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96B1 -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96B1
KR101886496B1 KR1020160064374A KR20160064374A KR101886496B1 KR 101886496 B1 KR101886496 B1 KR 101886496B1 KR 1020160064374 A KR1020160064374 A KR 1020160064374A KR 20160064374 A KR20160064374 A KR 20160064374A KR 101886496 B1 KR101886496 B1 KR 10188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irradiation
as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80A (ko
Inventor
장현혜
최우석
허종찬
권오성
지준호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US15/195,05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50864B2/en
Priority to CN201610499400.0A priority patent/CN106317820B/zh
Priority to DE102016112050.2A priority patent/DE102016112050B4/de
Publication of KR2017000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포함하며,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값 및 b* 값이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IONIZING RADIATION 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투명성, 위생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의료용 장치, 외과 용구, 수술 용구 등의 의료용품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품은 완전 멸균이 요구되며, 이러한 멸균 방법으로는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멸균 기체를 이용한 접촉 처리,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중에서의 가열 처리, 또는 감마선, 전자선, X선 등의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을 이용한 조사 처리 등이 있다. 이 중, 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한 접촉 처리는 에틸렌옥사이드 자체의 독성, 불안정성 및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 문제 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오토클레이브 중에서의 가열 처리는 고온 처리 시에 수지의 열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에너지 비용이 높으며, 처리 후의 부품에 습기가 남아 건조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온에서 처리할 수 있고, 비교적 경제성이 있는 전리방사선 조사에 의한 멸균 처리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전리방사선 조사 시, 황변 현상, 물성 저하 등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다른 고분자를 블렌딩(blending)하는 방법, 각종 첨가제 등을 첨가하는 방법 또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황변 발생, 내충격성 등의 물성 저하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성형품 내부의 약액 및 혈액 등의 내용물의 액면이나 색 식별이 용이하도록,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모두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7766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포함하며,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값 및 b* 값이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함량은 0.4 내지 1 중량부이고, 상기 안트라퀴논계 착색제의 함량은 0.0001 내지 0.002 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는 적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및 자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1 : 1 내지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며, R1 및 R2와 R3 및 R4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m 및 n은 0 또는 1이고, m+n은 1 또는 2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투과도가 8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0 kgf·cm/c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내전리방사선성 의료용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전리방사선성을 갖는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포함하며,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값 및 b* 값이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로는 비스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하, 비스페놀 A)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 A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사용 가능한 다른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의 예로는, 히드로퀴논, 4,4'-비페놀,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또는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를 위해 사용 가능한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한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한 단일 중합체이거나, 두 종류 이상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틱 무수물 또는 트리멜리틱산 등의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 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tert-부틸페녹시기 말단을 포함하는 말단 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 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 시 tert-부틸페놀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말단 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포함 시, 전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tert-부틸페녹시기의 함량은 0.1 내지 80 몰%, 예를 들면 20 내지 60 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전리방사선성, 내충격성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80,000 g/m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ISO 1133 기준(300℃, 1.2 kg 하중)에서 유동지수(Melt-flow Index, MI)가 3 내지 35 g/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에테르,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통상의 내전리방사선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올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도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벤질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벤질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4-노닐페닐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도데실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벤질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벤질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4-노닐페닐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초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초산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부티르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벤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2,6-디메틸벤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p-tert-부틸벤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초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초산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티르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벤조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2,6-디메틸벤조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p-tert-부틸벤조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 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수평균분자량(Mn)이 1,000 내지 5,000 g/mol, 예를 들면 1,5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내충격성, 내변색성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 내지 1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0.9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내충격성, 내변색성 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이 무색에 가깝도록 하고, 투명성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는 적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및 자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1 : 1 내지 1 : 2, 예를 들면 1 : 1.3 내지 1 : 1.7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투명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적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로는 solvent red 195(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2
), pigment red 177(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3
), 1-(메틸아미노)안트라퀴논(1-(methylamino)anthraquin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자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로는 disperse violet 26(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4
), acid violet 34(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5
),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6
(여기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tert-부틸기 또는 이소옥틸기이고,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S03Na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안트라퀴논계 착색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0.002 중량부, 예를 들면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구체적으로 0.0007 내지 0.001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투명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에스테르기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은 내가수분해성 저하 없이, 내전리방사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며, R1 및 R2와 R3 및 R4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m 및 n은 0 또는 1이고, m+n은 1 또는 2이다.
상기 에스테르기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1a]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8
[화학식 1b]
Figure 112016050476014-pat00009
[화학식 1c]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0
구체예에서, 상기 에스테르기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부, 예를 들면 0.01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가수분해성, 열안정성 등의 저하 없이,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내변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른 수지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른 수지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1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충전제, 강화제, 안정화제, 착색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유동개선제, 이형제, 성핵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필요 시, 기타 첨가제 등을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값 및 b* 값이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2, 예를 들면 -1 내지 1, 구체적으로 0에 수렴할 수 있다. 상기 황색 지수(YI) 값, a* 값 및 b* 값이 2를 초과하거나 -2 미만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내부의 약액 및 혈액 등 내용물의 액면이나 색 식별이 어려울 수 있으며, 외관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투과도가 80%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성형품 내부의 약액 및 혈액 등 내용물의 액면이나 색 식별이 용이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0 kgf·cm/cm 이상, 예를 들면 95 내지 110 kgf·cm/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공지의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에도 색상,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므로, 주사기, 외과용 도구, 정맥 주사기 및 수술용 기구를 수용 또는 포장하기 위한 용기 형태의 포장 부품, 또는 인공 폐, 인공 신장, 마취용 흡입기, 정맥 연결기, 혈액 투석기, 혈액 여과기, 안전 주사기 및 이들의 부속품과 같은 의료 장치의 부품 및 혈액 원심 분리기, 외과용 도구, 수술 도구 및 정맥 주사기의 부품 등 내전리방사선성 의료용품으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Mw): 28,000 g/mol, 유동지수(MI): 8 g/10분(300℃, 1.2 kg 하중))를 사용하였다.
(B)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평균분자량(Mn): 2,000 g/mol)을 사용하였다.
(C)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C1) 적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인 solvent red 195(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1
)를 사용하였다.
(C2) 자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인 disperse violet 26(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2
)을 사용하였다.
(D) 착색제
(D1) Lanxess사의 solvent Red 179(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3
)을 사용하였다.
(D2) BASF사의 pigment violet 29(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4
)를 사용하였다.
(E)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a]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5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1 및 2에 따라,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알킬렌글리콜, (C)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D) 착색제 및 (E)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한 후, L/D=36, Φ=32mm인 이축 압출기에서 260℃의 온도에서 압출하고,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120℃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사출기(제조사: 동신유압, 장치명: DHC 120WD)에서 성형 온도 270℃, 금형 온도 70℃ 조건으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감마선 조사 후 황색 지수(YI), a* 및 b*: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및 b*의 값을 측정하였다.
(2) 감마선 조사 후 투과도(단위: %):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003에 따라 투과도(전광선 투과율)를 측정하였다.
(3) 감마선 조사 후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256에 따라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0.75 0.75 0.75 0.75 0.75 0.75
(C) (중량부) (C1) 0.00039 0.00035 0.00033 0.00028 0.00044 0.00039
(C2) 0.00051 0.00055 0.00057 0.00042 0.00066 0.00051
(D) (중량부) (D1) - - - - - -
(D2) - - - - - -
(E) (중량부) - - - - - 0.04
감마선 조사 후 a* -0.8 -0.8 -0.8 -0.6 -0.9 -0.5
감마선 조사 후 b* 0.9 0.9 0.9 0.7 1.0 0.3
감마선 조사 후 YI 0.6 0.6 0.6 0.5 0.7 -0.1
감마선 조사 후 투과도 (%) 80 80 80 81 80 84
감마선 조사 후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98 98 98 99 98 99
비교예
1 2 3 4 5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0.75 0.75 0.75 0.75 0.75
(C) (중량부) (C1) - - - 0.00035 -
(C2) - - - - 0.00055
(D) (중량부) (D1) - 0.00039 0.00035 - 0.00035
(D2) - 0.00051 0.00055 0.00055 -
(E) (중량부) - - - - -
감마선 조사 후 a* -8.0 -6.1 -5.8 -3.5 -6.4
감마선 조사 후 b* 22.8 15.8 15.3 -1.9 23.0
감마선 조사 후 YI 31.1 23.5 21.3 4.3 26.0
감마선 조사 후 투과도 (%) 84 65 68 75 70
감마선 조사 후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99 99 99 99 98
상기 표 1 및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은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YI, a* 및 b*)이 무색에 가까우며,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착색제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YI, a* 및 b*) 및 내전리방사선성(내변색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안트라퀴논계 착색제(C) 대신에 통상의 착색제(D)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2 및 3), 투명성(투과도)이 크게 감소하고, 실시예에 비해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내전리방사선성(내변색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안트라퀴논계 착색제(C) 및 통상의 착색제(D)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비교예 4 및 5), 실시예에 비해 전리방사선 조사 후 색상, 내전리방사선성(내변색성) 및 투명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적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및 자색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1 : 1 내지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안트라퀴논계 착색제를 포함하며,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 ASTM D2244에 따라 측정한 a* 값 및 b* 값이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함량은 0.4 내지 1 중량부이고, 상기 안트라퀴논계 착색제의 함량은 0.0001 내지 0.00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50476014-pat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며, R1 및 R2와 R3 및 R4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m 및 n은 0 또는 1이고, m+n은 1 또는 2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투과도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3.2 mm 두께 시편에 25 kGy 감마선을 조사하고 7일 후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0 kgf·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내전리방사선성 의료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60064374A 2015-06-30 2016-05-25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8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95,058 US10150864B2 (en) 2015-06-30 2016-06-28 Ionizing radiation 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CN201610499400.0A CN106317820B (zh) 2015-06-30 2016-06-29 耐电离辐射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包含其的制品
DE102016112050.2A DE102016112050B4 (de) 2015-06-30 2016-06-30 Gegen ionisierende Strahlung beständige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nd Formteil, das diese enthä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3812 2015-06-30
KR1020150093812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80A KR20170003880A (ko) 2017-01-10
KR101886496B1 true KR101886496B1 (ko) 2018-08-08

Family

ID=5781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74A KR101886496B1 (ko) 2015-06-30 2016-05-25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0107A (en) 1986-12-22 1988-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Blends of polycarbonate resins and polyester resins exhibit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JP2012207230A (ja) 2012-07-13 2012-10-2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9039B2 (en) * 2005-10-31 2010-01-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onizing radiation s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7528212B2 (en) * 2005-11-18 2009-05-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onizing radiation s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0107A (en) 1986-12-22 1988-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Blends of polycarbonate resins and polyester resins exhibit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JP2012207230A (ja) 2012-07-13 2012-10-2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80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102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JP200619984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部品
KR101835942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2204103B (zh) 由聚碳酸酯制成的可通过电离辐射灭菌的模制部件
EP0359366A2 (en) Medical molding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KR101886496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14821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374367B1 (ko) 내방사선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외장재
KR101752534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37822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0150864B2 (en) Ionizing radiation 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787171B1 (ko) 내전리방사선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0619984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JP200617672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US10144826B2 (en) Ionizing radiation 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333079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6113532A (ja) ダイアライザー
JP200619984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器具
JP361845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22002862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47356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医療用部品
JPH08225734A (ja) γ線耐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