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57B1 -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57B1
KR101428757B1 KR1020130090568A KR20130090568A KR101428757B1 KR 101428757 B1 KR101428757 B1 KR 101428757B1 KR 1020130090568 A KR1020130090568 A KR 1020130090568A KR 20130090568 A KR20130090568 A KR 20130090568A KR 101428757 B1 KR101428757 B1 KR 10142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pper
floss
main body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장지일
윤진목
김동연
장윤아
Original Assignee
김혜경
장지일
윤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장지일, 윤진목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13009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감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일회용치실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위하여,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치실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스톱퍼와, 상기 제1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2프레임와, 상기 치실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톱퍼를 포함하는 일회용치실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flosser}
본 발명은 일회용치실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치실용품은 치실을 치아 세정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결용 기구의 하나로서,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과 프러그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그 사용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일회용치실용품은 그 본체에 돌설된 2 개의 프레임 끝단에 치실을 고정시킨 구조로서 통상 한 개의 치실용품의 본체를 손가락으로 잡고 프레임에 고정된 치실을 치간에 밀어 넣어서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되 순차적으로 구강내의 전체 치아의 이물질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치실을 치간에 밀어 넣을 때에 치간의 틈이 좁은 경우에는 치실에 많은 힘을 주어야 함으로 치실을 지지하고 있는 2 개의 프레임이 서로 상대방향으로 변형되어서 프레임의 끝단에 지지되어 있는 치실이 축 쳐져, 순차적으로 치아를 청결하도록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단점이 있었고, 한편 치실은 연신 상태의 섬유 필라멘트를 다수 마련하여 이들을 합사 처리하고, 표면을 코팅하여 치실을 완성하는 합사형 치실과 또는 넓은 필름을 절단하여 좁은 폭의 테이프 상으로 만드는 테이프 형 치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치실은 합성수지에 고정되어 일회용치실용품으로 제공되는데, 금형에 치실(1)을 배치하고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되었다. 제조시 치실은 고온(약 200℃)의 합성수지의 사출 온도로 사출금형의 고온에 의해 치실에 열변형이 발생함으로서 치실의 인장강도가 약화되어 사용 시 끊어지는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 통상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현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실의 파단을 방지하고 치실의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프레임과, 치실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제1스톱퍼와, 상기 제1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치실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톱퍼를 포함하는 일회용치실용품이 제공된다.
상기 제1스톱퍼는 상기 제1프레임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프레임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퍼 및 상기 제1프레임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금형에 치실을 배치하지 않고 본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될 제1스톱퍼와,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될 제2스톱퍼를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이, 상호 인접하도록 구부리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치실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에 상기 제1스톱퍼를 결합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상기 제2스톱퍼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치실용품이 제공된다.
본체,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벌어지도록 사출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실을 사출공정에서 분리하여 생산한 일회용치실용품의 본체부와 상온에서 조립함으로서 치실의 파단을 방지하고,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성능이 유지되도록 치실에 장력을 유지시켜서 치실을 팽팽히 당기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치실용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치실용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부 사출공정에서 치실을 분리하여 치실을 별도로 조립하는 일회용치실용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치실용품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치실용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실을 사출공정에서 분리하여 조립하는 일회용치실용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치실용품은 본체(30), 제1프레임(11), 제1스톱퍼(12), 제2프레임(21) 및 제2스톱퍼(22)를 포함한다.
본체(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며, 대략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본체(30)는 치간의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어느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본체(30)는 통상 납작한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30)를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 단면이 Ι형태이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30)는 내부가 빈 사각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 및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11)은 본체(30)에서 연장된다. 예컨대, 제1프레임(11)은 본체(30)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은 본체(30)와 마찬가지로 납작한 바 형태 또는 그 단면이 Ι형태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프레임(11)은 내부가 빈 사각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 및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스톱퍼(12)는 치실(1)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제1프레임(11)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즉 치실(1)은 제1스톱퍼(12)와 제1프레임(11) 사이에 일단이 개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움 결합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의 일단부와 대략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11)은 요철 형상의 절곡된 일단부를 포함하고,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의 요철형상의 절곡된 일단부에 맞는 형상을 포함하여, 제1프레임(11) 및 제2스톱퍼(22)는 조립되어 일회용 치실의 형상을 완성한다. 이하에서 제1스톱퍼(12)와 제1프레임(11)의 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에 대향되는 돌기(12a)가 형성되고, 제1프레임(11)은 제1스톱퍼(12)에 대향되는 면에 돌기가 삽입되는 홈(11a)이 형성된다. 즉 돌기(12a)가 홈(11a)에 삽입됨에 따라 제1스톱퍼(12)는 제1프레임(11)에 결합된다. 여기서 돌기(12a) 및 홈(11a)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 결합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스톱퍼(12)가 제1프레임(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되 그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및 반원형 등 여러 형태로 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한다는 것은 상보(相補)적인 또는 상호 암수 형태를 포함한다.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의 대향하는 면이 매끄럽다면 치간의 이물질 제거시 치실(1)이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에서 빠져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 치실(1)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은 요철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스톱퍼(12)에 형성된 요철과 제1프레임(11)에 형성된 요철은 상호 맞물린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의 요철은 치실(1)의 연장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기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프레임(21)은 제1프레임(11)에 이격되어 본체(30)에서 연장된다. 이때, 제2프레임(21)은 제1프레임(11)의 연장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프레임(21)은 제1프레임(11)과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스톱퍼(22)는 치실(1)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제2프레임(2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즉 치실(1)은 일단이 제1스톱퍼(12) 및 제1프레임(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스톱퍼(22) 및 제2프레임(21)에 고정된다. 제2스톱퍼(22)는 제1스톱퍼(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프레임(21) 및 제2스톱퍼(22)는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제2프레임(21) 및 제2스톱퍼(22)의 요철은 전술한 제1프레임(11) 및 제1스톱퍼(12)의 요철과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며,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며, 통상 제조 공정과 다르게 치실(1)을 사출성형에서 분리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본체(30)에서 멀어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증가한다. 즉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벌어지도록 본체(30)에서 연장된다. 치실(1)이 사용 중 늘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이 저하되고 치간 사이에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이 치실(1)에 초기장력을 주어서 팽팽히 당기도록 오므려진 상태에서 제1스톱퍼(12)와 제2스톱퍼(22)에 의해 치실(1)을 고정하여, 치실(1)에 장력을 주어 팽팽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로 인해 일회용치실용품의 사용감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상 치실이 사출금형 내부에서 사출과정에 일체로 조립 되어 왔던 공정을 치실과 본체부를 사출 공정에서 분리하여 일회용치실용품의 본체부를 사출 후에 냉각시킨 다음, 치실은 상온에서 본체부에 조립한다.
도 4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치실용품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을 사출성형을 통해 치실(1)과 분리하여 제조한다. 이때,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대략 수평을 이룰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치실(1)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이 벌어지도록 사출성형한다.
또한, 제1프레임(11)의 일단부에 결합될 제1스톱퍼(12)와, 제2프레임(21)의 일단부에 결합될 제2스톱퍼(22)를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한다.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은 제1스톱퍼(12) 및 제2스톱퍼(22)와 동시에 제조되거나 어느 하나가 먼저 제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11)의 일단과 제2프레임(21)의 일단이 제2프레임(21)에 변형을 주어서 복원력이 치실에 장력을 주도록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린다. 즉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을 주어 구부린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출공정에서 치실(1)과 분리하여 사출성형 되어 냉각된 일회용치실용품의 본체부에서 제1프레임(11)의 일단부와 제2프레임(21)의 일단부에 치실(1)을 배치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의 일단부에 제1스톱퍼(12)를 결합하고, 제2프레임(21)의 일단부에 제2스톱퍼(22)를 결합한다. 종래에 치실이 사출금형에서 사출과정에서 일체로 제조됨으로서 치실이 열변형에 의하여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실을 사출 과정에서 분리하여 일회용치실용품의 본체부가 사출 후 냉각된 다음 상온에서 치실을 결합한다.
이때, 제1프레임(11)의 일단과 제2프레임(21)의 일단이 치실(1)에 초기장력을 주기 위하여 상호 인접하도록 구부린 상태에서 치실(1)을 배치하고, 제1스톱퍼(12) 및 제2스톱퍼(22)를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에 결합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체(30),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된 외력을 제거하여, 치실(1)에 장력을 인가한다. 치실(1)은 장력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치간 사이에 보다 원활이 침투되는 등 사용감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치실(1)을 사출공정에서 분리하여 상온에서 일회용치실용품의 프레임(11)(12)에 조립 고정시킴으로서 종래 치실(1)이 사출온도의 영향으로 인장강도가 저하 하여 사용 중에 쉽게 파단 됨에 따른 결정적 품질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치실 2: 금형
11: 제1프레임 12: 제1스톱퍼
21: 제2프레임 22: 제2스톱퍼
30: 본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가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향 연장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가지는 일회용 치실용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체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이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고 상단부는 요철과 홈을 갖는 형상으로 탄성재로 제조하는 본체 제조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될 제1 스톱퍼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될 제2 스톱퍼를 상기 본체 상단부의 요철과 홈에 대응되는 요철과 돌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스톱퍼 제조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내측으로 외력을 가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고정하는 간격 좁힘단계;
    상기 간격 좁힘단계에서 내측으로 구부려져 간격이 고정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의 사이에 치실을 걸쳐 배치하는 치실 배치단계;
    상기 제1 프레임 상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치실의 양단부를 상기 제1 프레임 상단부 및 상기 제2 프레임 상단부의 요철 및 홈과 상기 제1 스톱퍼 및 상기 제2 스톱퍼의 요철 및 돌기를 이용해 결합하는 스톱퍼 결합단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복귀되어 상기 치실이 그 사이에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는 외력제거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30090568A 2013-07-31 2013-07-31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KR10142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68A KR101428757B1 (ko) 2013-07-31 2013-07-31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68A KR101428757B1 (ko) 2013-07-31 2013-07-31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757B1 true KR101428757B1 (ko) 2014-08-08

Family

ID=5175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68A KR101428757B1 (ko) 2013-07-31 2013-07-31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978A (ko) * 2016-11-23 2018-05-31 김영철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061A (ja) * 2005-06-29 2007-01-18 Lion Corp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および歯間清掃具
EP1897515B1 (de) 2006-09-05 2009-12-02 Markus Walker Halter für Zahnseide
KR200455552Y1 (ko) * 2011-04-18 2011-09-15 김승현 치실 홀더
JP2011245310A (ja) 2010-05-28 2011-12-08 Mcneil Ppc Inc 一回使用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061A (ja) * 2005-06-29 2007-01-18 Lion Corp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および歯間清掃具
EP1897515B1 (de) 2006-09-05 2009-12-02 Markus Walker Halter für Zahnseide
JP2011245310A (ja) 2010-05-28 2011-12-08 Mcneil Ppc Inc 一回使用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200455552Y1 (ko) * 2011-04-18 2011-09-15 김승현 치실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978A (ko) * 2016-11-23 2018-05-31 김영철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5862B1 (ko) 2016-11-23 2018-08-06 김영철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7829B2 (ja) 歯間清掃具
JP6837435B2 (ja) 歯間クリー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520247B1 (en) Dental flosser with improved strength
US20090230756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KR20120110982A (ko)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JP6625374B2 (ja) 歯間清掃具及び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TW201635948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一)
KR20160124123A (ko) 치료될 치아의 차폐 장치
JP2017000775A (ja) 歯間清掃具
JP2018500067A5 (ko)
KR101428757B1 (ko) 일회용 치실용품 제조방법
US11291292B2 (en) Elastically-pressed electric toothbrush head
KR20150000480U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JP2007007061A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および歯間清掃具
JP2017119095A (ja) 歯間清掃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34066A5 (ko)
KR200334690Y1 (ko) 헤어브러쉬용 빗살패드 및 빗살
JP6087983B2 (ja) 舌ブラシの製造方法
TWI522062B (zh)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JP2011072696A (ja) 歯の清掃具
KR101496517B1 (ko) 칫솔 및 그 제조방법
NO341799B1 (en) Dental floss holder
JP3140194U (ja) 歯ブラシ用のフィラメント及び歯ブラシ
JP3142041U (ja) 歯間ブラシ
JP2010188102A (ja) 歯列を挟んで磨く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