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142B1 -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 Google Patents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142B1
KR102567142B1 KR1020210077107A KR20210077107A KR102567142B1 KR 102567142 B1 KR102567142 B1 KR 102567142B1 KR 1020210077107 A KR1020210077107 A KR 1020210077107A KR 20210077107 A KR20210077107 A KR 20210077107A KR 102567142 B1 KR102567142 B1 KR 10256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eeth
fitting
brus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866A (ko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1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1Toothbrushes with flos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로 치실이 결합되어 장력을 형성하는 헤드부, 헤드부와 결합되되, 일정 길이를 지니며 연장되며 종단으로 갈수록 첨예해지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종단에 심어지는 복수 개의 치간솔을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헤드부 및 브러쉬부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가능하여 치아 구조나 잇몸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치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A DENTAL FLOSS BRUSH THAT IS FORMED IN ONE-ON-ONE FORM}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로 치실이 결합되어 장력을 형성하는 헤드부, 헤드부와 결합되되, 일정 길이를 지니며 연장되며 종단으로 갈수록 첨예해지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종단에 심어지는 복수 개의 치간솔을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헤드부 및 브러쉬부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여 치아 구조나 잇몸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치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식습관 및 고령화로 인해 기본건강이 주목받고 있으며 건강 문제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 문제에 따른 약물 복용 증가 및 영양섭취 문제로 인해 건강문제는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저작운동을 기반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구강의 문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우식, 충치, 잇몸의 내려 앉음으로 인해 치아가 탈락하게 되면 보조적 수단으로 아말감, 금니, 임플란트 및 틀니등 다양한 보조수단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강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아와 치아의 사이에 삽입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실과 이쑤시개와 같은 예리한 봉에 솔이 심어진 형태의 치간칫솔을 이용하여 치솔이 닿지 않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치실, 치간칫솔과 같은 치아의 위생을 도모하는 위생용품은 종래에는 각각 구비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특허문헌을 제20-0403922를 살펴보면,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더불어 구강 내부의 살균 및 학군 그리고 입냄새를 제거하여 구강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이쑤시게와 치실을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치아를 손질할 수 있도록 삼각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종단으로 갈수록 뽀족한 첨봉(2)을 이루며 원호상의 곡면(3)상을 가지는 은(나노실버)과 랜덤폴리프로필렌(랜덤PP)가 혼합된 이쑤시게부(4)와, 상기 이쑤시게부(4)의 일단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연장형성되고 종단에 U자상의 요입부(5)를 가지는 홀더(6)가 마련되며 상기 홀더(6)에는 상기 요입부(5)를 횡단하며 은나노가 혼합된 나일론사로 이루어진 실(7)이 고정된 치실부(8)로 이루어져 있는 치실 겸용 이쑤시게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끝이 뽀족한 형태의 이쑤시개는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치아 사이를 안정되게 진입하기 어려워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의 안정적인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끝이 뽀족한 이쑤시개의 단부에 잇몸이 찔리는 상황이 발생되어 감염 또는 상처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이쑤시개와 같은 구조는 치아 사이에 달라붙은 플라그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다양한 치아의 구조에 대응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치간칫솔 또한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치아 사이의 달라붙은 플라그를 제거하고 다양한 치아의 위치에 대응하여 어금니와 같이 깊숙이 위치한 치아의 치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일체형 치아위생용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922호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위치한 음식물 찌꺼기, 플라그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장력을 지니는 치실과 치간칫솔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치아의 구조나 잇몸의 상태에 따라 치실과 치간칫솔을 선택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치간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은 치실이 결합되어 장력을 형성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되, 일정 길이를 지니며 연장되며 종단으로 갈수록 첨예해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종단에 심어지는 복수 개의 치간솔을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브러쉬부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며나, 상기 헤드부의 하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탄성을 지니되, 한 쌍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끼움부의 종단은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 내주면은 원형의 띠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를 억지끼워 맞춤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손으로 파지되는 일지점은 돌출부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치간솔은 상기 헤드부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사용자의 따른 상이한 치간의 벌어짐, 치간의 위치, 구강의 건강 상태 및 잇몸의 형태에 따라 치실과 브러쉬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적절한 구강청결 유지 수단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구강건강이 증대되며 구강위생을 함양함에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의 헤드부의 회전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브러쉬부의 사용방법 및 치간솔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한 치간의 이물질 제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헤드부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은 치실이 형성되는 헤드부(100)와 치간칫솔의 기능을 하는 브러쉬부(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치실질과 치간칫솔질을 치아(T)와 치아(T) 사이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헤드부(100), 본체부(200) 및 브러쉬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헤드부(100)는, 제1 헤드부(110), 제2 헤드부(120), 제3 헤드부(130) 및 끼움부(14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헤드부(100)는 치실이 치아(T)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치실(S)이 일정 장력이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치실의 일단은 제1 헤드부(110)에 결합되며 제1 헤드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헤드부(120)에 치실의 타단이 결합되어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제3 헤드부(130)는 제1 헤드부(110) 및 제2 헤드부(120)가 결합되어 제3 헤드부(130)의 일단과 타단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제1 헤드부(110) 및 제2 헤드부(12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헤드부(100)의 구성으로 인해 헤드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U' 형태로 형성되며 치실이 치간에 사용될 때, 치실과 제3 헤드부(130)가 이격되는 높이로 인해 헤드부(100)가 치아(T)에 닿이거나 치실이 치간에 충분히 삽입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치실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후술할 본체부(200)와 치실이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사용할 수 있지만 도 2의 도시처럼 본체부(200)와 수직을 이루도록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헤드부(100)는 본체부(200)와 결합되되, 본체부(200)에서 회전하여 사용자의 치아(T) 구조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헤드부(100)를 상이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헤드부(100)와 본체부(200)가 이루는 위치가 동일선상 및 수직으로 표현하였으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헤드부(100)와 본체부(200)가 다양한 각도를 지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상이한 치간의 위치, 형태, 치간의 벌어짐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헤드부(100)의 끼움부(140)를 통해 본체부(200)에서 헤드부(1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끼움부(140)를 설명하기 앞서 본체부(200)를 설명한다.
본체부(200)는 헤드부(100)가 결합되는 본체부(200)의 선단에서 헤드부(100)와 멀어지는 종단으로 갈수록 첨예해지는 막대 또는 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00)의 종단으로 갈수록 가늘고 좁아지는 형태로 인해, 치간에 본체부(200)의 선단을 삽입시키는 경우, 치간의 벌어짐 정도에 따라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무리한 삽입으로 인한 잇몸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좁은 치간에 삽입시키더라도 치주에 부담을 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부(200)는 결합부(210) 및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돌출부(220)는 본체부(200)를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 본체부(200)의 일지점에 사각형, 띠 등 다양한 형태로 돌출되어 손으로 파지 시, 손과 마찰력을 증대하여 손에서 본체부(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220)를 통해 손에서 본체부(200)가 미끄러져 잇몸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여 잇몸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질 또는 치간칫솔질 시, 치간 사이를 왕복하더라도 손에서 본체부(200)가 이탈되지 않아 효율적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며,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부(210)는 본체부(200)의 선단 즉, 헤드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단부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결합부(210)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끼움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210)의 내부의 하부에는 원형띠 형상의 수용부(212)가 결합부(210)의 내측 하부면을 따라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다시 도 4의 단면도를 참고하며, 끼움부(140)를 설명하면 끼움부(140)는 제3 헤드부(130)의 일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설명을 위해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로 설명하며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내주면이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는 각각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걸림부는 제1 걸림부(1411) 및 제2 걸림부(1412)를 각각 포함한다.
제1 걸림부(1411) 및 제2 걸림부(1412)는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부(140)는 탄성을 지니며,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 또한 탄성을 지니며 결합부(21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탄성을 지니며 휘어질 수 있다.
결합부(210)와 끼움부(140)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끼움부(140)를 결합부(210)와 결합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결합부(210)의 중공부(211)에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를 삽입하게 된다.
이는 도 5에 도시되며, 도 5의 도시처럼 탄성을 지닌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가 탄성을 지녀 결합부(210)에 억지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부(2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6의 도시처럼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가 결합부(210)의 중공부(211)에 삽입되어 내주면을 따라 하부로 위치하게 되면 제1 끼움부(141) 및 제2 끼움부(142)의 탄성회복력을 통해 제1 걸림부(1411) 및 제2 걸림부(1412)는 수용부(212)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하게 된다.
원형의 수용부(212)에 결합된 제1 걸림부(1411) 및 제2 걸림부(1412)는 수용부(212)의 원형의 내측을 따라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헤드부(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헤드부(100)를 사용자가 의지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있다.
끼움부(140)는 결합부(210)와 결합될 때, 상호 빈틈없이 맞게 결합되며 억지끼워맞춤 공차를 지녀 외력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을 지닌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치실질 또는 치간칫솔질 시, 헤드부(100)와 본체부(200)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걸림부(1411) 및 제2 걸림부(1412)는 수용부(212)의 내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끼움 결합되어 헤드부(100)가 결합부(210)에서 회전 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여 고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고하면, 헤드부(100)는 회전을 통해 치실을 사용자의 치간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사용자의 상이한 치간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대응되어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를 지니는 치실을 여럿 구비할 필요 없이 단일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치실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도 9의 (a) 도시처럼 기존의 치실이 결합된 치실부재는 앞니 윗니와 같은 상대적으로 구강의 전면에 위치한 치아(T)의 치간에 사용되는 것은 편리하게 이루어지나, 상대적으로 구강의 후면에 위치한 어금니 방향으로 갈수록 치실이 진입하기 어려워 치실질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어금니의 치간에 치실을 삽입하더라도 입술 및 볼에 의해 치실의 왕복 운동이 어려워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했다.
또한, 어금니의 치간에 치실을 무리하게 삽입하여 잇몸의 상처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선, 도 9의 (a), (b)의 도시처럼 헤드부(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치실이 치간에 삽입되는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어금니와 같이 구강의 후면에 위치한 치간에 치실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즉, 도 9(a)의 도시처럼 헤드부(100)가 치아의 배열과 수직하도록 치실을 치간에 삽입할 수 있으며, 도 (b)의 도시처럼 치간과 수평하도록 헤드부(100)를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을 위해 헤드부(100)를 치아와 수직 및 수평되는 구조로 설명했으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을 지니도록 헤드부(10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를 참고하며 브러쉬부(300)를 설명한다.
브러쉬부(300)는 본체부(200)의 종단에서 치간솔(310)이 복수 개로 심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브러쉬부(300)는 치간솔(310) 및 돌기(311)를 포함한다.
치간솔(310)은 본체부(200)의 종단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심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치간솔(310)은 탄력을 지니며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치간에 사용시 잇몸의 상처를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치간솔(310)은 헤드부(100)의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치간에 삽입 시, 치간솔(310)과 치아(T)의 저항을 줄여 용이하게 치간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치간솔(31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면에서 돌기(311)는 설명을 위해 확대 도시되었지만, 돌기(311)는 미세하게 치간솔(3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311)는 치간솔(310)의 외주면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치간에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세히, 기존의 치간솔(310)은 직선 형태로만 이루어져 있어 치아(T)의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힘들다.
본 발명에서 치간솔(310)에 형성된 돌기(311)는 치간솔(310)의 외주면에서 방사 형태로 돌출되어 치간솔(310)이 닿지 못하는 치간의 단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치아(T)에 미세하게 달라붙어 있는 플라그와 같은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어 치아(T)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브러쉬부(300)를 치간에 삽입하면, 치간솔(310)로 인해 치간의 큰 이물질이 선차적으로 제거되며 브러쉬부(300)를 치간에서 왕복운동하면 돌기(311)로 인해 치간의 미세한 작은 이물질(A)까지 제거되어 치아(T)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치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히 치간 사이를 브러쉬부(300)를 통해 왕복하면 치간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헤드부(100)에 치실이 결합되며, 본체부(200)의 종단에 브러쉬부(300)가 결합되어 구강건강에 필요한 치실질과 치간칫솔질을 하기 위한 용품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인 아닌 단일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치실(S)과 브러쉬부(3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편리한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치간의 벌어짐, 치간의 위치, 구강의 건강 상태 및 사용자마다 다른 잇몸의 형태에 따라 치실과 브러쉬부(300)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구강청결 유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구강건강이 증대되며 구강위생을 함양함에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T : 치아,
A : 이물질,
S : 치실,
100 : 헤드부,
110 : 제1 헤드부,
120 : 제2 헤드부,
130 : 제3 헤드부,
140 :끼움부,
141 : 제1 끼움부,
142 : 제2 끼움부,
200 : 본체부.
210 : 결합부,
220 : 돌출부,
300 : 브러쉬부,
310 : 치간솔,
311 : 돌기.

Claims (7)

  1. 치실이 결합되어 장력을 형성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되, 일정 길이를 지니며 연장되며 종단으로 갈수록 첨예해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종단에 심어지는 복수 개의 치간솔을 포함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브러쉬부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가능하고,
    상기 헤드부의 하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탄성을 지니되, 한 쌍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끼움부의 종단은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 내주면은 원형의 띠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를 억지끼워 맞춤 결합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의 손으로 파지되는 일지점은 돌출부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상기 치간솔은 상기 헤드부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헤드부를 사용한 후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측단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끼움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단의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끼움부;
    상기 제1 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끼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헤드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헤드부가 치아의 배열과 수직하도록 위치시키거나 상기 헤드부가 치아의 배열과 수평하도록 위치시켜 상기 브러쉬부를 치아 사이에 삽입 가능한 것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7107A 2021-06-15 2021-06-15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KR10256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107A KR102567142B1 (ko) 2021-06-15 2021-06-15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107A KR102567142B1 (ko) 2021-06-15 2021-06-15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866A KR20220167866A (ko) 2022-12-22
KR102567142B1 true KR102567142B1 (ko) 2023-08-14

Family

ID=8457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107A KR102567142B1 (ko) 2021-06-15 2021-06-15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326A1 (en) * 2008-12-12 2010-06-17 Sung Han Kang Interdental cleaner with dental flos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KR20110073623A (ko) * 2009-12-22 2011-06-30 (주) 씨앤씨 치간 세척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7326A1 (en) * 2008-12-12 2010-06-17 Sung Han Kang Interdental cleaner with dental f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866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176A (en) Dental pick
US6826797B1 (en) Oral devices
NZ563045A (en) Oral hygiene implement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US4572223A (en) Dental brush holder and assembly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EP3777607A1 (en) Toothbrush
US9936798B2 (en) Tooth brush and flossing aid combination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US5002077A (en) Periodontal pocket cleaner
US6766808B2 (en) Dental floss holder and method of making a dental floss holder
EP2299869B1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KR102567142B1 (ko)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EP0252710A1 (en) Teeth cleaning device
US20220125563A1 (en) Dental cleaning device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US20200397545A1 (en) Disposable flosser head attachment for a water floss pick
CN212415948U (zh) 一种口腔清洁牙线棒
KR100311360B1 (ko) 침상 모 칫솔
CN113710194B (zh) 口腔卫生装置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KR200430841Y1 (ko) 1회용 치아세정구
JP3020703U (ja) 歯の清掃具
KR20230129801A (ko) 치간칫솔
KR200225384Y1 (ko) 씹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