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50B1 -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50B1
KR101887250B1 KR1020137026666A KR20137026666A KR101887250B1 KR 101887250 B1 KR101887250 B1 KR 101887250B1 KR 1020137026666 A KR1020137026666 A KR 1020137026666A KR 20137026666 A KR20137026666 A KR 20137026666A KR 101887250 B1 KR101887250 B1 KR 10188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nding roller
web material
log
conc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344A (ko
Inventor
그라치아노 마차케리니
로마노 마달레니
프란코 몬타냐니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26Mechanisms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on winding-web package, e.g. for regulating the quantity of air between web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76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coreles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65H19/267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by tearing or bur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3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머신은 제1감기롤러(3)와 제1감기롤러(3)의 둘레에서 연장하는 오목판(17)을 가지고 있다. 제1감기롤러와 오목판은 웨브재(N)의 공급채널(19)을 한정한다. 오목판(17)의 상류측에, 제1감기롤러(3)에 대하여 웨브재(N)를 핀칭하기 위하여 제1감기롤러와 협동하는 핀칭면(23B)을 포함하는 이동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21)는, 제1감기롤러(3)의 표면에 대하여 웨브재(N)를 핀치하고 이동부재(21)와 제1감기롤러(3)의 표면 사이에서 웨브재를 감속시켜서, 선두가장자리(LT)가 그 자신의 둘레에 감아서 로그(L; L1)의 감기심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된다.

Description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본 발명은 페이퍼 가공 머신, 특히, 크레이프지(crepe paper) 또는 티슈 페이퍼의 롤을 제조하는 머신에 관한 것이다.
페이퍼는, 헤드박스들로부터 분배되는 셀룰로오스 섬유 및 물 등의 원료의 배달을 통해서 포오밍 패브릭(forming fabric)에 셀롤로오스재(cellulose material)의 플라이(ply)를 생성하고, 플라이가 건조되어 큰 직경의 릴에 감기는 연속적인 머신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이들 릴들은 이어서 풀리고 되감겨서 보다 작은 직경의 로그를 형성한다. 이들 로그는 이어서 최종 제품의 크기와 동등한 크기의 복수의 롤로 분할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여, 화장실 페이퍼, 키친 타올 또는 다른 티슈 페이퍼 제품의 롤이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로그의 감기는, 리와인딩 머신으로 삽입되고, 둘레에 로그가 형성되는 카드보드(cardboard) 감기코어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각각의 로그의 내부의 카드보드 코어는 감긴 웨브재와 함께 절단된다. 이러한 타입의 리와인딩 머신의 예로는, US-A-5,979,818호 및 US-A-4,487,3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종래 기술의 리와인딩 머신에 있어서, 감기는 인출 및 재활용가능한 맨드릴 둘레에서 이루어진다. 관형상 감기코어 둘레에 로그를 형성하는 리와인딩 머신의 예는 US-B-6,752,345호에 개시되어 있다. US-B-6,565,033호는, 감기가 완료된 후 로그로부터 인출되며,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감기맨드릴의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감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로그의 감기를 행하는 머신이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타입의 머신의 예는 US-A-5,538,199호; US-A-5,839,680호; US-A-5,505,402호; US-A-5,402,960호; US-A-6,752,344호 및 EP 0611723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US-A-5,839,680호 및 동일한 패밀리로부터의 다른 특허는, 웨브재가 로그의 감기 완료와 동시에 절단된 후, 자신의 둘레에 감기를 개시하는 중앙심을 형성함으로써 웨브재의 로그가 감기는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웨브재는 이동판과 둘레에 웨브재가 안내되는 감기롤러 사이에 핀치된다. 이동판은, 웨브재의 실질적인 감속과 핀치되는 곳의 하류에서의 절단을 유발하기 위하여 감기롤러의 원주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동판은, 웨브재가 감기롤러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이동판에 의해 핀치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진다. 감기롤러의 원주면과 이동판의 표면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이동판의 표면의 오목한 부분을 따라서 그 다음 로그의 중앙심의 감기를 개시하게 한다. 로그의 초기의 감기심은, 이동판과 감기롤러의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며, 구르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감기롤러 사이에서 한정되는 감기 크래들에 도착할 때까지 직경이 증가하면서 이동판을 따라서 전진한다.
종래기술의 머신은, 중심 감기코어 및 중심 구멍 없이 웨브재의 로그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대량의 웨브재를 좁은 공간에서 감기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포함해서 주목할만한 이점들을 가진다.
전술된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들 머신은, 웨브재를 절단하고 자신의 둘레에 중앙심의 감기를 개시하는 초기 스텝의 임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미세한 튠(tune)이 어렵게 되는 것을 포함해서, 몇몇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어려움은, 웨브재가 그 특성, 예를 들면, 두께, 그램에이지(grammage) 및 인장강도, 웨브재를 절단하고 자신의 둘레에서 절단함으로써 생성되는 처음의 가장자리를 감는 최초의 스텝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가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증가된다.
US-A-5,603,467호에는, 중심 감기코어를 사용한 로그의 제조 및 중심 감기코어 없는 로그의 제조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두 개의 감기 시스템으로 구성된 라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 머신은, 두 개의 가능한 동작 모드의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의 진행이 복잡하고, 그것을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조작을 요구하지만, 특히 융통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제는 감기코어와 감기맨드릴 없이 로그를 감을 수 있고, 종래 기술의 기계의 결점을 적어도 일부 해소할 수 있는 리와인딩 머신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감기코어와 감기맨드릴 없이 로그를 감을 수 있고, 종래의 기계로 얻을 수 있는 제품에 대하여 보다 고품질의 제품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로그의 감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제1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제1감기롤러와 상기 제1감기롤러의 둘레에서 연장하는 오목판을 포함하며, 오목판은 감기롤러와 대향한다. 제1감기롤러와 오목판은 웨브재의 공급채널을 한정한다. 또한, 오목판의 상류에서, 그리고 상기 채널을 따라서 뻗는 웨브재의 공급통로가 형성된다. 또, 제1감기롤러의 측면에 대해서 웨브재를 핀치하도록 제1감기롤러와 협동하는 핀칭면을 포함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된다. 이동부재는 제1감기롤러의 표면에 대해서 웨브재를 핀치하고, 이동부재와 제1감기롤러의 면 사이에서 웨브재를 감속하며, 선두가장자리가 그 자신의 둘레에 감아서 제2로그의 감기심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된다. 일단, 이동부재와 감기롤러 사이에서 새로운 로그의 초기의 심을 형성하는 스텝이 시작되면, 심은 채널을 향해, 채널속으로 이송되어서, 감기를 계속하고, 감기롤러의 주위에 배치된 오목판의 오목면과 접촉하여 채널을 따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감기롤러의 클러스터에 의해 형성된 감기크래들을 향해 초기의 감기심을 운반하는 실질적으로 정지된 구성요소(오목판)와는 다른 이동부재에 의해 각 로그의 처음의 가장자리를 그 자신의 둘레에 감는 것을 시작하는 초기의 스텝이 일어나는 머신이 얻어진다. 이동부재는, 초기의 감기심을 이동부재와 롤러 사이에 핀치 영역으로부터, 롤러와 오목판의, 감기롤러와 대향하는 오목면 사이에서 한정되는 채널을 향해 운반하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감기롤러와 오목판에 의해 한정되는 채널의 높이는, 예를 들면, 서서히 증가하는 곡률반경의 오목면을 설치함으로써 입구쪽에서 출구쪽으로 서서히 증가한다.
유리하게는, 웨브재는 대략 일정한 속도로 공급된다. 실질적으로, 웨브재의 모릴(parent reel)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변환 스텝에 관련되는 필요를 위해서 변화할 수 있지만, 동일한 감기싸이클, 즉 웨브재의 로그의 형성의 여러 스텝 동안 변경할 필요가 없는 속도로서 상수(constant)가 의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웨브재의 속도는 국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웨브재의 속도의 국부적인 변화는, 예를 들면, 전체의 감기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절단이 일어나는 부분에서 웨브재의 일부를 포함하는 변화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는 또한 절단 후에 선두가장자리가 그 자신의 둘레에 감기전에 웨브재의 절단을 야기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된다. 유리하게는, 절단은 이동부재에 의한 핀칭에 의해 발생하는 속도의 국부적인 차이에 기인해서 웨브재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다.
감기롤러의 주위속도의 변화, 이동부재에 의해 핀치되는 곳과 완료된 로그 사이의 웨브재에 작용하는 에어제트시스템 등과 같은, 웨브재의 절단을 야기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하는 다른 수단 또는 보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덜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웨브재는, 새로운 로그를 감기 시작하는 수단으로서만 이동부재를 이용하고, 흡입시스템 또는 다른 적합한 유지시스템에 의해 제1롤러에 부착하는 웨브재를 유지하면서, 핀치되는 곳의 상류에서 절단될 수 있다.
몇몇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머신은, 로그가 오목판과 제1감기롤러의 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을 떠난 후에 이송되는 주변의 감기 크래들을 포함한다. 감기 크래들은, 일반적으로 로그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웨브재를 감기 위해 로그를 회전시키는 일련의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이동부재는 상기한 제1감기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기 크래들은 일련의 감기롤러, 또는 감기롤러의 클러스터, 예를 들면 3개의 감기롤러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제1감기롤러와 제2감기롤러 사이의 닙을 한정하도록 제1감기롤러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제2감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판은 상기 닙의 상류에 뻗고, 웨브재의 상기 공급통로는 상기 닙을 통해 뻗는다.
유리하게는, 제1감기롤러와 제2감기롤러 사이의 닙의 하류에, 바람직하게는 이동축을 가지고, 제1감기롤러, 제2감기롤러 및 제3감기롤러에 의해 형성된 감기크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핀칭면이 상기 제1감기롤러에 대해서 가압될 때 제1감기롤러의 주변 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이동부재가 제어된다. 보다 낮은 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간격 동안) 감기롤러의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속도로서도 의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판은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오목판으로 로그의 초기의 감기심을 구르게 하기 위한 이송면을 형성하도록 이동부재와 협동하는 입구 가장자리를 한정한다. 예를 들면, 오목판에는 빗형상의 가장자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재와 감기롤러 사이의 핀치하는 면은, 빗형상 가장자리의 이빨 사이로 들어가는 일련의 돌출부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새로운 각 로그의 중앙심의 초기 감기의 스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몇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제1감기롤러는, 상기 제1감기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뻗고, 제1감기롤러의 원주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길이방향의 돌출부를 한정하는 측면을 포함한다. 돌출부의 존재는 웨브재의 절단과 새로운 로그의 감기 개시의 개선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과 제조 속도의 견지에서 몇몇 중요한 이점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보다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제1감기롤러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대략 원주형상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의 돌출부에 인접해서, 회전방향에 대해서, 그 뒤에서, 제1감기롤러는 제1감기롤러의 측면의 제2부분을 한정하는 원주면에 접해서 끝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직경을 가진 제1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원주면은 대략 일정한 반경을 가진 감기롤러의 측면의 상기 제2부분을 한정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감기롤러는 일정한 반경을 가진 제1원주부와, 일정한 반경을 가진 상기 제1원주부에 대하여 돌출하고, 제1감기롤러의 축에 평행하게 뻗는, 가변의 반경을 가진 제2원주부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을 가진다.
유리하게는, 길이방향의 돌출부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1감기롤러의 축 및 상기 돌출부에 평행하게 뻗는 슬릿의 형태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흡입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웨브재 절단 스텝과 새로운 로그의 감기 시작의 제어를 개선한다.
코어 및 중심 구멍이 없는 로그뿐만 아니라, 감기코어 또는 인출가능한 감기코어 또는 감기맨드릴을 인출해서 형성되는 중심구멍을 가진 종래의 로그도 제조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머신을 얻기 위해서, 유리하게는, 오목판은 그것이 웨브재의 상기 공급채널을 한정하는 동작위치와, 그것이 제1감기롤러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아이들 위치(idle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오목판과 결합해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머신에 일체화되어서, 선택적으로 오목판에, 제1감기롤러 주위에 위치할 수 있는 오목한 크래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한 크래들은 상기 오목판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진다. 곡률반경은 일정하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곡률반경이 가변적인 경우, 보다 큰 반경이 오목판의 반경보다 항상 큰 곡률반경으로서 의도된다.
필요할 경우, 오목한 크래들은 그것이 웨브재의 공급채널을 한정하는 제1감기롤러 주위에 배치되는 동작위치와 아이들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병진이동, 회전이동 또는 결합된 이동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기코어없이 웨브재의 로그를 감는 방법으로서, 제1감기롤러 둘레에 웨브재를 공급하는 스텝과; 제1로그를 감는 스텝과; 상기 제1로그의 감기종료시에, 제1로그의 자유꼬리가장자리와 제2로그의 자유선두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웨브재를 절단하는 스텝과; 제1감기롤러의 표면과 이동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자유선두가장자리에 인접한 상기 웨브재의 처음부분을 그 자신의 둘레에 감아서 상기 제2로그의 초기심을 형성하는 스텝과; 제2로그의 상기 초기심을 이동부재로부터 제1감기롤러와 상기 제1감기롤러의 주위에서 뻗는 오목판 사이에서 한정된 채널로 이송하는 스텝과; 상기 오목판과 접촉해서 제2로그의 상기 초기심을 상기 채널을 따라 굴려서 공급해서, 그 주위에 웨브재를 계속해서 감는 스텝을 구비한 웨브재의 로그를 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로그의 초기심은 그후 채널로부터 제1감기롤러와 제2감기롤러 사이로 한정되는 닙으로 공급된다. 닙으로부터, 형성되는 로그는 제1, 제2, 제3감기롤러를 포함하는 감기롤러의 클러스터 등의, 로그와 면접촉하는 이동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감기크래들로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각 로그의 중앙심의 형성을 시작하는 웨브재는 동일한 이동부재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웨브재는, 이동부재와 제1감기롤러 사이의 핀칭영역에서의 웨브재의 감속의 결과로서, 이동부재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머신의 다른 유리한 특징 및 실시예는 이하에, 그리고 본 발명의 필수부분을 형성하는 유첨된 청구범위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설명 및 본 발명의 한정하지 않는 실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첨된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제1동작구성 및 제1실시예에서, 감기헤드로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리와인더의 수직면을 따른 측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 2, 3 및 4는 교환스텝, 즉 로그의 감기완료 및 그 다음 로그의 감기개시시에 웨브재를 절단하는 스텝에서의 감기영역의 확대도,
도 3A는 도 3의 확대도,
도 4A는 도 4의 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선 ⅣB-ⅣB를 따른 확대도,
도 5는 도 2, 3 및 4의 스텝에 이어지는 스텝에서의 감기영역의 확대도,
도 6은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을 따른 단면에서의 제1감기롤러의 일부의 확대도,
도 7은 코어없이 감는 제1동작모드로부터 감기코어 또는 감기맨드릴 주위에 감는 제2동작모드로의 변환스텝에서의 도 1의 리와인딩 머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2동작모드에 있어서의 리와인딩 머신에 대한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9는 감기롤러의 이동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10은 제2실시예의 리와인딩 머신의 수직면을 따른 측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 11은 감기코어없이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모드에 있어서의 도 10의 리와인더의 측면도 및 일부의 부분단면도,
도 12는 감기코어없이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 구성으로부터 감기코어를 사용해서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구성으로서의 변환스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것에 이어지는 동작구성을 변경하는 스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감기코어 또는 감기맨드릴을 사용해서 로그를 제조하는 구성의 리와인더에 대한 도 11, 12 및 13과 유사한 도면,
도 15는 도 11의 선ⅩⅤ-ⅩⅤ를 따른 오목판 및 제2감기롤러의, 절단 부재의, 몇몇 상호교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와인딩 머신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와인더의 제1실시예가 도 1 ~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리와인더의 주요부재, 특히 (감기코어를 가진 로그를 제조하도록 기계를 설정할 때 사용되는) 감기코어를 공급하는 부재, 감기롤러 및 웨브재 절단 시스템을 나타낸다.
감기헤드는 일반적으로 (1)로 나타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와인딩 머신의 감기헤드는 회전축(3A)을 가진 제1감기롤러(3), 회전축(5A) 둘레를 회전하는 제2감기롤러(5) 및 제3회전축(7A) 둘레를 회전하는 제3감기롤러(7)를 포함한다. 2개의 감기롤러 (3) 및 (5) 사이에는, 웨브재가 통과하는 닙(11)이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감기롤러(3)의 축(3A)은 머신의 부하 베어링 구조 (도시하지않음)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축(3A)은 부하 베어링 구조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2감기롤러(5)의 축(5A)은 이동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축(5A)은, 리와인딩 머신이 감기코어 없이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모드로부터 감기코어를 사용해서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모드로 되도록 배타적으로 이동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감기롤러(5)의 회전축(5A)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감기코어 없는 로그의 각 감기 사이클 동안에도 제어되는 방법으로 이동가능하다.
이후에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리와인딩 머신은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 없는 로그뿐만 아니라, 가변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중심의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에 감기는 로그를 제조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계가능하다. 제2감기롤러의 축(5A)은 머신을 다른 직경의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에 적응시키도록 이동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롤러(3)는 상기에 나타낸 이유로 이동축(3A)을 가질 수 있다.
제3감기롤러(7)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선회축(9A) 둘레에서 양방향 화살표(9A)에 따른 왕복운동으로 선회하는 1쌍의 암(9)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양방향 화살표(f9)에 따른 이동은, 3개의 감기롤러(3), (5) 및 (7)에 의해 형성된 감기크래들 내부에서 형성하는 스텝 동안 로그(L)의 직경을 따라서 제3감기롤러(7)가 제1감기롤러(3) 및 제2감기롤러(5)를 향해서 이동하거나 그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또한 나사가 형성된 바(15A)의 회전을 제어하고, 그와 함께 양방향 화살표(f15)를 따라서, 제2감기롤러(5)를 지지하는 빔(16)의 이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본 실시예에서는 감소기(reducer)(15)를 가진 전자제어전기모터(13)를 나타낸다. 따라서, 액튜에이터(13)에 의해, 감기롤러(5)를 감기롤러(3)로 향해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로부터 떨어져 이동시켜서 상기 감기롤러들 사이의 닙(11)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닙(11)의 상류에는 오목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오목판(17)은 제2감기롤러(5)의 회전축(5A) 둘레에 힌지된 2개의 선회암(18)에 의해 지지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도 2 ~ 5의 확대도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판(17)은 제1감기롤러(3)의 원주면(3B)과 대향하는 오목면(17A)을 가진다. 또, 오목면(17)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감기스텝에서 로그를 구르게 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제2감기롤러(5)의 원주면에 형성된 주위홈(5B) 내에 삽입되는 이빨(teeth)(17B)을 가진다.
반대쪽의 단부에서, 도 4B의 상세도에서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 기술된 목적을 위하여 오목판(17)에 빗 형상의 입구 가장자리(17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판(17)의 감기롤러(3)와 대향하는 오목면(17A)과 제1감기롤러(3)의 측면(3B) 사이에는, 제1감기롤러(3)의 둘레로 안내되고, 그 다음의 감기 싸이클에서 복수의 로그를 형성하도록 감기는 웨브재(N)의 공급 채널(19)이 형성되어 있다.
감기크래들(3), (5), (7)에 의해 형성되는 감기 크래들의 내부로 웨브재(N)를 공급하기 위해서, 웨브재(N)의 통로가 제1감기롤러(3)의 둘레, 채널(19)의 내부, 그리고 닙(11)을 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동부재(21)는, 오목면(17) 및 제1감기롤러(3)와 협력하며, 웨브재를 절단하고 감기코어 없이 로그의 중앙심의 감기를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1)는 회전축(21C) 주위를 회전하는 중심샤프트(21B)와 일체로 된 일련의 암(21A)을 포함한다. 암(21A)은 머신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서 뻗는 하나의 연속적인 빔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연속적인 빔의 암(21A)은 일련의 패드(23)를 가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드(23)에는 바람직하게는 원주형상을 가진, 즉 원주면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면(23B)을 가진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원주면은 기하학적 인식에서 의도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21)의 회전축(21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고, 일정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돌출부(23A)의 면은 원형의 단면을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돌출부(23A)의 주위면(23B)이 가변의 반경, 따라서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4B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23A)는 이하에서 보다 잘 설명되는 목적을 위해서 오목판(17)의 빗 형상의 가장자리(17C)의 이빨사이를 관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돌출부(23A)의 면(23B)은 돌출부(23A)를 형성하는 재료의 면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높은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23A)는 본질적으로 높은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는 고무와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높은 마찰계수는 웨브재(N)가 적어도 감기싸이클의 몇몇 스텝에서 슬라이드 되는 감기롤러(3)의 부분의 마찰계수보다 더 큰 마찰계수로서 의도된다.
제1감기롤러(3)에는 (25A) 및 (25B)로 표시한 2개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특히, 도 2, 3, 4 및 6을 참조). 이들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감기롤러(3)의 축길이와 동일하게 뻗어 있다.이들 2개의 시트(25A) 및 (25B)내에는 머신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동작모드에 따라서 제거하거나 상호교환 할 수 있는 2개의 블록(27) 및 (28)이 수용되어 있다. 도 2, 3, 4 및 6에 있어서, 제1감기롤러(3)의 시트(25A) 및 (25B)에 수용된 2개의 블록(27) 및 (28)은 중심코어 없이 감는 동작모드에서 머신의 동작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된다.
몇몇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이 이들 각각의 시트(25A) 및 (25B)내에 장착될 때, 2개의 블록(27) 및 (28) 사이에는 특히, 일단 장착되면 서로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는 블록(27) 및 (28)의 대향하는 가장자리에서, 감기롤러(3)의 표면에 이르는 흡입슬릿(29)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슬릿(9)은 감기롤러(3)의 유용한 전체 길이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뻗어 있다. 유리하게는, 흡입 슬릿(9)은 감기롤러(3)의 두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입구멍(31)과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멍(31)은 감기롤러(3) 내의 칸막이 구획(3C)과 연결해서 슬릿(29)을 배치한다. 칸막이 구획(3C)의 내부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적어도 교환단계에서, 즉 로그의 감기완료 및 그 다음의 로그의 감기 시작의 스텝에서 슬릿(29)을 통해 흡입흐름을 발생시키는 데 충분한 진공으로 할 수 있다. 다른 보다 덜 유리한 실예에서는, 슬릿(29)은 불연속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감기롤러(3)의 회전축(3A)에 평행한 선을 따라 분포된 구멍으로 대체할 수 있다.
몇몇 유리한 실시예에서, 블록(27)은 블록(27) 및 (28)을 수용하는 시트(25A) 및 (25B)에 의해 포함되지 않는 감기롤러(3)의 측면 부분의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주형상과는 그 형상이 다른 외부면(27A)을 가진다.
보다 특별하게는, 블록(27)의 표면(27A)은 흡입슬릿(29)에서, 한 쪽의 가장자리(27B)에서의 최대치로부터 블록(27)의 반대쪽의 가장자리(27C)로 변화하는 가변의 반경을 가진 (따라서, 비원형의 단면을 가진) 원주면이다. 실질적으로, 블록(27)은 바람직하게는 감기롤러(3)의 회전방향(f3)에 대해 블록(27)의 뒤에 있는 감기롤러(3)의 일정한 반경을 가진 원주면의 부분과 대략 접하는 방법으로 연결할 때까지, 가장자리(27B)에서의 최대치로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직경을 가진 외부면(27C)을 가진다.
블록(28)의 외부면은 2개의 부분(28A), (28B)을 가질 수 있으며, 첫번째 부분은 일정한 직경을 갖고, 2번째 부분(28B)은 최대 반경의 길이방향의 포인트 또는 돌출부(28C)까지 오르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증가하는 반경을 가지며, 여기서부터는 일정한 반경이 연속된다. 부분(28B)은, 표면(27A)의 최대직경과 같거나 또는 이 보다 조금 적은, 블록(27)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자리(27B)에 대해서 대향하는 위치에서 흡입슬릿(29)에서 끝난다.
표면부분(28B)은 볼록(28)에 면한 얇은 판, 또는 처음에 최종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블록(28)의 표면을 칩제거 가공해서도 생기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27)의 표면(27A)은, 예를 들면, 기계 가공 또는 적합한 표면 코팅에 의해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처리된다. 역으로, 블록(28)의 표면 (28A), (28B)은 평활하다. 즉, 그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목적을 위하여 표면(27A)의 마찰계수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머신이 중심의 감기코어가 있는 로그 및 중심의 감기코어가 없는 로그를 선택해서 감도록 설계되는 경우에는, 감기롤러(3)의 표면의 나머지 부분은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환형상의 밴드와 교대로 나타나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환형상의 밴드를 가진다.
상기 설명한 머신의 구성요소는 중심 코어 없이 감기는 웨브재의 로그(L)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서, 머신은 3개의 감기롤러 (3), (5), (7)와 접촉하는 로그(L)의 감기스텝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그리고 이 예시적인 실시예 있어서, 각각 서로로부터 떨어진, 로그(L)와 제1 및 제2감기롤러(3) 및 (5) 사이의 2개의 접촉점을 이동시키도록, 제2감기롤러(5)가 모터(13)에 의해 주어진 운동에 의해 제1감기롤러(3)로부터 떨어져 이동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롤러(3)과 (5)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로그의 감기 싸이클 동안 변화하지 않거나, 또는 보다 적은 정도로 변경된다.
일단, 로그(L)가 소망의 치수, 예를 들면, 요구되는 감긴 재료의 소망의 직경 및/또는 길이에 도달하면, 이동부재(21)가 활성화된다. 이 후자는 웨브재(N)를 절단하고 제2로그의 초기의 중심의 심을 그 주위에서 감는 것을 개시하기 위하여 그 활성화가 필요할 때까지 전체의 감기싸이클 동안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1)는 감기롤러(3),(5),(7)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화살표(f21)를 따라 회전된다. 이동부재(21)의 이동은, 감기크래들(3),(5),(7)내에 위치한 제1로그(L)의 감기완료시에 웨브재(N)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에, 블록(28)의 보다 큰 직경의 표면(28B)에 대해 웨브재(N)를 핀치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이동은, 이동부재(21)의 주변속도, 즉 이동부재(21)의 각 패드(23)의 돌출부(23A)의 표면(23) 속도가 조화하지만, 제1감기롤러(3)의 주위 회전속도보다, 따라서 웨브재(N)의 공급속도보다 낮게, 예를 들면 30∼70% 더 낮게 되도록 제어된다. 웨브재(N)가 블록(28)의 표면(28B)과 패드(23)의 돌출부(23A)의 표면(23B) 사이에서 핀치되면, 그것은, 패드(23)의 돌출부(23A)의 표면(23B)의 마찰계수가 블록(28)의 표면(28B)의 마찰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감속된다. 핀치와 이들 부재 사이의 속도차이의 결과로서, 핀칭영역에서는, 웨브재(N)가 웨브재(N)의 공칭 공급속도보다 낮은, 이동부재(21)의 주변속도를 취한다. 웨브재(N)의 국부적인 감속의 결과로서, 웨브재(N)는, 바람직하게는, 핀칭영역과 그 주위속도가 웨브재의 공칭 공급속도와 계속해서 대략 동일한 새로 형성된 로그(L) 사이에 이루어진 곳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웨브재(N)에 형성된 천공선을 따라서 절단된다.
웨브재의 절단에 의해, 완료된 로그(L)에의 감기를 종료하는 꼬리가장자리(LC)와 새로운 로그가 시작하는 선두가장자리(LT)(도3A)가 생긴다.
상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패드(23)와 블록(28)의 낮은 마찰계수를 평활한 면(28B) 사이의 압력과, 사이에 웨브재(N)가 핀치된 상기 부재들 사이의 속도차는 절단의 결과로서 형성된 선두가장자리(LT)에 인접한 웨브재(N)의 일부분의 국부적인 슬리핑을 야기한다. 예시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에 의해 블록(27)의 상류에서 웨브재(N)의 느슨함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기롤러(3)에 부착한 웨브재를 유지하는 흡입이 흡인슬릿(29)를 통해서 활성화된다. 흡입은 웨브재 절단 스텝이 시작되는 순간에 대하여 충분히 앞서서 활성화될 수 있다. 흡입을 보다 적시에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감기롤러(3)의 내부는 2개의 부채꼴로 분할될 수 있으며, 방사상의 장벽에 의해 한정된 이들 중의 하나만의 내부에서 진공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공기의 체적과 흡입동작시간을 한정한다.
감기롤러(3)와 이동부재(21)의 패드(23) 사이의 속도차이와, (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표면(23B)과 (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블록(28)의 표면(28B) 사이의 마찰계수의 차이의 결과로서, 도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재의 루프(2A)가 블록(27),(28)의 영역에서, 패드(23)와 감기롤러(3)의 측면 사이에서 이루어진 영역에서 형성된다.
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3)와 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는 이동부재(2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계속하면, 이들 2개의 부재 사이의 상호접촉은, 슬릿(29)의 뒤에 있는, 블록(27)의 표면(27A)에 옮겨진다. 여기서, 블록(27)의 표면(27A)의 보다 큰 마찰계수와, 감기롤러(3)와 패드(23) 사이의 속도차의 결과로써, (L1)으로 표시된, 그 다음 로그의 중앙 감기심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도 4A는 이 중앙심의 감기가 시작되는 영역의 크게 확대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패드(23)의 돌출부(23A)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서, 돌출부(23A)의 표면에 심(L1)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로그의 초기의 감기심(L1)에서 상기 돌출부의 국부적인 변형을 야기한다.
새로운 심(L1)은 감기롤러(3)의 주위속도(V3)와 이동부재(21)의 패드(23)의 주위속도(V23)에 의해 결정되는 속도로 제1감기롤러(3) 둘레의 웨브재(N)의 공급통로를 따라서 진행한다. 그때, 새로운 로그(L1)의 중앙의 감기심은 이들 2개의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속도로 오목판(17)의 면(17A)를 향해 전진한다. 블록(27)에 의해 한정되는 감기롤러(3)의 표면(27A)의 감소하는 반경에 기인해서, 초기의 로그(L1)의 심의 직경의 증가를 허용하도록 서서히 증가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사실상, 후자(로그(L1))는 상기 롤러의 주위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감기롤러(3)의 표면을 따라서 진행하며, 흡입슬릿(29)으로부터 블록(27)의 가장자리(27C)를 향해 서서히 돌아가는 곳에서 롤러(3)와 접촉하게 된다.
도 4A는 제2로그(L1)의 새로운 감기심도 역시 오목면(17A)의 가장자리의 빗 형상의 구성(17C)과 접촉하는 순간을 나타낸다. 롤러(3)의 회전운동(화살표(f3))과 패드(23)의 회전운동(화살표(f21))을 계속하면,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이 오목판(17)의 오목면(17A) 상으로 서서히 옮겨진다는 것을 도 4A에 나타내지는 것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옮겨짐이 완료된 후,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은 이동부재(21)의 패드(23)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채널(19)을 따라서 굴러서 계속해서 진행한다.
채널(19)에 있어서,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은 오목판(17)의 고정 표면(17A)과 한쪽에서 접촉하고, 감기롤러(3)의 원주면(3B)의 다른 쪽에서 접촉한다. 그러므로, 로그(L1)의 새로운 중앙심의 중심은, 닙(11)에 도달할 때까지, 감기롤러(3)의 주변회전속도의 1/2과 동일한 속도로 채널(19)을 따라서 진행한다.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은, 전술한 환형상의 채널(5B) 내의 이빨(17B)을 관통한 결과로서, 오목판(17)의 오목면(17A)으로부터 제2감기롤러(5)의 원주면까지 스트레스 또는 단절 없이 이송된다.
닙(11)으로부터, 제2로그(L1)의 심의 직경은, 심이 감기롤러(7)와 접촉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표면(35)을 따라서 완성된 로그(L)를 언로드할 수 있도록 미리 상승된 감기롤러(7)는 다시 하강해서 형성의 초기 스텝에 있어서의 새로운 로그(L1)와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19)을 따른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이 이동하는 동안, 채널(19)의 크기, 즉, 오목판(17)의 표면(17A)과 감기롤러(3)의 표면(3B) 사이의 거리는, 모터(13)의 제어된 활성화를 통하여 점직적으로 증가하여 새로운 로그(L1)의 초기심의 크기의 증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직경의 점진적인 증가는, 채널(19)의 입구 영역으로부터 출구 영역까지의 표면(17A)의 곡률반경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표면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한 채널(19)의 높이의 점진적인 증가는 감기는 웨브재(N)의 두께의 주어진 값에 대해서만 최적이다. 만약, 이러한 두께가 오목면(17A)의 곡률이 설계된 것 보다 클 경우, 제2로그(L1)의 초기 감기 심의 이동 동안, 액츄에이터(13)의 제어 하에 감기롤러(5)를 감기롤러(3)로 부터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채널(19)의 높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유용하거나 필요하다.
웨브재의 절단을 행하고 오목판(17)의 면(17A)과 연합하여 로그(L1)의 새로운 심을 감기 시작하기 위하여 이동부재(21)를 이용함으로써, 교환싸이클의 여러 스텝, 즉 웨브재를 절단하고 새로운 로그(L1)가 개시되는 감기 싸이클의 동작 부분의 여러 스텝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상기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9의 리와인딩 머신은, 상기 설명한 부재 이외에, 전술한 방법에 따라서, 머신이, 중앙 코어없이 로그를 제조하는 동작 모드로부터, 감기코어를 가진 로그의 제조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기계적 부재를 구비한다. 감기코어는 관형상의 코어가 로그의 내부에 남고, 또한 필요할 경우 로그가 단일의 로그들로 절단되는 동안 로그와 함께 절단되는 관형상코어와, 또한 인출할 수 있고 재활용할 수 있는 코어 또는 맨드릴의 모두를 의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머신에 의하여 제조된 로그는 (감기 후에 감기코어가 인출되기 때문에) 감기코어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축방향 구멍을 구비한다.
리와인딩 머신이 하나의 동작 구성으로부터 다른 동작구성으로 되는 것이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와인딩 머신(1)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리와인딩 머신이 감기코어없이 로그를 제조하는 구성일 경우, 감기영역에 대하여 회수되는 오목크래들(41)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오목크래들(41)은, 실제로, 일련의 상호 평행한 형상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중 하나만 도면에서 볼 수 있으며, 다른 것은 그 위에 중첩되어 있다. 모든 다양한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들은 감기코어를 구르게 하기 위한 오목한 표면을 형성하는 오목한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있다.
리와인딩 머신이 감기코어없는 로그의 제조로부터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 둘레에 감기는 로그의 제조로 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 오목판(17)은, 예를 들면, 암(18)의 회전 운동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제1감기롤러(3)의 원주면으로부터 떨어져 멀리 이동된다. 암(18)의 진동 또는 회전 이동은 피스톤-실린더 작동기(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도 7).
오목판(17)이 감기롤러(3)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 이외에, 감기롤러(5)도 또한 감기롤러(3)로부터 멀리 있어서, 두 개의 감기롤러 (3)과 (5) 사이의 닙(11)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오목크래들(41)은 이렇게 발생된 용적 또는 자유 공간 내에 삽입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오목크래들(41)은, 예를 들면, 상기 오목크래들(41)의 지지 빔(43)의 이동에 의하여, 화살표(f41)를 따라서 병진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가이드(도시하지 않음) 내에 장착된다. 도 8은, 감기코어를 가진 로그를 제조하기 위한 리와인딩 머신을 동작하게 할 수 있는 오목크래들(41)의 최종 동작 위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이동 이외에, 두 개의 호환가능한 블록(27)(28)을, 감기롤러(3)의 나머지 측면의 반지름과 동일한 반지름을 가진 원형 단면의 외부 원주면을 가진 두 개의 삽입물로 대체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감기코어 또는 맨드릴을 가진 동작에 사용되는 두 개의 블록의 각각의 하나는, 낮은 마찰계수와 높은 마찰계수를 선택적으로 가지는 밴드 또는 스트립으로 분할된 표면을 구비하며, 감기롤러(3)에 일단 장착되면, 후자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환형상의 밴드와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환형상의 밴드로 분할된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진 원주면을 가진다.
감기코어(A)는 공급장치(47)를 따라서 공급된다. 세로선의 접착제가 접착제 애플리케이터(51)에 의하여 코어 삽입기(49)에 도포된 후, 단일의 감기코어(A)는 코어 삽입기(49)에 의하여 픽업된다. 부재(47)(49) 및 (51)는 본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머신은 US-A-5,979,818호에 개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동작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작 싸이클에 대하여서는 상세하게 개시하지 않는다.
중심 코어 없는 감기 모드에 있어서, 이동부재(21)는 고정된 오목판(17)과 감기롤러(3) 사이의 채널(19)로 이동될 때까지, 웨브재의 절단과 새로운 로그(L1)의 심의 감기를 개시하는 기능을 행한다. 반대로, 중심 감기코어를 사용해서 로그 를 제조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21)는,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감기는 중심코어에서 시작하며, 부재(21)는, 이 활동과 관련해서, 이동부재(21)의 (웨브재(N)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상류에서 감기롤러(3)와 크래들(41) 사이에 형성된 채널로 삽입되는 새로운 감기코어(A)를 향해서, 선두가장자리(LT)을 동반하는 선택적인 동작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기능도 행하지 않는다.
이미 공지된 방식에서, 오목크래들(41)과 이동부재(21) 사이의 상호작용은, 전자(前者)가, 복수의 평행한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빗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는 사실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부재(21)의 패드(23)는 인접한 플레이트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으며, 크래들(41)의 오목한 표면(41A)과 감기롤러(3)의 원주면(3B) 사이에 형성된 감기코어(A)의 공급 채널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는, 감기롤러(3)(5) 및 (7)의 축의 병진 또는 진동이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면은 (f15)를 따른 이동을 제어하여 감기롤러(3)를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감기롤러(5)를 이동시키는 모터(13)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3감기롤러(7)를 운반하는 암(9)의 (f9)를 따른 상호 회전 이동은, 롤러(7)가 롤러(3) 및 (5)로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보여지지 않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유리하게 제어되는 한 쌍의 크랭크(55)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 로드(53)에 의하여 전달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롤러(3)의 축(3A)의 위치도 또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감기롤러(3)는, (57A)에 연결된, 암(57)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크랭크(61)에 연결된 연결로드(59)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적합한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화살표(f57)를 따른 제어된 회전 운동은 암(57)에 전달되며, 따라서 힌지축(57A) 주위의 감기롤러(3)의 회전축(3A)에 전달된다. 예를 들면, 웨브재(N)의 느슨함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감기롤러(3)와 감기롤러(5) 사이의 닙(11)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감기롤러(3)와 오목판(17) 또는 오목 크래들(41) 사이의 채널(19)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조정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작동 또는 조정의 필요를 위하여, 감기롤러(3)의 회전축(3A)의 이동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신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번호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거나 균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도 1에서, (2)로 전체적으로 표시한 리와인딩 머신은 도 1 내지 9에서 표시되지 않은 다른 부재들에 의해서 완성된다. 특히, 감기헤드(1)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었다. 번호(71)은 천공기 유닛을 표시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천공기 유닛(71)은 회전롤러(79)에 의하여 운반되는 블레이드(77)와 협력하는 한 개 이상의 블레이드(75)를 지지하는 빔(73)을 구비한다. 웨브재(N)는 빔(73)과 롤러(79) 사이를 통과하여 가로방향의 천공 라인을 따라서 천공된다. 천공기(71)의 하류측에, 가이드 롤러(81)가 배치되며, 그로부터 웨브재가 제1감기롤러(3)로 운반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천공기(71)의 상류측에, 플라이본딩 유닛(83)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은 원래 공지된 타입이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다. 유닛(83)은 카운터-가압 롤러(87)와 협력하는 일련의 플라이-본딩 휠(85)을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감기 헤드에 관하여, 도 10 내지 14의 실시예와 도 1 내지 9의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오목판(17)은 보다 큰 연장부를 구비한다. 즉, 감기롤러 (3)과 (5) 사이의 닙(11)의 상류측에서 제1감기롤러(3)의 원주면 둘레에서 더욱 큰 길이로 연장한다. 이동부재(21)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위치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축(21C)을 중심으로 힌지된다. 실제로,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위치에 있어서, 이동부재(21)의 회전축(21C)은 제1감기롤러(3) 아래에 위치되지만, 도 10 내지 14에 있어서, 이동부재(21)의 회전축(21C)은, 제3감기롤러(7)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감기롤러(3)의 옆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크래들(41)은 이동부재(21)의 회전축(21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그것은 아이들 위치(도 10 내지 12)로부터 회전축(21C)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동작위치(도 14)로 변화한다.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은 피스톤-실린더 작동기(42)에 의하여 제어된다.
몇몇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와인딩 머신이 도 14의 구성에 있는 경우 감기코어 둘레에 웨브재(N)의 감기의 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계적 부재(44)가 또한 설치될 수 있다. 부재(44)의 동작은 원래 공지되어 있으므로 보다 상세하게 개시하지 않으며 그것의 동작과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것은 공보 US-A-2009/0272835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보조부재는 접착제의 도포에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머신은 접착제 어플리케이터 없이 단지 부재(44)만이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 없이 선택적으로 또는 접착제 없이 양자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재(44)는 생략될 수 있으며 머신은 접착제와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에서 라인 XV-XV을 따른 이동부재(21)와 제2감기롤러(5)의 단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이동부재(21)를 구동하는 전기모터(22)와 전술한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동은 이빨이 형성된 도르레(26A),(26B) 둘레에서 안내되는 이빨이 형성된 벨트(24)를 개재하여 모터(22)로부터 이동부재(21)로 옮겨진다.
도 16은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변형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이전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이동부재(21)의 상이한 형상과 이동부재(21)가 행하는 이동의 상이한 타입에 있다.
도 16에 있어서, 이동부재(21)는 축(21C) 둘레에서의 회전 이동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양방향 화살표(f21)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둘레에서의 가역적인 진동 또는 회전 이동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21)는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웨브재(N)와 접촉하고 감기롤러(3)의 원주면에 대하여 웨브재를 핀치하여 웨브재의 절단을 행한다. 이어서, 이동부재(21)는 그 회전 이동을 역전해서 도 15에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며, 회전이동 동안, 이 경우에도 감기롤러(3)와 오목판(17)의 오목면(17A) 사이에서 형성되는 채널(19)을 향하는 새로운 로그(L1)의 최초의 중앙심을 수반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부재(21)는 이탈리아 공개 특허 공보 No. FI2010A000025호와, 그 내용이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화되어 있는 대응하는 국제 출원 PCT/IT2011/000037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되고 제어될 수 있다.
도 16의 이동부재(21)와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재(21)의 양자는, 오목판(17)의 빗 형상의 가장자리(17C)와 협력하며, 채널(19)을 향하여 로그(L1)의 초기심을 이동하게 할 수 있는,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서 개시한 돌출부(23A)와 유사한 일련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제적인 설명으로서 단지 제공된, 단지 하나의 예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발명에 내재되어 있는 개념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서, 그 형태 및 구성을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어떠한 참조번호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서 청구항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며, 청구항에 의하여 표현된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38)

  1. 제1감기롤러(3)와,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오목판(17)은 웨브재(N)의 공급채널(19)을 한정하며, 상기 제1감기롤러(3) 둘레에서 연장되는 오목판(17)과,
    상기 채널을 따라서 연장하는 웨브재의 공급통로와,
    상기 오목판(17)의 상류측에, 상기 제1감기롤러(3)와 협력하여 제1감기롤러(3)에 대하여 웨브재(N)를 핀치하는 핀칭면(23B)을 구비하는 이동부재(21)를 포함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상기 이동부재(21)는, 제1감기롤러(3)의 표면에 대하여 웨브재를 핀치하고, 이동부재(21)와 제1감기롤러(3)의 표면 사이에서 웨브재를 감속시키도록 배치되고 제어되어서, 선두가장자리(LT)를 자신의 둘레에 감도록 해서 로그(L;L1)의 감기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1)는, 웨브재의 절단 후 선두가장자리가 자신의 둘레에서 감기기 전에 웨브재를 절단시키도록 배치되고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제2감기롤러(5)와,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상기 제2감기롤러(5) 사이에서 한정되는 닙(11)과, 상기 닙(11)의 상류측에서 연장하는 상기 오목판(17)과, 상기 닙(11)을 통하여 연장하며, 웨브재(N)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4. 제2항에 있어서,
    제2감기롤러(5)와,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상기 제2감기롤러(5) 사이에서 한정되는 닙(11)과, 상기 닙(11)의 상류측에서 연장하는 상기 오목판(17)과, 상기 닙(11)을 통하여 연장하며, 웨브재(N)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주변감기크래들(3,5,7)이 상기 오목판(1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6. 제2항에 있어서,
    주변감기크래들(3,5,7)이 상기 오목판(1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7. 제3항에 있어서,
    주변감기크래들(3,5,7)이 상기 오목판(1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8. 제4항에 있어서,
    주변감기크래들(3,5,7)이 상기 오목판(1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칭면(23B)이, 상기 제1감기롤러(3)에 대하여 가압될 때, 제1감기롤러(3)의 주변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부재(21)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칭면(23B)이, 상기 제1감기롤러(3)에 대하여 가압될 때, 제1감기롤러(3)의 주변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부재(21)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판(17)은 상기 이동부재(21)와 협동하는 입구가장자리(17C)를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오목판(17)으로 로그의 초기의 감기심을 구르게 하기 위한 이송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판(17)의 입구가장자리(17C)는 상기 이동부재의 복수의 돌출부(23A)와 협력하는 빗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3A)는 오목판(17)의 가장자리(17C)의 빗형상의 구조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판(17)의 입구가장자리(17C)는 상기 이동부재의 복수의 돌출부(23A)와 협력하는 빗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3A)는 오목판(17)의 가장자리(17C)의 빗형상의 구조체를 통과하고; 상기 돌출부(23A)는 이동부재(21)의 상기 핀칭표면(23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기롤러(3)는, 상기 제1감기롤러(3)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며 제1감기롤러(3)의 원주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길이방향의 돌출부(28C)를 한정하는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돌출부(28C)에 인접하고, 회전 방향에 대하여 그 뒤쪽에서, 상기 제1감기롤러(3)는, 상기 돌출부(28C)로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며, 제1감기롤러(3)의 제2측면부분을 한정하는 원주면에서 접해서 끝나는 제1측면부분(27A)을 구비하며, 상기 원주면은 대략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감기롤러의 상기 제2측면부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기롤러(3)는, 측면 위에서,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의 돌출부(28C)에 근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흡인개구(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기롤러(3)는, 측면 위에서,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의 돌출부(28C)에 근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흡인개구(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개구(29)는 제1감기롤러(3)의 축(3A)과 상기 길이방향의 돌출부(28C)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릿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돌출부(28C)는 제1감기롤러(3)의 시트(25B)에 고정된 제1제거가능블록(28)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거가능블록(28)에 인접하여, 그리고 제1감기롤러(3)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그 뒤쪽에서, 제2제거가능블록(27)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거가능블록(28)에 인접하여, 그리고 제1감기롤러(3)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그 뒤쪽에서, 제2제거가능블록(27)이 배치되고; 상기 흡인개구(29)는 상기 제1제거가능블록(28)과 상기 제2제거가능블록(27)의 인접한 가장자리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거가능블록(27)은 제1제거가능블록(28)의 표면의 마찰계수 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외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판(17)은, 이 오목판(17)이 웨브재(N)의 상기 공급채널(19)을 한정하는 동작위치와, 제1감기롤러(3)로부터 먼곳에 위치한 아이들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판(17)은, 제2감기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동작위치 및 아이들 위치의 한 쪽과 다른 쪽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크래들(41)은,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판(17)에, 상기 제1감기롤러(3)의 둘레에서 위치결정되며, 상기 오목크래들(41)은 상기 오목판(17)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크래들(41)은, 제1감기롤러의 둘레에 배치되어 웨브재의 공급채널을 한정하는 동작위치와, 아이들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1)는 상기 오목판(17)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2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머신에 의하여, 감기 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으로서,
    제1감기롤러(3)의 둘레에 웨브재를 공급하는 스텝과;
    제1로그(L)를 감는 스텝과;
    상기 제1로그(L)의 감기 완료와 동시에, 이동부재(21)에 의하여 웨브재를 절단하고, 제1로그(L)의 자유꼬리가장자리(LC)와 제2로그(21)의 자유선두가장자리(LT)을 형성하는 스텝과;
    제1감기롤러(3)의 표면과 상기 이동부재(21) 사이에서, 상기 자유선두가장자리(LT)에 인접한 상기 웨브재(N)의 초기 부분을 그 자신의 둘레에 감고, 상기 제2로그(L1)의 초기심을 형성하는 스텝과;
    이동부재(21)로부터, 제1감기롤러(3)와 상기 제1감기롤러(3)의 둘레에서 연장하는 오목판(17) 사이에 형성된 채널(19)로,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이송하는 스텝과;
    상기 오목판(17) 및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접촉해서 상기 채널(19)을 따라서 제2로그(L1)의 초기심을 굴려서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공급하고, 초기심의 둘레에 웨브재(N)를 연속적으로 감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이동부재(23)와 제1감기롤러(3) 사이의 핀칭 영역에서의 웨브재(N)의 감속의 결과로서 상기 웨브재(N)는 상기 이동부재(21)에 의하여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채널(19)로부터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제2감기롤러(5) 사이에서 한정된 닙(11)으로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이송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채널(19)로부터 상기 제1감기롤러(3)와 제2감기롤러(5) 사이에서 한정된 닙(11)으로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이송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닙(11)의 하류측에 감기크래들(3, 5, 7)을 향하여 상기 닙(11)를 통하여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공급하고, 상기 감기크래들(3,5,7)에서 제2로그의 감기를 계속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닙(11)의 하류측에 감기크래들(3, 5, 7)을 향하여 상기 닙(11)를 통하여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을 공급하고, 상기 감기크래들(3,5,7)에서 제2로그의 감기를 계속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브재(N)를 절단하고 제2로그(L1)의 상기 초기심의 형성을 개시하는 동안, 오목판(17)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이고, 이동부재(21)는 오목판(17)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5.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두가장자리(LT)의 부근에서 제1감기롤러에 흡인에 의하여 웨브재를 유지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6.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9)을 따라 제2로그(L1)의 초기심이 구르는 동안 상기 채널의 높이를 조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7.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1)와 상기 제1감기롤러(3) 사이에 상기 초기심의 감기를 개시하는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채널(19)에 초기심을 이송할 때까지, 초기심의 직경의 증가를 허용하도록 서서히 증가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이동부재(21)의 핀칭면(23)과 제1감기롤러(3)의 비원형 단면을 가진 원주면(27A)의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원주면(27A)의 부분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코어 없이 웨브재(N)의 로그를 감는 방법.
KR1020137026666A 2011-04-08 2012-04-04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KR101887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061A ITFI20110061A1 (it) 2011-04-08 2011-04-08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ITFI2011A000061 2011-04-08
PCT/EP2012/056231 WO2012136735A1 (en) 2011-04-08 2012-04-04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344A KR20140045344A (ko) 2014-04-16
KR101887250B1 true KR101887250B1 (ko) 2018-08-09

Family

ID=4412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666A KR101887250B1 (ko) 2011-04-08 2012-04-04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365379B2 (ko)
EP (1) EP2694414B1 (ko)
JP (1) JP5969002B2 (ko)
KR (1) KR101887250B1 (ko)
CN (1) CN103534185B (ko)
BR (1) BR112013025922B1 (ko)
CA (1) CA2832262C (ko)
ES (1) ES2609967T3 (ko)
IT (1) ITFI20110061A1 (ko)
MX (1) MX345960B (ko)
PL (1) PL2694414T3 (ko)
RU (1) RU2582342C2 (ko)
WO (1) WO2012136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9011B2 (en) * 2007-07-27 2015-03-17 Chan Li Machinery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web material in a winding machine
US8979012B2 (en) * 2007-07-27 2015-03-17 Chan Li Machinery Co., Ltd. Method and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web material in a winding machine
CN105752727A (zh) * 2014-12-17 2016-07-13 佛山市宝索机械制造有限公司 起卷可靠的无芯纸卷复卷机及起卷方法
EP3037372B1 (en) 2014-12-19 2017-05-24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Italia S.p.A. Improved peripheral rewinder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tape-shaped material
JP6324913B2 (ja) * 2015-01-30 2018-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エブ巻き取り方法、および、ウエブ巻き取り装置
US20160280500A1 (en) * 2015-03-23 2016-09-29 Cosmo Machinery Co., Ltd. Slit line making machenism for film roll/bag-on-a-roll making machine
EP3310697B1 (en) * 2015-06-19 2019-05-08 Futura S.p.A. Rewinder for the production of paper logs
US10427903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ading edge device for a surface winder
US10442649B2 (en) 2016-03-04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or producing log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US10427902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d introductory portion for a surface winder
CN105692280B (zh) * 2016-03-16 2018-07-10 佛山市宝索机械制造有限公司 复卷机的稳定起卷方法和起卷机构
IT201600072709A1 (it) * 2016-07-12 2018-01-12 Perini Fabio Spa Linea di trasformazione per carta tissue e metodo
CN106276355B (zh) * 2016-09-07 2018-09-25 佛山市南海区德昌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分段式活动弧形导纸板无芯纸卷复卷机构
IT201600117182A1 (it) * 2016-11-21 2018-05-21 Futura Spa Ribobinatrice.
IT201900009162A1 (it) 2019-06-17 2020-12-17 Engraving Solutions S R L Metodo e macchina per produrre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avvolto su anime tubolari e relativo prodotto ottenuto
IT202000007171A1 (it) 2020-04-03 2021-10-03 Perini Fabio Spa Una confezione di mascherine protettive, un metodo e una macchina per la loro produzi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9205A1 (en) 1993-06-09 1994-12-22 Fabio Perini S.P.A. Rewinder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selectively with or without a winding core
US5839680A (en) 1992-07-21 1998-11-24 Fabio Perini, S.P.A. Machi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coreless logs of web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67967B (it) 1981-08-26 1987-05-20 Fabio Perini Ribobinatrice ad alta velocita' per nastri di carta in specie con perforazioni trasversali
DE3739341A1 (de) * 1987-11-20 1989-06-01 Wolff Walsrode Ag Verfahren zur verdichtung von bahnfoermigen produkten
IT1265842B1 (it) * 1993-02-15 1996-12-12 Perini Fabio Spa Perfezionamenti ad u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senza nucleo centrale di avvolgimento.
IT1265843B1 (it) * 1993-02-15 1996-12-12 Perini Fabio Spa Metod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e per lo strappo del materiale al termine dell'avvolgimento di ciascun
IT1265841B1 (it) 1993-02-15 1996-12-12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fezionata per l'avvolgimento senza nucleo centrale con superficie di appoggio per il rotolo in formazione.
US5505402A (en) 1993-02-18 1996-04-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Coreless surface winder and method
US5402960A (en) 1993-08-16 1995-04-04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Coreless surface winder and method
IT1262046B (it) 1993-03-24 1996-06-18 Guglielmo Biagiotti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mezzi per l'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ITFI980034A1 (it) 1998-02-18 1999-08-18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iferic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avvolto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IT1307820B1 (it) 1999-12-02 2001-11-19 Perini Fabio Spa Macchina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impregnato.
IT1314596B1 (it) 2000-03-28 2002-12-20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di di avvolgimento di rotoli dimateriale nastriforme su mandrini estraibili
US7101587B2 (en) * 2001-07-06 2006-09-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wetting and winding a substrate
BR0210790A (pt) * 2001-07-06 2006-05-23 Kimberly Clark Co método para umedecer e enrolar um substrato
JP3833605B2 (ja) * 2002-12-16 2006-10-18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ート体巻取り装置
ES2333995T3 (es) 2006-06-09 2010-03-03 Fabio Perini S.P.A. Procedimiento y maquina para la formacion de rollizos de material en banda, con un dispositivo mecanico para formar la vuelta inicial de los rollizos.
CN101891074B (zh) * 2009-05-22 2012-07-25 全利机械股份有限公司 具有行星轮拨断机构的薄纸卷绕装置及其拨断薄纸方法
IT1398260B1 (it) 2010-02-23 2013-02-22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80A (en) 1992-07-21 1998-11-24 Fabio Perini, S.P.A. Machi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coreless logs of web material
WO1994029205A1 (en) 1993-06-09 1994-12-22 Fabio Perini S.P.A. Rewinder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selectively with or without a winding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2262A1 (en) 2012-10-11
PL2694414T3 (pl) 2017-03-31
WO2012136735A1 (en) 2012-10-11
CA2832262C (en) 2019-02-05
ES2609967T3 (es) 2017-04-25
BR112013025922A2 (pt) 2016-12-20
CN103534185A (zh) 2014-01-22
JP5969002B2 (ja) 2016-08-10
US9365379B2 (en) 2016-06-14
MX2013011641A (es) 2014-03-27
EP2694414B1 (en) 2016-10-19
BR112013025922B1 (pt) 2020-11-17
CN103534185B (zh) 2016-03-30
MX345960B (es) 2017-02-28
RU2582342C2 (ru) 2016-04-27
EP2694414A1 (en) 2014-02-12
ITFI20110061A1 (it) 2012-10-09
JP2014510000A (ja) 2014-04-24
US20140054407A1 (en) 2014-02-27
KR20140045344A (ko) 2014-04-16
RU2013149851A (ru)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250B1 (ko)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리와인딩 머신 및 방법
KR101760544B1 (ko) 웨브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권취기 및 방법
AU761369B2 (en) Web rewinder chop-off and transfer assembly
US7887003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like material together with a winding core and roll thus obtained
KR0163449B1 (ko) 권취중의 로그를 지지하는 표면을 가진, 원단재료의 로그의 무코어권취용 개량권취기
EP2655227B1 (en) Rewinding machine and winding method
EP2964555B1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s of web material
KR102394290B1 (ko) 웹 재료의 로그를 제조하기 위한 재권취기 및 방법
JP6522169B2 (ja) ペーパーログ製造用巻返し機
EP0616965A1 (en) Coreless wi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