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92B1 -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92B1
KR101864392B1 KR1020170000928A KR20170000928A KR101864392B1 KR 101864392 B1 KR101864392 B1 KR 101864392B1 KR 1020170000928 A KR1020170000928 A KR 1020170000928A KR 20170000928 A KR20170000928 A KR 20170000928A KR 101864392 B1 KR101864392 B1 KR 10186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conveying
reinforcing
ch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바
Priority to KR102017000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까지 철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 설비는, 준비된 철근군에서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 설비를 향해 운반하는 선출부 및 선출부에서 한 개씩 복수 개의 철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반 받아 이송 설비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제1 운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CONVEY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COATED STEEL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일반건축물이나 교량 등 건축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재료로서, 특히 자갈, 모래, 시멘트 등의 재료와 함께 쓰여져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철근은 제조된 후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부식될 수 있다. 그리고 해양 또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철근은, 표면에 많은 녹이 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철근의 표면에 녹이 슬면 함께 사용된 자갈, 모래, 시멘트 등과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건축물이나 교량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최근에는 철근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피복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철근을 철근 코팅 설비로 운반하여, 코팅 설비 위에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철근을 철근 코팅 설비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송하기 위해, 작업자 또는 크레인이 철근을 한 개씩 코팅 설비로 운반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다수의 철근을 효율적으로 철근 코팅 설비로 운반하는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철근을 철근 코팅 설비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철근을 운반받아 코팅을 실시하고, 코팅된 철근은 다시 코팅 설비에서 손쉽게 내릴 수 있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까지 철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 설비는 외주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준비된 철근군에서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 설비를 향해 운반하는 선출부재를 포함하는 선출부; 철근이 선출부재에 의해 선출되는 위치인 선출 위치에, 철근군 중의 철근이 한 개씩 위치하도록 준비시키는 준비부; 및 선출부에서 한 개씩 복수 개의 철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반 받아 이송 설비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제1 운반부를 포함하며, 준비부는, 선출 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준비면과, 준비면의 선출부 측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는 철근의 이동을 저지하여 철근이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준비돌기를 포함하고, 선출부재는,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이송 설비를 향해 철근을 운반하는 방향인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이 선출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나갈 때 돌기와 준비돌기 사이에 철근이 한 개만 위치하도록 위치하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선출 부재가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선출 위치에 위치하는 한 개의 철근을 지지하여 로딩 방향으로 운반하되, 어느 하나의 돌기가 선출 위치에서 철근을 지지한 후 그 다음 돌기가 선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 선출될 철근이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다가 준비돌기에 의해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다른 예에서,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에서, 소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철근을 내리기 위한 운반 설비는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3 운반홈을 외주에 구비하고,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어,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3 체인을 포함하는 제3 운반부; 및 제3 운반부에서 운반되어 이송 설비에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수용부는, 철근이 수용되지 않았을 때 제3 체인에서 철근이 자유 낙하하는 낙하 위치에 근접하되 낙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수용되는 철근의 개수가 증가하면 높이가 낮아져 제3 운반홈에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의 상측으로 적층되게 한다.
또 다른 예에서, 피복 철근 제조 설비는,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로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하고, 코팅된 철근을 이송부에서 내리는 운반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코팅 대상 철근에 강구를 분사하여 철근의 표면을 깎아내는 전처리부;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가열부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하는 코팅부; 및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운반부는, 외주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준비된 코팅 대상 철근군에서 코팅 대상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부를 향해 운반하는 선출부재를 포함하는 선출부와, 코팅 대상 철근이 선출부재에 의해 선출되는 위치인 선출 위치에, 코팅 대상 철근군 중의 코팅 대상 철근이 한 개씩 위치하도록 준비시키는 준비부와, 선출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한 개씩 복수 개의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받아 이송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로딩부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코팅이 완료된 철근을 이송부에서 내려지게 운반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준비부는, 선출 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준비면과, 준비면의 선출부 측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는 코팅 대상 철근의 이동을 저지하여 코팅 대상 철근이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준비돌기를 포함하며, 선출부재는, 코팅 대상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이송부를 향해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하는 방향인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이 선출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나갈 때 돌기와 준비돌기 사이에 코팅 대상 철근이 한 개만 위치하도록 위치하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선출 부재가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선출 위치에 위치하는 한 개의 코팅 대상 철근을 지지하여 로딩 방향으로 운반하되, 어느 하나의 돌기가 선출 위치에서 코팅 대상 철근을 지지한 후 그 다음 돌기가 선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 선출될 코팅 대상 철근이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다가 준비돌기에 의해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출부가 철근군에서 철근을 한 개씩 운반하여 제1 운반부로 운반함으로써, 다수의 철근을 손쉽게 이송 설비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 코팅 설비로 다수의 철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로딩부와, 코팅이 완료된 철근을 철근 코팅 설비에서 효율적으로 내릴 수 있는 언로딩부에 의해, 많은 양의 철근을 짧은 시간 내에 코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 코팅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출부에서 제1 운반부 또는 제2 운반부로 철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운반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철근이 이송 설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운반부에서 제1 운반부로 철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 코팅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근 코팅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철근 코팅 설비는 이송부(10), 운반부(20), 전처리부(30), 가열부(35), 코팅부(40) 및 냉각부(50)를 포함한다.
이송부(10)는 코팅 대상 철근(R)을 길이 방향(A)을 따라 이송한다. 이송부(10)는 코팅 대상 철근이 전처리부(30), 가열부(35), 코팅부(40) 및 냉각부(50)를 통과하도록 코팅 대상 철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코팅 대상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며 전처리, 가열, 코팅 및 냉각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송부(10)는 복수 개의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이송할 수 있다.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철근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송부(1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오목홈(13)을 구비하는 롤러(11)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5 참조). 즉, 코팅 대상 철근은 롤러의 오목홈(13)에 각각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전처리부(30)는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을 깎아낸다. 철근에 수지를 효과적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 철근, 즉 코팅되지 않은 철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30)는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코팅 대상 철근에 컷와이어(cut wire)와 강구를 분사하여 철근의 표면을 깎아낸다. 이때 컷와이어와 강구는 임펠라(미도시)에 의해 코팅 대상 철근을 향해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에 대해 45°의 분사 각도를 갖는 복수 개의 임펠라들이 컷와이어와 강구를 분사할 수 있다. 45°의 각도로 강구를 분사함으로써, 여러 방면,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에 대해 8방면에서 강구를 분사할 수 있고, 철근원형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은 모든 면에서 균일하게 올록볼록한 상태(앵커 패턴)가 되어 수지가 부착되기 위한 최적의 상태가 될 수 있다. 표면이 깎여진 코팅 대상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가열부(35)로 이송될 수 있다.
가열부(35)는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킨다. 후술할 코팅부(40)에 의해 에폭시 수지를 코딩 대상 철근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피복시키기 위해서는, 코딩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180℃ 내지 21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부(35)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이용한 고주파 예열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고주파 예열기는 유도전류장치를 사용한 것으로,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부분만 가열하여, 철근 본래의 강도는 유지하고 생산성 및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IGBT를 이용하여 제어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철근 표면의 온도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수지가 철근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코팅부(40)는 전처리부(30)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한다. 코팅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코팅할 수 있다. 이송부(10)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이 코팅부(40)로 이송되면, 코팅부(40)는 수지를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에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 대상 철근은 (+) 전극을 지니고 있을 수 있고, 약 9만 볼트의 (-) 전극을 지니는 수지를 코팅 대상 철근에 분사하는 방전방식을 통해,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할 수 있다. 전압량과 분사되는 수지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코팅되는 수지가 최적의 두께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표면에 수지가 코팅된 철근은 이송부(10)에 의해 냉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냉각부(50)는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냉각한다. 이송부(10)에 의해 표면에 수지가 코팅된 철근은 냉각부(50)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냉각부(50)가 철근을 냉각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운반부(20)는 이송부(10)로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하고, 코팅된 철근을 이송부(10)에서 내린다. 복수 개의 코팅 대상 철근들을, 철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송부(10)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코팅이 완료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철근을 이송부(10)에서 내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반부(20)(운반 설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운반부(20)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 따른 운반 설비(로딩부(21))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언로딩부(22))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출부에서 제1 운반부로 철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는, 선출부(100)와 제1 운반부(200)(로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는 소정 방향, 즉 철근(R)의 길이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이송부)까지 철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 설비이다.
복수 개의 철근을 작업자 또는 크레인이 철근을 한 개씩 들어서 이송 설비로 운반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반면, 운반하기 위해 준비된 철근군을 운반 설비에 올려놓고, 운반 설비가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 설비로 운반하면 효율적으로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선출부(100)는 준비된 철근군에서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 설비를 향해 운반한다.
제1 운반부(200)는 선출부(100)에서 철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반 받아 이송 설비로 운반한다. 제1 운반부(200)는 선출부(100)에서 직접 철근을 운반받거나, 또는 선출부(100)가 후술할 제2 운반부(400)에 철근을 운반하면, 제2 운반부(400)를 통해 철근을 운반 받을 수 있다.
선출부(100)가 철근군에서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제1 운반부(200)로 운반하면, 제1 운반부(200)는 선출부(100)에서 한 개씩 복수 개의 철근을 운반받는다. 또한, 제1 운반부(200)는 운반받은 철근을 이송 설비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한다.
이하에서는 선출부(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출부(100)는 외주에 복수 개의 돌기(121)가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된 선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출부재(12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될 수 있다. 돌기(12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나열되는 선출부재(120)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철근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선출부재(120)는 철근군과 이송 설비의 사이에 위치하고,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125)을 중심으로, 로딩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로딩방향이란 이송 설비를 향해 철근을 운반하는 방향이다(도 3, 도 4 참조).
선출 부재가 회전하면, 철근은 한 개씩 돌기(121)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 설비를 향해 운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출부재(120)가 로딩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121)가 지나가는 위치에 위치한 철근은 돌기(121)에 의해 지지되며 들어올려지고, 계속해서 선출부재(120)가 회전하면 돌기(121)와 돌기(121)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선출부재(12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이때 선출부(100)는 준비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준비부(110)는 철근이 선출부재(120)에 의해 선출되는 위치인 선출 위치에, 철근군 중의 철근이 한 개씩 위치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다.
준비부(110)는 준비면(115)과 준비돌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면(115)은 선출 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고,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된 면을 말한다. 나열된 준비 면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철근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준비돌기(116)는 준비면(115)의 선출부(100) 측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준비돌기(116)는 준비면(115)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철근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준비돌기(116)가 형성된 위치는 선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철근군을 준비면(115)의 상측에 떨어뜨리면, 철근군은 준비면(115)을 따라 선출 위치를 향해 중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하던 철근들은 준비돌기(116)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는데, 철근군이 준비면(115)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철근군에서 철근이 한 개씩 분리되면서 준비면(115)에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들이 선출 위치까지 이동하면 선출 위치에는 한 개의 철근만 위치할 수 있다.
선출 위치에 한 개의 철근만 위치하면, 돌기(121)는 선출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선출 위치를 지나가며 한 개의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돌기(121)는 선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 철근에서 선출부재(120)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안내면(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면(121a)은 돌기(121)가 선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 돌기(121)가 철근을 조금만 들어올리면 철근이 중력에 의해 선출부재(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크레인이 철근군을 준비면(110)의 상측으로 한꺼번에 떨어뜨리면, 선출부(100)가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제1 운반부(200)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운반부(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출부(100)에서 제1 운반부(200) 또는 제2 운반부(400)로 철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운반부(20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된 제1 체인(21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제1 체인(2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철근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운반홈(240)을 외주에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220a, 220b) 사이에서 로딩방향으로 회전하며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철근은 제1 운반홈(240)에 배치된 상태로 제1 체인(21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선출부재(120)와 제1 체인(210)은, 철근이 한 개씩 돌기(121)에서 제1 운반홈(240)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서로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출부재(120)가 회전하면 돌기(121)와 돌기(121) 사이에 위치했던 철근은 어느 시점이 되면, 도 4와 같이 선출부재(120)에서 중력에 의해 제1 체인(210)의 상측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철근이 제1 체인(210)으로 떨어질 때, 떨어지는 위치에 제1 운반홈(240)이 위치하도록 선출부재(120)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선출부재(120)에서 철근을 용이하게 운반 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체인(210)은 선출부재(120)로부터 중력에 의해 철근은 운반받기 때문에, 선출부재(120)보다 하측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선출부재(120)의 전부보다 하측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 즉, 선출부재(120)에서 철근이 이탈되는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면 선출부재(120)에서 철근을 운반 받을 수 있다.
이때 운반 설비는 제1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00)는 선출부재(120)와 제1 체인(2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선출부재(120)에서 제1 체인(210)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0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될 수 있고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가이드부(300)가 선출부재(120)와 제1 체인(210)의 사이에 위치하면, 철근은 중력에 의해 선출부재(120)의 돌기(121)에서 제1 가이드부(300)를 따라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300)는 선출부재(120)에서 이탈된 철근이 제1 가이드부(30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제1 체인(210)의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철근이 선출부재(120)에서 제1 체인(210) 측으로 자유 낙하하지 않고, 제1 가이드부(300)에 지지되도록 하여, 제1 운반홈(240)에 도달했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 제1 운반홈(240)에 도달한 철근이 반발력에 의해 다시 튕겨나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운반홈(240)은 제1 경사면(241)과 제1 홈(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41)은 제1 운반홈(240)의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제1 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241)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운반홈(240)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은 중력에 의해 선출부재(120)의 돌기(121)에서 제1 가이드부(300) 및 제1 경사면(241)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홈(2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41)이 한 쌍으로 형성되면 제1 홈(243)으로 이동된 철근이 탄성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다소 튕겨나가더라도 도면상 우측의 제1 경사면(241)에 의해 제1 홈(243)으로 다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 홈(243)은 철근이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제1 경사면(241) 사이에서 평행하게 형성될 수 도 있다. 제1 홈(24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체인(210)은 회전 중에 복수 개의 철근을 선출부재(120)에서 한 개씩 운반받을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운반받은 철근을 이송 설비의 이송 방향(철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운반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철근이 이송 설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복수 개의 철근이 이송 설비의 상측에 모두 배열되면, 제1 체인(210)은 회전을 중지하고, 이송 설비보다 하측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철근을 이송 설비에 배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철근은 롤러(11)의 오목홈(1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운반 설비는 제1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제1 체인(210)으로 운반된 복수 개의 철근 중에서 제1 체인(210)에 가장 먼저 운반된 철근이 기준 위치에 배열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기준 위치는, 상기 이송 설비의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이송 설비에서 함께 이송될 철근들 중에 상기 선출부재(120)에서 가장 멀게 위치하는 철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 개의 철근을 이송 설비에 의해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준 위치는 도면상 최 우측에 위치한 철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되고, 가장 먼저 제1 체인(210)으로 운반된 철근, 즉 도면상 최 우측에 위치하는 철근이 기준 위치에 도달 했는지 제1 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회전 중에 복수 개의 철근을 선출부재(120)에서 한 개씩 운반받아, 소정 간격으로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하다가, 제1 센서에 의해 어느 철근이 기준 위치에 배열된 것이 감지되면 회전을 중지할 수 있고, 회전을 중지한 후 이송 설비보다 하측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철근을 이송 설비에 배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철근이 이송 설비에 배치되어 이송 설비에 의해 이송되면, 제1 체인(210)은 다시 이송 설비보다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전을 시작할 수 있는데, 제1 체인(210)은, 철근이 돌기(121)에서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인 표준 위치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반 설비는 제2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이송 설비에 의해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됐던 철근이 이송된 후, 다시 이송 설비보다 상측으로 이동한 제1 체인(210)이, 철근이 돌기(121)에서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인 표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제1 체인(210)은 제2 센서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식은, 제1 체인(210)이 표준 위치에 위치했을 때 특정 위치에 위치하며, 제2 센서는, 표식이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하여 제1 체인(210)이 표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인(210)이 표준 위치에 있을 때, 선출부재에서 철근을 처음 운반받는 제1 운반홈(240)에 표식이 설정되어 있고, 제1 체인(210)이 표준 위치에 있을 때, 철근을 처음 운반받는 제1 운반홈(24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 위치라고 하면, 제1 체인(210)이 철근의 운반을 위해 회전한 후, 다시 회전하여 표식이 특정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센서는 제1 체인(210)이 표준 위치에 위치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표식의 개수 또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는, 철근군에서 복수 개의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이송 설비로 운반할 수 있고, 이송 설비로 이송된 철근군이 이송된 후, 다음 철근군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운반 준비를 하여 짧은 시간에 다수의 철근을 이송 설비로 운반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운반부(400)에서 제1 운반부(200)로 철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운반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운반 설비는 실시예 1에 따른 운반 설비에 비해 제2 운반부(4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운반부(400)의 구성은 제1 운반부(200)의 구성과 유사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운반 설비는 제2 운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운반부(400)는 선출부(100)와 제1 운반부(200) 사이에 위치하고, 선출부(120)에서 복수 개의 철근을 한 개씩 운반받아 제1 운반부(200)로 운반할 수 있다.
제2 운반부(400)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운반홈(440)을 외주에 구비하고,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운반부(40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된 제2 체인(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운반부(400)는, 선출부(100)에서 운반받은 철근을 제1 운반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므로, 제2 운반홈(440)의 개수는 제1 운반홈(240)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제2 체인(410)은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410a(도면에 나타나지 않음), 420b) 사이에서 로딩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운반부(400)는 중력에 의해 선출부재(120)에서 철근을 운반받고, 중력에 의해 제1 운반부(200)로 철근을 운반하기 때문에, 선출부재(120)보다는 하측에 위치하고, 제1 운반부(200)보다는 상측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출부재(120)에서 철근이 이탈하는 부분 보다만 하측에 위치하면 되고, 제2 체인(410)에서 제1 체인(210)으로 철근을 운반하는 부분이 제1 체인(210)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좋다. 즉, 제2 체인(410)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체인(21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선출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선출부재(120)와 제2 체인(410)은, 철근이 한 개씩 돌기(121)에서 제2 운반홈(440)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동되어 로딩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체인(210)과 제2 체인(410)은 철근이 한 개씩 제2 운반홈(440)에서 제1 운반홈(240)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동되어 로딩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철근이 선출부(100)에서 제2 운반부(400)를 통해 제1 운반부(200)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철근이 선출부재(120)에서 제2 운반부(400)로 이동하는 과정은 실시예 1의 철근이 선출부재(120)에서 제1 운반부(200)로 이동하는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운반 설비는 제2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00)는 제2 체인(410)과 제1 체인(2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체인(410)에서 제1 체인(210)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50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될 수 있고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운반홈(440)은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441)과,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2 홈(443)을 포함할 수 있다. 철근은, 선출부재(120)와 제2 운반부(400) 사이에서 돌기(121), 제1 가이드부(300) 및 제2 경사면(441)에 의해 가이드되어 중력에 의해 제2 홈(4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철근은 제2 운반부(400)의 회전에 의해 제1 운반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운반부(400)와 제1 운반부(200) 사이에서 제2 경사면(441), 제2 가이드부(500) 및 제1 경사면(241)에 의해 가이드되어 중력에 의해 제2 홈(443)에서 제1 홈(2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운반부(400)와 제1 운반부(200) 사이에서 제2 운반홈(440)이 기울어지면, 철근은 제2 경사면(441)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운반홈(440)이 더욱 기울어지면 중력에 의해 제2 가이드부(500)를 따라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운반홈(240)으로 이동된 철근은 제1 경사면(241)에 의해 제1 홈(243)으로 가이드되어 중력에 의해 제1 홈(24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같이, 선출부(100)와 제1 운반부(200) 사이에 제2 운반부(400)가 마련되면, 제1 체인(210)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송 설비에 의해 철근들이 이송되는 동안, 선출부(100)에서 제2 운반부(400)로 철근을 운반시켜 놓을 수 있고, 이송 설비에 의해 철근의 이송이 끝난 후, 바로 다음 철근의 이송을 위해 제2 운반부(400)에서 제1 운반부(200)로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개수의 철근을 운반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는, 철근 코팅 설비에 의해 코팅이 완료된 철근을 이송 설비에서 내리는 설비를 말한다. 즉,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에서, 소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철근을 내리기 위한 운반 설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운반 설비는 제3 운반부(600)(언로딩부)와 수용부(800)를 포함한다.
제3 운반부(600)는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3 운반홈(640)을 외주에 구비하고,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어,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3 체인(610)을 포함한다.
제3 운반부(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개시된 제1 운반부(200) 및 제2 운반부(400)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에만 차이가 있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 설비에 의해 코팅이 완료된 복수 개의 철근이 이송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제3 운반부(6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철근들은 제3 운반홈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체인(610)은 이송 설비에서 철근을 내리는 방향인 언로딩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 개의 철근을 이송 설비에서 자유 낙하 시킬 수 있다.
수용부(800)는 제3 운반부(600)에서 운반되어 이송 설비에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800)는 철근이 수용되지 않았을 때 제3 체인(610)에서 철근이 자유 낙하하는 낙하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하되, 낙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되는 철근의 개수가 증가하면 높이가 낮아져 제3 운반홈(640)에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의 상측으로 적층되게 할 수 있다. 수용부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철근을 수용할 수 있고, 자유 낙하하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의 상측에 적층되기 때문에, 수용부가 낮아지더라도 자유 낙하하는 거리는 유지되어 철근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 운반부(600)와 수용부(800) 사이에는 제3 가이드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700)는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제3 운반부(600)와 수용부(8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운반부(600)에서 수용부(800)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800)는 제3 가이드부(700)에서 철근이 낙하 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운반홈(600)에서 수용부(800)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은 제3 가이드부(7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용부(800)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철근 및 피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송부
11: 롤러
13: 오목홈
20: 운반부(운반 설비)
21: 로딩부
22: 언로딩부
30: 전처리부
40: 코팅부
50: 냉각부
100: 선출부
110: 준비부
115: 준비면
116: 준비돌기
120: 선출부재
121: 돌기
125: 축
200: 제1 운반부
210: 제1 체인
220: 축
240: 제1 운반홈
241: 제1 경사면
243: 제1 홈
300: 제1 가이드부
400: 제2 운반부
410: 제2 체인
420: 축
440: 제2 운반홈
441: 제2 경사면
443: 제2 홈
500: 제2 가이드부
600: 제3 운반부
610: 제3 체인
620: 축
640: 제3 운반홈
700: 제3 가이드부
800: 수용부
R: 철근

Claims (21)

  1.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까지 상기 철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 설비에 있어서,
    외주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준비된 철근군에서 상기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상기 이송 설비를 향해 운반하는 선출부재를 포함하는 선출부;
    상기 철근이 상기 선출부재에 의해 선출되는 위치인 선출 위치에, 상기 철근군 중의 상기 철근이 한 개씩 위치하도록 준비시키는 준비부; 및
    상기 선출부에서 한 개씩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운반 받아 상기 이송 설비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제1 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부는, 상기 선출 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준비면과, 상기 준비면의 상기 선출부 측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는 상기 철근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철근이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준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선출부재는,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 설비를 향해 상기 철근을 운반하는 방향인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기 선출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나갈 때 상기 돌기와 상기 준비돌기 사이에 상기 철근이 한 개만 위치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선출 부재가 상기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는 한 개의 상기 철근을 지지하여 상기 로딩 방향으로 운반하되, 어느 하나의 돌기가 상기 선출 위치에서 상기 철근을 지지한 후 그 다음 돌기가 상기 선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 선출될 철근이 상기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준비돌기에 의해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운반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출부재는, 상기 철근군과 상기 이송 설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는, 운반 설비.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면은,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상기 철근군이 상기 준비면의 상측에서 상기 선출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준비면에 나열되어, 상기 선출 위치에는 한 개의 철근이 위치하게 되는, 운반 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철근에서 상기 선출부재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을 포함하는, 운반 설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반부는, 상기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운반홈을 외주에 구비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된 제1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은, 상기 선출부재의 적어도 일부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 사이에서 회전하며,
    상기 선출부재와 상기 제1 체인은, 상기 철근이 한 개씩 상기 돌기에서 상기 제1 운반홈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동되어 상기 로딩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반 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상기 선출부재와 상기 제1 체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선출부재에서 상기 제1 체인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중력에 의해 상기 돌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운반홈으로 이동하는, 운반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반홈은,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중력에 의해 상기 돌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홈으로 이동하는, 운반 설비.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은, 회전 중에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을 상기 선출부재에서 한 개씩 운반받아, 상기 이송 설비의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상기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시킨 후에, 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이송 설비보다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을 상기 이송 설비에 배치하는, 운반 설비.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출부재에서 상기 제1 체인으로 운반된 복수 개의 철근 중에 상기 제1 체인에 가장 먼저 운반된 철근이 기준 위치에 배열되었는지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이송 설비의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이송 설비에서 함께 이송될 철근들 중에 상기 선출부재에서 가장 멀게 위치하는 철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인, 운반 설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은, 회전 중에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을 상기 선출부재에서 한 개씩 운반받아, 상기 소정 간격으로 상기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하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어느 철근이 기준 위치에 배열된 것이 감지되면 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이송 설비보다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을 상기 이송 설비에 배치하는, 운반 설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에 의해 상기 이송 설비의 상측에 배열됐던 상기 철근이 이송된 후 상기 이송 설비보다 상측으로 이동한 제1 체인이, 상기 철근이 상기 돌기에서 상기 제1 운반홈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인 표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 체인의 위치가 표준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체인을 회전시켜 상기 제1 체인을 표준 위치에 위치시키는, 운반 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식은, 상기 제1 체인이 표준 위치에 위치했을 때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표식이 상기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하여 상기 제1 체인이 표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운반 설비.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출부와 상기 제1 운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선출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을 한 개씩 운반받아 상기 제1 운반부로 운반하는 제2 운반부를 더 포함하는, 운반 설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부는, 상기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운반홈을 외주에 구비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된 제2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체인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출부재의 적어도 일부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 사이에서 회전하며,
    상기 선출부재와 상기 제2 체인은, 상기 철근이 한 개씩 상기 돌기에서 상기 제2 운반홈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동되어 상기 로딩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체인과 상기 제2 체인은, 상기 철근이 한 개씩 상기 제2 운반홈에서 상기 제1 운반홈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동되어 상기 로딩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반 설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상기 제2 체인과 상기 제1 체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체인에서 상기 제1 체인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운반홈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운반홈으로 이동하는, 운반 설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홈은,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과,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반홈은,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고, 상기 선출부재와 상기 제2 체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선출부재에서 상기 제2 체인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철근은, 상기 선출부재와 상기 제2 운반부 사이에서 상기 돌기,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홈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운반부와 상기 제1 운반부 사이에서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홈에서 상기 제1 홈으로 이동하는, 운반 설비.
  18. 소정 방향으로 철근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에서, 상기 소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철근을 내리기 위한 운반 설비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에 대응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제3 운반홈을 외주에 구비하고,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열되어,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축들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3 체인을 포함하는 제3 운반부; 및
    상기 제3 운반부에서 운반되어 상기 이송 설비에서 자유 낙하하는 상기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철근이 수용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3 체인에서 상기 철근이 자유 낙하하는 낙하 위치에 근접하되 상기 낙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수용되는 철근의 개수가 증가하면 높이가 낮아져 상기 제3 운반홈에서 자유 낙하하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의 상측으로 적층되게 하는, 운반 설비.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은, 상기 복수 개의 제3 운반홈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체인은, 상기 이송 설비에서 상기 철근을 내리는 방향인 언로딩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을 상기 이송 설비에서 자유 낙하시키는, 운반 설비.
  20. 삭제
  21. 코팅 대상 철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하고, 코팅된 철근을 상기 이송부에서 내리는 운반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에 강구를 분사하여 상기 철근의 표면을 깎아내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에 의해 표면이 깎인 코팅 대상 철근의 표면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에 수지를 코팅하는 코팅부; 및
    상기 수지가 코팅된 철근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부는, 외주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준비된 코팅 대상 철근군에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한 개씩 선출하여 상기 이송부를 향해 운반하는 선출부재를 포함하는 선출부와,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이 상기 선출부재에 의해 선출되는 위치인 선출 위치에, 상기 코팅 대상 철근군 중의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이 한 개씩 위치하도록 준비시키는 준비부와, 상기 선출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한 개씩 복수 개의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받아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로딩부와, 상기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코팅이 완료된 철근을 상기 이송부에서 내려지게 운반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부는, 상기 선출 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준비면과, 상기 준비면의 상기 선출부 측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는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이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준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출부재는,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부를 향해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운반하는 방향인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기 선출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나갈 때 상기 돌기와 상기 준비돌기 사이에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이 한 개만 위치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선출 부재가 상기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는 한 개의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지지하여 상기 로딩 방향으로 운반하되, 어느 하나의 돌기가 상기 선출 위치에서 상기 코팅 대상 철근을 지지한 후 그 다음 돌기가 상기 선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 선출될 코팅 대상 철근이 상기 준비면을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준비돌기에 의해 상기 선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20170000928A 2017-01-03 2017-01-03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86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28A KR101864392B1 (ko) 2017-01-03 2017-01-03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28A KR101864392B1 (ko) 2017-01-03 2017-01-03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392B1 true KR101864392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28A KR101864392B1 (ko) 2017-01-03 2017-01-03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644A (zh) * 2018-08-08 2018-12-21 陕西勇拓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钢筋的平托式拾料装置
KR102079099B1 (ko) * 2020-01-17 2020-02-19 만보전력 주식회사 지진 발생 시 변압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계별 위험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지상변압기
CN112061756A (zh) * 2020-09-01 2020-12-11 太原科技大学 一种钢筋提捡装置
CN116090724A (zh) * 2022-08-26 2023-05-09 佛冈达味特钢有限公司 一种基于钢筋生产的智慧管理平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25A (ja) * 1991-11-01 1993-05-21 Eno Sangyo Kk 原木自動搬送装置
KR0138196B1 (ko) * 1995-10-10 1998-04-29 강의식 에폭시 수지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JP2014217925A (ja) * 2013-05-09 2014-11-20 東陽建設工機株式会社 鉄筋切断装置
KR101568183B1 (ko) * 2015-07-08 2015-11-11 심성표 구조용 철근의 수지코팅 장치 및 방법
JP2016008411A (ja) * 2014-06-24 2016-01-18 株式会社京都スペーサー 鉄筋配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25A (ja) * 1991-11-01 1993-05-21 Eno Sangyo Kk 原木自動搬送装置
KR0138196B1 (ko) * 1995-10-10 1998-04-29 강의식 에폭시 수지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JP2014217925A (ja) * 2013-05-09 2014-11-20 東陽建設工機株式会社 鉄筋切断装置
JP2016008411A (ja) * 2014-06-24 2016-01-18 株式会社京都スペーサー 鉄筋配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8183B1 (ko) * 2015-07-08 2015-11-11 심성표 구조용 철근의 수지코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644A (zh) * 2018-08-08 2018-12-21 陕西勇拓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钢筋的平托式拾料装置
KR102079099B1 (ko) * 2020-01-17 2020-02-19 만보전력 주식회사 지진 발생 시 변압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계별 위험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내진기능이 구비된 지상변압기
CN112061756A (zh) * 2020-09-01 2020-12-11 太原科技大学 一种钢筋提捡装置
CN112061756B (zh) * 2020-09-01 2022-02-08 太原科技大学 一种钢筋提捡装置
CN116090724A (zh) * 2022-08-26 2023-05-09 佛冈达味特钢有限公司 一种基于钢筋生产的智慧管理平台
CN116090724B (zh) * 2022-08-26 2023-09-26 佛冈达味特钢有限公司 一种基于钢筋生产的智慧管理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92B1 (ko) 운반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885345B1 (ko) 냉각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피복 철근 제조 설비
KR101069740B1 (ko) 에폭시 수지 피복 철근 제조장치
JP6181086B2 (ja) 大形転がり軸受に用いられる転がり軸受用保持器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行う装置
CN102744779B (zh) Phc管桩流水传送生产线
CS121191A2 (en) Bobbin transport device
US9359147B2 (en) Pipe belt orientation monitoring
US8220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investment casting mold handlers
CN111844352A (zh) 一种机械化高效率护栏预制的施工工艺
JP2012206838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WO2006089199A1 (en) Conveyor for bar or pipe
KR100243904B1 (ko) 파형강관의 수지코팅방법과 그 장치
US11174977B2 (en) Tubular element to transfer abrasive materials, in particular concrete, and method to manufacture it
CN109129872A (zh) 一种预制构件产存线
CN207890593U (zh) 一种物流自动化货物输送装置
KR101091286B1 (ko) 가열로
KR101390995B1 (ko) 용접 결합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4038457U (zh) 一种紧凑型件烟自动化出库系统
US10801778B2 (en) Batch charge conveying systems for electric induction furnaces
KR100252377B1 (ko) 건축용및토목용용접철망의제조를위한직선형이형철근의자동공급장치
JP6389050B2 (ja) 定着部付鉄筋の被膜製造方法及び被膜製造装置
WO2010097821A1 (en) Automatic rfid tag reading station in roll-containers
KR20090003427U (ko) 철근 이송 장치
KR102237528B1 (ko)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수지 피복 철근의 제조장치
US20130327616A1 (en) Transport device with twistable conveyor belt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