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74B1 - 목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74B1
KR101885574B1 KR1020170176725A KR20170176725A KR101885574B1 KR 101885574 B1 KR101885574 B1 KR 101885574B1 KR 1020170176725 A KR1020170176725 A KR 1020170176725A KR 20170176725 A KR20170176725 A KR 20170176725A KR 101885574 B1 KR101885574 B1 KR 10188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unit
cutting table
cutting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량
Original Assignee
박경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량 filed Critical 박경량
Priority to KR102017017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10Manually-operated feeding or pressing accessories,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6Adjusting equipment, e.g. using optical pro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는 가공대상물인 목재를 절단날(112)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도록 한 가공유닛(110)과, 상기 가공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절단테이블(122) 및 상기 절단테이블(122)의 측면에 절단테이블(12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재가공하기 위해 반송할 수 있도록 한 반송테이블(124)로 이루어진 테이블(120)과, 상기 테이블(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정렬유닛(130)과, 상기 테이블(120)의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가공목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정렬유닛(130)은 상기 테이블(12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승하강실린더(131)와, 상기 승하강실린더(131)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132)와, 상기 슬라이더(13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더(13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133)과, 상기 슬라이더(132)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재(13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상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가압실린더(135)와, 하부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실린더(135)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36)과, 상기 브라켓(136)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체인(137a)을 통해 상기 브라켓(136)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137)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와 일측이 접촉될 수 있는 정렬롤러(138)와, 상기 정렬롤러(138)를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일단이 상기 모터(137)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정실린더(139)로 이루어진 목재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재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본 발명은 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 상의 목재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 형태의 목재 및 막대 형태의 목재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통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하여 판 형태로 재단 한 후 이를 판 또는 막대 형태로 재가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 다양한 크기 및 두께를 지닌 목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유닛과,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유닛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톱을 일측에 설치한 후 상기 회전톱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를 이송시킴으로써 목재가 회전톱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방벙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의 폭과 길이를 맞추어 가공하기 위해서는 최소 네번의 절단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에 따라 부피가 큰 목재를 각각의 절단과정마다 방향을 변화시켜 가며 고정하고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신속한 목재의 가공을 어렵게 하였고, 인력의 손실도 컸다.
또한, 목재의 가공에 있어 가공되는 목재의 종류나 크기, 재단 규경등에 차이가 있어 가공을 수행할 때마다 정확한 절단선을 규정하고 규정된 절단선에 따라 목재를 고정하여 이송시키며 절단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했고, 이러한 작업은 절차가 복잡하고 정밀한 절단결과물을 확보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목재 가공을 위한 다양한 자동화 장비들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목재를 고정하고 이송하며 절단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고정하는 유닛이 절단유닛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유닛 또는 지지유닛을 옮겨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고, 견고하게 가공대상물인 목재가 고정되지 못하여 목재의 가공 오차가 커지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는 목재의 폭과 길이를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재단시 가공 대상물인 목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목재에도 일정한 치수로 쉽고 간편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신속하고 정확하게 목재를 재단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는 가공대상물인 목재를 절단날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도록 한 가공유닛과, 상기 가공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절단테이블 및 상기 절단테이블의 측면에 절단테이블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재가공하기 위해 반송할 수 있도록 한 반송테이블로 이루어진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테이블을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정렬유닛과, 상기 테이블의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을 통해 이송된 가공목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더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더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상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가압실린더와, 하부가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실린더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체인을 통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절단테이블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와 일측이 접촉될 수 있는 정렬롤러와, 상기 정렬롤러를 상기 절단테이블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일단이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정실린더로 이루어진 목재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의 재단시 정렬유닛이 목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이동될 수 있게 회전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안내하여 정확한 치수로 재단될 수 있으며, 또한 재단시 정렬유닛이 목재를 회전지지함으로써 목재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속한 재단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의 정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의 선별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100)는 통나무 형태로 이루어진 목재의 외주면을 정리하고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껍질을 벗기는 박피공정 및 껍질을 벗긴 목재를 길이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는 1차절단공정으로 이루어진 예비가공을 거친 목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100)는 가공대상물인 목재를 절단날(112)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도록 한 가공유닛(110)과, 상기 가공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절단테이블(122) 및 상기 절단테이블(122)의 측면에 절단테이블(12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재가공하기 위해 반송할 수 있도록 한 반송테이블(124)로 이루어진 테이블(120)과, 상기 테이블(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정렬유닛(130)과, 상기 테이블(120)의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가공목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유닛(110)은 상기 예비가공을 거친 목재를 절단날(112)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치수로 목재를 재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순환되게 설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목재를 재단할 수 있도록 한 절단날(11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공유닛(110)은 띠 형태로 이루어진 절단날(112)을 일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가공유닛(110)은 이미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테이블(120)은 상기 가공유닛(11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블(120)은 상기 가공유닛(110)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절단테이블(122)과, 상기 절단테이블(122)의 측면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가공유닛(110)에 의해 가공된 목재를 재가공하고자 할 경우 목재를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반송테이블(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테이블(122)과 상기 반송테이블(124)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25)과, 상기 프레임(125)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에 목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레일(126)과, 상기 레일(12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테이블(122)과 상기 반송테이블(124)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레일(126)이 회전되는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테이블(122)과 반송테이블(124)이 평행하게 되되, 상기 절단테이블(122)에 설치된 레일(126)은 제1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반송테이블(124)에 설치된 레일(126)은 제2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반송테이블(124)을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테이블(122)과 상기 반송테이블(124)에 사용되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각각 전원의 공급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테이블(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각각의 레일(126)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라켓(미도시)으로 구성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체인이 이송되면서 스프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레일(126)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1,제2구동부는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레일에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이 스프라켓을 체인을 통해 모터와 결합되도록 한 구성은 이미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당업자가 설계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해 낼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판단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렬유닛(130)은 상기 가공유닛(110)으로 이동되는 목재의 위치를 정렬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재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정렬유닛(130)은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가공유닛(110)으로 공급되는 목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공유닛(110)의 절단날(112)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위치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2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승하강실린더(131)와, 상기 승하강실린더(131)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132)와, 상기 슬라이더(13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더(13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133)과, 상기 슬라이더(132)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재(13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상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가압실린더(135)와, 하부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실린더(135)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36)과, 상기 브라켓(136)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체인(137a)을 통해 상기 브라켓(136)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137)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와 일측이 접촉될 수 있는 정렬롤러(138)와, 상기 정렬롤러(138)를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일단이 상기 모터(137)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정실린더(13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정렬유닛(13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승하강실린더(131)의 로드 길이가 축소된 상태로서 로드의 말단에 결합된 슬라이더(132) 역시 하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승하강실린더(131)가 작동되면 로드가 신장되면서 슬라이더(132)가 가이드봉(133)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실린더(131)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슬라이더(132)의 측면에는 회전지지부재(13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측면에는 가압실린더(13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실린더(135)가 구동되면서 정렬롤러(138)를 목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실린더(135)의 로드 말단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위치조정실린더(139)의 실린더는 상기 반송테이블(124)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도 5a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135)에 의해 상기 정렬롤러(138)가 목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는 회전지지부재(134)의 상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위치조정실린더(139)가 구동되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롤러(138)가 목재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롤러(138)의 외주면에는 목재와의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렬롤러(138)의 외주면에 주름부를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외주면에 물방울 형태의 오목볼록한 형태의 엠보싱 형상을 띄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정렬유닛(130)은 목재 받침부(1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재 받침부(130a)는 상기 가공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롤러(138)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재 받침부(130a)는 재단하고자 하는 목재의 치수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목재를 접촉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받침부재(130a-1)와, 상기 받침부재(130a-1)의 후방에 설치되어 받침부재(130a-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엑츄에이터(130a-2)로 구성될 수 있다.
선별유닛(140)은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되는 가공된 목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120)테이블의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선별유닛(140)은 상기 반송테이블(124)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41a)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41)와,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141)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142,143)과, 상기 반송테이블(124)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각 프레임(125)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2)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라켓(142)과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연결봉(144)과, 상기 연결봉(1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45)와, 상기 각 지지부재(141)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3)을 연결하는 체인(146)과,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41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테이블(122)과 연결되어 신장 축소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41a)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41a)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41) 일단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한 선별실린더(14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별유닛(1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125)의 일단이 상기 반송테이블(1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반송테이블(124)과 일단이 결합된 지지부재(141)의 양 끝단에는 각각 스프라켓(142,14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3)은 체인(146)이 순환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테이블(124)과 결합되는 방향의 각 지지부재(141)에 마련된 스프라켓(142)은 연결봉(144)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144)의 회전시 각 지지부재(141)에 마련된 스프라켓(142)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144)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145)의 구동시 연결봉(144)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각 프레임(125)의 일단에 설치된 스프라켓(142)이 회전되면서 체인(146)이 순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41)의 양 끝단에 마련된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3)을 연결하는 체인(146)은 절단테이블(122)로 이동되는 목재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완성품을 적재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재가공을 하기 위한 반송테이블(124)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목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체인(146)은 레일(126)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라켓(142,142) 및 체인(146)이 결합된 지지부재(141)가 선별실린더(147)의 구동에 의해 레일(126)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면 목재 역시 레일(126)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후 작업자가, 목재 상태를 판별한 후 구동모터(14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게 되면 연결봉(144)이 회전되면서 스프라켓(142)을 회전시켜 목재를 반송테이블(124) 또는 완성품 적재장소로 이동시켜 목재의 재단작업을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100)는 목재를 정확한 치수로 재단될 수 있으며, 재단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목재 가공장치 110 : 가공유닛
112 : 절단날 120 : 테이블
122 : 절단테이블 124 : 반송테이블
125 : 프레임 126 : 레일
130 : 정렬유닛 130a : 목재받침부
131 : 승하강실린더 132 : 슬라이더
133 : 가이드봉 134 : 회전지지부재
135 : 가압실린더 136 : 브라켓
137 : 모터 137a : 체인
138 : 정렬롤러 139 : 위치조정실린더
140 : 선별유닛 141 : 지지부재
142 : 스프라켓 143 : 스프라켓
144 : 연결봉 145 : 구동모터
146 : 체인 147 : 선별실린더

Claims (3)

  1. 가공대상물인 목재를 절단날(112)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도록 한 가공유닛(110)과, 상기 가공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절단테이블(122) 및 상기 절단테이블(122)의 측면에 절단테이블(12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목재를 재가공하기 위해 반송할 수 있도록 한 반송테이블(124)로 이루어진 테이블(120)과, 상기 테이블(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가공유닛(11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정렬유닛(130)과, 상기 테이블(120)의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송된 가공목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정렬유닛(130)은
    상기 테이블(12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승하강실린더(131)와,
    상기 승하강실린더(131)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132)와,
    상기 슬라이더(13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더(13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봉(133)과,
    상기 슬라이더(132)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재(13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상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가압실린더(135)와,
    하부가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실린더(135)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36)과,
    상기 브라켓(136)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체인(137a)을 통해 상기 브라켓(136)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137)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와 일측이 접촉될 수 있는 정렬롤러(138)와,
    상기 정렬롤러(138)를 상기 절단테이블(122)을 통해 이동되는 목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일단이 상기 모터(137)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정실린더(139)로 이루어진 목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140)은
    상기 반송테이블(124)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41a)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41)와,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141)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142,143)과,
    상기 반송테이블(124)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각 프레임(125)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2)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라켓(142)과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연결봉(144)과,
    상기 연결봉(1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45)와,
    상기 각 지지부재(141)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스프라켓(142)과 스프라켓(143)을 연결하는 체인(146)과,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41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테이블(122)과 연결되어 신장 축소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41a)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41a)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41) 일단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한 선별실린더(147)를 포함하는 목재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130)은 상기 가공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롤러(138)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목재를 지지할 수 있게 목재를 접촉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받침부재(130a-1)와, 상기 받침부재(130a-1)의 후방에 설치되어 받침부재(130a-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엑츄에이터(130a-2)로 이루어진 목재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목재 가공장치.
KR1020170176725A 2017-12-21 2017-12-21 목재 가공장치 KR10188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25A KR101885574B1 (ko) 2017-12-21 2017-12-21 목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25A KR101885574B1 (ko) 2017-12-21 2017-12-21 목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74B1 true KR101885574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25A KR101885574B1 (ko) 2017-12-21 2017-12-21 목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339B1 (ko) * 2020-06-22 2020-09-11 박대홍 목재 이송 및 절단 장치
KR102312694B1 (ko) 2021-03-21 2021-10-14 농업회사법인 나무와 주식회사 구부러진 목재의 원형보존이 가능한 곡재용 자동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재가공시스템
KR20230049511A (ko) 2021-10-06 2023-04-13 농업회사법인 나무와 주식회사 곡재 표피 자동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재가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22B2 (ko) * 1985-01-25 1990-06-20 Toa Mokuzai Kk
JPH03219907A (ja) * 1990-01-25 1991-09-27 Heian Tekkosho:Kk 木材加工装置における被加工物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8244003A (ja) * 1995-03-10 1996-09-24 Haadick:Kk 木材加工装置および木材加工方法
JP2012066555A (ja) * 2010-09-27 2012-04-05 Miyagawa Koki Co Ltd 木材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22B2 (ko) * 1985-01-25 1990-06-20 Toa Mokuzai Kk
JPH03219907A (ja) * 1990-01-25 1991-09-27 Heian Tekkosho:Kk 木材加工装置における被加工物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8244003A (ja) * 1995-03-10 1996-09-24 Haadick:Kk 木材加工装置および木材加工方法
JP2012066555A (ja) * 2010-09-27 2012-04-05 Miyagawa Koki Co Ltd 木材加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339B1 (ko) * 2020-06-22 2020-09-11 박대홍 목재 이송 및 절단 장치
KR102312694B1 (ko) 2021-03-21 2021-10-14 농업회사법인 나무와 주식회사 구부러진 목재의 원형보존이 가능한 곡재용 자동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재가공시스템
KR20230049511A (ko) 2021-10-06 2023-04-13 농업회사법인 나무와 주식회사 곡재 표피 자동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재가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574B1 (ko) 목재 가공장치
US4760237A (en) Laser beam machine
KR101621064B1 (ko)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KR101621065B1 (ko)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JP4721220B2 (ja) 被加工板の加工装置
JP7352816B2 (ja) 搬送装置および工作機械
KR920008586B1 (ko) 전단기(Shearing Machine)
JPH081601A (ja) 長尺材の截断装置
CN108000278A (zh) 一种油泵转子去毛刺装置
KR20190124577A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KR101885572B1 (ko) 목재 가공방법
KR101939952B1 (ko) 절삭품 연마방법
EP2159022B1 (en) Planing machine for planing components made of wood or similar
CN207915674U (zh) 一种多功能木板加工生产线
JPH06312401A (ja) 枠材の両端仕上装置
KR101142523B1 (ko) 목재 가공장치
CN215393284U (zh) 用于激光切割机的自动上料机构
CN215316069U (zh) 一种可变角度锯切线
JP5841215B1 (ja) 火打ち加工装置
KR101789065B1 (ko)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
KR101939951B1 (ko) 절삭품 연마장치
CN219853449U (zh) 一种切割机用工件定位输送机构
KR102077837B1 (ko) 판형 가공물의 표면가공장치
EP1477286A2 (en) Method and machine for machining door and window frame components
JP5841216B1 (ja) 火打ち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