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703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703B1
KR100807703B1 KR1020060117462A KR20060117462A KR100807703B1 KR 100807703 B1 KR100807703 B1 KR 100807703B1 KR 1020060117462 A KR1020060117462 A KR 1020060117462A KR 20060117462 A KR20060117462 A KR 20060117462A KR 100807703 B1 KR100807703 B1 KR 10080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means
coil
magnet
magnetic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06011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음향 제공 장치에서 전달되는 음원신호를 공기 중을 통한 음향 출력이 아닌, 골전도를 통해 음향을 인체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기적인 음원신호가 공급되어 코일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이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진동체를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의 코일에 교번하면서 인가되는 전기적 음원신호의 방향에 따라 자기력을 부합시켜,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자기장에 작용하는 기전력을 증대시키는 자성체;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동하는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1차운동수단; 상기 1차운동수단의 상하 반복 운동을 지지하면서, 1차운동수단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역시 상하 반복 운동하는 2차운동수단; 상기 2차운동수단을 지지하면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가 코일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면, 전자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는 곧 전자의 흐름이 되어 전류가 만들어진다. 이때, 코일에 전기적 음원신호가 교번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에 의해 발생된 전류와 더해져 기전력이 증대되고, 이와 같이 중대된 기전력은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진동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향상된 진동력은 이어폰의 이어부로 전달되고, 이어폰의 이어부는 전달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함으로써, 고막의 피로도를 경감시키며, 청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를 통해 기전력이 증대되므로, 별도의 증폭회로 없이도 진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전기적 회로를 간소화하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한편, 이어폰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이어폰{E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 자기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이어폰의 착용 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이어폰 2 : 이어부
2a, 2b : 본체, 덮개 3 : 연결부(전선 및 접속단)
C : 코일 M : 마그네트
T : 탑플레이트
10 : 자기회로부 11 : 1차운동수단
12 : 2차운동수단 12a : 탄성프레임
13 : 지지부재 13a : 지지경사부
15 : 가중량체 19 : PCB(코일단말과 외부 전선 연결용)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제공 장치에서 전달되는 음원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되, 귀로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제공 장치에서 전달되는 음원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되, 귀로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음향변환장치이다.
이러한 종래 이어폰은 외부의 전기적 음원신호를 제공하는 음원제공장치와 접속단을 통해 접속되고, 전선을 통해 음원신호를 자기회로부로 전달하여 음향으로 변환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기회로부는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전기적 음원신호가 입력되면,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는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반응하되,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힘의 방향이 변환되면서 코일의 일측 주연부에 중앙이 고정되고, 외주연은 이어폰 본체에 고정된 진동판이 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면서 주변 공기를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이어폰을 통해 음향, 특히, 음악을 장시간 청취하게 되면, 고막을 피로하게 만들며 결국 청력을 감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향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로 증폭회로를 구비시켜야하나, 이 경우, 증폭회로에 의해 전체 이어폰의 회로가 복잡해지며, 소비전력이 높아질 뿐 아니라, 이어폰 전체의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향 제공 장치에서 전달되는 음원신호를 공기 중을 통한 음향 출력이 아닌, 골전도를 통해 음향을 인체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기적인 음원신호가 공급되어 코일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이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진동체를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의 코일에 교번하면서 인가되는 전기적 음원신호의 방향에 따라 자기력을 부합시켜,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자기장에 작용하는 기전력을 증대시키는 자성체;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동하는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1차운동수단; 상기 1차운동수단의 상하 반복 운동을 지지하면서, 1차운동수단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역시 상하 반복 운동하는 2차운동수단; 상기 2차운동수단 을 지지하면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가 금속일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코일에 영향을 주게 되며, 마그네트 그 자체일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자력이 코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기 자성체가 코일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전자의 움직임이 발생, 즉, 전자의 흐름이 발생되어 전류가 만들어진다.
이때, 코일에 전기적 음원신호가 교번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에 의해 발생된 전류와 더해져 기전력이 증대되고, 이와 같이 증대된 기전력은 상기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진동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향상된 진동력은 이어폰의 이어부로 전달되고, 이어폰의 이어부는 전달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함으로써, 고막의 피로도를 경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를 통해 기전력이 증대되므로, 별도의 증폭회로 없이도 진동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도면으로, 도 1을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2를 본 발명 중 자기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 도 3을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4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5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6의 a, b를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7을 본 발명인 이어폰의 착용 상태도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음원신호가 공급되어 코일(C)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이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진동체를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자기회로부(10)를 포함하는 이어폰(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코일(C)에 교번하면서 인가되는 전기적 음원신호의 방향에 따라 자기력을 부합시켜,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의 자기장에 작용하는 기전력을 증대시키는 자성체(MR);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가 안착되는 1차운동수단(11);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상하 반복 운동을 지지하면서, 1차운동수단(11)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역시 상하 반복 운동하는 2차운동수단(12); 상기 2차운동수단(12)의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부(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전술한 코일(C)은 예컨대, 이어폰(1)의 이어부(2)에 마련되는 환형의 보이스코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부(2)는 예컨대, 사용자의 귀에 끼워지는 본체(2a)와 본체(2a)의 개방면을 차단하는 덮개(2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C)은 본체(2a) 또는 덮개(2b)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2a)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예를 적용하며 그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상기 코일(C)을 포함한 자기회로부(10)를 별도의 케이스에 마련하 고, 이를 이어부(2)에 수용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전술한 마그네트(M)는 예컨대, 환형 일 수 도 있고, 동심원을 갖으며 마련되는 직경이 다른 환형의 마그네트일 수 도 있다. 이때 각 마그네트는 유격저서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자력 집중을 위한 탑플레이트도 상기 마그네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코일(C)에 미치는 자력이 증대되어 진동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전술한 자성체(MR)는 예컨대, 상기 이어부(2)에 고정되는 코일(C)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또는 내/외측면에 별도로 접착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MR)의 재질은 마그네트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C)이 고정되는 덮개(2b)에 접착 고정되거나, 함침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MR)의 재질은 금속일 수 도 있고, 마그네트 그 자체일 수 있으며, 형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단면은 원형일 수 도 있고 사각일 수 도 있으며, 그 밖의 다각형일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MR)가 금속일 경우에는 상기 마그네트(M)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코일(C)에 영향을 주게 되며, 마그네트 그 자체일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자력이 코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기 자성체(MR)가 코일(C)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전자의 움직임이 발생, 즉, 전자의 흐름이 발생되면 전류가 만들어진다. 이때, 코일(C)에 전기적 음원신호가 교번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MR)에 의해 발생된 전류와 더해져 기전력이 증대되고, 이와 같이 중대된 기전력은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진동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전술한 코일에 교번하면서 인가되는 전기적 음원신호의 방향에 따라 자기력을 부합시킨다는 의미는 자성체(C)가 자체적으로 또는 마그네트(M)에 의해 자화되어 상기 코일(C)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코일(C)의 기전력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전술한 1차운동수단(11)은 예컨대, 자성체 요크일 수 도 있고, 탄발계수가 낮은 판스프링일 수 도 있다.
상기에서 1차운동수단(11)이 요크 또는 판스프링일 경우, 마그네트(M)를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제의 진동체일 경우, 코일을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격저서 공극을 형성하도록 동심원을 갖으며 마련되는 직경이 다른 환형의 마그네트를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1차운동수단(11)에는 마그네트(M)를 안착시키는 것이 중량과 진동력의 상관관계를 비추어 볼 때, 진동력이 우수하므로 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운동수단(11)은 중앙부분이 관통될 수 도 있고, 중앙부분이 관통되되,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1차운동수단(11)은 2차운동수단(12)에 대해 하측 방향의 반복 운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2차운동수단(12)과 접하는 하부 외주면을 제외하고 내측 으로 경사면을 갖는 지지경사부(13a)를 형성시켜서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지지경사부(13a) 중 2차운동수단(12)과 접하는 면이 되는 외주연 부분이 1차운동수단(11)을 2차운동수단(12)에 대해 지지하면서, 하측 방향 반복 운동 범위를 확보하게 된다. 결국,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1차운동수단(11)을 2차운동수단(12)에 대해 자체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차운동수단(11)은 요크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의 코일(C)이 위치한 타측 방향 표면에 비자성체인 텅스텐을 재질로 하는 가중량체(15)가 더 접착 구비되어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1차운동수단(11)에 안착되는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를 단일개로 하되, 코일(C)의 권선수를 더 증대시킬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1차운동수단(11)인 요크에 텅스텐을 재질로 하는 가중량체(15)가 더 접착 구비될 경우, 1차운동수단(11)의 중량을 증대시켜,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골전도를 통해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종래, 골전도 스피커의 경우, 진동판의 진동을 통해 공기를 진동시켜서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였으며, 2V에서소비전류가 50[mA] 정도였으나, 본 발명은 진동판이 아닌 진동자인 1ㆍ2차운동수단(11)(12)이 진동하면서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이며, 소비전류는 23[mA] 정도이며, 이와 같이 낮은 소비전류로도 동일한 출력이 가능하 게 되어, 배터리의 소모량을 극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전압/전류는 실시예적으로 제시하는 값들이며, 그 값들은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종래 다기능 음향 출력장치의 경우, 음향출력부와 진동출력부가 각각 구비되어서 음향과 진동음을 출력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음향 출력과 진동음 출력이 하나의 구조에서 출력 가능하게 되어, 다기능 음향 출력장치의 구성 요소 및 구조를 대폭 간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전술한 2차운동수단(12)은 예컨대,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외주면에 이르도록 감싸는 탄발계수가 높은 판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운동수단(12)은 중앙이 이어부(2)에 고정되고, 외주연은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중앙 부분과 외주연 부분은 호 형상으로 커브를 그리는 최소 3개 이상의 탄성프레임(12a)에 의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운동수단(12)은 외주연이 이어부(2)의 내주면에 함침 사출 성형되어 고정될 수 도 있고, 외주면 양측 면에 링이 삽입되어, 지지 고정될 수 도 있으나, 구체적인 이어부(2)와의 결합 구조는 아래 이어부(2)의 구조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상기 탄성프레임(12a)은 그 형성 길이를 길게 하여 낮은 주파수 부분을 향상시킨다.
또한, 2차운동수단(12)의 외주연 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안착되는 1 차운동수단(11) 또는 1차운동수단(11)을 포함한 마그네트(M)를 포섭할 수 도 있다.
이때,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2차운동수단(12)의 외주연은 마그네트(M) 상부에 안착되는 탑플레이트(T) 상부면을 감싸 고정시키게 되는데, 탑플레이트(T)에 2차운동수단(12)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단턱을 형성시켜 동일 높이를 형성시킬 수 도 있고, 단턱 없이 직접 탑플레이트(T)의 상부면을 감싸 고정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운동수단(11)과 2차운동수단(12) 사이에 1차운동수단(11)의 하측 방향 반복 운동의 범위를 확보하는 별도의 지지부재(13)가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3)는 예컨대, 1차운동수단(11)의 외주연 하부를 2차운동수단(12)에 대해 지지하는 링일 수 도 있고, 1차운동수단(11)의 외주연 하부면에 형성되는 돌턱일 수 도 있으며, 2차운동수단(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턱일 수 도 있는데, 이러한 링 또는 돌턱은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지지경사부(13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전술한 이어부(2)는 예컨대, 함체 형상으로 되고, 함체의 내측면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되, 돌출되는 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2단 봉 형상으로 축(2d)이 형성된 본체(2a); 상기 축(2d)의 단부가 관통하되, 리벳 고정되는 단턱(2c)이 형성된 덮개(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본체(2a)의 축(2d)에 형성되는 단턱과 덮개(2b)의 단턱(2c)이 상기 2차운동수단(12)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며, 본체(2a)의 축(2d) 선단부는 덮개(2b)의 단턱(2c)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되, 그 단부가 가압에 의해 리벳팅 됨으로써, 본체(2a)와 덮개(2b) 사이에 2차운동수단(12)의 중앙부분이 압착 고정됨과 동시에, 본체(2a)와 덮개(2b)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상하 운동 시, 탑플레이트(P) 상부면이 본체(2a)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완충패드(P1)가 덮개(2a)에 마련될 수 도 있고, 이러한 완충패드가 1차운동수단(11) 상부면에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2a)에 마련되는 완충패드(P1)는 축(2d)이 형성되는 본체(2a) 중앙 부분에 접착 고정될 수 도 있으며, 이밖에도 상기완충패드(P1)은 덮개(2b) 및 본체(2a)의 충돌 예상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큰 진동력에 의해 탑플레이트(P)가 덮개(2b)와 충돌하면서 충격음을 발생 즉,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밖에도, 본 발명은 PCB(19)가 본체(2a) 내측에 마련되어, 코일(C)의 단말과 외부의 전선(연결부(3)의 전선)과 납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PCB(19)는 덮개(2b)의 반대 측 본체(2a)의 면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으로, 본체(2a)를 개폐시키는 캡이 열린 상태에서 코일(C)의 단말과 외부 전선을 납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MR)가 코일(C)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면, 전자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는 곧 전자의 흐름이 되어 전류가 만들어진다. 이때, 코일(C)에 전기적 음원신호가 교번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MR)에 의해 발생된 전류와 더해져 기전력이 증대되고, 이와 같이 중대된 기전력은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진동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향상된 진동력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1)의 이어부(2)로 전달되고, 이어부(2)는 전달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함으로써, 고막의 피로도를 경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2)를 통해 기전력이 증대되므로, 별도의 증폭회로 없이도 진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19)상에 코일(C)과 자성체(MR)가 고정되고, 중앙에 축(2d)이 동일체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2a)에 끼워지되, 덮개(2b)에 전술한 바와 같은 리벳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코일(C) 단말의 자유공간상으로 인출되는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자기회로부에서 발생된 진동력이 이어폰의 이어부로 전달되고, 이어폰의 이어부는 전달된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함으로써, 고막의 피로도를 경감시키며, 청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를 통해 기전력이 증대되므로, 별도의 증폭회로 없이도 진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전기적 회로를 간소화하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한편, 이어폰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2)

  1. 전기적인 음원신호가 공급되어 코일(C)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이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진동체를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자기회로부(10)를 포함하는 이어폰(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코일(C)에 교번하면서 인가되는 전기적 음원신호의 방향에 따라 자기력을 부합시켜,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의 자기장에 작용하는 기전력을 증대시키는 자성체(MR);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가 안착되는 1차운동수단(11);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상하 반복 운동을 지지하면서, 1차운동수단(11)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역시 상하 반복 운동하는 2차운동수단(12); 상기 2차운동수단(12)의 진동력을 사용자의 귀 부위 피부를 거쳐 뼈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어부(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C)은 이어폰(1)의 이어부(2)에 마련되는 환형의 보이스코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는 적층구조이며, 동심원을 갖으며 마련되는 직경이 다른 환형의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로 이루어 지되, 각각의 마그네트(M) 및 탑플레이트(T)는 유격저서 공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MR)는 상기 이어부(2)에 고정되는 코일(C)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또는 내/외측면에 별도로 접착 고정되는 마그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운동수단(11)은 자성체 요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운동수단(11)은 2차운동수단(12)에 대해 하측 방향의 반복 운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2차운동수단(12)과 접하는 하부 외주면을 제외하고 내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지지경사부(13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 1항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운동수단(11)인 요크의 코일(C)이 위치한 타측 방향 표면에 비자성체인 텅스텐을 재질로 하는 가중량체(15)가 더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운동수단(12)은 상기 1차운동수단(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외주면에 이르도록 감싸는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 1항 또는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운동수단(12)의 외주연 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안착되는 1차운동수단(11) 또는 1차운동수단(11)을 포함한 마그네트(M)를 포섭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부(2)는 함체 형상으로 되고, 함체의 내측면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되, 돌출되는 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2단 봉 형상으로 축(2d)이 형성된 본체(2a); 상기 축(2d)의 단부가 관통하되, 리벳 고정되는 단턱(2c)이 형성된 덮개(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제 1항에 있어서, 코일(C)의 단말과 외부의 전선과 납땜 결합시키도록 덮 개(2b)의 반대 측 본체(2a)의 면에 인서트 사출되는 PCB(19)가 마련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2항 또는 4항 또는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CB(19)상에 코일(C)과 자성체(MR)를 고정시키고, 중앙에 축(2d)을 일체로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60117462A 2006-11-27 2006-11-27 이어폰 KR10080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62A KR100807703B1 (ko) 2006-11-27 2006-11-27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62A KR100807703B1 (ko) 2006-11-27 2006-11-27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703B1 true KR100807703B1 (ko) 2008-02-28

Family

ID=3938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462A KR100807703B1 (ko) 2006-11-27 2006-11-27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7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26B1 (ko) * 2009-07-29 2011-05-17 에스텍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KR101577902B1 (ko) 2014-07-08 2015-12-16 이승호 이어폰 장치
KR20170097583A (ko)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98A (ko) * 2000-05-24 2001-12-07 박승길 초소형 음향 진동자
WO2005125266A1 (ja) 2004-06-18 2005-12-29 Temco Japan Co., Ltd. 骨伝導デバイス及びその振動板
KR20050122656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음압 보강을 위한 평판 스피커
KR20060108181A (ko) * 2005-04-12 2006-10-17 크레신 주식회사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98A (ko) * 2000-05-24 2001-12-07 박승길 초소형 음향 진동자
WO2005125266A1 (ja) 2004-06-18 2005-12-29 Temco Japan Co., Ltd. 骨伝導デバイス及びその振動板
KR20050122656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음압 보강을 위한 평판 스피커
KR20060108181A (ko) * 2005-04-12 2006-10-17 크레신 주식회사 스피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26B1 (ko) * 2009-07-29 2011-05-17 에스텍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KR101577902B1 (ko) 2014-07-08 2015-12-16 이승호 이어폰 장치
KR20170097583A (ko)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8-03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003B1 (ko)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US7961553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EP3016405A1 (en) Piezoelectric ceramic dual-frequency earphone structure
TW200826715A (en) Acoustic transducer
KR100687208B1 (ko)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JPWO2004006620A1 (ja) 電気音響変換器
US20110243364A1 (en) Structure of loudspeaker for reducing thickness and mounting depth
EP2432250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CN109863756B (zh) 骨传导扬声器及骨传导头戴式耳机装置
KR100807703B1 (ko) 이어폰
KR20160067344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KR100842092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 메커니즘
KR100804023B1 (ko) 진동발생장치
US10567881B2 (en) Vibrator and elastic coupling member forming same
KR20160004693A (ko) 골전도 스피커
KR20080055571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KR20100097869A (ko) 골전도 헤드셋용 스피커부
KR101607529B1 (ko) 스피커
KR20050080117A (ko) 피로 감소를 위한 소형 스피커 유닛
KR20080001615A (ko) 소형 스피커
KR20120005288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0986562B1 (ko) 자기 변형 구동기를 이용한 평판 진동형 스피커
CN219919126U (zh) 一种骨气复合发声装置及耳机
KR20080054323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CN213818168U (zh) 一种田螺状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