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242A -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242A
KR20180071242A KR1020180070761A KR20180070761A KR20180071242A KR 20180071242 A KR20180071242 A KR 20180071242A KR 1020180070761 A KR1020180070761 A KR 1020180070761A KR 20180070761 A KR20180070761 A KR 20180070761A KR 20180071242 A KR20180071242 A KR 2018007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vibration
magnetic circuit
elasti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ublication of KR2018007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진동 운동하는 탄성부ㅡ상기 탄성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를 포함함ㅡ; 및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고, 상기 요크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진동 플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바디; 및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 플래이트;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IBR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진동을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와 같은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에 탑재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골전도(骨傳導) 기술을 이용한 제품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골전도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보청기 등과 같은 응용제품이 상용화되고 있다. 골전도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테무코 재팬은 진공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수중 등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은 골전도 기술을 채용한 제품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리는 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울려 그 진동이 달팽이관에 전달되어 인식된다. 이에 반해 골전도는 골로부터 진동을 직접 달팽이관에 전달한다. 귀를 막아도 소리가 들리는 것은 이러한 원리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막 등에 장애가 있어도 달팽이관과 청신경(聽神經)이 정상이면 골전도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5골전도 기술 자체는 이전부터 확립되어 있었지만 이를 제품으로 상용화하는 데는 소형화에 장애가 있어왔다. 이는 골전도에 의한 출력이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테무코 재팬은 부품수를 줄이고 내부구조를 변화시킨 골전도 스피커를 개발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응용한 음성 통신용 골전도 스피커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모터(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며,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도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크기와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보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진동호출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형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 특히, 소형 진동모터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단말기가 인기를 끌면서 기존 회전식 진동모터의 기능을 뛰어 넘는 선형운동 진동모터 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선형운동 진동모터가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폰과 일반 휴대폰 등 휴대용 IT기기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회전식 진동모터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제품 수명 또한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응답속도는 최대 변위에서의 진동력의 50%에 도달할 때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선형운동 진동모터를 채택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최근, 터치스크린 단말기는 스마트폰으로 진화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하며 그러한 기능들에 맞는 피드백 진동이 요구되는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종래의 선형운동 진동모터보다 응답속도, 즉, 반응속도가 더욱 빠른 진동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1358호
본 발명은, 진동을 신체 및 피부에 직접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진동을 신체 및 피부에 직접 전달시켜 진동 감쇄에 의한 골전도율 저하 내지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진동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진동 출력 장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진동 운동하는 탄성부ㅡ상기 탄성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를 포함함ㅡ; 및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고, 상기 요크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진동 플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바디; 및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 플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진동 출력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진동 출력 스피커는, 진동 출력부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진동 운동하는 탄성부ㅡ상기 탄성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를 포함함ㅡ; 및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고, 상기 요크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진동 플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바디; 및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 플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동을 신체 및 피부에 직접 전달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동을 신체 및 피부에 직접 전달시켜 진동 감쇄에 의한 골전도율 저하 내지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의 외형과 구조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와 하우징이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가 2개, 3개 및 4개인 탄성부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가 2개, 3개 및 4개일 경우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부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와 요크부가 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 출력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리벳없이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가 두 개인, 진동 출력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가 미리 정해진 공간에서 진동하는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크부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부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을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 은 휴대 전자 기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또는 "접하여"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외형과 구조를 도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자기회로(100), 요크부(200), 탄성부(3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회로(10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기회로(100)는 마그네트(110)와 탑 플래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트(110)는 자력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탑 플래이트(120)는 마그네트(110)의 자기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자기회로(100)는 코일(13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코일(130)에 교류 신호가 인가되면, 코일(130)에 인가된 교류 신호의 방향과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마그네트(110)는 진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그네트(110)는 코일(130)에 인가된 교류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자기장 내에 놓여있는 도체는 일정방향으로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기인한 것으로 그 원리와 관련된 이론은 공지의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브러쉬와 정류자를 사용하는 진동모터가 자주 사용되었으나, 과도한 소음과 소형화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진동 출력 장치(1000)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130)과 자기회로(100)를 포함하며, 자기회로(1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요크부(200)는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바디(210) 및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는 요크 플래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 플래이트(220)는 진동부(310)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요크 플래이트(220)가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함으로써,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확보될 수 있다.
요크부(200)는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요크부(200)가 자기회로(100)에 접한다는 것은 요크부(200)와 자기회로(100) 사이에 별도의 진동 전달체를 구비하지 않고, 자기회로(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요크부(200)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요크부(200)를 순차적으로 적층 하거나, 제조 당시에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를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자기회로(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직접 요크부(2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300)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는 자기회로(100)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310), 하우징(500)에 탄성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20) 및 진동부(310)와 고정부(32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진동부(310), 연결부(315) 및 고정부(320)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탄성부(300)의 구성요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플래이트(400)는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고,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한 탄성부(300)의 개구부(330, 도 3a 참조)를 통과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자기회로(100)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들이 폐쇄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500)은 내부의 공간에 진동 출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는 코일(130), 자기회로(100), 요크부(200), 탄성부(300)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500)은 다양한 부재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금속부재(예를 들어, 철, 티켈, 구리 등)로 성형될 수 있고, 강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출력 장치(1000)는 PCB 기판(810)을 포함할 수 있다. PCB 기판(810)은 캡(82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캡(820)은 하우징(500)과 PCB 기판(810)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플래이트(400) 및 요크부(200)는 리벳(830)없이 직접 부착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와 하우징(500)이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하우징(500)과 탄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과 탄성부(3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컬링에 의해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컬링이란, 미리 결정된 각도로 굽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미리 결정된 각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각도는 90도로 결정될 수 있고, 탄성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최적의 각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할 수 있다.
도 3a, 3b 및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310)가 2개, 3개 및 4개인 탄성부(3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 300-1, 300-2, 이하 300으로 표기함)는 자기회로(100)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310, 310-1, 310-2, 이하 310으로 표기함)와 하우징(500)에 탄성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20, 320-1, 320-2, 이하 320으로 표기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는 진동부(310)와 고정부(32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315, 315-1, 315-2, 이하 315로 표기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300)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탄성부(300)의 복수의 진동부(310)는 요크부(200)의 상면에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자기회로(1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탄성부(300)의 진동부(310)의 저면은 요크부(200)의 상면과 접하고, 요크부(200)의 저면은 자기회로(100)의 상면과 접하므로 자기회로(1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요크부(200)를 통해 탄성부(300)까지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회로(100)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고 있는 요크부(200)와,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고 있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도 상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 움직인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탄성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힘을 제공 받고,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는 상하로 움직이는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기회로(100)가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요크부(200)와, 요크부(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도 하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하측 방향으로 움직인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탄성부(300)의 탄성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힘을 제공 받고,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는 상하로 움직이는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두 개인 경우, 연결부(315)가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15)는 고정부(320)의 내측면에 두 개의 진동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탄성부(300-1)의 진동부(310-1)가 세 개인 경우, 연결부(315-1)가 세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15-1)는 고정부(320-1)의 내측면에 세 개의 진동부(310-1)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탄성부(300-2)의 진동부(310-2)가 네 개인 경우, 연결부(315-2)가 네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15-2)는 고정부(320-2)의 내측면에 네 개의 진동부(310-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탄성부(300)의 복수의 진동부(31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0)가 수평을 유지하지 않은 채 상하 운동하는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진동부(310)는 하측 방향으로 진동하고, 나머지 진동부(310)들 중 적어도 한 개는 상측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탄성부(300)의 중심부에는 개구부(330, 330-1, 330-2. 이하 330으로 표기함)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의 개구부(330)의 외측 방향에는 진동부(310)가 위치할 수 있고, 진동부(310)의 외측 방향에는 고정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310)와 고정부(3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진동부(310)가 진동하는 경우 고정부(320)와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탄성부(300)는 복수개의 진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진동부(310)는 연결부(315)에 의해 고정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300)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부(315, 315-1, 315-2, 이하 315로 표기함)는 진동부(310, 310-1, 310-2, 이하 310로 표기함)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31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부(300)는 중심부에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는 개구부(330)를 포함하고, 개구부(330)를 통하여 진동 플래이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진동 플래이트(400)는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신체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하우징(50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의 상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0)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탄성부(300)는 하우징(50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는 하우징(5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 및 하우징(500)은 금속 부재를 이용한 주조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310)가 2개, 3개 및 4개일 경우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부(2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0)는 자기회로(100)에서 발생된 진동을 탄성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30)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회로(100)가 진동하면, 자기회로(100)에 접하고 있는 요크부(200)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고, 요크부(200)에 전달된 진동은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부(300)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0, 200-1, 200-2, 이하 200으로 표기함)는 요크 바디(210) 및 요크 플래이트(220, 220-1, 220-2, 이하 220으로 표기함)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10)는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요크 바디(210)의 상면은 원형판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요크 바디(210)의 저면은 원형판의 중심부에 원기둥이 부착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리벳(8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판의 중심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요크 바디(210)의 형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요크 바디(2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요크 플래이트(220)는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고, 진동부(310)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요크 플래이트(220)는 적어도 한 개의 플래이트 바디(221)와 진동부(310) 개수만큼의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310)가 두 개 구비되었을 때, 요크 플래이트(220)는 한 개의 플래이트 바디(221)와 두 개의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에 진동부(310)가 두 개인 경우, 요크 플래이트(220)는 플래이트 바디(221)와, 플래이트 바디(221) 외곽에 두 개의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플래이트(220)가 두 개의 돌출부(222)를 포함함으로써,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돌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돌출면 각각은 상이한 진동부(310)와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1)에 진동부(310-1)가 세 개인 경우, 요크 플래이트(220-1)는 플래이트 바디(221-1)와, 플래이트 바디(221-1) 외곽에 세 개의 돌출부(222-1)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플래이트(220-1)가 세 개의 돌출부(222-1)를 포함함으로써,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는 세 개의 돌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 개의 돌출면 각각은 상이한 진동부(310-1)와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2)에 진동부(310-2)가 네 개인 경우, 요크 플래이트(220-2)는 플래이트 바디(221-2)와, 플래이트 바디(221-2) 외곽에 네 개의 돌출부(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플래이트(220-2)가 네 개의 돌출부(222-2)를 포함함으로써,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는 네 개의 돌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네 개의 돌출면 각각은 상이한 진동부(310-2)와 접할 수 있다.
돌출부(222, 222-1, 222-2, 이하 222로 표기함)는 플래이트 바디(221, 221-1, 221-2, 이하 221로 표기함)와 같은 높이로 구비되며, 플래이트 바디(221)의 중심에서 일직선으로 뻗어 나온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래이트 바디(221)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돌출부(222)의 외곽 면은 굴곡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22)는 상기 플래이트 바디(221)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요크 플래이트(220)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크 플래이트(220)는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 플래이트(220)는 요크 바디(21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고, 요크(21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고, 요크(2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크 플래이트(220)가 요크 바디(21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요크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이 형성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에 의해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부(200)의 요크 플래이트(2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300)의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코일(130)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회로(100)가 진동하는 경우, 자기회로(1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요크부(200)에 전달되고, 요크부(200)에 전달된 진동은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와 요크부(200)가 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요크부(200)는 요크 바디(210) 및 요크 플래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300)는 진동부(310)와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플래이트(2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진동부(31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 플래이트(220)에 의해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부(3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회로(100)의 상하 진동이 요크부(200)를 통해 탄성부(300)의 진동부(310)에 직접 전해질 수 있다.
고정부(320)는 탄성부(300)의 외측면을 하우징(500)에 고정시킴으로써, 진동부(310)를 제외한 탄성부(30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요크부(200)에 의해 진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에 진동부(310)가 두 개인 경우, 요크부(200)의 요크 플래이트(220)는 두 개의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돌출부(222) 각각은 한 개의 진동부(310)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부(200)의 진동이 두 개의 진동부(310)에 직접 전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1)에 진동부(310-1)가 세 개인 경우, 요크부(200-1)의 요크 플래이트(220-1)는 세 개의 돌출부(2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 개의 돌출부(222-1) 각각은 한 개의 진동부(310-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부(200-1)의 진동이 세 개의 진동부(310-1)에 직접 전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2)에 진동부(310-2)가 네 개인 경우, 요크부(200-2)의 요크 플래이트(220-2)는 네 개의 돌출부(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네 개의 돌출부(222-2) 각각은 한 개의 진동부(310-2)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부(200-2)의 진동이 네 개의 진동부(310-2)에 직접 전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 300-1, 300-2)의 진동부(310, 310-1, 310-2)는 요크부(200, 200-1, 200-2)의 운동 형태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0-1)가 수평을 유지하지 않은 채 상하 운동할 때, 진동부(310-1)가 세 개인 경우, 두 개의 진동부(310-1)는 상측 방향으로 진동하고, 나머지 한 개의 진동부(310-1)는 하측으로 진동할 수 있다.
탄성부(300)와 요크부(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와 요크부(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부착됨으로써, 탄성부(300)와 요크부(200)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와 요크부(200)는 리벳(8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와 요크부(200)는 일체형으로 성형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이 리벳(830)없이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회로(100)는 탑 플래이트(120)와 마그네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10)는 자력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탑 플래이트(120)는 마그네트(110)의 자기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자기회로(100)의 상면은 요크부(2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회로(100)는 요크부(200)에 직접 부착됨으로서, 요크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
요크부(2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자기회로(100)가 결합하고, 요크부(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탄성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크부(200)의 상면은 돌출면이 존재하지 않는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요크부(200)의 상면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이 형성되어 탄성부(30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크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추가적으로 진동 플래이트(400)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플래이트(400)는 요크부(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부(2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 자기회로(100)를 부착하고, 요크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300)를 부착하고, 요크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진동 플래이트(400)를 부착함으로써, 리벳(830)을 생략한 진동 출력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는 자기회로 가이드(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는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자기회로 가이드(1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자기회로 가이드(150)는 자기회로(100) 및 요크부(200)의 일측면에 접하여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회로 가이드(150)는 컬링됨으로써,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회로 가이드(150)는 자기회로(100)의 외측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자기회로 가이드(15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는 자기회로(100) 방향으로 컬링될 수 있다. 또한, 자기회로 가이드(150)는 요크부(200)의 외측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자기회로 가이드(150)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는 요크부(200) 방향으로 컬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회로 가이드(150)는 컬링됨으로써, 자기회로(100)와 요크부(20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두 개의 절곡부를 형섬함으로써, 진동부(31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절곡부의 형태 및 개수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310)가 두 개인,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PCB 기판(810)을 포함할 수 있다. PCB 기판(810)은 캡(82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캡(820)은 하우징(500)과 PCB 기판(810)을 연결하여 고정 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원기둥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500)의 내부의 공간에는 코일(130)이 구비될 수 있다. 코일(1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신호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코일(130)과 접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기회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자기회로(100)는 마그네트(110)의 자기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탑 플래이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자기회로(100)의 상면에는 요크부(200)가 구비될 수 있고, 자기회로(100)의 진동은 요크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회로(100)는 요크부(200)에 직접 부착되어 요크부(200)와 결합할 수 있고, 자기회로 가이드(150)에 의해 요크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
요크부(200)는 요크 바디(210)과 요크 플래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부(200)의 상면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0)의 상면은 돌출면이 없는 평평한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요크부(200)의 상면은 요크 플래이트(22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을 포함함으로써, 탄성부(30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요크부(200)의 상면 중 일부에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접할 수 있고,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컬링에 의해 하우징(500)과 결합할 수 있고,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하우징(5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진동 플래이트(400)가 구비되어 자기회로(100)의 진동을 사용자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요크부(200) 및 진동 플래이트(400)의 중앙에는 리벳(830)이 연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리벳(8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 요크부(200), 및 진동 플래이트(400)는 리벳(8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리벳(830)에 의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는 요크부(200)에 직접 부착되고, 진동 플래이트(400)도 요크부(200)에 직접 부착되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리벳(830)을 생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한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전자 기기는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전달이 필요한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스피커(Speaker) 등과 같은 다양한 전가 기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는 구글(google)사의 구글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가 미리 정해진 공간에서 진동하는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자기회로(10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200)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탄성에 의해 탄성부(300)는 휘어질 수 있다. 탄성부(300)가 휘어지기 위해서는 휘어질 수 있는 공간(212)이 제공되어야 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탄성부(300)가 진동운동 할 수 있는 공간(21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자기회로(10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자기회로(100)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200)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탄성에 의해 탄성부(300)는 휘어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탄성부(300)가 휘어지는 정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특정한 탄성부(300)의 탄성계수나 탄성부(300)가 휘어지는 각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진동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요크부(200) 및 탄성부(300)의 진동의 폭을 크게 해야 하고, 탄성부(310)가 진동하는 공간(212)을 크게 확보해야 하므로,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성능에 따라, 요크부(200)의 상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크 플래이트(220)를 구비함으로써, 요크부(200)의 상면에 다양한 체적을 갖는 공간(212)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가 상하로 움직이는 진동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탄성부(300)의 진동부(310)가 진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기준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0)는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과 같은 진동하지 않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는 탄성부(300)를 도시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에 포함된 탄성부(300)는 요크부(200)의 상면 중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출력 장치(1000)에 포함된 탄성부(300)는 진동부(310)와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요크부(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부(200)가 요크 플래이트(220)를 포함하는 경우,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요크 플래이트(2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요크부(200)가 요크 플래이트(22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300)의 진동부(310)는 요크 바디(21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할 수 있다. 요크부(200), 요크 바디(210), 및 요크 플래이트(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전술한 바 있다.
요크부(200)의 상면에는 탄성부(30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간(212)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요크부(200)의 상면 중 일부에 탄성부(300)의 일부가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플래이트(400)는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진동 플래이트(400)는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하고, 요크부(200)의 상면에 접한 탄성부(300)의 개구부(330)를 통과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500)을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10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들이 폐쇄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500)은 내부의 공간에 진동 출력 장치(10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의 내부 공간에는 코일(130), 자기회로(100), 요크부(200), 탄성부(300)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500)은 다양한 부재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금속부재(예를 들어, 철, 티켈, 구리 등)로 성형될 수 있고, 강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500)과 탄성부(3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컬링에 의해 하우징(5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300) 방향으로 컬링됨으로써, 탄성부(3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할 수 있다.
탄성부(300)는 하우징(50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의 고정부(320)는 하우징(500)과 결합됨으로써 탄성부(300)를 하우징(50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300)는 하우징(5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300) 및 하우징(500)은 금속 부재를 이용한 주조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 은 휴대 전자 기기(20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출력 장치(1000)는 휴대 전자 기기(20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자 기기(2000)는 구글(google)사의 구글 글래스(20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글 글래스(200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010), 사용자 등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비주얼 오버레이(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글 글래스(2000)는 외부 통신망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모듈(1030) 및 수신한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는 CPU와 같은 연산 처리 장치(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글 글래스(2000)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1050)와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받침수단(10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글 글래스(2000)는 자기회로(100), 요크부(200) 및 탄성부(300)를 구비하는 진동 출력 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출력 장치(1000)는 구글 글래스(2000)와 사용자 등의 골전도 영역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구글 글래스(2000)를 착용하고, 구글 글래스(2000)에 구비된 진동 출력 장치(1000)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음악과 같은 소리 신호를 진동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기회로
110: 마그네트
120: 탑 플래이트
130: 코일
200: 요크부
210: 요크
220: 요크 플래이트
300: 탄성부
310: 진동부
315: 연결부
320: 고정부
330: 개구부
400: 진동 플래이트
500: 하우징
810: PCB 기판
820: 캡
830: 리벳
1000: 진동 출력 장치
2000: 휴대 전자 기기

Claims (1)

  1.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부;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진동 운동하는 탄성부ㅡ상기 탄성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부를 포함함ㅡ; 및
    상기 요크부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하고, 상기 요크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진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진동 플래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자기회로의 상면에 접하는 요크 바디; 및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크 바디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면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요크 플 래이트;
    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20180070761A 2016-02-18 2018-06-20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20180071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8919 2016-02-18
KR1020160018919 2016-02-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25A Division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7-02-15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42A true KR20180071242A (ko) 2018-06-27

Family

ID=5975975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25A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7-02-15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70022201A KR101885621B1 (ko) 2016-02-18 2017-02-20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20180070761A KR20180071242A (ko) 2016-02-18 2018-06-20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80087684A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7-27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25A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7-02-15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70022201A KR101885621B1 (ko) 2016-02-18 2017-02-20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84A KR20180088361A (ko) 2016-02-18 2018-07-27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5097B2 (ko)
KR (4) KR101872689B1 (ko)
CN (2) CN108430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493B1 (ko) * 2018-11-20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액추에이터
CN112165662B (zh) * 2020-10-22 2021-09-28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扬声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358A (ko) 2009-03-09 2010-09-17 아이필유(주)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0062U (zh) 1986-01-08 1987-12-16 赵文元 双螺管式电振机
JPH10108443A (ja) 1996-09-30 1998-04-24 Ee C Ii Tec Kk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0310891B1 (ko) * 1998-12-31 2001-10-17 한성찬 초소형 골도 스피커
KR100323076B1 (ko) 1999-12-24 2002-02-08 이형도 진동 스피커
KR100807703B1 (ko) 2006-11-27 2008-02-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이어폰
KR101039813B1 (ko) * 2009-03-30 2011-06-13 주식회사 보니아코퍼레이션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TW201043046A (en) 2009-05-18 2010-12-01 Aishin Co Lt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for tactile acoustic
US20100296691A1 (en) * 2009-05-19 2010-11-25 Aishin Co., Lt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for tactile acoustic apparatus
KR101093049B1 (ko) * 2009-09-02 2011-12-13 민동훈 압전 진동을 이용해 골전도 기능을 가지는 헤드폰
KR200454024Y1 (ko) 2010-01-06 2011-06-09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04907B1 (ko) * 2010-06-16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97917B1 (ko) 2011-08-29 2012-11-05 염강문 저음특성과 음압을 향상시킨 초박형 스피커유니트
CN105340291A (zh) * 2014-02-20 2016-02-17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喇叭单元
KR102176364B1 (ko) * 2014-03-19 202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358A (ko) 2009-03-09 2010-09-17 아이필유(주)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30652A (zh) 2018-08-21
KR101872689B1 (ko) 2018-06-29
KR20170097568A (ko) 2017-08-28
US10575097B2 (en) 2020-02-25
CN209968842U (zh) 2020-01-21
KR101885621B1 (ko) 2018-08-06
KR20180088361A (ko) 2018-08-03
US20190014416A1 (en) 2019-01-10
CN108430652B (zh) 2020-06-09
KR20170097583A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889B1 (ko) 진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US8577075B2 (en) Speaker
KR100930537B1 (ko)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US9693147B2 (en) Sensory signal output device
US20150086066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802381B1 (ko)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872689B1 (ko)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WO2020029646A1 (zh) 扬声器
US10149060B2 (en) Long stroke speaker
KR102116249B1 (ko) 리니어 액츄에이터
US9621993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KR20170039116A (ko)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WO2017123061A1 (ko)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을 출력하는 휴대 전자 기기
WO2017142333A1 (ko)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449383B1 (ko) 무빙 판스프링을 갖는 리시버
KR20170087056A (ko) 진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20170087017A (ko) 진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93975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진동 출력 장치
WO2016182154A1 (ko)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