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862B1 -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862B1
KR101885862B1 KR1020160156523A KR20160156523A KR101885862B1 KR 101885862 B1 KR101885862 B1 KR 101885862B1 KR 1020160156523 A KR1020160156523 A KR 1020160156523A KR 20160156523 A KR20160156523 A KR 20160156523A KR 101885862 B1 KR101885862 B1 KR 10188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p
hollow space
extending
interdent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978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16015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8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n or between bel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치간칫솔을 사용시 치간칫솔과 치실을 사용자의 이물질 제거 작업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은 ⅰ)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프레임, ⅱ) 제1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 ⅲ)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목부, ⅳ) 목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몸체부 그리고 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치실부 를 포함하고, 치실부는 ⅰ) 제2 방향으로 뻗는 제1 치실, ⅱ) 제1 치실과 중첩영역을 가지며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ⅲ)와이어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제1 치간칫솔부를 포함하고, 제1 치간칫솔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INTERDENTAL 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 브러시는 구강보조 위생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칫솔이 닿기 어려운 치아의 틈 사이 부분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 치석, 세균성 피막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한다.
종래의 치간 브러시는 이물질이 단단히 끼었을 경우 치간 브러쉬로 밀어서 치간에 치간 브러쉬를 넣는 작업이 힘들어 치실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치간 브러쉬를 이용해야 했으며, 치실이 없을 경우에는 치간 브러시만으로 세정이 이루어지므로 잇몸이 자극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치간칫솔을 사용시 치간칫솔과 치실을 사용자의 이물질 제거 작업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은 ⅰ)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프레임, ⅱ) 제1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 ⅲ)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목부, ⅳ) 목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몸체부 그리고 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치실부 를 포함하고, 치실부는 ⅰ) 제2 방향으로 뻗는 제1 치실, ⅱ) 제1 치실과 중첩영역을 가지며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ⅲ)와이어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제1 치간칫솔부를 포함하고, 제1 치간칫솔부는 제2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는 제1 방향으로 뻗고, 내부에 제1 중공형공간 및 제2 중공형공간을 포함하고, 제1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1 캡, 그리고 제2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2 캡을 포함하고 몸체부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캡은 제1 위생유닛과 연결되고, 제2 캡은 제2 치실과 연결되고, 제1 위생유닛은 제1 중공형공간에 수용되고, 제2 치실은 제2 중공형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의 제2 방향으로 뻗은 거리에 대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제2 방향의 이격 거리의 비는 1:2일 수 있다. 몸체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치간칫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인 제2 위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는 제1 방향으로 뻗는 제3 캡을 포함하고, 제3 캡은 제1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과 제3 캡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3 위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목부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제조 방법은, ⅰ)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합사 또는 연사된 제1 치실을 제공하는 단계, ⅱ) 하나 이상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를 꼬아 결합하여 와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ⅲ) 제1 치실과 와이어를 한 번에 연사하여 중첩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ⅳ) 원사로 이루어진 제1 치간칫솔부를 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단계, ⅴ)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프레임, 제1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목부, 그리고 목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몸체부를 한 번에 사출하는 단계 그리고 ⅵ) 제1 치실, 와이어 그리고 제1 치간칫솔부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간칫솔의 치실부를 이용하여 치실을 치아의 틈 사이에 끼우고 치간 칫솔부위로 전진 및 후진시켜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으며 위생유닛과 치실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간칫솔의 헤드부와 치실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치간칫솔(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간칫솔(100)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간칫솔(100)은 헤드부(10), 목부(20), 몸체부(30), 삽입부(40) 그리고 치실부(50)를 포함한다. 헤드부(10)는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은 y축 방향으로 뻗으며 y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은 각각 목부(20)를 향해 라운딩되고 상호 y축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의 형상이 대칭일 경우, 치아의 크기가 비교적 큰 어금니의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목부(20)는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을 연결할 수 있다. 목부(20)는 걸이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제2 치실(4031)을 걸이부(20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 치실(4031)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제1 치실(501)을 사용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치실(4031)을 제2 중공형공간(303)에 넣지 않아도 걸이부(201)에 걸고 간편하게 제1 치실(501)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목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그 내부에 제1 중공형공간(301), 제2 중공형공간(303) 그리고 분리벽(3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형공간(301)과 제2 중공형공간(303)은 분리벽(307)을 통해 나누어 질 수 있으므로 각각 반원 형상의 독립적인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40)는 제1 캡(401)과 제2 캡(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401)은 제1 위생유닛(40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생유닛(4011)은 제1 캡(401)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생유닛(4011)은 이쑤시개일 수 있다. 제1 캡(401)은 제1 중공형공간(301)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 될 수 있다. 제1 캡(401)이 제1 중공형공간(301)에 삽입 될 경우, 제1 위생유닛(4011)은 제1 중공형공간(30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캡(403)은 그 상부와 연결되는 제2 치실(40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403)은 제2 중공형공간(303)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 될 수 있다. 제2 캡(403)이 제2 중공형공간(303)에 삽입 될 경우, 제2 치실(4031)은 제2 중공형공간(303)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치실(4031)은 복수개의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2 치실(4031)은 인체에 무해한 호제 또는 왁스로 코팅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호제 또는 왁스는 타액과 닿으면 녹아서 제거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2 치실(4031)은 자일리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403)은 제2 치실(4031)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캡(403)을 몸체부(30)에서 분리시킨 후 한쪽 손은 몸체부(30)를 잡고 다른쪽 손은 제2 캡(403)을 잡아 제2 치실(4031)을 치아의 틈 사이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양손의 검지 손가락에 치실의 양끝을 감아 힘을 주며 잡고 있어야 하는 치실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직접 손가락이 구강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헤드부(10), 목부(20), 몸체부(30) 그리고 삽입부(40)는 플라스틱 몰딩에 의해 한 번에 제조될 수 있다.
치실부(50)는 제1 치실(501), 제1 치간칫솔부(503) 그리고 와이어(505)를 포함한다. 치실부(50)는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치실(501)은 x축 방향으로 뻗으며 제2 프레임(10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치실(501)은 나일론(nylon), 실리콘, 그리고 플라스틱 등의 소재의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실(501)은 와이어(505)와 중첩영역(d1)을 가지며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재질을 갖는 제1 치실(501)과 와이어(505)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와이어(505)는 제1 프레임(10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는 와이어(505)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와이어(50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는 x축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선단부분이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는 치아 및 잇몸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정한 강도 및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치실부(50)는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제1 치실(501), 하나 이상의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505) 그리고 방사된 원사를 포함하는 제1 치간칫솔부(503)을 한 번에 연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실부(50)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정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는 수지 분말을 혼합하여 사출 성형시킬 수도 있으며, 제1 치간칫솔부(503)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그 양단을 가공 처리할 수 있다. 수지 분말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100)의 헤드부(10)와 치실부(50)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제1 치간칫솔부(503)가 x축 방향으로 뻗은 길이(d3)에 대한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의 이격 거리(d2)의 비는 1:2일 수 있다. 전술한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치실(501)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므로 치아 간격이 큰 사용자는 이물질 제거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비가 너무 큰 경우, 제1 치간칫솔부(503)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므로 치아 간격이 작은 사용자는 치아 사이에 제1 치간칫솔부(503)가 삽입되기 어려우며 잇몸이 자극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치간칫솔(100)은 치아의 간격이 큰 사용자와 작은 사용자 모두에게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아의 간격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치아 사이에 제1 치실(501)을 먼저 삽입하고 제1 치실(501)부터 제1 치간칫솔부(503)의 끝 영역까지(d5) 전진 및 후진시켜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치아의 간격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1 치실(501)을 먼저 삽입하고 사용자의 치아의 간격만큼 제1 치실(501)부터 제1 치간칫솔부(503)의 일부 영역(d4)까지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잇몸 자극을 줄일 수 있으며 잇몸의 출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200)을 나타낸다. 도 3의 헤드부(10)와 몸체부(30)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치간칫솔(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는 제3 프레임(105)과 제4 프레임(1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05)과 제4 프레임(107)은 라운딩된 형상으로 목부(2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05)으로부터 목부(20)까지의 거리는 제4 프레임(107)으로부터 목부(20)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치아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앞니의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단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305)는 제2 치간칫솔부(3051)와 심부(30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치간칫솔부(3051)는 단부(305)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치간칫솔부(3051)를 이용하여 입안의 깊숙한 부분까지 세정할 수 있다. 제2 치간칫솔부(3051)는 심부(3055)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심부(3055)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심부(3055)는 제2 치간칫솔부(3051)의 중심에서 제2 치간칫솔부(305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 치간칫솔부(305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300)을 나타낸다. 도 4의 몸체부(30)와 삽입부(40)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치간칫솔(2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0)는 제2 위생유닛(30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생유닛(3053)은 단부(305)와 연결되고 y축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형상일 수 있다. 제2 위생유닛(3053)은 이쑤시개일 수 있다.
삽입부(40)는 제3 캡(4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캡(405)은 그 내부에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캡(405)은 화살표 방향으로 몸체부(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생유닛(3053)은 제3 캡(4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캡(405)은 외면에 제3 위생유닛(40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위생유닛(4051)은 귀이개로 면봉솜을 포함할 수 있다. 치간칫솔(300)은 제1 치실(501), 제2 위생유닛(3053) 그리고 제3 위생유닛(4051)을 하나로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치간칫솔(100)의 제조 방법은 먼저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합사 또는 연사된 제1 치실(501)을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를 꼬아 결합하여 와이어(505)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치실(501)과 와이어(505)를 한 번에 연사하여 중첩영역을 형성하고, 원사로 이루어진 제1 치간칫솔부(503)를 와이어(505)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 제1 프레임(101)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103), 제1 프레임(101)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103)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목부(20) 그리고 목부(20)와 연결된 몸체부(30)를 한 번에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실(501), 와이어(505) 그리고 제1 치간칫솔부(503)를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3)사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실(501)을 제공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 들을 상호 접착 및 유지시키는 코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05)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철, 스테인리스를 꼬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치간칫솔부(503)를 와이어(505)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단계는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탄산칼슘 및 실리카의 무기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원사는 적당한 탄력과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헤드부 20. 목부
30. 몸체부 40. 삽입부
50. 치실부 101. 제1 프레임
103. 제2 프레임 105. 제3 프레임
107. 제4 프레임 201. 걸이부
301. 제1 중공형공간 303. 제2 중공형공간
305. 단부 307. 분리벽
401. 제1 캡 403. 제2 캡
405. 제 3캡 501. 제1 치실
503. 제1 치간칫솔부 505. 와이어
3051. 제2 치간칫솔부 3053. 제2 위생유닛
3055. 심부 4011. 제1 위생유닛
4031. 제2 치실 4051. 제3 위생유닛

Claims (8)

  1.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목부,
    상기 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치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뻗는 제1 치실, 상기 제1 치실과 중첩영역을 가지며 연결되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제1 치간칫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간칫솔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뻗고, 내부에 제1 중공형공간 및 제2 중공형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1 캡, 그리고 상기 제2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제1 위생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캡은 제2 치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생유닛은 상기 제1 중공형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치실은 상기 제2 중공형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중공형공간과 상기 제2 중공형공간은 분리벽을 통해 나누어지고 각각 반원 형상의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목부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치간칫솔.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치간칫솔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은 거리에 대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2 방향의 이격 거리의 비는 1:2인 치간칫솔.
  4.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치간칫솔부를 포함하는 치간칫솔.
  5. 제4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인 제2 위생유닛을 포함하는 치간칫솔.
  6. 제5항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제3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캡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과 상기 제3 캡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3 위생유닛을 포함하는 치간칫솔.
  7. 삭제
  8.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합사 또는 연사된 제1 치실을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를 꼬아 결합하여 와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치실과 상기 와이어를 한 번에 연사하여 중첩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원사로 이루어진 제1 치간칫솔부를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단계,
    제1 방향으로 뻗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목부, 그리고 상기 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몸체부를 한 번에 사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치실, 상기 와이어 그리고 상기 제1 치간칫솔부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뻗고, 내부에 제1 중공형공간 및 제2 중공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중공형공간과 상기 제2 중공형공간은 분리벽을 통해 나누어지고 각각 반원 형상의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는 단계,
    상기 제1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1 캡, 그리고 상기 제2 중공형공간에 삽입되는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캡은 제1 위생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캡은 제2 치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생유닛은 상기 제1 중공형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치실은 상기 제2 중공형공간에 수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부에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간칫솔의 제조 방법.
KR1020160156523A 2016-11-23 2016-11-23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23A KR101885862B1 (ko) 2016-11-23 2016-11-23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23A KR101885862B1 (ko) 2016-11-23 2016-11-23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78A KR20180057978A (ko) 2018-05-31
KR101885862B1 true KR101885862B1 (ko) 2018-08-06

Family

ID=6245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523A KR101885862B1 (ko) 2016-11-23 2016-11-23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01Y1 (ko) 2019-02-18 2019-06-26 주식회사 디오텍코리아 치아위생기구가 구비된 치실구
KR20200100278A (ko)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디오텍코리아 치간 위생용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34089T3 (es) * 2017-09-19 2021-06-1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 Ltd Herramienta de limpieza dental con protector integrado
GR1010017B (el) * 2020-02-18 2021-05-31 Ειρηνη Γεωργιος Γκογκουα Μεσοδοντιο βουρτσακι με νημα
KR102205601B1 (ko) * 2020-08-12 2021-01-21 신예원 환형 치실용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356B2 (ja) * 1996-12-12 2001-06-25 リオン株式会社 航空機飛行位置検出装置
KR200357424Y1 (ko) 2004-04-20 2004-07-27 김중한 치실 홀더
KR101428757B1 (ko) 2013-07-31 2014-08-08 김혜경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484Y2 (ja) * 1989-08-18 1995-04-05 大和精工株式会社 育苗作業機の支持枠構造
TWI413512B (zh) * 2011-08-23 2013-11-01 Liang Wan Jhih 牙線棒結構
KR20130080110A (ko) * 2012-01-04 2013-07-12 백구현 이중실과 이쑤시개 보호 구조를 갖는 일회용 치실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356B2 (ja) * 1996-12-12 2001-06-25 リオン株式会社 航空機飛行位置検出装置
KR200357424Y1 (ko) 2004-04-20 2004-07-27 김중한 치실 홀더
KR101428757B1 (ko) 2013-07-31 2014-08-08 김혜경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01Y1 (ko) 2019-02-18 2019-06-26 주식회사 디오텍코리아 치아위생기구가 구비된 치실구
KR20200100278A (ko)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디오텍코리아 치간 위생용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78A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862B1 (ko)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US6672316B1 (en) Cleaning element, especially for cleaning teeth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9517311A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口腔ケア器具
HU221790B1 (hu) Fogköztisztító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CN102123680A (zh) 齿间清洁器及其制造方法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CN107184288B (zh) 牙签
JP2016531598A (ja) 携帯用歯間ブラシ
JP2001218623A (ja) 歯ブラシ
JP2004202021A (ja) 歯ブラシ
JP2007037791A (ja) 歯間ブラシ
JP2004208816A (ja) 歯ブラシ
CN205696411U (zh) 一种牙缝刷
JP2005185399A (ja) 歯ブラシ
KR20230129801A (ko) 치간칫솔
US11464323B2 (en) Toothbrush
JP3128400U (ja) 歯間磨き具
JP6375535B2 (ja) 歯ブラシ
JP2006158842A (ja) 歯ブラシ
JP2002065360A (ja) 歯ブラシ
JP2001252291A (ja) 繊維形成の歯磨き爪楊枝
CN213310492U (zh) 一种新型牙线
JP2015036042A (ja) 歯ブラシ
KR102567142B1 (ko)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CN211298773U (zh) 一种牙缝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