

ID=8245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56A KR20230011119A (ko) 2021-07-13 2021-07-13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16426A1 (ko)
EP (1) EP4120035A1 (ko)
KR (1) KR20230011119A (ko)
CN (1) CN1156176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7231B (zh) * 2023-04-17 2023-07-11 深圳市华曦达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日志处理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25A (ko) 2016-06-29 2018-01-08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설비의 동작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4963B2 (en) * 2014-03-26 2017-04-0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loud-based global alarm annunciation system for industrial systems
KR101887649B1 (ko) * 2016-04-14 2018-08-10 강경달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EP3680740A1 (de) * 2019-01-11 2020-07-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zeige von objekten als folge der selektion einer alarmmeldung
KR102079748B1 (ko) * 2019-08-13 2020-02-20 정의한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25A (ko) 2016-06-29 2018-01-08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설비의 동작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0035A1 (en) 2023-01-18
US20230016426A1 (en) 2023-01-19
CN115617622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8155B2 (en) Automated anomaly detection service on heterogeneous log streams
CN109684047B (zh) 事件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314792B2 (en) Digital assistant query intent recommendation generation
EP3258426A1 (en) Automatic condition monitoring and anomaly detection for predictive maintenance
US20220035831A1 (en) Providing and surfacing metrics for visualizations
US20150256423A1 (en) Data collection, aggregation, and analysis for parental monitoring
US20160307048A1 (en) Simulating camera node output for parking policy management system
US11561877B2 (en) Interactive electronic documentation for operational activities
EP4006731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esting code
WO2007046844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 catastrophic event and coordination of response
US10754830B2 (en) Activity information schema discovery and schema change detection and notification
KR102202108B1 (ko) 클라우드 인프라 자산의 취약점을 자동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49250A1 (en) Content-level anomaly detector for systems with limited memory
US11921736B2 (en) System for unsupervised direct query auto clustering for location and network quality
US11874846B2 (en) Code list builder
WO2017223487A1 (en) File system image processing system
CN113037545A (zh) 网络仿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11119A (ko) 에러발생 이력 리스트 및 알람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CN113395251A (zh) 一种机器学习安全场景检测方法及装置
EP287655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tilizing subtyping to support evolution of data types
CN114024884A (zh) 一种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715568A (zh) 用于家庭环境监控的大数据系统及方法
CN114625763A (zh) 用于数据库的信息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114116924A (zh) 基于图谱数据的数据查询方法、图谱数据构建方法和装置
WO201602118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トリスク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