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409Y1 -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409Y1
KR200187409Y1 KR2020000001542U KR20000001542U KR200187409Y1 KR 200187409 Y1 KR200187409 Y1 KR 200187409Y1 KR 2020000001542 U KR2020000001542 U KR 2020000001542U KR 20000001542 U KR20000001542 U KR 20000001542U KR 200187409 Y1 KR200187409 Y1 KR 200187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door
fixing
coupling
showe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길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번의 작은 가압력으로 도어가 반자동식과 같이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 또한 저렴하도록 그 구성을 통상의 샤워부스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면에 힌지공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이, 타측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삽입부가 형성된 상고정부재와;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이, 타측에는 힌지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고정부재와; 상기 상고정부재와 하고정부재 사이에는 일면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축삽입부와 다수의 고정부 및 수개의 보강리이브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프레임과, 이 회전프레임의 밑단으로 상면에 다수의 끼움편과 결합봉이 형성되고 밑면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와 하고정부재의 삽입부 사이로 삽입되는 각각의 제1,2 작동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eing the door of a shower booth}
본 고안은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번의 작은 가압력으로 도어가 반자동식과 같이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 또한 저렴한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욕실을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 샤워와 용변 등을 각각 별도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시설인 샤워부스(shower booth)가 보급되면서 욕실을 한층 더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상기에서 샤워부스라 함은 욕실 내에 샤워기를 포함하여 박스형태로 설치되어 용변 및 샤워를 욕실 내에서 함께 행할 수 있음 물론 샤워 시에 물이 다른 곳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욕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갖게 되었고, 그러한 여건을 갖추기 위해 샤워부스에도 출입수단인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출입수단인 도어를 개폐는 방식에는 크게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전자인 여닫이식에는 가동편과 고정편으로 형성되어 도어와 문틀에 설치되는 경첩과 같은 힌지결합식의 개폐방식이 가장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후자인 미닫이식에는 문틀 상에서 각각의 도어를 작업자가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도어 개폐방식에서 여닫이식이나 미닫이식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도어를 처음부터 끝까지 가압하여 열고 닫아야 함으로써, 사용 상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여닫이식의 경우 반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스프링경첩 등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스프링경첩 등과 같은 반자동식의 개폐수단은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고장발생률이 높아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부담감은 물론 고장발생시 더욱 불편함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번의 작은 가압력으로 도어가 반자동식과 같이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 또한 저렴하게 소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샤워부스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면에 힌지공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이, 타측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삽입부가 형성된 상고정부재와;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이, 타측에는 힌지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고정부재와; 상기 상고정부재와 하고정부재 사이에는 일면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축삽입부와 다수의 고정부 및 수개의 보강리이브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프레임과, 이 회전프레임의 밑단으로 상면에 다수의 끼움편과 결합봉이 형성되고 밑면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와 하고정부재의 삽입부 사이로 삽입되는 각각의 제1,2 작동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가 접하는 면에는 일정간격의 산과 골이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삽입부 밑면과 하고정부재의 삽입부 상면에는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도록 제1,2 작동구의 상면과 밑면에는 한쌍의 끼움홈이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와 끼움홈은 각 제1,2 작동구에 형성된 산과 골의 직교되는 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작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고정부재 11 : 체결공
12,22,502a : 힌지공 14 : 고정부
16,26 : 결합편 18,28 : 삽입부
20 : 하고정부재 28a,46a : 고정돌기
30 : 회전프레임 32 : 결합홈
34 : 축삽입부 35 : 고정부
36 : 보강리이브 40: 고정구
42 : 끼움편 44 : 결합봉
46 : 결합부 50 : 제1 작동구
50a,500a : 끼움홈 52 : 삽입공
500 : 제2 작동구 502 : 삽입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통상의 샤워부스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
본 고안은 상면에 일반적인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12)과 고정스크류로 샤워부스의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고정부(14)가 형성되고 일측 양단에는 샤워부스의 측면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결합편(16)이 형성되며, 타측 상기 고정부(14)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회전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8)가 형성된 상고정부재(10)와;
일측 양단으로 상기 샤워부스의 측면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결합편(26)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반적인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 작동구가 삽입되도록 삽입부(28)가 형성되어 샤워부스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고정부재(20)와;
상기 상고정부재(10)와 하고정부재(20) 사이에는 일면으로 도어측 판넬이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상고정부재(10)의 힌지공(12)에 삽입되는 힌지축과 후술하는 고정구의 결합봉이 삽입되는 축삽입부(34)와 다수의 고정부(35) 및 수개의 보강리이브(36)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프레임(30)과, 이 회전프레임(30)의 밑단으로 상면에 상기 보강리이브(36)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다수의 끼움편(42)과 상기 축삽입부(34)에 결합되는 결합봉(44)이 형성되고 밑면으로 후술하는 제2 작동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46)가 형성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의 결합부(46)와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 사이로 삽입되는 각각의 제1,2 작동구(50)(50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제1 작동구(50)와 제2 작동구(500)가 접하는 면에는 일정간격의 산과 골이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작동구(50)에는 삽입공(52)이, 제2 작동구(500)에는 상기 삽입공(52)에 인입될 수 있도록 힌지공(502a)이 형성된 삽입부(502)가 형성되어 상기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에 형성된 힌지공(22)으로 삽입되는 힌지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40)의 결합부(46) 밑면과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 상면에는 한쌍의 고정돌기(46a)(28a)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도록 제1,2 작동구(50)(500)의 상면과 밑면에는 한쌍의 끼움홈(50a)(500a)이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46a)(28a)와 끼움홈(50a)(500a)은 각 제1,2 작동구(50)(500)에 형성된 산과 골의 직교되는 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1의 구성에서 먼저, 상기한 상고정부재(10)와 하고정부재(20)의 결합편(16)(26)이 샤워부스의 측면프레임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고정부재(10)와 하고정부재(20) 사이에는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프레임(30)과 고정구(40) 및 제1,2 작동구(50)(5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프레임(30)의 밑단으로 고정된 고정구(40)의 결합부(46)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2 작동구(500)의 산과 골이 상기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작동구(50)의 산과 골이 상호 상응되도록 맞물리도록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는 사용자가 도어를 가압하여 개방되어 진 상태이거나 도어가 폐쇄되어 진 상태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제1,2 작동구(50)(500)의 산과 골이 상호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제1,2 작동구(50)(500)의 끼움홈(50a)(500a)이 상기 고정구(40)의 결합부(46)와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에 형성된 고정돌기(46a)(28a)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산과 골의 직교되는 선상의 위치에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짐에 따라 도어를 내측으로 인입되어 폐쇄시에는 그 편심된 만큼 도어가 내측으로 위치하여 폐쇄되어 지고, 외측으로 인출되어 폐쇄될 경우에도 상기 편심된 거리만큼 위치하여 폐쇄됨에 따라 도어의 폐쇄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2b는 작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상기한 도 2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샤워부스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어 판넬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프레임(30)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프레임(30)의 하단 고정구(40)의 결합부(46)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작동구(500)의 산과 골이 상기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로 고정되어 있는 제1 작동구(50)의 산과 골 상에서 상호 어긋나면서, 다시말해서 사용자가 도어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제2 작동구(500)의 산이 제1 작동구(50)의 산의 위치까지만 가압하게 되면 그 맞닿은 제2 작동구(500)의 산은 자연적으로 제1 작동구(50)의 골 측으로 도어의 자중에 의해 위치함에 따라 도어가 반자동식과 같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프레임(30)은 상기 각 제1,2 작동구(50)(500)의 산이 맞물리는 높이 만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상고정부재(10)의 삽입부(18)는 상기 회전프레임(30)의 유동되는 높이 만큼의 공간부(S)가 확보되어 있어 상기 회전프레임(30)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은 가압력으로도 샤워부스의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번의 작은 가압력으로 도어가 반자동식과 같이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 또한 저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샤워부스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면에 힌지공(12)과 다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고정부(14)가 형성되고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16)이, 타측 상기 고정부(14)의 하부로 삽입부(18)가 형성된 상고정부재(10)와; 일측 양단으로 결합편(26)이, 타측에는 힌지공(22)이 형성된 삽입부(28)가 형성되는 하고정부재(20)와; 상기 상고정부재(10)와 하고정부재(20) 사이에는 일면으로 결합홈(32)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축삽입부(34)와 다수의 고정부(35) 및 수개의 보강리이브(36)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프레임(30)과, 이 회전프레임(30)의 밑단으로 상면에 다수의 끼움편(42)과 결합봉(44)이 형성되고 밑면으로 결합부(46)가 형성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의 결합부(46)와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 사이로 삽입되는 각각의 제1,2 작동구(50)(50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구(50)와 제2 작동구(500)가 접하는 면에는 일정간격의 산과 골이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의 결합부(46) 밑면과 하고정부재(20)의 삽입부(28) 상면에는 한쌍의 고정돌기(46a)(28a)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도록 제1,2 작동구(50)(500)의 상면과 밑면에는 한쌍의 끼움홈(50a)(500a)이 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46a)(28a)와 끼움홈(50a)(500a)은 각 제1,2 작동구(50)(500)에 형성된 산과 골의 직교되는 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20000001542U 2000-01-20 2000-01-20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0187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42U KR200187409Y1 (ko) 2000-01-20 2000-01-20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42U KR200187409Y1 (ko) 2000-01-20 2000-01-20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409Y1 true KR200187409Y1 (ko) 2000-07-01

Family

ID=1963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542U KR200187409Y1 (ko) 2000-01-20 2000-01-20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4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53B1 (ko) * 2001-06-23 2004-06-09 정병웅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101883259B1 (ko) * 2016-06-03 2018-07-31 주식회사 유니퍼 샤워 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53B1 (ko) * 2001-06-23 2004-06-09 정병웅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101883259B1 (ko) * 2016-06-03 2018-07-31 주식회사 유니퍼 샤워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7409Y1 (ko)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JP3023498B2 (ja) 浴 槽
KR200355435Y1 (ko)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0311269Y1 (ko)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US20050196249A1 (en) Hinge fastening apparatus
KR200277546Y1 (ko) 샤워부스용 도어 힌지브라켓
GB2411431A (en) Lever-operated expansion fastenings for hinge parts
KR200343796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KR200349292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JPS6243030Y2 (ko)
KR930002499Y1 (ko) 배수 마개의 개폐장치
CN218405699U (zh) 一种洁身器的安装结构
KR200308732Y1 (ko) 양변기의 버튼식 배수장치
KR200312911Y1 (ko) 회전형 밀대걸레
KR200374570Y1 (ko) 경첩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20180021496A (ko) 도어 힌지 구조체
KR200190968Y1 (ko) 도어 개폐장치
KR200176688Y1 (ko) 카메라 부착 도어폰의 체결부 커버 힌지장치
KR200229782Y1 (ko) 경첩셋트
KR200205919Y1 (ko) 화장실문용 힌지
KR200325382Y1 (ko) 휴대용 열쇠수납장치
KR960010611Y1 (ko) 좌변기용 배수장치
KR100515511B1 (ko) 리모콘 덮개의 래치 겸용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