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45B1 -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45B1
KR101885345B1 KR1020170059200A KR20170059200A KR101885345B1 KR 101885345 B1 KR101885345 B1 KR 101885345B1 KR 1020170059200 A KR1020170059200 A KR 1020170059200A KR 20170059200 A KR20170059200 A KR 20170059200A KR 101885345 B1 KR101885345 B1 KR 10188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ated
steel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바
Priority to KR102017005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26Cool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피복 철근 제조 설비는, 코팅 대상 철근에 강구를 분사하여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을 깎아내는 전처리부,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가열부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하는 코팅부,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처리부, 가열부 및 코팅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피복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코팅부 및 냉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COOLING EQUIPMENT AND COATING EQUIPMENT FOR STEEL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일반건축물이나 교량 등 건축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재료로서, 특히 자갈, 모래, 시멘트 등의 재료와 함께 쓰여져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철근은 제조된 후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부식될 수 있다. 그리고 해양 또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철근은, 표면에 많은 녹이 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철근의 표면에 녹이 슬면 함께 사용된 자갈, 모래, 시멘트 등과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건축물이나 교량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최근에는 철근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피복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 피복 철근 제조 설비에서 수지 코팅은 높은 온도를 가진 상태에서 수행되고, 따라서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냉각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어떻게 냉각하느냐에 따라 최종적으로 코팅된 철근의 코팅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수지가 피복된 피복 철근이 견고한 피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피복 철근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피복 철근 제조 설비는, 코팅 대상 철근에 강구를 분사하여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을 깎아내는 전처리부;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가열부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하는 코팅부;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처리부, 가열부 및 코팅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피복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코팅부 및 냉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냉각부는, 피복 철근의 이송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피복 철근을 냉각하는 공랭부를 포함하고, 공랭부는, 피복 철근이 내부를 통과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면에 마련되되,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냉각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급배관과, 케이스의 상면에서 한 쌍의 공급배관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배관을 포함하며, 한 쌍의 공급배관과 배기배관은, 한 쌍의 공급배관을 통해 케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케이스의 상측 내면을 향해 공급된 냉각 공기가 케이스의 상측 내면, 외측 내면 및 피복 철근의 이송 경로를 지나면서 순환한 후 배기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을 1차 공랭부, 2차 수냉부를 통해 냉각시킴으로써 피복 부착력이 강화된 피복 철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 철근 제조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 철근 제조 설비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 철근 제조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 철근 제조 설비는 전처리부(20), 가열부(30), 코팅부(40), 냉각부(50), 검사부(60) 및 이송부(10)를 포함한다.
먼저 이송부(10)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부(10)는 철근(R)을 이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 대상 철근, 즉 수지가 코팅되지 않은 철근과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이송부(10)는 코팅 대상 철근을 전처리부(20), 가열부(30) 및 코팅부(40)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피복 철근을 코팅부(40), 냉각부(50) 및 검사부(60)로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길이 방향(A)을 따라 이송되면서 전처리부(20), 가열부(30), 코팅부(40), 냉각부(50) 및 검사부(60)를 통과하며 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송부(10)는 코팅 대상 철근 및 피복 철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 롤러(11)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코팅 대상 철근 및 피복 철근은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송 롤러(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 롤러(11)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오목홈(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송 롤러(11)가 회전하면서 철근은 오목홈(13)에 안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코팅 대상 철근은 먼저 전처리부(20)로 이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처리부(20)는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을 깎아낸다. 철근에 수지를 효과적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20)는 코팅 대상 철근에 컷와이어(cut wire)와 강구를 분사하여 철근의 표면을 깎아낸다. 이때 컷와이어와 강구는 임펠라(21)에 의해 코팅 대상 철근을 향해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에 대해 45°의 분사 각도를 갖는 복수 개의 임펠라(21)들이 컷와이어와 강구를 분사할 수 있다. 45°의 각도로 강구를 분사함으로써, 여러 방면,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에 대해 8방면에서 강구를 분사할 수 있고, 철근원형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전처리부(20)는 가압 롤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11)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철근(R)들은 분사되는 컷와이어 또는 강구에 의해 이송롤러(11)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압 롤러(25)는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철근(R)들이 이송롤러(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철근(R)들을 이송롤러(11)에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 롤러(25)가 철근(R)들이 이송 롤러(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은 모든 면에서 균일하게 올록볼록한 상태(앵커 패턴)가 되어 수지가 부착되기 위한 최적의 상태가 될 수 있다. 표면이 깎여진 코팅 대상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가열부(30)로 이송된다.
가열부(30)는 전처리부(20)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킨다. 후술할 코팅부(40)에 의해 수지를 코딩 대상 철근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피복시키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180℃ 내지 21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부(30)에 의한 가열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를 이용한 고주파 예열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고주파 예열기는 유도전류장치를 사용한 것으로,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부분만 가열하여, 철근 본래의 강도는 유지하고 생산성 및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IGBT를 이용하여 제어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철근 표면의 온도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수지가 철근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코팅부(40)는 전처리부(20)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한다. 코팅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코팅할 수 있다. 이송부(10)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이 코팅부(40)로 이송되면, 코팅부(40)는 수지를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에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부(40)에 의한 코팅과정은 1차 코팅과 2차 러프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1차 코팅은 방전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방전 방식은 (+) 전극을 지니는 코팅 대상 철근에, 약 9만볼트의 (-) 전극을 지니는 수지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압량과 분사되는 수지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코팅되는 수지가 최적의 두께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1차 코팅이 완료되면 2차 러프 코팅 과정에 의해 수지를 2중으로 코팅할 수 있다. 2차 러프 코팅에 의해 수지를 2중으로 코팅하면 철근의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표면에 수지가 코팅된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냉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냉각부(50)는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냉각 대상 철근)을 냉각한다. 이송부(10)에 의해 표면에 수지가 코팅된 철근은 냉각부(50)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부(50)(냉각설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냉각부는 공랭부(51), 수냉부(53) 및 건조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냉각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공랭부(51)에 대해 설명한다. 공랭부(51)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복 철근(R)의 이송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피복 철근(R)을 냉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랭부(51)는 케이스(511), 공급배관(513) 및 배기배관(51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11)는 피복 철근(R)의 이송 경로를 둘러싸고, 피복 철근(R)이 내부를 통과하며 이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배관(513)은 케이스(511)의 내부와 통하도록 케이스(511)에 연결된다.
냉각 공기는 공급배관(513)을 통해 케이스(51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배관(513)으로부터 케이스(511)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 공기는 케이스(511)의 내면을 따라 순환한다. 그리고 케이스(511)는 냉각 공기의 순환 경로가 피복 철근(R)의 이송 경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냉각 공기가 피복 철근(R)의 이송 경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피복 철근(R)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이 완료되면 케이스(511)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 공기는 배기배관(5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랭부(51)에 의해 피복 철근에 대한 1차 냉각이 수행되면 피복 철근의 2차 냉각을 위해 이송부(10)는 피복 철근을 수냉부(53)으로 이송할 수 있다.
수냉부(53)는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531)들과, 물을 저장하는 탱크(미도시) 및 탱크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복수 개의 노즐(531)들로 공급하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531)들은 피복 철근의 상측에 위치하고, 피복 철근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531)들은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또한, 철근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이송되는 모든 피복 철근에 전체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피복 철근에 분사된 물은 피복 철근과 열교환하며 피복 철근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탱크는 피복 철근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531)에서 분사된 물 중에 피복 철근에 부착되는 물은 매우 소량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531)들은 피복 철근의 상측에 위치하고, 탱크는 피복 철근의 하측에 위치하면, 노즐(531)에서 분사된 물 중 피복 철근을 지나친 물은 탱크로 회수되어 다시 노즐(53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수냉부(53)는 20℃ 내지 30℃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수냉부(53)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가 20℃ 이하이면 피복 철근이 급격하게 냉각되어 피복 철근에 코팅된 수지가 피복 철근에서 탈락되는 문제 또는 핀홀(코팅된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구멍)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수냉부(53)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 피복 철근의 냉각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설비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고,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냉부(53)는 피복 철근을 서서히 냉각시키되, 생산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0℃ 내지 30℃의 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냉각부(5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한 수냉부(53)를 대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53')를 통해 피복 철근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수냉부(53')는 이송 롤러(11)의 표면을 둘러싸는 표면부재(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531')들은 철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면부재(533')의 표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표면부재(533')는 거즈와 같이 물을 쉽게 흡수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피복 철근이 이송 롤러(11)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표면부재(533')가 노즐(531')에서 분사되는 물을 흡수한 상태로 피복 철근에 접촉하며 피복 철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을 흡수한 표면부재(533')는 철근에 피복된 수지를 경화시켜 수지가 철근에 견고하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랭부(51)에 의한 1차 냉각 후 수냉부(53, 53')에 의한 2차 냉각이 이루어지면 점차적으로 피복 철근에 핀홀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피복 철근을 제조할 수 있다. 수냉부(53, 53')에 의한 냉각이 수행된 후 이송부(10)는 피복 철근을 건조부(55)로 이송할 수 있다.
건조부(55)는 수냉부에 의해 냉각된 피복 철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부(55)는 피복 철근을 향해 따뜻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5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분사노즐(551)들은 피복 철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들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조 공기가 피복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건조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길이 방향을 따라 건조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한번의 분사에 의해 피복 철근의 넓은 표면적에 대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공랭부(51), 수냉부(53), 건조부(55)에 의한 피복 철근의 냉각 공정이 마무리되면 이송부(10)는 피복 철근을 검사부(60)로 이송할 수 있다.
검사부(60)는 피복 철근의 피복 두께 및 핀홀(미세한 구멍)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피복 두께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각의 피복 철근에 대해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핀홀 발생 여부는 핀홀 검출기(미도시)가 초음파를 이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검사부(60)는 검사된 철근을 철근의 상태에 따라 분별하여 이송하는 분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복 두께와 핀홀 발생 여부에 따라 피복 철근이 비정상 철근으로 판단되면, 분별부는 비정상 철근의 이송 경로를 변경하여 비정상 철근을 분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송부
11: 이송 롤러
13: 오목홈
20: 전처리부
21: 임펠라
25: 이송 롤러
30: 가열부
40: 코팅부
50: 냉각부
51: 공랭부
511: 외부 케이스
513: 내부 케이스
53: 수냉부
53': 수냉부
531: 노즐
531': 노즐
533': 표면부재
55: 건조부
551: 공기 분사노즐
60: 검사부
R: 철근

Claims (14)

  1. 코팅 대상 철근에 강구를 분사하여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을 깎아내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하는 코팅부;
    상기 수지가 코팅된 피복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처리부, 가열부 및 코팅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상기 피복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코팅부 및 냉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피복 철근의 이송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복 철근을 냉각하는 공랭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랭부는, 상기 피복 철근이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마련되되,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급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과 상기 배기배관은,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측 내면을 향해 공급된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 내면, 외측 내면 및 상기 피복 철근의 이송 경로를 지나면서 순환한 후 상기 배기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공랭부에 의해 1차 냉각된 상기 피복 철근을 2차 냉각하는 수냉부를 더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냉부는,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냉각수 분사노즐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상기 피복 철근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복 철근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팅 대상 철근 또는 피복 철근이 상기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팅 대상 철근 또는 피복 철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냉부는, 상기 이송 롤러의 표면을 둘러싸는 표면부재와, 상기 표면부재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수냉부에 의해 냉각된 상기 피복 철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피복 철근을 향해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 분사노즐들은, 상기 건조 공기가 상기 피복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냉부는, 코팅된 수지가 상기 피복 철근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 내지 30℃의 물을 분사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철근의 피복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피복 철근의 피복 두께 및 핀홀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검사된 철근을 철근의 상태에 따라 분별하여 이송하는 분별부를 더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14. 이송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냉각 대상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 설비에 있어서,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의 이송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을 냉각하는 공랭부;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공랭부에 의해 1차 냉각된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을 2차 냉각하는 수냉부;
    상기 수냉부에 의해 냉각된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랭부는,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이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통과하며 이송되도록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마련되되, 상기 케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급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과 상기 배기배관은, 상기 한 쌍의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측 내면을 향해 공급된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 내면, 외측 내면 및 상기 냉각 대상 철근의 이송 경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작동하는, 냉각 설비.
KR1020170059200A 2017-05-12 2017-05-12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88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00A KR101885345B1 (ko) 2017-05-12 2017-05-12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00A KR101885345B1 (ko) 2017-05-12 2017-05-12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345B1 true KR101885345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00A KR101885345B1 (ko) 2017-05-12 2017-05-12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00A (ko) * 2018-09-19 2020-03-27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00105340A (ko) * 2019-02-28 2020-09-07 김자연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KR20200141720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와이아이이엔지 유리섬유 리바의 건조 및 코팅 장치
KR20210002090A (ko) * 2018-09-19 2021-01-06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10002089A (ko) * 2018-09-19 2021-01-06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10002352A (ko) * 2018-09-19 2021-01-07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1B1 (ko) * 2009-09-18 2010-03-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내면 항균 코팅 강관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740B1 (ko) * 2011-05-13 2011-10-04 (주)동부금속 에폭시 수지 피복 철근 제조장치
KR101568183B1 (ko) * 2015-07-08 2015-11-11 심성표 구조용 철근의 수지코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1B1 (ko) * 2009-09-18 2010-03-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내면 항균 코팅 강관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740B1 (ko) * 2011-05-13 2011-10-04 (주)동부금속 에폭시 수지 피복 철근 제조장치
KR101568183B1 (ko) * 2015-07-08 2015-11-11 심성표 구조용 철근의 수지코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00A (ko) * 2018-09-19 2020-03-27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198377B1 (ko) 2018-09-19 2021-01-04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10002090A (ko) * 2018-09-19 2021-01-06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10002089A (ko) * 2018-09-19 2021-01-06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10002352A (ko) * 2018-09-19 2021-01-07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260174B1 (ko) 2018-09-19 2021-06-02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260183B1 (ko) 2018-09-19 2021-06-02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260172B1 (ko) 2018-09-19 2021-06-02 박광식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20200105340A (ko) * 2019-02-28 2020-09-07 김자연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KR102237528B1 (ko) * 2019-02-28 2021-04-07 김자연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KR20200141720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와이아이이엔지 유리섬유 리바의 건조 및 코팅 장치
KR102275261B1 (ko) * 2019-06-11 2021-07-09 주식회사 와이아이이엔지 유리섬유 리바의 건조 및 코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345B1 (ko)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568183B1 (ko) 구조용 철근의 수지코팅 장치 및 방법
KR101734121B1 (ko) 알루미늄 거푸집 세척장치 및 방법
KR20110010571U (ko) 대형 강관 부식 방지 코팅층의 자동 코팅 생산 장치
KR101069740B1 (ko) 에폭시 수지 피복 철근 제조장치
KR101864392B1 (ko)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639904B1 (ko) 도금강판 냉각장치
US20170283958A1 (en) Dual layer fusion bond epoxy coating for continuous sucker rod
KR102198377B1 (ko)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1341001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면적 마스크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면적 마스크 세정 시스템
JP4866939B2 (ja) 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および養生設備
US11291087B2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KR101461646B1 (ko) 구조물 부재의 수지코팅 장치
KR100216507B1 (ko) 대직경 관체의 코팅제작방법
KR102237528B1 (ko)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KR20160048688A (ko) 연주설비의 몰드 및 연주설비의 몰드 코팅 방법
KR100372267B1 (ko)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02064A1 (en) Electrodeposition System and Electrodeposition Method
CN105414757A (zh) 工件内外表面熔接金属板的设备及加工方法
KR102260174B1 (ko)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260172B1 (ko)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2260183B1 (ko) 도장철근 후처리장치
KR101661670B1 (ko) 열처리용 급속냉각장치
KR0138196B1 (ko) 에폭시 수지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Jung et al. Analysis of high pressure rinsing chacteristics for SRF ca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