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259B1 - 샤워 부스 - Google Patents

샤워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259B1
KR101883259B1 KR1020160069286A KR20160069286A KR101883259B1 KR 101883259 B1 KR101883259 B1 KR 101883259B1 KR 1020160069286 A KR1020160069286 A KR 1020160069286A KR 20160069286 A KR20160069286 A KR 20160069286A KR 101883259 B1 KR101883259 B1 KR 10188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coupled
shaft
glass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322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to KR102016006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2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9/00Flaps or sleeve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from particular material, e.g. hoop-iron, sheet metal, plastics
    • E05D9/005Flaps or sleeve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from particular material, e.g. hoop-iron, sheet metal, plastics from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6Articulated screens
    • A47K2003/367Hinges urging the articulated screen in one or more stabl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nges (AREA)

Abstract

샤워 부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부스는, 욕실의 한쪽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유리판의 한쪽 변이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다른 쪽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는 원호형의 곡면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2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일부 전면에는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설치되기 위한 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 및 하부 축 지지블럭; 상기 곡면부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곡면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유리도어의 한쪽 변과 결합되어 유리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수직 프레임;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블럭; 및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하부 힌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에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쪽 방향과 상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설치홈이 양쪽 내측 벽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변화를 수용하도록 단부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5 - 3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에 설치홈이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의 가변 길이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샤워 부스의 시공시 유리판와 유리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의 길이이 짧거나 길더라도 설치홈의 거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수평 프레임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샤워 부스{SHOWER BOOTH}
본 발명은 샤워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와 유리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조절이 가능하고, 유리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블럭의 구조를 변경하여 유리도어를 닫았을 때 항상 같은 위치로 정확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는 샤워 부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아파트나 빌라 또는 다세대 주택에 구비되는 욕실에는 샤워를 할 수 있도록 샤워부스가 설치되는 수세이다.
이와 같은 샤워부스는, 샤워부스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욕조보다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욕실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물이 튀지 않아 욕실을 항상 쾌적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샤워부스는 대체로 박스형태로 된 것과 문을 여닫을 수 있는 슬라이딩 형태, 전체를 안전한 강화 유리로 만들고 유리도어를 힌지로 고정을 시켜주는 형태, 칸막이 형태의 파티션 등이 있다. 박스형이나 슬라이딩형 등은 전체가 완전히 차단되므로 물이 튀지 않아 매우 이상적인 샤워부스이다. 파티션은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좋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부스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022호(공고일자 : 2001.02.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샤워부스는, 고정유리 및 유리문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샤워부스용 프레임을 구비하는데, 욕실의 바닥면과 천정에 고정되고, 고정유리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유리고정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원형상의 고정틀과, 유리문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고정틀의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며, 상면이 둥글게 라운딩된 만곡면을 가진 삽입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샤워부스의 유리문은 경첩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샤워부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고정유리나 유리문의 상부를 지지하는 고정틀의 길이가 벽과 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거나, 벽과 고정틀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틀의 길이가 벽과 벽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고정틀의 단부를 절단해야 하는 등 샤워부수의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 부스는 양쪽의 측벽(1)에 수직 프레임(2)을 각각 수직으로 설치하고, 양쪽의 수직 프레임(2)의 상단에 힌지블럭(3)을 각각 설치하며, 한쪽의 힌지블럭(3)에 유리도어(4)와 결합된 도어 프레임(5)을 축 결합하고, 양쪽의 힌지블럭(3)의 상단에는 수평 프레임(6)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샤워부스는, 수평 프레임(6)의 길이와 양쪽 측벽(1) 사이의 간격이 다를 경우에, 즉, 수평 프레임(6)의 길이가 양 측벽(1) 사이의 간격보다 짧을 경우에, 측벽(1)과 수평 프레임(6)의 단부 사이의 틈을 가리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부재(7)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수평 프레임(6)이 힌지블럭(3)의 상면으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었던 것이다.
둘째, 유리문을 회전 지지하는 경첩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샤워부스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첩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부식에 취약한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022호(공고일자 : 2001.02.15)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판와 유리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유리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블럭의 구조를 변경하여 유리도어를 닫았을 때 항상 같은 위치로 정확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는 샤워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욕실의 한쪽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유리판의 한쪽 변이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다른 쪽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는 원호형의 곡면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2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일부 전면에는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설치되기 위한 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 및 하부 축 지지블럭; 상기 곡면부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곡면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유리도어의 한쪽 변과 결합되어 유리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수직 프레임;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블럭; 및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하부 힌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에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쪽 방향과 상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설치홈이 양쪽 내측 벽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변화 또는 양쪽 상부축 지지블럭과 상부 지지블럭 사이의 거리변화에 따른 수평 프레임의 길이변화를 수용하도록 단부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5 - 3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부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부 축 지지블럭의 상면에는 원뿔형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블럭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원뿔형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도어의 닫힘 작동으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상기 안착홈이 상기 결합돌기에 겹쳐져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리도어가 정해진 위치에서 닫힘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사각형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옆에는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유리판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의 바닥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때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은, 상기 유리도어의 한쪽 변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도어 결합홈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 결합홈은, 상기 유리도어가 샤워부스의 외부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 곡면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사각 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 하부 축 지지블럭, 상부 힌지블럭 및 하부 힌지블럭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과 하부 축 지지블럭에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이 각각 구분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블럭과 하부 힌지블럭에는,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단에는,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격벽이 끼워지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상기 하부 회전축은, 상기 유리도어의 닫힘 작동으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상기 안착홈이 상기 결합돌기에 겹쳐져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리도어가 정해진 위치에서 닫힘 정지되고, 상기 유리도어의 열림 작동으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승하여 상기 유리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제1,2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 기준선과 같은 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에 설치홈이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의 가변 길이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샤워 부스의 시공시 유리판와 유리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의 길이이 짧거나 길더라도 설치홈의 거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수평 프레임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의 설치홈이 5 - 30mm의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설치홈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오차 범위내)에서, 수평 프레임의 길이가 길거나 짧더라도 수평 프레임의 단부를 양쪽의 상부 축 지지블럭에 결합시킬 수 있고, 따라서 수평 프레임의 길이를 정확하게 절단하지 않아도 되는 시공의 용이성 제공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이 수평 프레임의 단부와 측벽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가리기 위한 커버부재 등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부 축 지지블럭이 종래기술에 사용 되었던 힌지블럭과 커버부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음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축 지지블럭의 상면에 원뿔형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힌지블럭의 저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원뿔형의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유리도어를 닫을 때 안착홈과 결합돌기가 겹쳐져 결합돌기가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유리도어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닫힘이 정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부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워 부스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축 지지블럭과 하부 힌지블럭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부스의 유리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유리도어가 개폐될 때 결합돌기와 안착홈의 겹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축 지지블럭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부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부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워 부스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축 지지블럭과 하부 힌지블럭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부스의 유리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 7은 유리도어가 개폐될 때 결합돌기와 안착홈의 겹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축 지지블럭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워 부스(10)는, 욕실의 한쪽 벽체(W)에 고정 설치되고 유리판(20)의 한쪽 변이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30)과, 제1 수직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다른 쪽 벽체(W)에 고정설치되고 제1 수직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원호형의 곡면부(42)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수직 프레임(40)과, 제1,2 수직 프레임(30,40)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일부 전면(샤워부스의 바깥쪽 방향)에는 유리판(2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50)과, 상부 회전축(60A)과 하부 회전축(60B)이 설치되기 위한 축 결합공(72)이 각각 형성되어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 및 하부 축 지지블럭(70B)과, 곡면부(42)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곡면부(82)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유리도어(D)의 한쪽 변과 결합되어 유리도어(D)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수직 프레임(80)과,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부 회전축(60A)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블럭(90A)과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부 회전축(60B)과 결합되는 하부 힌지블럭(9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수직 프레임(30)은, 욕실의 한쪽 벽체(W)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유리판(20)의 한쪽 변이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수직 프레임(40)과 마주보는 방향의 벽체(W)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수직 프레임(30)은 압출 성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한 변에 유리판(20)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2 수직 프레임(40)은, 제1 수직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다른 쪽 벽체(W)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수직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원호형의 곡면부(42)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곡면부(42)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다.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하부 축 지지블럭(70B)이 결합된다.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하부 축 지지블럭(70B)에는 제2 수직 프레임(40)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76)들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하부 축 지지블럭(70B)들은 나사에 의해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직 프레임(30)의 단부에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하부 축 지지블럭(70B)와 같은 구조의 상부 지지블럭(도시되지 않음)과 하부 지지블럭(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결합될 있다. 이 상부 지지블럭과 하부 지지블럭는 전술한 결합단(76)과 같은 결합단을 구비할 수 있고, 특히 상부 지지블럭에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에 형성되는 설치홈(74)과 같은 구조의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부 지지블럭에 형성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면, 상부 축 지지블럭(70A)에 형성되는 설치홈(74)과 같이 수평 프레임(50)의 길이변화를 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하부 축 지지블럭(70B)은,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단(76)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특히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하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 및 하부 축 지지블럭(70B)에는 상부 회전축(60A)와 하부 회전축(60B)이 결합되기 위한 축 결합공(72)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상면에는, 제1 수직 프레임(30) 쪽 방향과 상향으로 개구되어 수평 프레임(50)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설치홈(74)이 양쪽 내측 벽면(71)에 각각 형성된다. 설치홈(74)은, 수평 프레임(50)의 길이변화를 수용하도록 단부(73)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5 - 30mm의 거리(L)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홈(74)이 단부(73)에서 내측으로 5 - 30mm의 거리(L)로 형성되는 것은, 수평 프레임(50)의 길이가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단부(73)와 제1 수직 프레임(30)이 설치된 벽체(W)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경우에, 수평 프레임(50)의 길이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단부(73)와 제1 수직 프레임(30)이 설치된 벽체(W)(만약 상부 지지블럭이 구비된다면 상부 지지블럭 간의 거리) 간의 거리가 2000mm 이고, 설치홈(74)의 거리(L)가 30mm 인 경우에,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단부(73)와 벽체(W) 간의 거리는 설치홈(74)을 포함하여 2030mm가 된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50)이 2005mm - 2030m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갖더라도 설치홈(74)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수평 프레임(50)의 길이를 2010mm의 길이로 형성하여 설치홈(74)에 설치할 때, 제1 수직 프레임(30)이나 제2 수직 프레임(40)의 시공 오차로 인하여 설치홈(74)과 반대쪽 벽체(W) 사이의 거리가 10mm더 늘어난 경우에도 설치홈(74)이 더 늘어난 10mm의 거리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수직 프레임(50)의 설치는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축 지지블럭(70A)에 설치홈(7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수평 프레임(50)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반대쪽 벽체(W) 사이의 거리가 설치홈(74)의 거리(L) 만큼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오차 범위(수평 수프레임의 길이, 또는 제1,2 수직 프레임의 시공 오차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설치홈의 거리) 내에서 수평 프레임(50)의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바닥에는, 수평 프레임(50)이 설치홈(74)에 삽입되어 안착될 때 수평 프레임(50)의 지지부(5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77)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단(77)은 수평 프레임(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하부 축 지지블럭(70B)의 상면에는, 원뿔형의 결합돌기(78)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78)는,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결합돌기(78)와 하부 축 지지블럭(70B)에 형성되는 축 결합공(72)은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즉, 하부 축 지지블럭(70B)에 형성되는 축 결합공(72)과 결합돌기(78)는 하부 축 지지블럭(70B)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유리도어(D)가 정위치에서 닫힘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하부 축 지지블럭(70A,70B)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으로서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수분 접촉에 의해 변색이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평 프레임(50)은, 제1,2 수직 프레임(30,40)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일부 전면(샤워부스의 바깥쪽 방향)에는 유리판(2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사각형의 지지부(52)가 형성되고, 지지부(52)의 옆에는 유리판(2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유리판 결합홈(5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50)의 일단은 제1 수직 프레임(30)의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상부 지지블럭이 구비된 경우에 상부 지지블럭의 설치홈에 안착될 수 있고, 타단은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회전 수직 프레임(80)은, 유리도어(D)와 결합되어 유리도어(D)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 제2 수직 프레임(40)의 곡면부(42)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곡면부(82)가 한쪽에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유리도어(D)의 한쪽 변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도어 결합홈(84)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결합홈(84)은, 유리도어(D)가 샤워부스(10)의 외부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돌출 곡면부(82)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사각 지지부(86)의 외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부 힌지블럭(90A) 및 하부 힌지블럭(90B)은, 유리도어(D)가 결합된 회전 수직 프레임(80)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부 축 지지블럭(70A,70B)에 결합된 상,하부 회전축(60A,60B)이 관통되어 결합되기 위한 축공(91)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부 회전축(60A,60B)에 의해 상,하부 축 지지블럭(70A,70B)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하부 힌지블럭(90A,90B)에는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상,하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92)이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고, 이 끼움단(92)에는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격벽(85)이 끼워지기 위한 절개홈(94)이 형성된다.
한편, 하부 힌지블럭(90B)의 저면에는, 하부 축 지지블럭(70B)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78)가 삽입되기 위한 원뿔형의 안착홈(96)이 형성된다. 이 안착홈(96)은, 하부 축 지지블럭(70B)과 하부 힌지블럭(90B)가 하부 회전축(60A)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결합돌기(78)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되기 위한 것이다.
즉, 유리도어(D)의 닫힘 작동으로 회전 수직 프레임(80)이 상부 회전축(60A)과 하부 회전축(60B)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안착홈(96)이 결합돌기(78)에 겹쳐져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되면서 유리도어(D)가 정위치에서 닫힘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결합돌기(78)가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96)이 결합돌기(78)의 원활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안착홈(96)과 축공(91)은 하부 힌지블럭(60B)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즉, 안착홈(96)과 축공(91)에 결합된 하부 회전축(60B)은 유리도어(D)의 닫힘 작동으로 회전 수직 프레임(80)이 상부 회전축(60A)과 하부 회전축(60B)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안착홈(96)이 결합돌기(78)에 겹쳐져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되면서 유리도어(D)가 정위치에서 닫힘 정지되고, 유리도어(D)의 열림 작동으로 안착홈(96)에 삽입되어 있던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서 이탈되면서 회전 수직 프레임(80)이 상승하여 유리도어(D)가 열리도록, 제1,2 수직 프레임(30,40)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 기준선(L1)과 같은 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샤워 부스(1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2 수직 프레임(30,40)을 양쪽의 벽체(W)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제1 수직 프레임(30)의 상,하단부에는 상,하부 지지블럭(30A,40)을 결합하고, 제2 수직 프레임(40)의 상,하단부에는 상,하부 축 지지블럭(70A,70B)를 각각 결합시킨다. 이어서, 제1,2 수직 프레임(30,40)의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상부 지지블럭(30A)의 각 설치홈(74,32A-1)에는 수평 프레임(50)의 양단을 안착시켜 결합한다.
이때, 수평 프레임(50)의 절단작업 오류로 수평 프레임(50)의 길이가 설계도면 상의 길이보다 짧거나,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상부 지지블럭(30A) 사이의 거리가 설계도면 상의 거리보다 멀거나 가까운 경우에도 수평 프레임(50)의 양단은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설치홈(74)이 5-30mm 정도의 길이(L)로 여유있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홈(74)의 길이(L) 범위 내에서 수평 프레임(50)의 길이가 짧거나 길더라도 별다른 조치없이 수평 프레임(50)의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설치홈(74)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경우에는 설계도면 상의 치수와 다른 치수로 절단된 수평 프레임(50)의 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과 반대쪽 벽체(W) 사이의 거리가 설계도면 상의 거리와 다를 경우에도 달라진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과 반대쪽 벽체(W)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수평 프레임(50)을 절단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수평 프레임(50)의 단부가 설치홈(74)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되므로, 수평 프레임(50)의 단부가 샤워부스의 정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수평 프레임의 단부와 벽체 사이의 틈을 가리기 위한 커버부재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내측에 설치홈(74)이 형성되므로 상부 축 지지블럭(70A)이 종래기술에 의한 커버부재 기능까지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의 설치홈(32)이 5- 30mm의 길이(L)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샤워 부스(10)를 시공할 때, 상부 축 지지블럭(70A)의 설치홈(74)과 반대쪽 벽체(W) 간의 거리가 설계도면 상의 거리와 오차범위(5-30mm) 내에서 다르거나 수평 프레임(50)의 길이가 설계도면 상의 거리와 오차범위 내에서 차이가 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종래기술에 의한 커버부재와 같은 부품이 삭제되므로 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유리도어(D)가 결합된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상,하단부에 상,하부 힌지블럭(90A,90B)을 각각 결합하고,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상부 힌지블럭(60A)을 상부 회전축(60A)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 축 지지블럭(70B)과 하부 힌지블럭(60B)을 하부 회전축(60B)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면, 유리도어(D)는 여닫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유리도어(D)의 여닫는 동작으로 샤워부스(10)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유리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유리도어(D)를 샤워부스(10)의 내부 쪽(도 5에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되면, 안착홈(96)에 삽입되어 있던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의 경사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이탈되면서 회전 수직 프레임(80)과 유리도어(D)는 상,하부 회전축(60A,60B)를 중심으로 샤워부스(10)의 내부 쪽으로 회전한다. 즉, 안착홈(96)과 결합돌기(78)가 겹쳐져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힌지블럭(90A)이 하부 회전축(60B)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안착홈(96)의 내주면 경사면이 결합돌기(78)의 외주면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안착홈(96)에서 결합돌기(78)가 이탈됨과 동시에 회전 수직 프레임(80)이 결합돌기(78)의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으로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서 이탈되므로 회전 수직 프레임(80)은 상부 회전축(60A)과 하부 회전축(60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유리도어(D)가 개방작동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리도어(D)가 개방될 때, 결합돌기(78)는 안착홈(96)에서 이탈되어 그 상단부가 하부 힌지블럭(90B)의 저면(97)(도 4 참조)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한편, 열렸던 유리도어(D)를 닫게 되면, 하부 힌지블럭(90B)이 하부 회전축(60B)을 중심으로 열림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닫힌 방향(도 5의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축 지지블럭(70B)의 결합돌기(78)와 하부 힌지블럭(90B)의 저면(97)에 형성된 안착홈(96)이 일치되면서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78)와 안착홈(96)이 일치되면서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되면, 회전 수직 프레임(80)은 결합돌기(78)의 높이만큼 또는 안착홈(96)의 깊이만큼 하강하게 되고,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 유리도어(D)의 닫힘이 정지된다.
즉, 유리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는 결합돌기(78)의 상단부가 하부 힌지블럭(90B)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이고, 유리도어(D)를 닫기 위하여 닫힘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 힌지블럭(90B)이 회전하면서 안착홈(96)이 결합돌기(78)와 일치되어 결합돌기(78)의 외주면 경사면과 안착홈(96)의 내주면 경사면이 미끄럼 접촉되면서 안착홈(96)와 결합돌기(78)가 겹쳐진다. 이 과정은 유리도어(D)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유리도어(D)의 자중에 의해 결합돌기(78)의 외주면 경사면과 안착홈(96)의 내주면 경사면이 미끄럼 접촉되므로, 유리도어(D)는 자동으로 정위치에서 닫힘이 정지된다.
다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78)와 안착홈(96)이 겹쳐지도록 일치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도어(D)의 자중에 의해 결합돌기(78)의 외주면 경사면과 안착홈(96)의 내주면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유리도어(D)가 하강하여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돌기(78)가 안착홈(96)에 삽입이 완료되면, 하부 힌지블럭(90B)의 회전도 정지되므로, 유리도어(D)는 자동으로 정위치에서 닫힘이 정지될 수 있고, 따라서 유리도어(D)는 사용자가 일부러 정위까지 닫지 않더라도 항상 자동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닫힘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결합돌기(78)과 축 결합공(72)이 가상의 연결 기준선(L1) 상에 일직선으로 배치되거나, 안착홈(96)과 축공(91)이 가상의 연결 기준선(L1) 상에 일직선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유리도어(D)는 회전 수직 프레임(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된 도어 결합홈(84)에 결합되므로, 유리도어(D)가 샤워부스(10)의 외부 쪽(전방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도어(D)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되어 미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샤워부스(10)의 제1,2 수직 프레임(30,40)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70A)에 설치홈(74)이 형성됨으로써, 샤워부스(10)의 시공시 수평 프레임(50)의 길이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상부 축 지지블럭(70A)과 반대쪽 벽체(W) 또는 제1 수직 프레임(30) 간 거리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축 지지블럭(70B)의 결합돌기(78)가 하부 힌지블럭(90B)의 안착홈(96)에 삽입되므로 유리도어(D)의 최종적 닫힘이 소정의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닫힘 위치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샤워부스 20 : 유리판
30 : 제1 수직 프레임 40 : 제2 수직 프레임
50 : 수평 프레임 60A : 상부 회전축
60B : 하부 회전축 70A : 상부 축 지지블럭
70B : 하부 축 지지블럭 74 : 결합돌기
80 : 회전 수직 프레임 90A : 상부 힌지블럭
90B : 하부 힌지블럭 96 : 안착홈

Claims (8)

  1. 욕실의 한쪽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유리판의 한쪽 변이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다른 쪽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는 원호형의 곡면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1,2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고 일부 전면에는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사각형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옆에는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유리판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설치되기 위한 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축 지지블럭 및 하부 축 지지블럭; 상기 곡면부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곡면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유리도어의 한쪽 변과 결합되어 유리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수직 프레임;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부 힌지블럭; 및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하부 힌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에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쪽 방향과 상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설치홈이 양쪽 내측 벽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변화를 수용하도록 단부를 기준으로 안쪽으로 5 - 30mm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의 바닥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때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축 지지블럭의 상면에는 원뿔형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힌지블럭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원뿔형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도어의 닫힘 작동으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상기 안착홈이 상기 결합돌기에 겹쳐져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리도어가 정해진 위치에서 닫힘 정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은, 상기 유리도어의 한쪽 변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도어 결합홈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 결합홈은, 상기 유리도어가 샤워부스의 외부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 곡면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사각 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 하부 축 지지블럭, 상부 힌지블럭 및 하부 힌지블럭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상부 축 지지블럭과 하부 축 지지블럭에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이 각각 구분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블럭과 하부 힌지블럭에는,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단에는,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의 격벽이 끼워지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상기 하부 회전축은, 상기 유리도어의 닫힘 작동으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기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기준으로 닫힘 회전할 때 상기 안착홈이 상기 결합돌기에 겹쳐져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유리도어가 정해진 위치에서 닫힘 정지되고, 상기 유리도어의 열림 작동으로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 수직 프레임이 상승하여 상기 유리도어가 열리도록, 상기 제1,2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 기준선과 같은 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69286A 2016-06-03 2016-06-03 샤워 부스 KR10188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86A KR101883259B1 (ko) 2016-06-03 2016-06-03 샤워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86A KR101883259B1 (ko) 2016-06-03 2016-06-03 샤워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22A KR20170137322A (ko) 2017-12-13
KR101883259B1 true KR101883259B1 (ko) 2018-07-31

Family

ID=6094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86A KR101883259B1 (ko) 2016-06-03 2016-06-03 샤워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02B1 (ko) * 2021-02-03 2022-05-20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자동 개폐 도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샤워부스
KR200497836Y1 (ko) * 2022-06-14 2024-03-13 주식회사 새턴바스 샤워 부스용 가변형 도어 프레임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36B2 (ja) * 1993-12-14 2000-04-24 東レ株式会社 人工芝
KR200187409Y1 (ko) * 2000-01-20 2000-07-01 대림통상주식회사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0196521Y1 (ko) * 2000-04-17 2000-09-15 전재석 샤워부스용 브라켓
KR200390214Y1 (ko) * 2005-05-06 2005-07-20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샤워부스
KR200396290Y1 (ko) * 2005-07-05 2005-09-20 주식회사 아진 샤워부스용 도어 프레임 구조물
KR100789701B1 (ko) * 2007-02-27 2008-01-03 주식회사 아진 샤워부스의 프레임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36B2 (ja) * 1993-12-14 2000-04-24 東レ株式会社 人工芝
KR200187409Y1 (ko) * 2000-01-20 2000-07-01 대림통상주식회사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0196521Y1 (ko) * 2000-04-17 2000-09-15 전재석 샤워부스용 브라켓
KR200390214Y1 (ko) * 2005-05-06 2005-07-20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샤워부스
KR200396290Y1 (ko) * 2005-07-05 2005-09-20 주식회사 아진 샤워부스용 도어 프레임 구조물
KR100789701B1 (ko) * 2007-02-27 2008-01-03 주식회사 아진 샤워부스의 프레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22A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349B2 (en) Shower surround structure
US7987635B2 (en) Partition system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1883259B1 (ko) 샤워 부스
US3422464A (en) Shower enclosure track assembly
KR101756139B1 (ko) 욕실장용 슬라이딩 도어
EP1121886A1 (en) Perfected door for shower cubicle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20170056355A (ko) 욕실용 수납장
JP6489361B2 (ja) 洗面化粧台
JP2002191452A (ja) キャビネット構造
JP7267153B2 (ja) 浴室カウンター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102539604B1 (ko) 여닫이 도어 시스템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GB2417979A (en) Hinged wall access panel
JP6890505B2 (ja) 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KR102498712B1 (ko) 도어의 위치가 조정 가능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
KR101392233B1 (ko)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KR20180021496A (ko) 도어 힌지 구조체
JP4429869B2 (ja) 扉付収納棚
JP2005120639A (ja) トイレユニット
JP3925353B2 (ja) キャビネット
JP2022100525A (ja) 収納装置
JP2023125079A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