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389Y1 - 치간 세척기 - Google Patents

치간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389Y1
KR200203389Y1 KR2020000017104U KR20000017104U KR200203389Y1 KR 200203389 Y1 KR200203389 Y1 KR 200203389Y1 KR 2020000017104 U KR2020000017104 U KR 2020000017104U KR 20000017104 U KR20000017104 U KR 20000017104U KR 200203389 Y1 KR200203389 Y1 KR 200203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lever
mount
floss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2020000017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동형의 레버와 고정형의 가대 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치실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 치실의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치간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구성은, 치실(60)을 내장할 수 있는 몸체(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회전중심의 힌지홈(21)이 형성된 가대(20)가 구비되고, 상기 가대(20)의 힌지홈(21)에 끼워져 조립되어 일정범위 회전하는 레버(30)가 구비되며, 상기 가대(20) 및 레버(30)의 상측에는 치실(60)을 걸 수 있는 가이드 홈(22)(32)과 그 치실(60)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23)(33)가 대칭되게 형성된 치간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30)의 일측에 회전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위치 고정홈(34)을 형성하고, 이와 맞대향되는 가대(20)에는 그 위치 고정홈(3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30)의 위치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탄지된 스토퍼(40)를 시이소형으로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버(30)와 가대(20)의 각 외측에 치실(60)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23)(33)가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치실 매듭구(23)에 레버(30)와 가대(20) 간에 걸쳐진 상태의 치실(60)을 정착시키는 치실 정착홈(24)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치간 세척기{teeth cleaner}
본 고안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이게 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간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형의 레버와 고정형의 가대 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치실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 치실의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치간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이게 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끝단부가 예리하게 가공된 이쑤시게 또는 성냥개비 등을 예리하게 절결시켜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비위생적임은 물론 자칫 그 끝단부가 치아 사이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과 잘못 사용하여 잇몸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 이외에도 사용한 이쑤시게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수거되어 가축들의 먹이로 사용하는 관계로 이러한 이쑤시게의 날카로운 부분이 가축을 죽게 만드는 일이 종종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구강청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실을 이용한 휴대용 치간 세척기를 구입하는 빈도가 상당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치간 세척기의 구성 및 작용을 도 1 을 근거로 하여 간단하게 요약하면, 치간 세척기를 구성하는 몸체(100)의 일측부에 상기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휠안착부를 갖는 가대(110)와, 이 가대(110)의 휠안착부에 레버휠(121)을 갖는 레버(120)를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레버휠(121)을 회동축(122)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로크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로크홈(123)에 걸려 레버(120)의 회전방향을 로크 및 해제시키도록 스토퍼(124)가 스프링(125)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대(110)와 레버(120)에는 치실(130)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120)와 가대(110)의 일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26)(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치간 세척기는 몸체(100)내에 구비된 치실(130)을 그 몸체(100)의 인출공(101)으로 빼내 먼저 상기 몸체(100)의 중앙부에 위치된 치실 고정부(102)에 한 번 매듭하고 계속 연장하여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의 레버(120)의 가이드 홈(126)과 가대(110)의 가이드 홈(116)에 유도시켜 치실(130)을 팽팽하게 걸쳐지도록 한 다음 가대(110)의 끝단부에 위치된 치실 매듭구(117)에 여러 번 감는 것으로서 치실의 사용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치간 세척기는 레버와 가대 사이로 걸쳐진 치실부분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부분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치실을 치실매듭구에 완전하게 정착시키지 않고 여러 번 감는 것만으로 이를 대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방 느슨해지면서 레버와 가대의 각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치실을 그 매듭구에 여러 번 감게 되는 동작으로 치실의 소비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형의 레버와 고정형의 가대 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치실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 치실의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치간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치실을 내장할 수 있는 몸체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회전중심의 힌지홈이 형성된 가대가 구비되고, 상기 가대의 힌지홈에 끼워져 조립되어 일정범위 회전하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가대 및 레버의 상측에는 치실을 걸 수 있는 가이드 홈과 그 치실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가 대칭되게 형성된 치간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측에 회전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위치고정홈을 형성하고, 이와 맞대향되는 가대에는 그 위치고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의 위치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탄지된 스토퍼를 시이소형으로 힌지결합하며, 상기 레버와 가대의 각 외측에 치실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가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치실 매듭구에 레버와 가대 간에 걸쳐진 상태의 치실을 정착시키는 치실 정착홈을 형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치간 세척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세척기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세척기의 조립도.
도 4 는 도 3 의 측면도.
도 5 는 도 3 의 'A'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치실 인출공,
20: 가대, 21: 힌지홈,
22: 가이드 홈, 23: 치실 매듭구,
24: 치실 정착홈, 25: 커터,
30: 레버, 31: 회동축,
32: 가이드 홈, 33: 치실 매듭구,
34: 위치 고정홈, 40: 스토퍼,
41: 스프링, 50: 커버,
51: 홀더, 60: 치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세척기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세척기의 조립도이며, 도 4 는 도 3 의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 3 의 'A'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먼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래형으로 감겨진 치실(60)을 내장하는 한편 상기 치실(60)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치실 인출공(11)이 형성된 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내부에 후술되는 레버(30)의 회전중심의 힌지홈(21)이 형성되며, 상단에 인출된 치실(60)을 걸 수 있는 가이드 홈(22)이 형성되고, 또한 그 외측에는 가이드 홈(22)에 걸려진 치실(60)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치실 매듭구(23)가 돌출 형성된 가대(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대(20)의 힌지홈(21)에 힌지 결합되도록 회동축(31)이 형성되어 일정 범위에서 회전하고, 그 상단에 상기 가대(20)의 가이드 홈(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치실(60)을 걸 수 있는 또 다른 가이드 홈(32)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가대(20)의 그것과 같이 서로 대향되는 치실 매듭구(33)가 돌출 형성된 레버(30)가 구비된다.
또한 결합 구성된 가대(20)와 레버(30)를 보호하기 위해 몸체(10)의 외측부와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커버(5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50)의 외측에는 주머니에 넣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홀더(5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기본적인 치간 세척기에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고안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상기 레버(30)의 일측에 회전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위치고정홈(34)을 형성하고, 이와 맞대향되는 가대(20)에는 그 위치고정홈(3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30)의 위치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스프링(41)에 의해 탄지된 스토퍼(40)를 시이소형으로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버(30)와 가대(20)의 각 외측에 치실(60)의 거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치실 매듭구(23)(33)가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치실 매듭구(23)에 레버(30)와 가대(20)간에 걸쳐진 상태의 치실(60)을 정착시키는 치실 정착홈(24)을 형성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25는 사용된 치실(60)을 커팅할 수 있는 커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래형으로 감겨진 치실(60)을 몸체(10)에 내장한 다음 그 치실(60)의 시작단을 몸체(10)의 치실 인출공(11)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 후 레버(30)의 회동축(31)을 가대(20)의 힌지홈(21)으로 결합시켜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끼움 결합한다.
한편, 치간을 세척하기 위해 레버(30)를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대(20) 상에 시이소형으로 힌지 결합된 스토퍼(40)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40)의 고정 돌출단 부분이 레버(30)의 위치 고정홈(34)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한 후 그 레버(30)를 일정 범위로 벌리고, 가압상태의 스토퍼(40)를 해제시키면 스프링(41)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에서의 또 다른 위치 고정홈(34)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30)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후 치실 인출공(11)에서 인출된 치실(60)을 레버(30)의 치실 매듭구(33)에서 한 번 묶은 후 레버(30)의 가이드 홈(32)으로 끼우고, 이를 연장하여 가대(20)의 가이드 홈(2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가대(20)의 치실 매듭구(23)에 한 번 묶은 다음 최종적으로 그 가대(20)의 치실 매듭구(23)에 형성된 치실 정착홈(24)에 정착시킴으로서 상기 가대(20)와 레버(30)간의 긴장된 치실(60)에 외압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치실 정착홈(24)에 의해 느슨해지지 않고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치실 매듭구에 치실을 정착할 수 있는 치실 정착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치간의 세척중에 항상 치실의 긴장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실 매듭구에 여러 번 감는 방식이 아니라 단번에 치실을 정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치실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치실(60)을 내장할 수 있는 몸체(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회전중심의 힌지홈(21)이 형성된 가대(20)가 구비되고, 상기 가대(20)의 힌지홈(21)에 끼워져 조립되어 일정범위 회전하는 레버(30)가 구비되며, 상기 가대(20) 및 레버(30)의 상측에는 치실(60)을 걸 수 있는 가이드 홈(22)(32)과 그 치실(60)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23)(33)가 대칭되게 형성된 치간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30)의 일측에 회전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위치 고정홈(34)을 형성하고, 이와 맞대향되는 가대(20)에는 그 위치 고정홈(3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레버(30)의 위치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탄지된 스토퍼(40)를 시이소형으로 힌지 결합하며, 상기 레버(30)와 가대(20)의 각 외측에 치실(60)의 거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치실 매듭구(23)(33)가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치실 매듭구(23)에 레버(30)와 가대(20) 간에 걸쳐진 상태의 치실(60)을 정착시키는 치실 정착홈(2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세척기.
KR2020000017104U 2000-06-16 2000-06-16 치간 세척기 KR200203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04U KR200203389Y1 (ko) 2000-06-16 2000-06-16 치간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04U KR200203389Y1 (ko) 2000-06-16 2000-06-16 치간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89Y1 true KR200203389Y1 (ko) 2000-11-15

Family

ID=1966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04U KR200203389Y1 (ko) 2000-06-16 2000-06-16 치간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601B1 (ko) * 2020-08-12 2021-01-21 신예원 환형 치실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601B1 (ko) * 2020-08-12 2021-01-21 신예원 환형 치실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5373B1 (fr) Dispositif de nettoyage dentaire avec son fil intermédiaire
US20110041870A1 (en) Dental flosser
US20080289648A1 (en) Dental floss holder with improved structure
KR200182299Y1 (ko)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US20110259360A1 (en) Dental floss
WO1984001708A1 (en) Flossing device
US6019109A (en) Dental flossing tool and method
KR200203389Y1 (ko) 치간 세척기
US20070028937A1 (en) E-Z clean brush
JP4262204B2 (ja) デンタルフロスケース
JP4038244B2 (ja) デンタル・フロスに張力を掛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歯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KR200346030Y1 (ko) 치실케이스
US2909277A (en) Dental floss and dispenser
KR20200052539A (ko) 치실 홀더
US20050092347A1 (en) Handy dental flosser
KR200377954Y1 (ko)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US20180279764A1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dispenser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200205473Y1 (ko) 치간솔이 부착된 치솔
KR200170331Y1 (ko) 치간(齒間) 세척기
JP2571712Y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KR0156816B1 (ko)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제거장치
KR200203393Y1 (ko) 치실이쑤시개가 부착된 치실통
WO2002028310A1 (en) A flo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