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01B1 - 환형 치실용 홀더 - Google Patents

환형 치실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01B1
KR102205601B1 KR1020200100904A KR20200100904A KR102205601B1 KR 102205601 B1 KR102205601 B1 KR 102205601B1 KR 1020200100904 A KR1020200100904 A KR 1020200100904A KR 20200100904 A KR20200100904 A KR 20200100904A KR 102205601 B1 KR102205601 B1 KR 10220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pair
annular
holder
annula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예원
Original Assignee
신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예원 filed Critical 신예원
Priority to KR10202001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 치실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는 선단부에 환형의 치실을 걸어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실 탈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치실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환형 치실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설치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설치되며, 둘레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선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선단부를 향해 회동되는 간섭바가 설치되어, 벌어진 선단부가 오므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형 치실용 홀더{A holder for circle type dental floss}
본 발명은 환형 치실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 탈착의 편의성을 높이고, 팽팽한 장력이 치실 사용시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환형 치실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의 세정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청결용 기구로써,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치료시 사용되거나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식사 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각종 치아관련 질환을 예방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치질을 통해 애초 치아로부터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면 되지만 양치질만으로는 찌꺼지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치실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은 치실권취기(미도시)를 통해 권취되어 제공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 치실홀더를 통해 제공된다. 치실권취기를 통해 제공된 치실은 치실을 풀어내야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야기될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치실을 파지해야하는 점에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1회용 치실홀더(10)를 통해 제공된 치실(12)은 1회용 치실홀더(10)의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치실(12)의 장력이 팽팽하지 못하거나 치실홀더(10)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치실(12)을 한번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하기엔 위생적이지 못해 전체 1회용치실홀더(10)와 고정된 치실(12)을 버리고 다시 새로운 1회용 치실홀더를 사용해야 하는 바,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과도한 남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남용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물론, 종래에도 1회용 치실홀더(10)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실 교체가 가능한 방식의 치실홀더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홀더는 사용자가 치실홀더의 선단부 양측에 치실을 감은 후, 치실홀더의 중앙에 치실의 단부를 고정해야함으로써, 이러한 일련의 치실 고정 작업은 치실홀더 사용을 불편하게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치실 고정 숙련도 및 컨디션에 따라 치실 장력이 팽팽하게 제공되기 어려우며, 치실 고정시에 사용자의 손과 치실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3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을 갖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한 쌍의 선단부에 환형의 치실이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치실 고정 과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치실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환형 치실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설치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설치되며, 둘레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선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선단부를 향해 회동되는 간섭바가 설치되어, 벌어진 선단부가 오므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선단부는, 상기 손잡이에 축 결합되어 손잡이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수단이 설치된 한 쌍의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홈이 둘레에 형성된 아크 형태의 집게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관절부는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관절부의 타단부는 서로 밀착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단부에 탈착시킬 수 있는 치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치실은 일체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이 없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게부의 고정홈이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홈 둘레 길이(A1)'라 하고, 집게부의 맨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최 외곽 둘레 길이'라 할 때, 한 쌍의 집게부가 형성하는 최소 간격(D)은 한 쌍의 집게부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환형 치실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크고, 최 외곽 둘레 길이(A2)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부가 벌어져 최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때, 환형 치실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환형 치실에는 환형 치실로부터 연장된 고정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끈이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끈은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고정끈이 걸려 결합될 수 있는 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요홈 형태의 탈착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는 탄성수단을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한 쌍의 집게부에 환형 치실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환형 치실을 홀더에 결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치실을 사용하는 동안 치실의 장력이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1회용 치실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집게붜 간격(D)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의 선단부가 오므라졌다가 벌어진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의 선단부가 손잡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 및 환형 치실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환형 치실용 홀더는 치실이 탈착되는 선단부가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후술하는 환형의 치실을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환형 치실용 홀더는 사용자가 치실을 사용하는 동안 치실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치실을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환형 치실용 홀더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0)와, 선단부(200)와, 탄성수단(300)을 포함한다.
손잡이(100)는 환형 치실용 홀더의 일측 외관을 구성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손잡이(100)는 긴 바(bar)의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손잡이(100)에는 미끄럼방지돌기(10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0)의 하단부에는 탈착부(11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탈착부(110)는 치간 칫솔(B)을 포함한 다양한 기구들이 탈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요홈의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환형 치실용 홀더는 치간 칫솔(B)의 결합으로 인해, 치실 및 치간 칫솔(B)을 듀얼(dual)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탈착부(110)에는 치간 칫솔(B)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거울 및 이쑤시개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구의 결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100)의 재질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내구성이 높은 수지물이나 내부식성이 높은 스테인레스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울은 탈착부에 탈착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상단부에 고정식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선단부(200)는 환형 치실용 홀더의 타측 외관을 구성하며, 환형 치실(400)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선단부(200)는 탄성수단(300)을 통해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210)와 집게부(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선단부(200)의 관절부(210)는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집게부(220)의 직경을 조절하는 구성이며, 서로 마주한 한 쌍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관절부(210)는 서로 축 결합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호간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다. 관절부(210)의 일단부에는 집게부(220)가 설치되며, 관절부(210)의 타단부는 손잡이(100)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손잡이(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100)를 기준으로 관절부(210)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선단부(200)를 회동시키면서 입안 구석 고르게 치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관절부(210)는 도면상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너비가 커지는 'V'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관절부(210)가 'V'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관절부(210)의 타단부 즉, 도면상 관절부(210)의 하단부는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관절부(210)는 서로 축 결합되어 있더라도, 관절부(210)의 타단부가 서로 간섭함에 따라 관절부(210)가 회동하여 과도하게 벌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선단부(200)의 집게부(220)는 환형 치실(400)이 탈착되는 구성으로써, 관절부(21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집게부(220)는 후술하는 환형 치실(400)이 원활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호(arc)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집게부(220) 역시 서로 마주한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각 집게부(220)의 둘레에는 치실이 결합되는 고정홈(221)이 형성된다. 고정홈(221)은 집게부(220)의 곡률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집게부(220)는, 환형 치실(400)이 결합되었을 때, 환형 치실(400)을 반원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탄성수단(300)은 한 쌍의 선단부(2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하며, 한 쌍의 선단부(200) 사이에 개재된다. 정확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300)은 관절부(21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탄성수단(300)은 관절부(210)를 관절부(210)의 양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것이면 무방하지만,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탄성수단(300)의 구성으로 인해, 선단부(200)는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환형 치실(400)이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집게부(220)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치실이 제공되며, 치실은 링(ring) 형태의 환형으로 제공된다. 환형 치실(400)은 사용자가 직선의 치실 단부를 묶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최초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태로 공급된다. 환형 치실(400)은 탄성력이 없는 재질로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환형 치실(400) 자체가 신축되면서 치실 홀더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치실 홀더의 선단부(200) 너비가 가변되면서 환형 치실(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환형 치실(400)은 탄성력이 없는 재질로 제공됨에 따라, 치간 사이의 찌꺼기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장력 유지면에서도 신축성이 있는 치실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이 있다.
한편, 한 쌍의 집게부(220)가 형성하는 최소 간격(D)과 환형 치실(400)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최적화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20)의 고정홈(221)이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홈 둘레 길이(A1)'라 하고, 집게부(220)의 맨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최 외곽 둘레 길이(A2)'라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집게부(220)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크고, 최 외곽 둘레 길이(A2)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한 쌍의 집게부(220)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가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면, 사용자가 환형 치실(400)을 고정홈(221)에 걸어 고정시킬 수 없으며,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가 최 외곽 둘레 길이(A2)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면 한 쌍의 집게부(220)가 벌어졌을 때, 환형 치실(400)의 텐션이 팽팽하게 유지되는 반면, 한 쌍의 집게부(220)가 조금만 가까워지더라도 환형 치실(400)은 집게부(22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집게부(220)가 벌어져 최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때,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한 쌍의 집게부(220)가 벌어져 최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때,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가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면, 환형 치실(400)이 집게부(220)에 걸리더라도 텐션을 유지하지 못하며 집게부(220)에 고정되지 못하는 환경이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형 치실 및 환형 치실용 홀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환형 치실(400)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쌍의 집게부(220)를 가압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집게부(220) 간격을 좁힌다. 이때, 토션스프링(300)은 수축이 된다. 이후, 사용자는 환형 치실(400)을 집게부(220)의 걸어 고정홈(221)에 결합시킨다.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가 홈 둘레 길이(A1)보다 크고, 최 외곽 둘레 길이(A2)보다 작기 때문에, 환형 치실(400)은 고정홈(221)에 최적의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잡고 있던 집게부(220)를 놓으면, 토션스프링(300)은 복원되면서 한 쌍의 집게부(220)를 원위치시킨다. 이때, 한 쌍의 집게부(220)는 서로 벌어짐에 따라, 환형 치실(400)의 장력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집게부(220)가 최대 벌어졌을 때, 홈 둘레 길이(A1)는 환형 치실(400)의 원주 길이에 비해 동일하거나 크기 때문에, 환형 치실(400)의 장력은 최적화될 수 있다. 이후, 토션스프링(300)이 지속적으로 복원력을 작용함에 따라, 집게부(220) 역시 지속적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집게부(220)에 결합되어 있는 환형 치실(400)은 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치실 작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c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20)에 결합된 환형 치실(400)은 반원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는 환형 치실용 홀더를 사용하여 치간 찌거기를 제거한다. 이때, 환형 치실용 홀더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210)가 손잡이(100)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환형 치실(400)이 입안 구석 고르게 닿을 수 있으므로 치실 작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환형 치실용 홀더로부터 환형 치실(4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환형 치실(400)은 고정끈(410)이 더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며, 손잡이(100)에는 걸림부(120)가 더 형성된다.
고정끈(410)은 환형 치실(40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끈(410)과 환형 치실(400) 사이에는 연결끈(420)이 형성된다. 고정끈(410)의 직경은 환형 치실(40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걸림부(120)는 환형 치실(400)의 고정끈(410)이 걸려 결합되도록 한 구성으로써, 손잡이(100)로부터 돌출된 돌기로 제공된다. 걸림부(120)의 직경은 고정끈(41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는, 고정끈(410)이 걸림부(1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림부(120)의 저부 외주면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걸림홈(121)은 고정끈(410)이 걸려 결합되도록 하여, 걸림부(120)로부터 고정끈(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끈(420)의 길이는 집게부(220)가 벌어졌을 때, 환형 치실(400)과 걸림홈(121) 사이의 거리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끈(420)은 집게부(220)가 벌어졌을 때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됨으로써, 환형 치실(400)의 이탈방지는 물론, 환형 치실(400)의 장력도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선단부(200)는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데, 사용자가 입안에서 치실 작용을 하는 중에, 선단부(200)가 오므라지면서 환형 치실(400)이 이탈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형 치실(400)이 결합된 선단부(200)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환형 치실(400)이 이탈되는 것을 원천 봉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한 쌍의 집게부(220) 중, 어느 하나의 집게부(220)에 간섭바(22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집게부(220)에는 회동된 간섭바(222)의 단부가 걸려 집게부(220)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구속홈(2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집게부(220)에 환형 치실(400)을 걸어 결합시키고, 간섭바(222)를 회동하여 구속홈(223)에 간섭바(222)의 단부를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집게부(220)는 양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만 작용하고, 오므라지려고 하는 힘은 간섭바(222)가 구속하고 있으므로, 환형 치실(400) 결합을 위해 셋팅된 집게부(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환형 치실(400)은 집게부(220) 간격이 줄어듦으로 인해 이탈되는 일은 방지되며, 사용자는 환형 치실용 홀더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형 치실용 홀더는 한 쌍의 선단부(200)가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하여, 환형 치실(400)을 선단부(200)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환형 치실용 홀더는 치실 결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치실 사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손잡이 100a : 미끄럼방지돌기
110 : 탈착부 120 : 결림부
121 : 걸림홈 200 : 선단부
210 : 관절부 220 : 집게부
221 : 고정홈 222 : 간섭바
223 : 구속홈 300 : 탄성수단
400 : 환형 치실 410 : 고정끈
420 : 연결끈 B : 치간 칫솔

Claims (9)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설치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되도록 설치되며, 둘레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선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선단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선단부를 향해 회동되는 간섭바가 설치되어, 벌어진 선단부가 오므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손잡이에 축 결합되어 손잡이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수단이 설치된 한 쌍의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홈이 둘레에 형성된 아크 형태의 집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절부는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관절부의 타단부는 서로 밀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 탈착시킬 수 있는 치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치실은 일체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이 없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고정홈이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홈 둘레 길이(A1)'라 하고, 집게부의 맨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가상의 둘레 길이를 '최 외곽 둘레 길이'라 할 때, 한 쌍의 집게부가 형성하는 최소 간격(D)은
    한 쌍의 집게부가 서로 밀착되었을 때, 환형 치실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크고, 최 외곽 둘레 길이(A2)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한 쌍의 집게부가 벌어져 최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때, 환형 치실의 원주 길이는 홈 둘레 길이(A1)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치실에는 환형 치실로부터 연장된 고정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끈이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은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고정끈이 걸려 결합될 수 있는 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요홈 형태의 탈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치실용 홀더.

KR1020200100904A 2020-08-12 2020-08-12 환형 치실용 홀더 KR10220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04A KR102205601B1 (ko) 2020-08-12 2020-08-12 환형 치실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04A KR102205601B1 (ko) 2020-08-12 2020-08-12 환형 치실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01B1 true KR102205601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04A KR102205601B1 (ko) 2020-08-12 2020-08-12 환형 치실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89Y1 (ko) * 2000-06-16 2000-11-15 김성남 치간 세척기
KR200384064Y1 (ko) * 2005-02-14 2005-05-11 윤진성 치실 보조기구
CN201481581U (zh) * 2009-08-25 2010-05-26 孙峰 一种便携式牙线器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6-07-05 오봉균 치실홀더
KR20180057978A (ko) * 2016-11-23 2018-05-31 김영철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89Y1 (ko) * 2000-06-16 2000-11-15 김성남 치간 세척기
KR200384064Y1 (ko) * 2005-02-14 2005-05-11 윤진성 치실 보조기구
CN201481581U (zh) * 2009-08-25 2010-05-26 孙峰 一种便携式牙线器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6-07-05 오봉균 치실홀더
KR20180057978A (ko) * 2016-11-23 2018-05-31 김영철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513A (en) Finger-mounted toothbrush
JPS63503433A (ja) 指装着式歯清掃用装置
JP4267728B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US10966511B2 (en) Pinch grip toothbrush handle
US20140304929A1 (en) Oral utensil
US4975051A (en) Instrument for attaching and removing orthodontic elastic bands
US9936798B2 (en) Tooth brush and flossing aid combination
US5881745A (en) Finger flosser
KR102205601B1 (ko) 환형 치실용 홀더
US20070017546A1 (en) Orthodonthic flossing device
US10888403B2 (en) Interdental brush and cleaning device for the same
US8550097B2 (en) Dental floss holder
US3910294A (en) Dental floss holder
JP3199137U (ja) デンタルフロス
TW201936131A (zh) 包含至少一可移動工具之牙齒清潔工具
KR200493005Y1 (ko)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JP6886745B1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US20160250009A1 (en) Flossing device with asymmetrically curved and bulbous handle
JP2020146424A (ja) デンタルフロス
KR200310383Y1 (ko) 파지가 용이한 칫솔
KR200381094Y1 (ko) 칫솔 손잡이
US20240115365A1 (en) Dental flossing device
US20220265404A1 (en) Dental Flossing Device
JP2006051325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JP2022089442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