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748B1 -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748B1
KR102079748B1 KR1020190099100A KR20190099100A KR102079748B1 KR 102079748 B1 KR102079748 B1 KR 102079748B1 KR 1020190099100 A KR1020190099100 A KR 1020190099100A KR 20190099100 A KR20190099100 A KR 20190099100A KR 102079748 B1 KR102079748 B1 KR 10207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acility
ground resistance
applied voltage
e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한
김호
Original Assignee
정의한
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한, 김호 filed Critical 정의한
Priority to KR102019009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G01R31/002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where the device under test is an electronic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설비의 AC 및 DC의 인가전압을 측정하여 기준설정 값을 벗어난 누설전압 및 상시전원의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측정모듈;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중계하는 중계부; 및 상기 설비의 AC 및 DC의 접지저항, 인가전압 및 누설전압을 로그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상기 설비의 AC 및 DC의 접지저항 또는 인가전압이 설정한 제한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설비의 PLC로 동작정지 이벤트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EOS}
본 발명은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OS란 제품의 정격을 넘는 의도되지 않은 모든 종류의 펄스를 의미하며 ESD, 서지(surge), 래치-업(latch-up), 과도 전압/전류(over voltage/current) 등을 통칭한다.
즉, 전자 부품 제조 회사는 EOS 평가를 통해 부품소자의 불량 여부를 평가하여 시중에 유통시킨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부품소자의 EOS 평가는 이에스디(Electro static dis charge, 이하, ESD라 약함) 및 래치-업에 대한 불량 평가가 대부분이며, 서지 및 과도 전압/전류에 대한 EOS는 평가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 일 예로, 반도체 소자의 필드(field) 불량을 조사한 결과 EOS 불량 점유율은 30%로 그 불량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며, 그 중 ESD 불량은 7%에 불과하다. 즉, EOS 불량중 ESD에 의한 불량보다는 그동안 고려되고 있지 않던 서지 및 과도 전압/전류에 의한 불량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EOS 불량중 ESD 불량은 ESD 불량으로, 서지 및 과도 전압/전류에 의한 불량은 EOS 서지 불량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523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AC 설비 및 DC 설비의 인가전압 및 접지저항을 측정하여 기준설정 값을 벗어난 누설전압 및 상시전원의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측정모듈;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중계하는 중계부; 및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접지저항, 인가전압 및 누설전압을 로그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접지저항 또는 인가전압이 설정한 제한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PLC로 동작정지 이벤트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정보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는 비교검출부; 상기 측정모듈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의 제한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측정 대상 설비의 PLC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동작정지 이벤트를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 에러메시지 및/또는 알람발생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생성부; 상기 측정 대상 설비의 접지저항 제한값, 인가전압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설정한 제한값 및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로부터 제공된 로그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각 측정모듈 마다 테이블을 구성하여 해당 측정모듈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의 상태, 서지(surge), 래치-업(latch-up), 과도 전압/전류(over voltage/current)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발생지점, 지속여부를 기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검출부는 각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한 후,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초과하는 시간구간의 윈도우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영역을 과도 전압/전류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의 발생영역으로 지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은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 각각의 접지저항 및 상기 접지저항과 기준저항(설정저항) 간의 차를 검출하는 접지저항 검출부; 상기 AC 설비의 인가전압(AC) 및 상기 인가전압(A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정성 및 누설을 검출하는 AC 전압 검출부; 상기 DC 설비의 인가전압(DC) 및 상기 인가전압(DC)의 설정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정성 및 누설을 검출하는 DC 전압 검출부; 상기 AC 전압 검출부 및 상기 DC 전압 검출부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접지저항 검출부, AC 전압 검출부, DC 전압 검출부의 검출값을 로그파일로 생성하는 로그파일 생성부; 및 상기 로그파일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 각각의 EOS 발생여부를 증명할 데이터로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면, 제조환경에서 시행하고 있는 설비 접지저항, AC, DC 인가전압의 상태 및 누설전압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각 설비의 상태를 로그파일로 보관 관리할 수 있고, 이상 발생 시점에 제조라인에서 즉각 적인 이상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설비의 EOS 발생여부를 데이터로 증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UI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EOS 에러 발생을 테스트한 실험 데이터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UI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EOS 에러 발생을 테스트한 실험 데이터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측정모듈(200), 중개부(300) 및 모니터링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200) 각각은 AC 설비 및 DC 설비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측정하여 전송한다.
각 측정모듈(200)은 접지저항 검출부(210), AC 전압 검출부(220), DC 전압 검출부(230), 전압 설정부(240), 로그파일 생성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저항 검출부(210)는 측정 대상 설비(예컨대, AC 설비)의 접지저항 및 접지저항과 기준저항(설정저항) 간의 차를 검출한다.
AC 전압 검출부(220)는 측정 대상 설비가 AC 설비의 경우, AC 설비의 인가전압(AC) 및 인가전압(A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누설전압을 검출한다.
DC 전압 검출부(230)는 측정 대상 설비가 DC 설비일 경우, 상기 DC 설비의 인가전압 및 상기 인가전압(D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누설전압을 검출한다.
전압 설정부(24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AC 전압 검출부(220) 및 DC 전압 검출부(23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되도록 설정한다.
로그파일 생성부(250)는 접지저항 검출부(210), AC 전압 검출부(220), DC 전압 검출부(230)의 검출값을 로그(log)파일로 생성한다.
통신부(260)는 로그파일을 중개부(300)를 거쳐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이더넷 또는 WiFi를 사용하거나 또는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는 저 전력/고 손실 네트워크 및 소용량, 소형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웹 전송 프로토콜으로서, 소용량/소형 센서 등과 같이 제약이 많은 환경에서 HTTP와 같은 무거운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HTTP의 통신 규약을 따르면서 REST형식(IETF,2012)으로 웹서비스를 할 수 있는 경량 프로토콜에 적합한 통신 방식이다.
다음으로, 중개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20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을 모니터링 서버(400)로 중개한다.
상기 중개부(300)는 이더넷 또는 WiFi를 사용하거나 또는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서버(400)는 AC 설비 및/또는 DC 설비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로그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상기 AC 설비 및 DC 설비의 접지저항 또는 인가전압이 기준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AC 설비 및 DC 설비의 PLC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동작정지 이벤트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400)는 입출력부(410), 비교검출부(420), 인터페이스부(430), 이벤트 생성부(440) 및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부(410)는 중개부(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미도시)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중개부(300)와 통신하고, 이더넷이나 WiFi 또는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비교검출부(420)는 각 측정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AC, DC)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한 후, 측정값이 기준 설정값(제한값)을 초과할 경우, 초과하는 시간구간의 윈도우 영역을 검출한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 제1 측정모듈이 측정 대상 설비의 function test를 진행하고, 이때, 인가전압이 5V라 가정하고, 비 테스트 구간 전원은 0V라 가정한다.
테스트 중 측정 대상 설비의 비 테스트 구간에서 순간 5.05 V가 감지되면, 해당 윈도우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영역을 과도 전압/전류(over voltage/current)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의 발생영역으로 지정한다.
상기 이벤트 생성부(440)는 상기 측정모듈(20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의 제한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AC 설비 및 DC 설비의 PLC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동작정지 이벤트를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 에러메시지 및/또는 알람발생 이벤트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30)는 상기 측정 대상 설비의 접지저항 제한값, 인가전압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S1) 및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S1)에서 설정한 제한값 및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S2)를 포함하는 관리자 UI(10)를 제공한다(도 3 참조)
상기 데이터베이스(450)는 복수 개의 측정모듈(200)에서 제공된 로그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각 측정모듈 마다 테이블을 구성하여 측정모듈(200)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관리할수 있다. 또한, 각 측정모듈(200)에서 발생된 서지(surge), 래치-업(latch-up), 과도 전압/전류(over voltage/current)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의 발생시점, 지속여부 등을 기록/관찰/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5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카테고리들은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면, 제조환경에서 시행하고 있는 설비 접지저항, AC, DC 인가전압의 상태 및 누설전압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각 설비의 상태를 로그파일로 보관 관리할 수 있고, 이상 발생 시점에 제조라인에서 즉각 적인 이상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설비의 EOS 발생여부를 데이터로 증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200: 측정모듈
210: 접지저항 검출부
220: AC 전압 검출부
230: DC 전압 검출부
240: 전압 설정부
250: 로그파일 생성부
260: 통신부
300: 중개부
400: 모니터링 서버
410: 입출력부
420: 비교검출부
430: 인터페이스부
440: 이벤트 생성부
450: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AC 설비 및 DC 설비의 인가전압 및 접지저항을 측정하여 기준설정 값을 벗어난 누설전압 및 상시전원의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측정모듈;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중계하는 중계부; 및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접지저항, 인가전압 및 누설전압을 로그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접지저항 또는 인가전압이 설정한 제한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의 PLC로 동작정지 이벤트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정보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는 비교검출부;
    상기 측정모듈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의 제한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측정 대상 설비의 PLC 또는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동작정지 이벤트를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로 에러메시지 및/또는 알람발생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생성부;
    상기 측정 대상 설비의 접지저항 제한값, 인가전압 제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설정한 제한값 및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로부터 제공된 로그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각 측정모듈 마다 테이블을 구성하여 해당 측정모듈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의 상태, 서지(surge), 래치-업(latch-up), 과도 전압/전류(over voltage/current)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발생지점, 지속여부를 기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검출부는
    각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된 로그파일 내의 접지저항, 인가전압을 측정 대상 설비의 기준 설정값과 비교한 후, 측정값이 상기 기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초과하는 시간구간의 윈도우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영역을 과도 전압/전류에 따른 EOS(Electrical Over Stress)의 발생영역으로 지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정모듈 각각은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 각각의 접지저항 및 상기 접지저항과 기준저항(설정저항) 간의 차를 검출하는 접지저항 검출부;
    상기 AC 설비의 인가전압(AC) 및 상기 인가전압(AC)의 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정성 및 누설을 검출하는 AC 전압 검출부;
    상기 DC 설비의 인가전압(DC) 및 상기 인가전압(DC)의 설정기준점을 대상으로 안정성 및 누설을 검출하는 DC 전압 검출부;
    상기 AC 전압 검출부 및 상기 DC 전압 검출부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접지저항 검출부, AC 전압 검출부, DC 전압 검출부의 검출값을 로그파일로 생성하는 로그파일 생성부; 및 상기 로그파일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상기 AC 설비 및 상기 DC 설비 각각의 EOS 발생여부를 증명할 데이터로 상기 로그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9100A 2019-08-13 2019-08-13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100A KR102079748B1 (ko) 2019-08-13 2019-08-13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100A KR102079748B1 (ko) 2019-08-13 2019-08-13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748B1 true KR102079748B1 (ko) 2020-02-20

Family

ID=6964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100A KR102079748B1 (ko) 2019-08-13 2019-08-13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0035A1 (en) * 2021-07-13 2023-01-18 Sun HST Co., Ltd. Error log list and alarm service platform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1016A1 (en) * 2001-11-27 2003-05-29 Kumar Vasudevan Seshadhri Electrical over stress (EOS) monitor
KR200425286Y1 (ko) * 2006-05-23 2006-09-05 주식회사 예스코 통합 측정기
KR101887649B1 (ko) * 2016-04-14 2018-08-10 강경달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925237B1 (ko) 2016-07-12 2019-02-08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집적회로에 적용되는 esd 검출 장치, 방법 및 집적회로
KR101928729B1 (ko) * 2018-04-12 2019-03-14 주식회사 대은계전 Plc 및 서버 기반의 동력 설비 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1016A1 (en) * 2001-11-27 2003-05-29 Kumar Vasudevan Seshadhri Electrical over stress (EOS) monitor
KR200425286Y1 (ko) * 2006-05-23 2006-09-05 주식회사 예스코 통합 측정기
KR101887649B1 (ko) * 2016-04-14 2018-08-10 강경달 기계 장비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925237B1 (ko) 2016-07-12 2019-02-08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집적회로에 적용되는 esd 검출 장치, 방법 및 집적회로
KR101928729B1 (ko) * 2018-04-12 2019-03-14 주식회사 대은계전 Plc 및 서버 기반의 동력 설비 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0035A1 (en) * 2021-07-13 2023-01-18 Sun HST Co., Ltd. Error log list and alarm service platform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4243A1 (en) Poe-based power supply method and pse
EP3174242A1 (en) Power over ethernet method and device
KR20170086601A (ko) 이더넷 PoDL 시스템에서 접지 분리 오류 검출 기법
WO2018192434A1 (zh) 直流电源系统的绝缘电阻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US20170104645A1 (en) Cloud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s regarding cable test device operation
US100609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thernet powered devices
TWI584611B (zh) 乙太網路供電系統的受電裝置檢測裝置及方法
US200901798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splayport source device connections to sink device
KR102079748B1 (ko) Eos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2798817A (zh) 一种继电器故障检测电路及其故障检测方法
US9250673B2 (en) Power over Ethernet parameter storage
CN102338839A (zh) 用于利用dc偏置电流的连接故障自监测的系统、方法和设备
US10361732B1 (en) Fault detection in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ystem
US7719992B1 (en) System for proactive time domain reflectometry
JP6665767B2 (ja) 検査支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検査システム、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499829B2 (ja) 電線の抵抗を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7220913A1 (fr) Mesure et diagnostic de bruit externe pour système de transmission sur ligne électrique bifilaire
CN109870834B (zh) 一种液晶玻璃加电检测系统
WO2018009932A1 (en) Electrical network inspection devices
US114225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CN113009246B (zh) Pse设备检测装置及pse设备检测方法
KR102358903B1 (ko) 보호 회로가 모니터링되는 회로 내에서의 잠재적 고장 발생을 막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29516B1 (en) Non-intrusive transient power detection system
EP3343239B1 (en) Differential current monitoring of multiple circuits
US20230292160A1 (en) Local 5g monitoring system and measurement data provid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