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02B1 -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02B1
KR101887402B1 KR1020180025081A KR20180025081A KR101887402B1 KR 101887402 B1 KR101887402 B1 KR 101887402B1 KR 1020180025081 A KR1020180025081 A KR 1020180025081A KR 20180025081 A KR20180025081 A KR 20180025081A KR 101887402 B1 KR101887402 B1 KR 10188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surfac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695A (ko
Inventor
타케시 나가쿠라
류스케 시마구치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2201/606
    • C09J2201/6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이 낮은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30 이하이고,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SURFACE-PROTECTIVE ADHESIVE FILM AND OPTICAL FILM ATTACH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은 특히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플라스틱 필름이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어 있는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의 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부터,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이 일시적으로 첩착된다. 광학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에 장착하는 시점에서,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된다. 광학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은 제조 공정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공정 필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학 필름에 첩합시킬 때까지, 그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 처리된 박리 필름이 점착제층 위에 첩합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한 상태로, 액정 표시판의 표시 능력, 색상, 콘트라스트,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제품 검사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에 필요한 성능은 점착제층에 기포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이 필요로 되고 있다. 점착제층을 피착체가 박리할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수반하여 생기는 박리시의 대전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 제어 회로를 고장나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금속성의 피착체, 예를 들면, 베젤 등에 첩합해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내부식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피착체인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는, 피착체를 오염시키지 않는 것, 이른바 점착제 잔여물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한 요구 성능으로서, (1)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 (2) 내부식성을 갖는 것, (3) 점착제 잔여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등이,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사용 용이성의 면에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한 요구 성능인, 이들 (1)∼(3)의 각각, 개개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킬 수는 있어도,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1)∼(3)의 요구 성능 전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예를 들면,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재 필름에 대전 방지제를 반죽하여 넣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a)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3급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기를 갖는 각종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 (b) 술폰산염기, 황산에스테르염기, 인산에스테르염기, 포스폰산염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갖는 음이온성 대전 방지제, (c) 아미노산계, 아미노황산에스테르계등의 양성 대전 방지제, (d) 아미노알코올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등의 비이온성 대전 방지제, (e) 상기와 같은 대전 방지제를 고분자량화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근래에는, 이러한 대전 방지제를 기재 필름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지 않고, 직접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대전 방지제로서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한 것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에 이온성 물질로서 과염소산의 알칼리 금속염, 과염소산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유기 붕소 착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유기 붕소 착체의 알칼리토류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금속 부식성을 갖기 때문에, 피착체가 금속인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과 동시에, 내부식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필요로 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 잔여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경화제와, 특정 실리케이트 올리고머를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01∼10중량부로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에서는, 알킬기의 탄소수 2∼12 정도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알킬기의 탄소수 4∼12 정도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주 모노머 성분으로 하고,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등의 다른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주 모노머를 50중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의 함유량은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5중량%가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은, 고온하 또는 고온 고습하에서도 응집력 및 접착력의 경시적 변화가 작고, 또한, 곡면에 대한 접착력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점착제의 발포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을 부드러운 성상의 것으로 하면, 점착제 잔여물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즉, 실수로 첩합했을 때에 박리가 어려워, 다시 붙이기가 곤란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를 주제에 가교시켜, 점착제층을 일정한 경도로 하는 것이 잔여 점착제의 발생 방지에는 필요하다.
또한, 점착제 잔여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이 알려져 있다. 탄소수가 7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시킨 아크릴계의 점착제층에서는, 첩합한 후에 장기간이 경과하면, 점착제가 피착체측에 이착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경시적으로 상승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수 8∼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시킨 점착제(감압 접착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또한, 상기와 동일한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소량 배합하고,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시킨 점착제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점착제는 표면 장력이 낮아서,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판 등의 표면 보호에 사용하면, 가공시나 보존시의 가열에 의해 들뜸이 발생하는 등의 박리 현상이 발생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706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998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91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25677호
종래의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함유시키는 대전 방지제로서 알칼리 금속염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면, 피착체가 금속인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요구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이 낮은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은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내부식성을 갖고,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 잔여물이 적고, 오염성이 낮은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이 낮은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30 이하이고,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피착체에 첩합한 표면 보호 필름 위를 볼펜으로 덧쓴 후에, 피착체로부터 박리하여, 피착체에 대한 오염의 이행이 없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측과는 반대 면에, 대전 방지 및 오염 방지 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이 낮은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30 이하이고,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알킬기는, 직쇄, 분기상, 고리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에 대한 중량비가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는, 8-히드록시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이외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외에, 스티렌,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초산비닐, 염화비닐 등의 각종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다만,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등의, 산성을 나타내는 모노머(이하, 산성 모노머라고 부른다)는, 과도하게 첨가되면 그 산에 의해 부식성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가」란, 산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고, 산성 성분을 갖고 있는 폴리머 1g을 중화하는데 필요로 하는, 수산화칼륨의 ㎎수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는 상온(예를 들면 30℃)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알칼리 금속염에 비하면 융점이 낮기 때문에, 또한, 장쇄의 알킬기를 갖기 때문에, 아크릴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로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로서, 양이온이 피리디늄 카티온, 이미다졸륨 카티온, 피리미디늄 카티온, 피라졸륨 카티온, 피롤리디늄 카티온, 암모늄 카티온 등의 함질소 오늄 카티온이나, 포스포늄 카티온, 술포늄 카티온 등이고, 음이온이 6불화인산염(PF6 -), 티오시안산염(SCN-), 알킬벤젠술폰산염(RC6H4SO3 -), 과염소산염(ClO4 -), 4불화붕산염(BF4 -) 등의 무기 혹은 유기 음이온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사슬 길이나 치환기의 위치, 개수 등의 선택에 따라, 융점이 30℃ 이상인 것을 얻을 수 있다. 양이온은 바람직하게는 4급 함질소 오늄 카티온이고, 1-알킬피리디늄(2∼6위치의 탄소 원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고 무치환이어도 된다) 등의 4급 피리디늄 카티온이나, 1,3-디알킬이미다졸륨(2, 4, 5위치의 탄소 원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고 무치환이어도 된다) 등의 4급 이미다졸륨 카티온, 테트라알킬암모늄 등의 4급 암모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의 융점은 30∼80℃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이 가져도 되는 치환기로는, 알킬기,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염은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알칼리 금속염이 금속 부식성을 갖는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주제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모노머를 첨가하여, 중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등, 적절한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 점착제 폴리머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반응을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점착제 조성물이 기지의 가교제를 포함해도 되고, 자외선(UV) 등 광가교에 의해 가교시켜도 된다. 가교제로는,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가교 촉진제, 가소제, 충전제, 경화 촉진제, 경화 지연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값은 5.0×10 10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 대전압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0∼1㎸」란, 0∼-1㎸ 및 0∼+1㎸, 즉, -1∼+1㎸를 의미한다. 표면 저항값이 크면 박리시에 대전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빠져 나가게 하는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표면 저항값을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피착체가 박리할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박리 대전압이 저감되어, 피착체의 전기 제어 회로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가교 후의 점착제)의 겔분율은 9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겔분율을 높게 함으로써, 저속도로 박리할 때에 점착력이 과대해지지 않고, 공중합체로부터의 미중합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의 용출이 저감되어, 오염 방지성이나 고온 고습도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피착체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이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이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하고,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위를 볼펜으로 덧쓴 후에, 피착체로부터 박리해도, 피착체에 오염 이행이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기재 필름이나, 점착면을 보호하는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에는 수지 필름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나 코트제, 실리카 미립자 등에 의한 오염 방지 처리, 대전 방지제의 도포나 혼입 등에 의한 대전 방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박리 필름에는 점착제층의 점착면과 합해지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 등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된다.
편광판용의 표면 보호 필름 등의 광학용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는,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은 충분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0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100중량부 첨가하였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65℃에서 8시간 반응시켜,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일부를 채취하여, 후술하는 산가의 측정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이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에 대해서, 1-옥틸피리디늄 6불화인산염 1.5중량부, 코로네이트 HX(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1.5중량부, 디옥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0.02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3]
모노머 및 첨가제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기재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 및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A) 아크릴 모노머, (B) 수산기 모노머, (C) 산성 모노머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의 중합 전에 반응 장치에 첨가하고, (D) 이소시아네이트(NCO) 가교제, (E) 가교 촉진제, (F) 대전 방지제는, 첨가제로서 중합 후의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에 첨가하였다.
표 1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비는, (A)군의 합계를 100중량부로서 구한 중량부의 수치를 괄호로 둘러싸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사용한 각 성분의 약기호의 화합물명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X, HL 및 L-45는 니혼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의 상품명이고,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140N은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표 2의 이소시아네이트(NCO) 가교제의 화합물명에 관하여, HDI, IPDI, TMP는, 각각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21291884-pat00001
Figure 112018021291884-pat00002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수지 코트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필름 상에 도포 후, 9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용제를 제거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25㎛인 점착 시트를 얻었다. 그 후, 일방의 면에 대전 방지 및 오염 방지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대전 방지 및 오염 방지 처리된 면과는 반대의 면에 점착 시트를 전사시켜, 「대전 방지 및 오염 방지 처리된 PET필름/점착제층/박리 필름(실리콘 수지 코트된 PET 필름)」의 적층 구성을 갖는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3]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각각 실시예 2∼4 및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 및 비교예 1∼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시험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을 23℃, 50%RH의 분위기하에서 7일간 에이징한 후, 박리 필름(실리콘 수지 코트된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표출시킨 것을 알루미늄박 위에 첩합한 후, 60℃, 90%RH의 고온 고습의 분위기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부식성의 측정 시료로 하였다.
또한 이 점착제층을 표출시킨 표면 보호 필름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액정 셀에 붙여진 편광판의 표면에 첩합하여, 1일 방치한 후, 50℃, 5기압, 20분간 오토 클레이브 처리하고, 실온에서 다시 12시간 방치한 것을 점착력, 박리 대전압의 측정 시료로 하였다.
<산가의 측정 방법>
아크릴 공중합체의 산가는, 시료를 용제(디에틸에테르와 에탄올을 체적비 2:1로 혼합한 것)에 용해시키고, 전위차 자동 적정 장치(교토 전자 공업 제조, AT-610)를 사용하여, 0.1 상기 전위차 적정 장치를 사용하여 농도가 약 0.1㏖/ℓ의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으로 전위차 적정을 실시하고, 시료를 중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가를 구하였다.
산가=(B×f×5.611)/S
B=적정에 사용한 0.1㏖/ℓ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양(㎖)
f=0.1㏖/ℓ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팩터
S=시료의 고형분의 질량(g)
<점착력의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측정 시료(25㎜폭의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판의 표면에 첩합한 것)를, 180°방향으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m/min로 박리하여 측정한 박리 강도(N/25㎜)를 점착력으로 하였다.
<박리 대전압의 측정 방법>
상기에서 얻어진 측정 시료를, 30m/min의 인장 속도로 180°박리했을 때에, 편광판이 대전하여 발생하는 전압(대전압)을, 고정밀도 정전기 센서 SK-035, SK-200(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값의 최대값을 박리 대전압(㎸)으로 하였다.
<부식성의 평가 방법>
시료를 알루미늄박 위에 첩합한 후, 60℃×90%RH의 고온 고습 조건하에 48hr 방치하였다. 그 후, 시료를 알루미늄박으로부터 박리하여, 알루미늄박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알루미늄박 표면에 변색이 확인되지 않았다.
△:알루미늄박 표면에 일부 변색이 확인되었다.
×:알루미늄박 표면에 변색이 확인되었다.
<오염성의 평가 방법>
상기에서 얻어진 측정 시료의 표면 보호 필름 위를, 볼펜으로(하중 500g, 3 왕복) 덧쓴 후, 70℃×24hr 방치하였다. 편광판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의 표면을 관찰하고, 편광판에 오염 이행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편광판에 오염 이행이 없었다.
△:볼펜으로 덧쓴 궤적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오염 이행이 확인되었다.
×:볼펜으로 덧쓴 궤적을 따라, 오염 이행이 확인되고, 점착제 표면으로부터도 점착제의 이탈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8021291884-pat00003
시험 및 평가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융점이 30℃ 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대전 방지제로 한 실시예 1∼4에서는,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내부식성을 가지며, 오염성도 낮은 것으로 되었다.
대전 방지제로 과염소산리튬염을 사용한 비교예 1에서는, 부식성이 크고, 오염성도 약간 높은 것으로 되었다.
대전 방지제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염을 사용하여, 점착제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높은 비교예 2에서는, 박리 대전압이 높아 대전 방지 성능이 떨어지고, 오염성이 높고, 부식성도 약간 큰 것으로 되었다.
대전 방지제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염을 사용한 비교예 3에서는, 부식성이 약간 크고, 오염성이 약간 높은 것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3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1)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 (2) 내부식성, (3) 점착제 잔여물의 발생 방지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다.

Claims (4)

  1.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와, 대전 방지제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1종 이상과,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1종 이상
    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가 30 이하이며,
    상기 대전 방지제가 온도 30℃에서 고체이고 융점이 30∼80℃이며, 알칼리 금속염이 아닌 이온성 화합물이고,
    상기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가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 대전압이 -1.0∼+1.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양이온이 4급 피리디늄 카티온, 4급 이미다졸륨 카티온 및 4급 암모늄 카티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음이온이 6불화인산염(PF6 -), 티오시안산염(SCN-), 알킬벤젠술폰산염(RC6H4SO3 -), 과염소산염(ClO4 -), 4불화붕산염(BF4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20180025081A 2012-02-13 2018-03-02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1887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8600A JP5882774B2 (ja) 2012-02-13 2012-02-13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12-028600 2012-02-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61A Division KR101836201B1 (ko) 2012-02-13 2015-03-23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61A Division KR101936614B1 (ko) 2012-02-13 2018-08-06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695A KR20180026695A (ko) 2018-03-13
KR101887402B1 true KR101887402B1 (ko) 2018-08-10

Family

ID=48922637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925A KR101613108B1 (ko) 2012-02-13 2013-01-08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0150039861A KR101836201B1 (ko) 2012-02-13 2015-03-23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0160043901A KR101740900B1 (ko) 2012-02-13 2016-04-11 점착제층,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0180025081A KR101887402B1 (ko) 2012-02-13 2018-03-02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20180091061A KR101936614B1 (ko) 2012-02-13 2018-08-06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20190000499A KR102067976B1 (ko) 2012-02-13 2019-01-03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925A KR101613108B1 (ko) 2012-02-13 2013-01-08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0150039861A KR101836201B1 (ko) 2012-02-13 2015-03-23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0160043901A KR101740900B1 (ko) 2012-02-13 2016-04-11 점착제층,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61A KR101936614B1 (ko) 2012-02-13 2018-08-06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20190000499A KR102067976B1 (ko) 2012-02-13 2019-01-03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2774B2 (ko)
KR (6) KR101613108B1 (ko)
CN (2) CN103242753A (ko)
TW (1) TWI4916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1091B2 (ja) * 2012-11-16 2017-11-01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983407B1 (ko) * 2014-03-26 2019-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83408B1 (ko) * 2014-03-28 2019-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228146B2 (ja) * 2015-01-09 2017-11-0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804843B2 (ja) * 2015-01-30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光学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156399A (ja) * 2016-02-29 2017-09-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KR102094917B1 (ko) * 2018-07-31 2020-03-30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52295B1 (ko) * 2018-09-04 2020-09-04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25020B1 (ko) * 2018-09-05 2020-06-19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111363484B (zh) * 2020-05-09 2022-02-11 永大(中山)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低极性高反弹材料的双面胶带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281A (ja) 2008-04-07 2009-10-29 Soken Chem & Eng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5677A (ja) 1987-03-13 1988-09-20 Nitto Electric Ind Co Ltd 感圧性接着剤
JP3487940B2 (ja) 1995-01-24 2004-01-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4106749B2 (ja) 1997-06-25 2008-06-25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4562180B2 (ja) * 2004-03-08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US7691925B2 (en) * 2004-03-08 2010-04-06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surface protecting film
JP4917267B2 (ja) *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799900B2 (ja) * 2004-10-28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682296B2 (ja) 2005-01-21 2011-05-11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220292B2 (ja) * 2005-09-0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384049B (zh) *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KR100830814B1 (ko) * 2005-10-14 2008-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971826B2 (ja) * 2007-02-23 2012-07-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5769353B2 (ja) * 2007-07-13 2015-08-26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
JP5452850B2 (ja) * 2007-07-13 2014-03-26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部材用の表面保護シート
JP2009058859A (ja) * 2007-09-03 2009-03-19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5332315B2 (ja) * 2007-09-03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5384005B2 (ja) 2007-12-27 2014-01-0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物品、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方法
JP2009155586A (ja) * 2007-12-27 2009-07-16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剤物品、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方法
JP4717085B2 (ja) * 2008-01-18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2010053347A (ja) 2008-07-31 2010-03-11 Jsr Corp 光拡散性粘着剤組成物、光拡散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5234B1 (ko) * 2008-08-11 2016-06-3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JP5322280B2 (ja) * 2009-03-27 2013-10-23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
JP5526645B2 (ja) * 2009-08-07 2014-06-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および該光学用粘着剤を用いた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1168751A (ja) * 2010-02-22 2011-09-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279394B1 (ko) * 2010-06-01 2013-07-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5683369B2 (ja) * 2011-04-22 2015-03-11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281A (ja) 2008-04-07 2009-10-29 Soken Chem & Eng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016A (ko) 2013-08-21
KR102067976B1 (ko) 2020-01-20
TW201339261A (zh) 2013-10-01
JP5882774B2 (ja) 2016-03-09
KR20180026695A (ko) 2018-03-13
KR20150040256A (ko) 2015-04-14
KR20160042861A (ko) 2016-04-20
JP2013163782A (ja) 2013-08-22
KR101740900B1 (ko) 2017-05-29
KR101613108B1 (ko) 2016-04-18
TWI491692B (zh) 2015-07-11
KR101836201B1 (ko) 2018-03-08
KR20180090773A (ko) 2018-08-13
KR20190004375A (ko) 2019-01-11
KR101936614B1 (ko) 2019-01-09
CN103242753A (zh) 2013-08-14
CN105585981A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64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936614B1 (ko)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필름
KR101917611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144708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688803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78248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JP636326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フィルム
JP663561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970169B2 (ja)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6364644B2 (ja)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