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533B1 -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533B1
KR101884533B1 KR1020160171653A KR20160171653A KR101884533B1 KR 101884533 B1 KR101884533 B1 KR 101884533B1 KR 1020160171653 A KR1020160171653 A KR 1020160171653A KR 20160171653 A KR20160171653 A KR 20160171653A KR 101884533 B1 KR101884533 B1 KR 10188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air
housing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454A (ko
Inventor
김명진
신동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17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33B1/ko
Priority to CN201711238344.6A priority patent/CN108223846B/zh
Priority to DE102017221900.9A priority patent/DE102017221900A1/de
Priority to US15/841,716 priority patent/US10096848B2/en
Publication of KR2018006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actuating member for each valve, e.g. interconnected to form multipl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8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hut-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31Purg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hut-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2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밸브플레이트와 그 구동기구들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고 모듈이 스택에 직접 장착됨으로써 공기차단밸브 관련 부분의 구성이 매우 컴팩트해진다. 또한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어 스택 배출가스를 희석하여 수소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Air cut-off valve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차량에서 스택의 공기공급관로와 공기배출관로를 개폐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되는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차량이다.
상기 스택은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그 과정에서 물(수증기)과 열이 발생된다.
도 1과 같이 스택(1)에는 공기공급관로(2)와 공기배출관로(3)가 연결된다. 공기공급관로(1)에는 압축기(4; 블로어)가 설치되어 외기를 스택(1)으로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공급 공기는 가습기(5)를 거치면서 가습되어 스택(1) 내부의 전해질막이 충분히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극에서 공기극으로의 수소 이온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스택의 전기화학반응이 촉진된다.
스택(1)에서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공기는 공기배출관로(3)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공기배출관로(3)도 가습기(5)를 경유한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관로(2)와 공기배출관로(3)에는 각각 공기차단밸브(6,7)가 설치된다.
공기차단밸브(6,7)는 스택(1) 운전 정지시 공기공급관로(2)와 공기배출관로(3)를 통해 외부 공기가 스택(1)의 내부(공기극)로 확산되어 불필요한 반응이 발생함으로써 스택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공기차단밸브(6,7)가 공기공급관로(2)와 공기배출관로(3)에 각각 설치되고, 각 공기차단밸브(6,7)는 구동장치도 각각 구비하였으므로 공기차단밸브(6,7) 관련 부분의 크기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하였다.
또한 공기차단밸브(6,7)가 스택(1)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스택 운전 정지시 공기차단밸브(6,7)를 닫아도 스택(1)과 공기차단밸브(6,7)사이의 공기가 스택(1)으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택(1) 시동시 공기차단밸브(6,7)가 열리면 스택(1) 내부에 있던 수소를 포함한 공기가 공기배출관로(3)를 통해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가 규제 기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화재 예방을 위하여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는 통상 4% 이하로 규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4646호(2012.04.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택의 공기차단밸브 관련 부분이 컴팩트하게 구성되고, 스택 운전 정지시 공기차단밸브와 스택 사이의 공기에 의한 스택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스택 시동시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 가스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차단밸브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택 시동시 상기 공기차단밸브 모듈을 이용하여 공기배출관로로 배출되는 수소 가스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은 서로 분리된 공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그 입구와 출구가 스택의 공기 입구와 출구와 일치되도록 스택에 장착되는 서브하우징과, 상기 서브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서브하우징의 입구 및 출구와 연통되는 각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각 공간과 연통되는 입구관과 출구관이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된 하우징커버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서브하우징의 입구 및 출구와 바이패스유로의 입구 및 출구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 제어 방법은 스택 정지시 모터를 구동하여 밸브플레이트가 서브하우징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하도록 하는 공기 입구 및 출구 차단단계와, 스택 시동시 모터를 구동하여 밸브플레이트를 중간 상태로 개방하여 서브하우징의 입구와 출구 및 바이패스유로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일부 바이패스시켜 서브하우징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를 감소시키는 밸브 중간 개방단계 및 스택 시동 종료 후 모터를 구동하여 밸브플레이트가 바이패스유로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모두 서브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스택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로 차단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유입관로의 차단밸브와 공기배출관로의 차단밸브 및 이들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한 구동기구들 및 제어기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택의 공기차단밸브 관련 부분의 구성이 컴팩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의 서브하우징이 스택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공기차단밸브와 스택 사이의 거리가 극히 짧으므로 스택 운전 정지시 공기차단밸브와 스택 사이의 공기에 의한 스택 내구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에는 공기차단밸브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됨으로써 스택 시동시 유입 공기를 바이패스시켜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 가스를 희석하여 그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의 공기 공급과 배출 경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의 내부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I-I선 단면도로서, 도 4는 공기차단밸브가 서브하우징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공기차단밸브가 하우징커버의 바이패스유로를 차단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6은 공기차단밸브가 서브하우징의 입구와 출구 및 하우징커버의 바이패스유로를 모두 개방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 제어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은 서브하우징(10), 메인하우징(20), 제어기(30), 하우징커버(40), 샤프트(50), 모터(60), 밸브플레이트(71,72)를 포함한다.
서브하우징(10)은 모듈을 스택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메인하우징(20)과 함께 상호 분리된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를 형성한다.
서브하우징(10)의 외측 둘레에는 스택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10a)가 형성된다. 플랜지(10a)에는 볼트 장착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된다.
서브하우징(10)의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입구(11)와 출구(12)가 형성된다. 서브하우징(10)이 스택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입구(11)와 출구(12)는 각각 스택 공기극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된다.
메인하우징(20)에는 공기유입관로에 연결되는 입구관(21)과 공기배출관로에 연결되는 출구관(22)이 형성된다. 입구관(21)과 출구관(22)에 연결된 메인하우징(20)의 내부 공간(21a,22a)은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입구관(21)에 연결된 입구관측 공간(21a)과 출구관(22)에 연결된 출구관측 공간(22a)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양측 공간(21a,22a)들은 메인하우징(20)의 배면(서브하우징(10)이 장착되면 면)으로 개구되는데, 그 개구부의 주변에는 서브하우징 장착부(25)(도 4 참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서브하우징 장착부(25)는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가 결합되는 장착부(25)와 출구(12)가 결합되는 장착부(25)가 분리 형성되어 있다.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는 상기 장착부(25)로 삽입되어 그 단부가 메인하우징(20)의 공간(21a,22a)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듈의 내부에는 입구관(21), 공간(21a) 및 입구(11)로 이어지는 공기유입경로가 형성되고, 출구(12), 공간(22a) 및 출구관(22)으로 이어지는 공기배출경로가 형성된다. 그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메인하우징(20)에는 상기 공간(21a,22a)의 일측부(입구관(21)과 출구관(22)에 인접한 단부의 반대쪽 부분)를 가로지르는 샤프트(50)가 설치된다. 양측 공간(21a,22a)을 구획하는 격벽에는 상기 샤프트(50)가 관통하는 샤프트홀(23)이 형성된다.
샤프트(50)의 양측 단부는 메인하우징(20)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50)에는 공기유입경로를 차단하는 밸브플레이트(71)와 공기배출경로를 차단하는 밸브플레이트(72)가 스크류를 매개로 장착된다. 밸브플레이트(71,72)들은 샤프트(50)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공간(21a,22a)내에서 함께 동일한 각도로 회동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71,72)의 밀폐성 향상을 위해 밸브플레이트(71,72)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시일링부재(73)가 부착될 수 있다.(도 4 참조)
메인하우징(20)의 일측부(입구관(11)과 출구관(22)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쪽 부분)에는 모터삽입부(24)가 형성되고, 그 모터삽입부(24)에는 모터(60)가 삽입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모터(60)의 출력 회전수를 감속시키고 토크를 증대시키는 기어세트(61)가 함께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기어세트(61)는 유성기어세트일 수 있다.
모터(60)(또는 기어세트(61))의 출력축에는 피니언기어(62)가 설치되고, 샤프트(50)의 일측 단부에는 세그먼트기어(51)가 설치되며, 피니언기어(62)와 세그먼트기어(51)는 서로 치합된다. 따라서 모터(60)의 회전력이 샤프트(50)로 전달되어 모터(60) 작동 방향에 따라 샤프트(50)가 양쪽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메인하우징(2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어기(30)가 설치된다. 제어기(30)는 상기 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연료전지 컨트롤 유닛(FCU : Fuel cell control unit)과 통신하여 스택의 on/off 상태에 따라 모터(60)를 제어하여 밸브플레이트(71,72)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를 개폐한다. 이러한 전자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회로기판(31)이 제어기(30) 내부에 구성된다.
메인하우징(20)의 전면부(서브하우징(10)이 장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는 샤프트(50)에 밸브플레이트(71,72)를 조립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를 막아 주기 위해 상기 하우징커버(40)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커버(40)의 내부에는 U형상의 바이패스유로(41)가 형성된다. 바이패스유로(41)는 메인하우징(20) 내측의 상기 입구관(21)측 공간(21a)과 출구관(22)측 공간(22a)을 연결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밸브플레이트(71,72)들은 상기 제어기(30)가 모터(6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50)와 함께 회동하여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 및 바이패스유로(41)를 개폐한다.
도 4와 같이 밸브플레이트(71,72)는 모터(60) 작동시 샤프트(50)와 함께 회전 작동된다.(도 4는 도 2의 I-I선 단면도이므로 공기유입경로측 밸브플레이트(71)만 도시되었으나 반대쪽 공기배출경로측 밸브플레이트(72) 역시 같은 상태로 작동된다.)
밸브플레이트(71,72)가 서브하우징(10)쪽으로 회전되면 밸브플레이트(71,72)가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입구(11)와 출구(12)를 차단하여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를 차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플레이트(71,72)가 하우징커버(40)쪽으로 회전되면 밸브플레이트(71,72)가 바이패스유로(41)의 입구(41a)와 출구(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대쪽에 메인하우징(20)의 출구관(22)측 공간(22a)과 연결되는 출구가 존재함은 당연하다.)를 막아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에 대해 바이패스유로(41)를 차단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밸브플레이트(71,72)의 개도는 제어기(30)가 모터(60)의 작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 및 출구(12) 차단 위치로부터 바이패스유로(41)의 입구(41a)와 출구 차단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밸브플레이트(71,72)의 개도량 조절에 따라 스택의 공기 유입량과 배출량 및 바이패스 유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은,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가 근접하여 형성되고, 그 각각을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71,72)들이 하나의 모터(60)와 샤프트(50)에 의해 작동된다. 즉,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의 밸브플레이트(71,72)들이 동일한 구동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모듈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20)에 상기 샤프트(50)와 모터(60)가 모두 수납되고, 그 측부에는 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0)도 장착된다.
따라서 스택의 공기유입관로와 공기배출관로를 차단하는 공기차단밸브 관련 구성을 매우 컴팩트한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료전지 차량의 스택 주변부 레이아웃을 보다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여유 공간을 다른 장치의 배치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차단밸브 모듈은 서브하우징(10)이 스택의 공기 입구와 출구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스택 운전 정지시 도 4의 상태로 공기유입경로와 공기배출경로가 차단되었을 때 밸브플레이트(71,72)에 의한 차단 위치로부터 스택에 이르는 경로가 매우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로 내부에 존재하다가 스택의 공기극으로 확산 유입되는 공기량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운전 정지 상태에서 불필요한 반응에 의해 스택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차단밸브 모듈은 밸브플레이트(71,72)를 스택 정지시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를 막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다가 스택 운전 시동시 밸브플레이트(71,72)를 도 6과 같은 소정 각도로 개구된 상태로 조절하여 바이패스유로(41)를 통해 유입 공기의 바이패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플레이트(72)가 서브하우징(10)의 출구(12)를 개방하면서 스택 내부에 잔존하던 수소가 출구(12)를 통해 출구관(22)측 공간(22a)으로 배출될 때 그 공간(22a)으로 바이패스유로(41)를 통해 입구관(21)측 공간(21a)으로부터 바이패스된 공기(스택을 거치지 않은 공기)가 상기 수소 가스와 혼합됨으로써 공기배출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최종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 감소를 위한 공기차단밸브 모듈 제어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차단밸브 모듈 제어방법은, 도 7과 같이, 공기 입구 및 출구 차단단계(S10)와 밸브 중간 개방단계(S20) 및 바이패스유로 차단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입구 및 출구 차단단계(S10)은 스택 운전 정지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연료전지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스택 운전 정지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기(30)는 모터(60)를 작동시켜 밸브플레이트(71,72)를 도 4와 같이 서브하우징(10)쪽으로 회동시켜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를 차단한다. 이 상태는 공기차단밸브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상태로서 스택 정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스택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택에서 불필요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스택이 시동되면 밸브플레이트(71,72)를 소정 각도로 개방하는 상기 밸브 중간 개방단계(S20)을 실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관로 상에 설치된 압축기가 이미 작동되고 있으므로 입구관(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그 공기는 개방된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를 통해 스택으로 공급되며, 스택 내부의 수소를 포함한 공기는 서브하우징(10)의 출구(12)를 통해 메인하우징(20)의 출구관(22)측 공간(22a)으로 배출된다. 이때 밸브플레이트(71,72)의 중간 개방 상태에 의하여 바이패스유로(41)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메인하우징(20)의 입구관(21)측 공간(21a)의 공기가 바이패스유로(41)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직접 출구관(22)측 공간(22a)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서브하우징(10)의 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를 포함한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된 공기가 혼합되면서 수소의 농도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스택 시동시 밸브플레이트(71,72)를 중간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바이패스 유량을 확보함으로써 스택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희석하여 수도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플레이트(71,72)의 개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바이패스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시동시 배출가스 중의 수소 농도를 규제 수준(통상 4%)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 중간 개방단계(S20)에서는 개방된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를 통해 스택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데, 이 공기에 의해서도 스택 내부의 공기가 희석되어 수소 농도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택 시동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바이패스유로 차단단계(S30)를 실시한다. 바이패스유로 차단단계(S30)에서는 제어기(30)가 모터(50)를 제어하여 밸브플레이트(71,72)를 하우징커버(40)쪽으로 완전히 회전시킴으로써 바이패스유로(41)의 입구(41a)와 출구를 차단하게 된다.
스택 정상 운전 상태에서는 공기배출경로를 통한 수소 배출이 감소할 뿐 아니라 스택 내부 반응에 다량의 공기(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유로 차단단계(S30)를 실시하여 바이패스유로(41)를 차단하고 서브하우징(10)의 입구(11)와 출구(12)를 완전 개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전부를 스택으로 공급하고, 스택에서 배출되는 공기 또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밸브 중간 개방 단계(S20) 이전에 연료전지 시스템에 구비된 수소 퍼지 장치를 작동시켜 스택의 수소 퍼지를 먼저 실시할 수 있다. 수소 퍼지가 실시되면 스택 내부의 수소가 제거되어 공기극쪽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수소 함량을 소량이라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배출가스의 수소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서브하우징 11 : 입구
12 : 출구 20 : 메인하우징
21 : 입구관 22 : 출구관
21a : 입구관측 공간 22a : 출구관측 공간
23 : 샤프트홀 24 : 모터삽입부
30 : 제어기 31 : 제어회로기판
40 : 하우징커버 41 : 바이패스유로
50 : 샤프트 51 : 세그먼트기어
60 : 모터 61 : 기어세트
62 : 피니언기어 71,72 : 밸브플레이트
73 : 시일링부재

Claims (11)

  1. 서로 분리된 공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그 입구와 출구가 스택의 공기 입구와 출구와 일치되도록 스택에 장착되는 서브하우징과;
    상기 서브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서브하우징의 입구 및 출구와 연통되는 각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각 공간과 연통되는 입구관과 출구관이 형성된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된 하우징커버와;
    상기 메인하우징의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서브하우징의 입구 및 출구와 바이패스유로의 입구 및 출구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을 관통하여 샤프트가 설치되고, 그 샤프트에 상기 밸브플레이트들이 장착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밸브플레이트들을 메인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샤프트에 조립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를 상기 하우징커버가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은 메인하우징의 배면으로 개구되고, 그 각 개구의 테두리에 서브하우징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며, 각 서브하우징 장착부에 서브하우징의 입구와 출구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입구관측 공간과 출구관측 공간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모터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모터삽입부에 상기 샤프트를 매개로 밸브플레이트들을 구동하는 모터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세그먼트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회전수 감속 및 토크 증대를 위한 기어세트가 연결되고, 그 기어세트의 출력축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세그먼트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어세트는 유성기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차량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전지 컨트롤 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시일링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차단밸브 모듈.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71653A 2016-12-15 2016-12-15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KR10188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53A KR101884533B1 (ko) 2016-12-15 2016-12-15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CN201711238344.6A CN108223846B (zh) 2016-12-15 2017-11-30 空气截止阀模块及其控制方法
DE102017221900.9A DE102017221900A1 (de) 2016-12-15 2017-12-05 Luftabsperrventilmodul und dessen Steuerverfahren
US15/841,716 US10096848B2 (en) 2016-12-15 2017-12-14 Air cut-off valve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53A KR101884533B1 (ko) 2016-12-15 2016-12-15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54A KR20180069454A (ko) 2018-06-25
KR101884533B1 true KR101884533B1 (ko) 2018-08-01

Family

ID=6225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53A KR101884533B1 (ko) 2016-12-15 2016-12-15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6848B2 (ko)
KR (1) KR101884533B1 (ko)
CN (1) CN108223846B (ko)
DE (1) DE10201722190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354B1 (ko) * 2020-03-19 2020-05-22 캄텍주식회사 공기차단밸브 모듈
KR102132971B1 (ko) 2020-05-21 2020-07-13 주식회사 코렌스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기차단밸브 모듈
KR20210155482A (ko)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기제어밸브장치
KR20220005288A (ko)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내부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공기제어밸브장치
KR2023006562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력기밀 타입 공기차단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3443B1 (de) * 2020-02-06 2021-12-15 Avl List Gmbh Bypassvorrichtung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KR102242020B1 (ko) * 2020-03-09 2021-04-2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차단 밸브
KR102443725B1 (ko) 2020-10-26 2022-09-15 캄텍주식회사 공기차단밸브 모듈
KR102517412B1 (ko) 2020-11-17 2023-03-3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차단밸브의 실링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9538A (ja) * 2012-01-23 2013-08-0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停止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8722U (ko) * 1974-03-22 1975-10-22
JPH10121996A (ja) * 1996-10-18 1998-05-12 Sumitomo Electric Ind Ltd 三方弁及びそれを用いた排気ガス処理装置
US6135415A (en) * 1998-07-30 2000-10-24 Siemens Canada Limi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assembly
KR100945945B1 (ko) * 2007-07-06 2010-03-05 (주)퓨얼셀 파워 연료전지 시스템 및 연료전지 시스템의 퍼지 방법
KR101134646B1 (ko) 2010-01-04 2012-04-09 (주)모토닉 수소연료전지 차량용 전자제어식 공기차단밸브장치
DE112010005734B4 (de) * 2010-07-13 2018-01-1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Rohrleitungseinheit für eine Brennstoffzelle, mit Rohrleitungseinheit ausgestattete Brennstoffzelleneinheit und Brennstoffzellensystem
JP5761110B2 (ja) * 2012-04-11 2015-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システム
JP5942620B2 (ja) * 2012-06-15 2016-06-2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燃料電池装置
WO2014021429A1 (ja) * 2012-08-02 2014-0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及びそのバルブ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DE102013109891A1 (de) * 2013-09-10 2015-03-12 BorgWarner Esslingen GmbH Ventilbaugruppe
KR101534746B1 (ko) * 2014-05-21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전지 복합 밸브
KR101637727B1 (ko) * 2014-11-13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밸브를 장착한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 공급 시스템
KR102635919B1 (ko) * 2016-12-14 2024-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기밸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9538A (ja) * 2012-01-23 2013-08-0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停止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354B1 (ko) * 2020-03-19 2020-05-22 캄텍주식회사 공기차단밸브 모듈
KR102132971B1 (ko) 2020-05-21 2020-07-13 주식회사 코렌스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기차단밸브 모듈
KR20210155482A (ko)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기제어밸브장치
KR20220005288A (ko)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내부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공기제어밸브장치
KR2023006562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력기밀 타입 공기차단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5414A1 (en) 2018-06-21
CN108223846B (zh) 2020-03-20
CN108223846A (zh) 2018-06-29
US10096848B2 (en) 2018-10-09
DE102017221900A1 (de) 2018-06-21
KR20180069454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533B1 (ko) 공기차단밸브 모듈과 그 제어 방법
KR101637727B1 (ko) 통합형 밸브를 장착한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 공급 시스템
JP688789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空気バル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3772591B1 (en) Separable outer enclosure for turbo blower
KR20190121474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20140025035A (ko) 연료전지 시동 장치 및 방법
JP546813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2114354B1 (ko) 공기차단밸브 모듈
KR20200017059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102242020B1 (ko) 공기차단 밸브
JP200429634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737977B2 (ja) 燃料電池用弁装置
KR20140029883A (ko) 연료전지 자동차용 통합제어 시스템
JP2007205613A (ja) 加湿器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07624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443725B1 (ko) 공기차단밸브 모듈
JP200608002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15822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175281A (ja) 燃料電池車両のファンケース構造、及び換気装置
JP200606620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3408668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200918770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酸化剤極密閉方法
JP200731747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215982849U (zh) 空调器
JP200431124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