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21B1 -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21B1
KR101885621B1 KR1020170022201A KR20170022201A KR101885621B1 KR 101885621 B1 KR101885621 B1 KR 101885621B1 KR 1020170022201 A KR1020170022201 A KR 1020170022201A KR 20170022201 A KR20170022201 A KR 20170022201A KR 101885621 B1 KR101885621 B1 KR 10188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output
output unit
vibration
suspension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583A (ko
Inventor
강윤규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PCT/KR2017/0018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2384A1/ko
Publication of KR2017009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착용 장비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하고, 진동 출력 유닛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갖는 전면 케이스;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전면 케이스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VIBRATION OUTPUT DEVICE EQUIPPED ON USER WEARING EQUIPMENT}
본 게시된 내용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에 탑재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골전도(骨傳導) 기술을 이용한 제품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골전도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보청기 등과 같은 응용제품이 상용화되고 있다. 골전도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테무코 재팬은 진공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수중 등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은 골전도 기술을 채용한 제품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리는 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울려 그 진동이 달팽이관에 전달되어 인식된다. 이에 반해 골전도는 골로부터 진동을 직접 달팽이관에 전달한다. 귀를 막아도 소리가 들리는 것은 이러한 원리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막 등에 장애가 있어도 달팽이관과 청신경(聽神經)이 정상이면 골전도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편, 스노우보드 또는 스키 등과 같은 거친 레포츠를 즐기면서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경우, 사용자는 주변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이어폰이 귀에서 빠질 수 있다는 불편함과, 음악을 듣는 도중에 타인의 대화를 들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고막을 통하지 않고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을 들으면서도 주변 사항을 파악할 수 있고, 음악을 들으면서 타인의 대화도 들을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0770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는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착용 장비를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는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하고, 진동 출력 유닛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갖는 전면 케이스;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전면 케이스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골전도 기술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가 구비된 사용자 착용 장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의 외형과 사용자 착용 장비에 진동 출력 장치가 구비된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된 진동 출력 장치의 하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의 조립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진동 출력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진동 출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의 일부분을 조립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을 조립한 진동 출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 내의 서스펜션의 구비 방법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 내의 서스펜션의 구비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 진동 출력 장치의 통신방법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와 진동 출력 장치의 통신방법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의 탄성부와 하우징이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의 탄성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의 요크부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의 탄성부와 요크부가 접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및/또는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또는 "접하여"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 모자 등)에 구비되어, 진동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에게 직접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예를 들어, 고글, 선글래스, 헬멧, 안전모 등)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두개골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예를 들어, 헬멧, 안전모 등)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진동 출력 장치(1000)에 의해 발생된 소리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구비된 예시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전면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서 사용자의 신체로 향하는 방향이며, 후면은 전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는 진동 출력 장치(1000)가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진동 출력 유닛(130)이 발생시키는 진동을 진동판(12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소리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착용 장비(2000)가 서로 접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2000)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거나, 위험한 활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착용 장비(2000)는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외부 요인(예를 들어, 자외선, 직사광선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착용 장비는 보호 헬멧, 안전모, 고글, 선글래스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전달된 진동을 두개골로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접하여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두개골로 전달된 진동은 달팽이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달팽이관에 전달된 진동은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진동 출력 장치(1000)를 통해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사용자는 귀를 막지 않는 진동 출력 장치(1000)를 이용함으로써, 음악을 듣는 중에 주변의 소리도 함께 들을 수 있고, 주변 사람들과 대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진동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발생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를 착용하지 않아도 진동 출력 장치(1000)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발생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착용 장비(2000)가 서로 접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진동 출력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상기 고장이나 파손된 진동 출력 장치(1000) 또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만을 교체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고글과 부착되어 상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진동판(120)이 헬멧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상기 고글과 접하는 면에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상기 고글과 접하는 면에 접착제, 양면 테이프, 밸크로, 자석을 사용하여 아이템에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부착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헬멧과 접하는 면에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출력 장치(1000)가 접하는 면에 접착제, 양면 테이프, 밸크로, 자석을 사용하여 장비에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부착수단 없이 고글의 헤드밴드 또는 고무밴드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고글의 헤드밴드 또는 고무밴드의 압박에 의해 상기 장비와 접할 수 있다.
사용자 착용 장비(2000)과 진동 출력 장치(1000)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되어, 진동 출력 장치(1000)와 사용자 착용 장비(2000)가 맞닿아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갭(Gap)이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진동 출력 유닛(130) 사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진동판(120) 사이의 공간적 틈을 의미한다.
도 1b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서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모듈로써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착용 장비(2000)는 구글(google)사의 구글 글래스(20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글 글래스(200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010),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비주얼 오버레이(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글 글래스(2000)는 외부 통신망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모듈(1030) 및 수신한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는 CPU와 같은 연산 처리 장치(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글 글래스(2000)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1050)와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받침수단(106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구글 글래스(2000)는 진동 출력 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글 글래스(2000)를 착용하고, 구글 글래스(20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진동 출력 장치(1000)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음악과 같은 소리 신호를 진동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외형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진동 출력 장치(1000)가 구비된 예시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서스펜션(140) 및 고정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여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생된 진동을 통해 진동판(120)은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전면에 부착됨으로써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에 구비되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갭(Ga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판(120)이 진동하는 경우, 진동판(120)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가 맞닿아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과 연결되기 위해 제 3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과 서스펜션(140)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이 상기 제 3 삽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판(120)은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 없이 진동 출력 유닛(130)및 서스펜션(1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경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내구도가 증가한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에 연결된 진동판(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서스펜션(140)과 연결되기 위해 제 1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진동판(120)과 서스펜션(140)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이 상기 제 1 삽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진동판(120) 및 서스펜션(14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출력 유닛(130)은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 없이 진동판(120) 및 서스펜션(1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경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내구도가 증가한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140)은 서스펜션 본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원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는 서스펜션 본체의 외곽에 위치하고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은 원형의 서스펜션 본체와 두 개의 굴곡진 다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와 서스펜션 다리부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이 서스펜션 본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경우, 서스펜션(140)은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되기 위해 서스펜션 본체의 중앙부에 제 2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진동판(120)과 진동 출력 유닛(130)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이 상기 제 2 삽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스펜션(140)은 지지수단(160, 도 5b 참조) 없이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경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내구도가 증가한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140)은 서스펜션 본체없이 다리부만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은 두 개의 다리부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140)의 다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다리부 몸체(141,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 몸체(141, 도 3 참조)에서 굴곡지게 뻗어 나온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리(142,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 다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는 굴곡진 형태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가 일자가 아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일자로 된 다리보다 다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굴곡진 다리는 일자로 된 다리에 비해 서스펜션(140)의 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스펜션(140)의 보다 많은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140)은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140)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는 각각의 다리(142, 도 3 참조)의 일 끝단에 제 4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140)은 고정수단(170)을 통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고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의 다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전면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개구부가 형성된 면이 평행을 유지하도록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진동 출력 유닛(130)의 상부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개구부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그 높이가 모두 같을 수 있다.
사용자 착용 장비(2000)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출력 유닛(130)의 진동 플레이트(40)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개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과 갭(Gap)을 형성하기 위해 진동 출력 유닛(1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외형과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구비된 진동 출력 장치(1000)의 하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서스펜션(140) 및 고정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서스펜션 본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원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는 본체의 외곽에 위치하고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은 원형의 서스펜션 본체와 두 개의 굴곡진 다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와 서스펜션 다리부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서스펜션 본체없이 다리부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은 두 개의 다리부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140)의 다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다리부 몸체(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 몸체(141)에서 굴곡지게 뻗어 나온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는 굴곡진 형태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가 일자가 아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일자로 된 다리보다 다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굴곡진 다리는 일자로 된 다리에 비해 서스펜션(140)의 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스펜션(140)의 보다 많은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140)은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140)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는 각각의 다리(142)의 일 끝단에 제 4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140)은 고정수단(170)을 통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 착용 장비(2000)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출력 유닛(130)의 진동 플레이트(40)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착용 장비(2000)의 개구부는 진동 출력 유닛(130)과 갭(Gap)을 형성하기 위해 진동 출력 유닛(1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진동판(12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진동판(12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이 서스펜션 본체와 서스펜션 다리부로 구비되는 경우, 서스펜션(140)의 서스펜션 다리부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본체가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판(12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에는 공간적 틈(갭)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이 서스펜션 다리부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서스펜션(140)은 다리부의 다리가 사용자 착용 장비(2000)에 고정되고, 다리부 몸체가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되어 진동판(12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에 공간적 틈(갭)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 진동판(120)과 사용자 착용 장비(2000) 사이에 공간적 틈(갭)이 형성되는 경우, 서스펜션(140)은 진동판(120)과 진동 출력 유닛(130)이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맞닿아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140)이 진동 출력 유닛(1000)의 진동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사용자는 소리를 선명하게 들을 수 있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외형과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 4a 내지 도면 4e는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 4a 내지 도면 4c는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도면 4d 내지 도면 4e는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일부를 조립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전면 케이스(110),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서스펜션(140),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 지지수단(160), 고정수단(170), 제 1 후면 케이스(180) 및 제 2 후면 케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면 케이스(110)는 사용자 착용 장비(2000)와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케이스(1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접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는 후면 케이스(180, 190)와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진동 출력 장치(1000)를 구성하는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는 단단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면 케이스(110)는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하나의 구멍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는 하나의 구멍과 두 개의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서스펜션(140)이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에 포함된 구멍은 진동판(1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진동판(120)은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120)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 포함된 구멍은 진동판(120)과 전면 케이스(110)사이에 갭(Gap)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진동판(1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전면부에 근접하게 형성된 제 1 단턱과 상기 전면 케이스(110)의 후면부에 근접하게 형성된 제 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는 상기 제 1 단턱 및 상기 제 2 단턱 사이에 갭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따라 서스펜션(140)이 진동하는 경우, 제 1 단턱과 제 2 단턱 사이의 갭은 서스펜션(140)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면 케이스(110)에 위치한 서스펜션(140)이 진동되는 상황에서도 전면 케이스(110)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개구부에 포함된 단턱 중 후면에 형성된 제 2 단턱은 서스펜션(140)과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가 위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에 형성된 단턱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5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고정수단(170)이 상기 제 5 삽입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판(120)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 접하여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된 진동을 사용자 착용 장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된 진동을 통해 진동판(120)은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되기 위해 제 3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진동 출력 유닛(130)과 서스펜션(140)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60)이 상기 제 3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진동 출력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판(120)은 지지수단(160) 없이 진동 출력 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에 연결된 진동판(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서스펜션(140)과 연결되기 위하여, 제 1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은 진동판(120)과 서스펜션(140)을 연결하는 지지수단(160)이 상기 제 1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진동판(120) 및 서스펜션(14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출력 유닛(130)은 상기 지지수단(160) 없이 서스펜션(140)에 연결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진동 출력 유닛(13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이 전면 케이스(110)와 후면 케이스(180, 190)에 모두 접하지 않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과 상기 전면 케이스(110)를 연결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상기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이 전면 케이스(110)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이 전면 케이스(110)에 접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과 케이스(110, 180, 190)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10, 180, 19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서스펜션(140)을 구비함으로써 진동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진동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사용자는 소리를 선명하게 들을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원형의 서스펜션 본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는 일자가 아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진 다리는 일자로 된 다리보다 다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굴곡진 다리부를 이용하여 서스펜션(140)을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경우, 굴곡진 다리는 일자로 된 다리에 비해 서스펜션(140)의 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스펜션(140)의 보다 많은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진 다리를 이용하여 서스펜션(140)을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경우, 서스펜션(140)은 진동 출력 유닛(1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는 각각의 다리의 끝에 제 4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서스펜션(140)은 고정수단(170)을 통해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는 서스펜션(140)의 후면에 위치하고, 서스펜션(1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는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는 서스펜션(140)과 접하는 면에 상기 서스펜션(14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는 서스펜션(140)과 마찬가지로 외곽에 고정수단(170)을 통해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제 6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160)은 진동 출력 유닛(130)에 형성된 제 1 삽입구, 서스펜션(140)에 형성된 제 2 삽입구, 및 진동판(120)에 형성된 제 3 삽입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 또는 진동판(120)이 서스펜션(140)에 지지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지지수단(160)은 진동판(120), 진동 출력 유닛(130) 및 서스펜션(14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수단(160)은 리벳, 볼트, 나사못,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수단(170)은 서스펜션(140)의 다리부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 4 삽입구, 전면 케이스(110)에서 제 4 삽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5 삽입구 및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에서 제 4 삽입구와 대응되는 제 6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스펜션(140), 및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170)은 서스펜션(140)에 형성된 제 4 삽입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170)은 서스펜션(140),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 및 전면 케이스(110)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170)은 리벳, 볼트, 나사못,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면 케이스(180, 190)는 전면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진동 출력 장치(1000)를 구성하는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180, 190)는 제 1 후면 케이스(180)와 제 2 후면 케이스(190)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제 1 후면 케이스(180)는 후면 케이스(180, 190)에서 전면에 형성되는 케이스이다. 제 1 후면 케이스(180)는 서스펜션 고정 케이스(1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후면 케이스(180)는 단단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2 후면 케이스(190)는 후면 케이스(180, 190)에서 후면에 형성되는 케이스이다. 제 2 후면 케이스(190)는 외부에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글씨를 새기는 방식으로 홍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는 고객의 상호명을 제 2 후면 케이스(190)의 외부에 새겨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작자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광고비를 받을 수 있다. 제 2 후면 케이스(190)는 단단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 5a와 도면 5b는 서스펜션(140)이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를 지지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서스펜션(140)은 서스펜션 본체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원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의 다리부는 서스펜션 본체의 외곽에 위치하고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140)은 원형의 서스펜션 본체와 두 개의 굴곡진 다리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스펜션 본체와 서스펜션 다리부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과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 본체와 진동 출력 유닛(130)은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본체가 진동 출력 유닛(130)의 후면의 중앙부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본체가 진동 출력 유닛(130)의 외곽 또는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과 부착되지 않고 지지수단(16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서스펜션(140)과 진동 출력 유닛(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스펜션 본체는 중앙부에 진동 출력 유닛(13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출력 유닛(130)이 상기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과 서스펜션(140)이 부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도면 5a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중앙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진동 출력 유닛(130)의 중앙부에 제 1 삽입구, 서스펜션(140)의 중앙부에 제 2 삽입구 및 진동판(130)에 제 3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160)은 제 1 내지 제 3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스펜션(140)이 진동판(120)과 진동 출력 유닛(130)를 지지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14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 끝부분에 형성된 제 4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170)은 제 4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서스펜션(140)을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140)은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된 힘을 이용하여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 5b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스펜션 본체가 진동 출력 유닛(130)의 외곽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스펜션 본체의 중앙부에 진동 출력 유닛(13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진동 출력 유닛(130)이 상기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진동 출력 유닛(130)이 삽입되고, 서스펜션 본체는 진동 출력 유닛(130)의 하우징(5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 출력 유닛(130)의 중앙부에는 제 1 삽입구가 형성되고, 진동판(130)의 중앙부에는 제 3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수단(160)은 제 1 및 제 3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스펜션(140)이 진동판(120)과 진동 출력 유닛(130)를 지지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14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리부 끝부분에 형성된 제 4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170)은 제 4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서스펜션(140)을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140)은 전면 케이스(110)에 고정된 힘을 이용하여 진동판(120) 및 진동 출력 유닛(1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500)와 진동 출력 장치(1000)의 통신방법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내부에 통신 모듈(400)과 신호변환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기기(500)는 사용자가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음원을 전송하기 위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500)는 휴대폰, 스마트기기, 노트북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외부기기(500)는 음원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와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로부터 음원의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변환기(300)는 통신 모듈(400)이 수신한 음원의 전기 신호로 진동 출력 유닛(130)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출력 유닛(130)은 수신 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생된 진동은 진동판(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진동판(120)은 사용자 착용 장비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진동을 통해 음원을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신호변환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변환기(3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기기(500)는 전송 받은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음악 감상,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500)와 진동 출력 장치(1000)의 통신방법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00)과 신호변환기(300)는 진동 출력 장치(1000)와 별도로 각각의 기기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기기들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각각의 기기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기기(500)는 사용자가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음원을 전송하기 위한 기기이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500)는 휴대폰, 스마트기기, 노트북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기기(500)는 음원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와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로부터 음원의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변환기(300)는 통신 모듈(400)이 수신한 음원의 전기 신호로 진동 출력 유닛(130)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상기 진동 출력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출력 유닛(130)은 수신 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생된 진동은 진동판(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진동판(12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장비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진동을 통해 음원을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신호변환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변환기(3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0)은 외부기기(5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기기(500)는 전송 받은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진동 출력 장치(1000)로 음악 감상,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13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상면은, 진동 출력 유닛(130)의 요크부(20)에서 진동 플레이트(40)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하면은 상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유닛(130)은 PCB 기판(81)을 포함할 수 있다. PCB 기판(81)은 캡(8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캡(82)은 하우징(50)과 PCB 기판(81)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캡(82)은 지지수단(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원기둥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50)의 내부의 공간에는 코일(53)이 구비될 수 있다. 코일(53)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코일(53)과 접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51, 52)가 구비될 수 있다. 자기회로(51, 52)는 마그네트(51)와 탑플레이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51)는 자력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탑플레이트(52)는 마그네트(51)의 자기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51)와 탑플레이트(52)로 인하여 자기회로(51, 52)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기회로(51, 52)의 상면에는 요크부(20)가 구비될 수 있고, 자기회로(51, 52)의 진동은 요크부(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회로(51, 52)는 요크부(20)에 직접 부착되어 요크부(20)와 결합할 수 있고, 자기회로 가이드(미도시)에 의해 요크부(20)와 결합할 수 있다.
요크부(20)의 상면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의 상면은 단턱이 없는 평평한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요크부(20)의 상면은 적어도 하나의 단턱을 포함함으로써, 탄성부(3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요크부(20)의 상면 중 일부에는 탄성부(30)의 진동부가 접할 수 있고, 탄성부(30)의 고정부는 하우징(5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컬링에 의해 하우징(50)과 결합할 수 있고, 하우징(50)의 내측면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하우징(5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크부(20)의 상면에는 진동 플레이트(40)가 구비되어 자기회로(51, 52)의 진동을 사용자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요크부(20) 및 진동 플레이트(40)의 중앙에는 지지수단(160)이 연결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리벳(8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 요크부(20), 및 진동플레이트(40)는 리벳(8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벳(83)은 지지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리벳(83)에 의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는 요크부(20)에 직접 부착되고, 진동플레이트(40)도 요크부(2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출력 유닛(130)은 리벳(83)을 생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130)의 탄성부(30)와 하우징(50)이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유닛(130)은 하우징(50)과 탄성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과 탄성부(3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5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컬링에 의해 하우징(5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컬링이란, 미리 결정된 각도로 굽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미리 결정된 각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면 9를 참조할 때, 하우징(5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각도는 90도로 결정될 수 있고, 탄성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최적의 각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130)의 탄성부(3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는 탄성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1)는 진동부(33)와 고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1)의 진동부(33)는 요크부(2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자기회로(51, 52)의 진동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탄성체(31)의 진동부(33)의 하면은 요크부(20)의 상면과 접하고, 요크부(20)의 하면은 자기회로(51, 52)의 상면과 접하므로 자기회로(51, 52)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요크부(20)를 통해 탄성부(30)까지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회로(51, 52)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기회로(51, 52)의 상면에 접하고 있는 요크부(20)와, 요크부(20)의 상면에 접하고 있는 탄성체(31)의 진동부(33)도 상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탄성체(31)의 고정부(34)는 하우징(5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 움직인 탄성체(31)의 진동부(33)는 탄성체(31)의 탄성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힘을 제공 받고, 탄성체(31)의 진동부(33)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기회로(51, 52)와 요크부(20)는 상하로 움직이는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기회로(51, 52)가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기회로(51, 52)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요크부(20)와, 요크부(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31)의 진동부(33)도 하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탄성체(31)의 고정부(34)는 하우징(5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하측 방향으로 움직인 탄성체(31)의 진동부(33)는 탄성체(31)의 탄성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힘을 제공 받고, 탄성체(31)의 진동부(33)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기회로(51, 52)와 요크부(20)는 상하로 움직이는 진동운동을 할 수 있다.
탄성체(31)의 중앙부에는 개구부(3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1)의 개구부(35)의 외측 방향에는 진동부(33)가 위치할 수 있고, 진동부(33)의 외측 방향에는 고정부(34)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부(33)와 고정부(34)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33)와 고정부(3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진동부(33)가 진동하는 경우 고정부(34)와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탄성체(31)는 복수개의 진동부(33)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진동부(33)는 연결부에 의해 고정부(3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탄성부(30)는 탄성체 서스펜션(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서스펜션(32)은 탄성체(3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와 접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 서스펜션(32)은 탄성체(3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됨으로써, 탄성체(31)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 서스펜션(32)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31)의 상면 중 고정부(34)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됨으로써 탄성체(31)와 결합할 수 있다.
탄성체 서스펜션(32)은 중심부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원형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체 서스펜션(32)은 탄성체(31)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체 서스펜션(32)은 탄성체(31)의 상면에 안착함으로써, 탄성체(31)를 보호할 수 있고, 탄성부(30)의 가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탄성부(30)는 중심부에 개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는 개구부(35)를 포함하고, 개구부(35)를 통하여 진동 플레이트(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40)는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진동판(120)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3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하우징(5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의 상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는 하우징(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탄성부(30)는 하우징(5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의 탄성체(31)의 고정부(34)는 하우징(5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는 하우징(5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 및 하우징(50)은 금속 부재를 이용한 주조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130)의 요크부(2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는 자기회로(51, 52)에서 발생된 진동을 탄성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53)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회로(51, 52)가 진동하면, 자기회로(51, 52)에 접하고 있는 요크부(20)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고, 요크부(20)에 전달된 진동은 요크부(20)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부(30)까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는 요크(21)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21)는 원형판의 형태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2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함으로써, 요크(21)는 자기회로(51, 52)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탄성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요크(21)는 원형판 형태의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크(21)는 원형판의 중심부에 원기둥이 부착된 형태의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크(21)의 형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요크(21)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는 요크 플레이트(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크 플레이트(22)는 요크(2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 플레이트(22)는 요크(2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고, 요크(2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고, 요크(21)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요크 플레이트(22)가 요크(21)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요크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포함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부(20)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부(20)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에 의해 요크부(20)의 상면에는 탄성부(3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부(20)의 요크 플레이트(2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30)의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코일(53)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회로(51, 52)가 진동하는 경우, 자기회로(51, 52)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요크부(20)에 전달되고, 요크부(20)에 전달된 진동은 요크부(20)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체(31)에 전달될 수 있다.
도면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유닛(130)의 탄성부(30)와 요크부(20)가 접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요크부(20)는 요크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크 플레이트(2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탄성부(3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 플레이트(22)에 의해 요크부(20)의 상면에는 탄성부(3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요크부(20)의 요크 플레이트(2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30)의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의 진동부(33) 중 적어도 일부는 요크부(20)의 요크 플레이트(2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탄성부(30)와 요크부(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와 요크부(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부착됨으로써, 탄성부(30)와 요크부(20)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와 요크부(20)는 리벳(8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벳(83)은 지지수단(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와 요크부(20)는 일체형으로 성형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어,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하고,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 및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굴곡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는,
    제 1 단턱 및 제 2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턱과 상기 제 2 단턱 사이에는 상기 서스펜션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진동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다리부 몸체;
    상기 다리부 몸체에서 굴곡지게 뻗어나온 적어도 한 개의 다리;
    를 더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출력 장치는,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접하여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진동판;
    을 더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진동 출력 장치.
  6. 사용자 착용 장비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하고, 진동 출력 유닛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진동 출력 유닛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상기 전면 케이스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굴곡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는,
    제 1 단턱 및 제 2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턱과 상기 제 2 단턱 사이에는 상기 서스펜션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와 접하여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사용자 착용 장비에 전달하는 진동판;
    을 더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진동 출력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진동 출력 유닛과 부착되는 서스펜션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서스펜션 본체의 외곽에 위치하는,
    진동 출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본체가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의 중앙에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 삽입구;
    상기 서스펜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2 삽입구;
    상기 제 1 내지 제 2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이 상기 서스펜션에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지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본체가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의 외곽에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본체의 중앙부에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진동 출력 유닛이 위치하는,
    진동 출력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상기 진동 출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신호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20170022201A 2016-02-18 2017-02-20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188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855 WO2017142384A1 (ko) 2016-02-18 2017-02-20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8919 2016-02-18
KR1020160018919 2016-02-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84A Division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7-27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583A KR20170097583A (ko) 2017-08-28
KR101885621B1 true KR101885621B1 (ko) 2018-08-06

Family

ID=5975975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25A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7-02-15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70022201A KR101885621B1 (ko) 2016-02-18 2017-02-20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20180070761A KR20180071242A (ko) 2016-02-18 2018-06-20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80087684A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7-27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25A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7-02-15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61A KR20180071242A (ko) 2016-02-18 2018-06-20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80087684A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7-27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5097B2 (ko)
KR (4) KR101872689B1 (ko)
CN (2) CN108430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493B1 (ko) * 2018-11-20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액추에이터
CN112165662B (zh) * 2020-10-22 2021-09-28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扬声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0062U (zh) * 1986-01-08 1987-12-16 赵文元 双螺管式电振机
JPH10108443A (ja) * 1996-09-30 1998-04-24 Ee C Ii Tec Kk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0310891B1 (ko) * 1998-12-31 2001-10-17 한성찬 초소형 골도 스피커
KR100323076B1 (ko) 1999-12-24 2002-02-08 이형도 진동 스피커
KR100807703B1 (ko) 2006-11-27 2008-02-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이어폰
KR101031187B1 (ko) 2009-03-09 2011-04-26 아이필유(주)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KR101039813B1 (ko) * 2009-03-30 2011-06-13 주식회사 보니아코퍼레이션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TW201043046A (en) * 2009-05-18 2010-12-01 Aishin Co Lt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for tactile acoustic
US20100296691A1 (en) * 2009-05-19 2010-11-25 Aishin Co., Lt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for tactile acoustic apparatus
KR101093049B1 (ko) * 2009-09-02 2011-12-13 민동훈 압전 진동을 이용해 골전도 기능을 가지는 헤드폰
KR200454024Y1 (ko) 2010-01-06 2011-06-09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04907B1 (ko) * 2010-06-16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97917B1 (ko) 2011-08-29 2012-11-05 염강문 저음특성과 음압을 향상시킨 초박형 스피커유니트
US9532123B2 (en) * 2014-02-20 2016-12-27 Temco Japan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KR102176364B1 (ko) * 2014-03-19 202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42A (ko) 2018-06-27
KR20170097568A (ko) 2017-08-28
KR20170097583A (ko) 2017-08-28
KR101872689B1 (ko) 2018-06-29
CN108430652A (zh) 2018-08-21
CN108430652B (zh) 2020-06-09
KR20180088361A (ko) 2018-08-03
US20190014416A1 (en) 2019-01-10
CN209968842U (zh) 2020-01-21
US10575097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5249A1 (en) Glasses
KR101176827B1 (ko) 오디오 장치
JP7282043B2 (ja) 耳介用装置を備える眼鏡
US8213644B2 (en) Vibration speaker having comfortable contact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KR100829811B1 (ko) 안경에 탈부착되는 무선형 헤드셋
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10735844B2 (en) Wearable device
WO2010116510A1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およびヘッドセット装置
JP2007505540A6 (ja) オーディオ装置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JP2012525721A (ja) 骨伝導ヘッドホン
JP2004205839A (ja) 補聴器具
JP2019186801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KR20100106836A (ko) 골 전도 스피커
KR101885621B1 (ko)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JP5966333B2 (ja) 頭部装着型補聴器
CN111670581A (zh) 听音装置
JP2023096092A (ja) 音響出力装置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CN214675626U (zh) 耳机结构
KR20160128086A (ko) 무선헤드셋
KR102420267B1 (ko) 골전도 이어폰
JP7219975B2 (ja) 聴音装置及びスピーカ付眼部装着具
KR101078325B1 (ko) 골전도 디바이스
KR101484730B1 (ko) 골 전도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