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602B1 - 미세미 선별기 - Google Patents

미세미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602B1
KR101884602B1 KR1020170067206A KR20170067206A KR101884602B1 KR 101884602 B1 KR101884602 B1 KR 101884602B1 KR 1020170067206 A KR1020170067206 A KR 1020170067206A KR 20170067206 A KR20170067206 A KR 20170067206A KR 101884602 B1 KR101884602 B1 KR 10188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ce
separating
fram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7006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07B1/49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stretching more than one screen or screen section by the same or different stret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정과정에서 낭비될 수 있는 미세미의 추출 및 활용이 가능한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쌀의 도정 공정에서 발생되는 미강에서 미세미를 분류할 수 있는 선별기로서, 전체적인 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복수의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미세미가 하방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대해 전후방향의 이동 및 상하방향의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선별된 미세미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의 미세미를 수집하는 수집부로 구성되는 미세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미 선별기{SORTING DEVICE FOR RICE BRAN}
본 발명은 곡식의 선별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정과정에서 낭비될 수 있는 미세미의 추출 및 활용이 가능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쌀을 재배하여 수확하고 나면 쌀을 분류하기 위하여 선별기를 사용한다. 미강(米糠)이란 정미소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고운 속겨를 말하는데 선별기를 이용하여 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미강이 버려지고 있다. 실제 100kg의 쌀 도정과정에서 소진되는 양은 20kg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도정 과정에서 쌀겨, 쌀눈, 쌀가루 등이 함께 버려지는데 여기서 작은 쌀가루인 미세미를 추출해내는 것이 자원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익하나 분류하기 위한 기술적 한계 및 인건비의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종래에 도정 공정에서 사용하는 선별기는 진동을 적용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극들을 통하여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현미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현미 가공장치는 외곽 케이스를 이루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할 현미를 본체(1) 내로 정량 공급해 주는 현미 공급기구부와, 상기 현미 공급기구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공급된 현미의 표피층을 가공하는 현미 가공기구부와, 상기 현미 가공기구부에서 가공된 현미를 포집하고 가공시 발생하는 미강가루 등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풍력 선별기구부와, 상기 풍력 선별기구부에서 선별되지 않은 잔류 미강가루와 싸래기 등을 가공 현미로부터 분리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기구부 등으로 구성된다. 진동에 의하여 정렬된 현미는 원통형 메시망(11)의 일측으로 들어온 이후 잔류된 미강가루와 싸래기 등이 나선형 스크류(12)에 의해 원통형 메시망(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도중에 원통형 메시망(11)의 구멍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고 정선된 현미만 원통형 메시망(11)을 따라 반대측으로 이송된다.
종래에는 일정한 크기의 쌀만을 상품으로서 추출하고 미강을 포함하는 나머지 물질은 이물질로써 버려지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간 소비되는 가공용쌀은 약 40만 톤으로 알려져 있고 이의 대략 70%인 28만 톤 가량이 쌀가루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미세미들을 회수하여 상품화할 수 있다면 버려지는 식량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쌀가루를 이용한 제품의 시장의 성장도 기대할 수 있으나 현재 이러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종래의 선별기를 미세미의 추출을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메시의 공극을 줄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 종래의 방식을 단순 적용하게 되면 현미 또는 백미의 분류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쌀가루 뭉침 현상에 의하여 선별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미세미에 의한 공극의 폐색이 발생할 수 있어 적용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쌀 도정과정에서 버려지는 미세미를 회수하여 상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미의 선별 과정에서 쌀가루의 뭉침 현상이나 공극의 폐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와 작동을 가짐으로써 미세미 선별의 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미세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여 본 발명은,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복수의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미세미가 하방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200)와, 상기 분리부에 대해 전후방향의 이동 및 상하방향의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300)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선별된 미세미를 배출하는 배출부(400)와, 상기 배출부로부터의 미세미를 수집하는 수집부(110)를 포함하는 미세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부가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분리부의 전후방향 운동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시망은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간극이 조밀해지도록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메시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지지되며 회전축과 분리부에 대한 동력 전달부위가 편심된 크랭크부와, 상기 크랭크부에 대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진동모터부의 동력을 크랭크부에 전달하는 벨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에 수집되는 미세미의 중량을 측정하여 컨트롤러부에 무게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관리부와, 미세미의 선별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제어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정역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단순 진동 체거름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분리부를 다수의 메시망으로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운동시키기 때문에 물질들의 뭉침과 메시망의 폐색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세미의 선별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정 과정에서 버려지는 많은 양의 미강들을 재활용하여 미세미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미세미 분류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쌀가루를 이용하는 화장품, 식품, 이유식, 천연세제 등의 상품에 활용성과 시장확대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강에서 쌀겨나 쌀눈도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버려지는 물질들에서 동물용 사료나 산업용으로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종래의 도정 공정 및 장비에 간단하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현미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미 선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서 분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 적용되는 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 하우징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서 컨트롤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미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쌀의 도정 공정에서 발생되는 미강에서 미세미를 분류할 수 있는 선별기로서, 전체적인 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복수의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미세미가 하방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대해 전후방향의 이동 및 상하방향의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선별된 미세미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의 미세미를 수집하는 수집부로 구성되는 미세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미강이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도정 과정에서 분리되는 물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쌀겨, 쌀눈, 쌀가루와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미세미 선별기는 미강에서 쌀가루 즉, 미세미를 선별하여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분리부를 구성하는 메시망의 공극에 따라 콩, 들깨, 깨 등의 다양한 곡물의 선별에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미 선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상태에서 분리부(200)와 컨트롤러부(300)가 배열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00)는 상측에서 분리부(200)를 지지하며 분리부(200)의 하부에 미세미가 배출 및 수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의 재질은 목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선택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될 구성들을 지지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부(200)는 복수의 메시망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분리부(200)의 이동 및 진동 과정에서 길이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미강이 이동되면서 분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진 방향은 선택될 수 있으나 도시된 예와 같이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기본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부(200)를 구성하는 메시망들은 최소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시망을 구성하는 간극은 선택적이다. 이때, 메시망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쌀겨 및 쌀눈등과 같은 기타물질과 미세미가 적절하게 분류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메시망의 간극은 점점 조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부(2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부(200)는 메시망의 형태와 조합 즉, 메시망에 따른 선별 대상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부(500)에 의한 움직임을 고려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레일부(도 3의 120)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별대상의 종류의 선택이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프레임부(100)에서 분리부(200)를 탈거하고 재장착이나 교환이 가능하다.
상기 분리부(200)의 일측에는 컨트롤러부(300)가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부(300)는 분리부(200)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컨트롤러부(300)의 배치는 선택적이나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최소한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을 구비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터치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300)는 구동부의 온오프동작 또는 동작의 방향성 또는 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컨트롤러부(300)는 환경의 적응과 개량 등을 고려하면 아두이노(Arduino)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500)는 분리부(200)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미세미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하며, 후술될 바와 같이 모터와 크랭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500)가 분리부를 레일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과정에서 쌀겨 및 쌀눈과 같은 기타물질과 미세미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데, 또한 추가적으로 상하방향의 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메시망의 간극 사이를 폐색할 수 있는 미세미 또는 기타물질을 그로부터 제거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순 진동방식의 경우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쌀가루의 분리에 있어서는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없으며 쌀가루의 뭉침이나 메시망의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미세미의 분류가 불가능하였음에 반하여, 본 발명과 같이 수평방향의 이동과 상하방향의 진동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종래에 해결하지 못했던 미세미의 분류 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구동부(500)와 컨트롤러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00)의 전방측에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분리부(200)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의 어느 일방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위치에 선택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분리부(200)의 하방으로 분리되어 낙하되는 미세미들을 수집하여 한 곳으로 배출하는 유동로 또는 호퍼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와 같이 전방측을 지향하는 것과 측방을 지향하는 것의 두 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배치방향과 개수는 선택적이다.
상기 배출부(400)의 말단측에는 그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미들을 수집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수집부(110)가 배치되며, 상기 수집부(110)는 어느 정도 원하는 양이 채워진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탈거될 수 있도록 서랍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00)가 전방과 측방을 지향하도록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집부(110) 역시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과 측방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으로 분리부(200)의 상부에서 미강이 투입되고 선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수집부(110)의 용량을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500)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수집부(110) 측에는 센서부(41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는 수집부(110)에 수용된 미세미의 양을 감지하여 설정된 양 이상이 된 경우 컨트롤러부(300)에서 구동부(50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부(410)는 무게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서 분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한 도정과정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단일의 메시망이나 메시원통 등으로도 이의 동작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쌀겨나 쌀눈 등과 같은 기타물질과 미세미와 같이 다양한 성질과 크기를 가지는 물질들이 혼합된 미강을 대상으로 선별을 수행하기 때문에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메시망들이 적용되는 것이 적절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메시망들이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부(200)는 외곽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틀부(210)와 틀부(2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간극이 점차적으로 조밀해지는 제1메시망(201), 제2메시망(202) 및 제3메시망(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망들 사이의 간격은 선택적이나 상하방향의 진동과 걸러진 물질의 수용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이격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메시망의 간극들은 선택되는 물질의 크기나 뭉침의 성질에 등 조건에 따라 선택적이며,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분리부(200) 자체가 프레임부(100)에 대해 교환될 수 있다.
미세미의 선별을 위하여 상기 제1메시망(201)의 간극의 크기는 104㎛ 내지 108㎛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메시망(202)은 85㎛ 내지 95㎛로, 제3메시망(203)은 74㎛ 내지 77㎛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00)는 전후방향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며 분리부(200)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레일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틀부(210)는 레일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의 예를 참고하면 상기 레일부(120)는 인출 및 유지보수나 교환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 적용되는 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구동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요하게는 미강으로부터 미세미를 분리하도록 기능하고, 또한 분리부(200)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주요하게는 미세미 또는 기타물질에 의하여 메시망의 간극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운동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부(5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진동모터부(520)와, 진동모터부(520)에 의하여 회전되되 회전축의 중심에서 분리부(200)에 운동을 제공하는 부위가 편심되는 크랭크부(5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부(510)의 양단은 회전시 마찰력의 저감을 위하여 프레임부(100)에 베어링부(501)를 통하여 회전지지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부(510)와 진동모터부(520)의 동력전달계통은 기어, 체인, 마찰차 등의 다양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으나 유지보수성과 내구성을 고려하면 벨트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크랭크부(510)에는 벨트(530)가 연결되는 크랭크풀리(511)가 결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진동모터부(520)에도 벨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풀리(참조번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 하우징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에 대해 컨트롤러부(300), 분리부(200), 배출부(400) 및 수집부(110)가 지지 또는 고정되어 외부로 대부분의 구성들이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곡식의 선별과정에서는 쥐와 같은 동물이나 해충들의 유입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소한 미세미가 수집되는 부위는 외부와 격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미세미 선별기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10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101)의 상단에는 컨트롤러부(300)와 분리부(200)의 상측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1)의 하부에서는 수집부(110)가 전후방 또는 좌우로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미 선별기에서 컨트롤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부(300)는 구동부(500)에 제어전력을 입력하도록 하며, 미세미의 분리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속도제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속도제어부(320)는 소정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구동부(500)를 구성하는 진동모터부(5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전력을 송신하게 된다. 실험결과 구동부(500)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경우 분리되는 미세미의 양이 더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되는 미세미의 양이 적은 경우 속도를 낮추도록 제어함으로써 미강에 대한 미세미 분리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분리비율보다 처리속도가 의미가 있는 경우는 회전속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진동모터부(520)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정역제어부(3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역제어부(310)는 레일부(120)를 따라 분리부(200)가 이동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전후방향의 운동은 주요하게 쌀겨와 미세미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방향의 전환을 통하여 쌀가루의 뭉침이나 메시망의 폐색 현상 등이 해소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10)의 무게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무게값과 실측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수집부(110)에 미세미가 채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500)의 작동을 중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감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부(3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발생하거나,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모드를 선택하거나, 소정의 운동상태를 시간 간격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미 선별기는 종래의 단순 진동 체거름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분리부를 다수의 메시망으로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운동시키기 때문에 물질들의 뭉침과 메시망의 폐색을 방지하는 동시에 미세미의 선별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정 과정에서 버려지는 많은 양의 미강들을 재활용하여 미세미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미세미 분류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쌀가루를 이용하는 화장품, 식품, 이유식, 천연세제 등의 상품에 활용성과 시장확대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강에서 쌀겨나 쌀눈도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버려지는 물질들에서 동물용 사료나 산업용으로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정 공정 및 장비에 간단하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프레임부 101...하우징부
110...수집부 120...레일부
200...분리부 201...제1메시망
202...제2메시망 203...제3메시망
210...틀부 300...컨트롤러부
310...정역제어부 320...속도제어부
330...무게감지부 340...관리부
400...배출부 410...센서부
500...구동부 501...베어링부
510...크랭크부 511...크랭크풀리
520...진동모터부 530...벨트

Claims (9)

  1.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복수의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미세미가 하방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200);
    상기 분리부에 대해 전후방향의 이동 및 상하방향의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500);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300);
    상기 분리부로부터 선별된 미세미를 배출하는 배출부(400);
    상기 배출부로부터의 미세미를 수집하는 수집부(110); 및
    상기 수집부에 수집되는 미세미의 중량을 측정하여 컨트롤러부에 무게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분리부의 전후방향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레일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미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망은,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간극이 조밀해지도록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메시망으로 구성되는 미세미 선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부에 대해 회전지지되며 회전축과 분리부에 대한 동력 전달부위가 편심된 크랭크부와, 상기 크랭크부에 대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부를 구비하는 미세미 선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진동모터부의 동력을 크랭크부에 전달하는 벨트를 더 구비하는 미세미 선별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관리부와, 미세미의 선별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를 구비하는 미세미 선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제어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정역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미 선별기.
KR1020170067206A 2017-05-30 2017-05-30 미세미 선별기 KR10188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206A KR101884602B1 (ko) 2017-05-30 2017-05-30 미세미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206A KR101884602B1 (ko) 2017-05-30 2017-05-30 미세미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602B1 true KR101884602B1 (ko) 2018-08-02

Family

ID=6325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206A KR101884602B1 (ko) 2017-05-30 2017-05-30 미세미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61B1 (ko) * 2019-08-29 2020-02-17 (주)지엔테크 재활용 촉매 선별 장치
KR20210043987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하비메이커스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KR20210061646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원료 균일 투입이 가능한 미세미 선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810B2 (ja) * 1990-12-21 1998-06-04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穀物選別装置
KR100834123B1 (ko) *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810B2 (ja) * 1990-12-21 1998-06-04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穀物選別装置
KR100834123B1 (ko) *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61B1 (ko) * 2019-08-29 2020-02-17 (주)지엔테크 재활용 촉매 선별 장치
KR20210043987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하비메이커스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KR102370601B1 (ko) * 2019-10-14 2022-03-04 주식회사 하비메이커스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KR20210061646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원료 균일 투입이 가능한 미세미 선별기
KR102370593B1 (ko) * 2019-11-20 2022-03-08 주식회사 디크리에이티브 원료 균일 투입이 가능한 미세미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602B1 (ko) 미세미 선별기
US9357694B2 (en) Separation system for a potato harvesting machine or a preparation machine
KR101753010B1 (ko) 고효율 곡물 정선기
JPH0659463B2 (ja) 穀物又はその他のばら物から重量物、特に石等を選別除去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3144288A (ja) 穀類汎用選別装置
CN207057029U (zh) 带有排行出料口的筛选机
JP3152920U (ja) 選別装置
CN109220250B (zh) 一种农作物秸秆粉碎分离系统
CN209577409U (zh) 用于生活垃圾的针形振动筛分装置
KR101763187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KR102370593B1 (ko) 원료 균일 투입이 가능한 미세미 선별기
CN209597659U (zh) 一种土豆分选系统
KR102370601B1 (ko)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CN210434866U (zh) 一种玉米除杂装置
JP4863170B2 (ja) 縦型穀粒選別機の糠取装置
CN202410979U (zh) 一种用于分离垃圾的筛分机
US2296293A (en) Method of sifting
JP2001212824A (ja) 一般廃棄物プラスチックの処理システム
CN211989690U (zh) 一种食品加工筛料装置
CN109675808A (zh) 一种生活垃圾针形振动筛分方法及装置
CN220784094U (zh) 一种蘑菇切片机
CN214682790U (zh) 一种网带式厨余垃圾筛分机
CN107694912A (zh) 一种用于粮食收购的筛选装置
JPH01284373A (ja) 選別機
CN211887810U (zh) 一种煤矿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