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11Y1 - 회전형 밀대걸레 - Google Patents

회전형 밀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11Y1
KR200312911Y1 KR20-2003-0000102U KR20030000102U KR200312911Y1 KR 200312911 Y1 KR200312911 Y1 KR 200312911Y1 KR 20030000102 U KR20030000102 U KR 20030000102U KR 200312911 Y1 KR200312911 Y1 KR 20031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bevel gear
screw body
stato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곤 남
Original Assignee
대곤 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곤 남 filed Critical 대곤 남
Priority to KR20-2003-0000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11Y1/ko
Priority to CNB2003801000013A priority patent/CN100500075C/zh
Priority to PCT/KR2003/002935 priority patent/WO2004060131A1/en
Priority to AU2003289591A priority patent/AU2003289591A1/en
Priority to JP2004564589A priority patent/JP3745361B2/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의 바, 상기 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레부를 회전시키는 걸레작동구 및 상기 걸레작동구에 착탈되는 걸레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밀대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작동구는 하부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가 상기 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하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베벨기어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 양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회전자들로 구성하고, 상기 걸레부는 요홈을 구비한 다수개의 리브가 외주연에 형성되며 중심에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 외주연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스크류몸체 및 상기 스크류몸체 외주연에 나선으로 회전하며 체결되는 걸레로 구성하되,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사이로 걸레가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상면을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정자의 상단부 중심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를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삽입한 후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홈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자에 상기 주동베벨기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동베벨기어 주위의 걸레가 기어의 이 사이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상기 고정자 사이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밀대걸레{Roller-type mop}
본 고안은 회전형 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 회전시 베벨기어에 걸레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부재간의 결합력을 개선한 회전형 밀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밀대걸레는 서 있는 상태에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도록 긴 막대 끝에 다양한 종류의 걸레를 연결하여 만든 청소도구이다. 이는 몸을 굽힌 자세에서 걸레로 청소작업을 할 때 청소하는 사람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걸레의 형태이다.
이러한 밀대걸레는 크게 방이나 거실 등을 청소하는 가정용 밀대걸레와, 사무실, 교실 등의 바닥을 청소하는 마포걸레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가정용 밀대걸레는 손잡이를 갖는 긴 막대의 하단부에 판상부재로 된 걸레판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걸레판에 구비된 다수개의 집게 등을 이용하여 직물지 등의 걸레를고정시켜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가정용 밀대걸레는 걸레판이 판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된 부위를 청소할 경우 걸레 전체가 한꺼번에 오염되게 된다. 따라서, 걸레를 수시로 교환하고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레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몸을 굽힌 상태에서 다수개의 집게를 풀어 더러워진 걸레를 분리한 후 새 걸레를 다수개의 집게로 고정해야 하므로 걸레의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도 있다.
특히, 물건과 물건 사이 및 이들의 저면과 같이 협소한 장소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레판 자체의 폭이 넓기 때문에 청소를 원활하게 할 수 없어 협소한 장소나 물건의 저면 등에는 청소자가 종래와 같이 자세를 구부린 상태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밀대걸레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 공개 제2000-0002283호 및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01758호에서 회전형 밀대걸레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회전형 밀대걸레는 청소 중 걸레의 오염되지 않은 부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걸레의 교체 및 세탁회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협소한 장소도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개발한 회전형 밀대걸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대걸레는 상단에 손잡이를 갖는 바(10)와, 그 하단에 결합되는 걸레작동구(20)와 상기 걸레작동구(20)에 착탈되는 걸레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걸레작동구(20)는, 하부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주동베벨기어(22)가 상기 바(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상부에 결합된 고정자(24)와, 상기 고정자(24)의 하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26)으로 구성된다.
도 2a에는 종래의 회전형 밀대걸레의 걸레작동구(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24)의 상부는 주동베벨기어(22)의 결합공(2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막대형상으로, 그 선단부에는 주동베벨기어(22)가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슬롯(22a)과 결합된 주동베벨기어(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24b)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주종베벨기어(22)는 관형으로 중심에 결합공(22a)이 구비되어 있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이(톱니)(2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6)의 좌우측에는 상기 주동베벨기어(22)에 연동하여 걸레부(30,도 1참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통형의 회전자(28)가 끼워진다. 상기 회전자(28)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주동베벨기어(22)와 맞물리도록 종동베벨기어(25,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베벨기어(25)에 인접하여 형성된 단턱(28c)에는 결합된 걸레부(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홈(28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28)의 타단부에는 걸레부(3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슬롯(28a)이 형성되고, 결합된 걸레부(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28b)도 구비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부(30)는, 상기 걸레작동구의 회전자에 결합되는 체결공(32a)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스크류몸체(32)와, 상기스크류몸체(32) 외주연에 결합되는 걸레(34)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몸체(32)는 제1리브(32b)가 등간격으로 전장에 걸쳐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리브(32b)의 사이에 이와 동심원을 이루며 그 직경을 작게 구성한 제2리브(32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리브(32b,32d)의 일측에는 요홈(32c)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동일하게 상기 리브들(32b,32d) 사이에 긴 걸레를 나선형으로 감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32d)는 스크류몸체(32)에 긴 걸레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고정할 때 걸레가 제1리브(32b) 사이에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오염된 청소면과 접하는 걸레의 접촉면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레부(30)가 도 1의 회전자(28)에 결합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공(32a)의 내벽에는 상기 회전자(28)의 고정돌기(28b)와 결합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몸체(32) 말단에는 상기 회전자(28)의 단턱(28c)의 고정홈(28d)에 결합되는 돌출부(32e)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밀대걸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의 주동베벨기어(22) 및 이에 연동하는 종동베벨기어(25)가 회전할 때, 상기 종동베벨기어(25)에 인접한 걸레부(30)의 걸레가 주동베벨기어(22) 또는 종동베벨기어(22)의 이(톱니)(22a,25a) 사이로 말려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자(24)와 주동베벨기어(22)는 고정자(24) 상부에 형성된 슬롯(24a) 및 단턱(24b)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밀대걸레의 사용과정에서 상기 고정자(24) 상부는 계속적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롯(24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슬롯(24a)의 복원력이 낮아져 단턱(24b)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주동베벨기어(22)가 상기 고정자(24)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포걸레류는 긴 실을 꼬아 만든 헝겊걸레를 막대 하단부에 장착된 큰 집게에 끼운 후 물에 적시어 청소를 하는 형태이다. 이 마포걸레류도 오염된 부위를 청소할 경우, 걸레 전체가 한꺼번에 오염되기 때문에 청소를 깨끗이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포걸레류는 신발을 신고 다니는 사무실 바닥 등을 청소하기 때문에 오염도가 높고 걸레도 크기 때문에, 세척 및 탈수시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걸레부 회전시 걸레가 주동베벨기어 또는 종동베벨기어의 이 사이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형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성부재간의 결합력 특히, 고정자와 주동베벨기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회전형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탈수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마포걸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형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회전형 밀대걸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a는 종래 회전형 밀대걸레의 걸레작동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b는 종래 회전형 밀대걸레의 걸레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레작동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레부 중 스크류몸체의 사시도.
도 3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몸체 고정구에 걸레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밀대걸레의 일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바 (bar) 20,120 : 걸레작동구
22,122 : 주동베벨기어 22a,122a : 결합공
22b,122b,125a : 이 24,124 : 고정자
24a,28a,128a : 슬롯 24b,28c,128c : 단턱
26,126,226 : 회전축 28,128 : 회전자
28b,128b,128e : 고정돌기 28d,128d,132f,232f : 고정홈
30,130,230 : 걸레부 32,132,232 : 스크류몸체
32a,132a,232a : 체결공 32b,32d,132b,132d : 리브
32c,132c : 요홈 32e,132e : 돌출부
34,134,234 : 걸레 123a : 와셔
123b,136 : 볼트 124a,232g : 체결홈
126a,226a : 절개부 132g : 고정구
135 : 패킹 232b, 232c : 말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는, 원통형의바, 상기 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레부를 회전시키는 걸레작동구 및 상기 걸레작동구에 착탈되는 걸레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밀대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작동구는 하부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가 상기 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하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베벨기어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 양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회전자로 구성하고, 상기 걸레부는 중심에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 외주연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스크류몸체 및 상기 스크류몸체 외주연에 체결되는 걸레로 구성하되, 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사이로 걸레가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상면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동베벨기어의 회전시에도 주동베벨기어 주위의 걸레가 기어의 이 사이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에서, 상기 스크류몸체는 요홈을 구비한 다수개의 리브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긴 걸레를 나선으로 회전하여 체결하며, 상기 고정자는 그 상단부 중심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를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삽입한 후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홈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자에 상기 주동베벨기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상기 고정자 사이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어 밀대걸레 사용시 고정자에서 주동베벨기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레작동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레부 중 스크류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몸체 고정구에 걸레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밀대걸레는 상단에 손잡이를 갖는 바(100)와, 그 하단에 결합되는 걸레작동구(120)와 상기 걸레작동구(120)에 착탈되는 걸레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걸레작동구(120)는, 하부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주동베벨기어(122)가 상기 바(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상부에 결합된 고정자(124)와, 상기 고정자(124)의 하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26)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에서는 상기 주동베벨기어(122)는 관형으로 중심에 결합공(122a)이 구비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이(122b)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동베벨기어(122)는 종래의 주동베벨기어와 달리 상기 이(122b)의 상면(122c)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동베벨기어(122)의 회전시에도 주동베벨기어(122) 주위의 걸레가 기어의 이(122b) 사이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고정자(124)와 주동베벨기어(122)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고정자(124)의 상단부 중심에 체결홈(124a)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122)의 결합공(122a)에 상기 고정자(124)의 상부가 삽입된다. 다음 와셔(123a)가 개재로 되고 상기 체결홈(124a)에 체결되는 나사(123b)에 의해 상기 주동베벨기어(122)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고정자(124)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주동베벨기어(122)와 상기 고정자(124) 사이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어 밀대걸레 사용시 고정자(124)에서 주동베벨기어(1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26)의 좌우측에는 상기 주동베벨기어(122)에 연동하여 걸레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통형의 회전자(128)가 끼워진다. 상기 회전자(128)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주동베벨기어(122)와 맞물리도록 종동베벨기어(125,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레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종동베벨기어(125,125')에 인접하여 형성된 단턱(128c)의 양측이 함몰되어 고정홈(128d)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단턱(128c)의 상면에 고정돌기(128e)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128)의 타단부에는 걸레부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슬롯(128a)이 형성되고, 결합된 걸레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128b)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회전자(128)의 슬롯(128a) 말단에 홈이 형성되고 금속제의 상기 회전축(126)의 말단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126a)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126a)가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홈에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126)에 회전자(128)를 보다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대걸레의 걸레부(130)는 종래의 걸레부와 유사하게 다수개의 리브(132b,132d)가 등간격을 형성된 원통형의 스크류몸체(132)와 상기 스크류몸체(132)에 나선형으로 감을 수 있는 걸레(134)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스크류몸체(132)는 도 3a에 도시된 상기 회전자(128)의 단턱(128c)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홈(128d)에 결합되는 돌출부(132e)가 상기 스크류몸체(132)의 체결공(132a)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자(128)와 상기 스크류몸체(132)와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돌출부(132e)가 스크류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에 비해 종동베벨기어(125)가 스크류몸체(132) 말단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베벨기어(125)에 인접한 걸레가 상기 종동베벨기어의 이(125a) 사이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좌우측 걸레부 사이의 간격을 좁혀 청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크류몸체(132) 내측 말단에는 상기 회전자(128)의 단턱(128c)에 형성된 고정돌기(128e)에 결합되는 고정홈(132f)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자(128)와 상기 걸레부(13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몸체(132) 양단에는 고정구(132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고정구(132g)에는 걸레(134)를 스크류몸체(132)에 고정하기 위한 피스볼트(136)가 체결된다. 미설명 부호 135는 걸레(134)와 스크류몸체(132)이 면접촉하도록 하여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패킹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 스크류몸체(132) 외부에 형성된 제1리브(132b) 및 제2리브(132d) 사이에 띠형상의 걸레(134)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고정한다. 이때,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몸체(132)의 상기 고정구(132g) 상부에 걸레(134)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피스볼트(136)를 채워 걸레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피스볼트(136)에 패킹(135)을 끼워 고정구(132g)에 삽입하게 되면, 스크류몸체(132), 걸레(134), 패킹(135)이 서로 면접촉하게 됨으로써 체결력이 높아져 스크류몸체(132)에 체결된 걸레(13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결합된 걸레부(130)를 걸레작동구(120)의 회전자(128)에 끼운다. 이때, 걸레부(130)를 좌우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자(128)에 삽입하면, 상기 회전자(128) 말단의 슬롯(128a) 간격이 좁아지면서 걸레부(130)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일단 이렇게 삽입되면, 상기 슬롯(128a)의 복원력과, 회전자(128)의 고정돌기(128b), 고정홈(128d) 및 고정돌기(128e)가 스크류몸체(132)의 고정홈(미도시), 돌출부(132e) 및 고정홈(132f)의 결합되어 상기 걸레부(130)는 회전자(128)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밀대걸레과 동일한 방법으로 걸레(134)와 오염된 청소면이 접하도록 한 다음 밀면서 청소한다. 청소하는 과정에서 걸레(134)의 저면(청소면과 접하는 면)만 오염되고 나머지 부분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면과 접한 면의 걸레(134)가 오염되면 바(100)를 회전하여 걸레부(130)를 회전시켜 오염되지 않은 면이 청소면과 접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걸레부(130)의 회전은, 바(100)를 회전시키면 바(100) 하단부에 결합된 걸레작동구(120)의 주동베벨기어(122)가 회전되고, 상기 주동베벨기어(122)와 맞물려 있는 종동베벨기어(125,125')가 연동된다. 이때, 상기 종동베벨기어(125,125')는 회전자(128)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동베벨기어(125,125')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자(128) 및 상기 회전자(128)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126)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자(128)에 결합된 걸레부(130)도 회전된다.
이러한 청소과정에서, 본 고안에 의한 주동베벨기어(122) 이(122b)의 상술한 특수한 구조 및 상기 회전자(128)의 고정홈(128d)에 결합되는 스크류몸체(132)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132e)의 구조에 의해 상기 주동베벨기어(122) 및 종동베벨기어(125)의 이(122b,125a) 사이로 걸레가 말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축(126), 회전자(128) 및 스크류몸체(132)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 및 고정홈 등에 의해 구성부재간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어, 구성부재가 청소하는 과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면서 청소하여 걸레의 모든 면이 오염되면 걸레부(130)를분리하여 세탁한 후, 다시 회전자(128)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를 이용하면 협소한 공간이나 저면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는 물걸레 또는 마른걸레로서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밀대걸레는 걸레부가 걸레작동구에 고정되는 구조로 마포걸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회전축(226)의 길이가 회전자(128) 보다 길어 상기 회전자(128)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26)의 좌우측 말단에는 말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226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226a)에 상응하는 위치의 스크류몸체(232) 말단에는 체결홈(232g)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6)의 길이와 상기 스크류몸체(232)의 길이가 조정되어, 상기 걸레작동구(120)의 회전자(128) 좌우측으로 걸레부(230)를 끼우면 회전축(126)의 말단부와 상기 스크류몸체(132)의 말단부 일치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6)의 상기 절개부(226a)를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몸체(232)의 체결홈(232g)으로 절곡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회전축(126) 및 상기 회전자(128)에 걸레부(23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몸체(232)의 말단(232b,232c)에서 리브 사이의 홈을 상대적으로 깊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마포걸레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비교적 긴 실로 이루어진 걸레(234)를 상기 스크류몸체(232)에 나선형으로 감을 때, 상기 스크류몸체(232)의 말단(232b,232c)에는 걸레(234)가 깊이 삽입된다. 따라서, 마포걸레와 같이 걸레가 길어도 주동베벨기어(122) 또는 종동베벨기어(125,125')에 걸레 말려들어가거나 걸레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몸체(232)는 제1실시예의 가정용 밀대걸레의 스크류몸체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걸레부(230)의 청소면을 확대할 수 있어 사무실 등 넓은 공간을 청소하기 적합하다. 미설명부호 232f는 회전자(128)의 단턱(128c) 상에 형성된 고정돌기(128e)에 결합되는 고정홈으로, 상기 회전자(128)와 상기 걸레부(230)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밀대걸레에 긴실을 감아 마포걸레 대용으로 사용하면,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장점 즉 청소면과 접한 부분의 걸레부와 오염되므로 오염되지 않은 부분으로 회전하면서 지속적인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동베벨기어(122) 또는 종동베벨기어(125,125')에 걸레가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종래의 마포걸레와 달리 특별한 기구없이 탈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레부(230)를 발로 누르면서 회전시킬 수 있어, 발 하중에 의해 걸레가 압착되어 용이하게 탈수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적 목적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추가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주동베벨기어의 형상 및 스크류몸체의 형상을 개량하여 걸레부 회전시 걸레가 주동베벨기어 또는 종동베벨기어의 이 사이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고정자와 주동베벨기어, 회전축과 회전자 및 회전자와 걸레부 등 구성부재간의 결합력 특히, 고정자와 주동베벨기어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세째, 별도의 탈수기구가 필요없는 마포걸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형 밀대걸레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원통형의 바, 상기 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걸레부를 회전시키는 걸레작동구 및 상기 걸레작동구에 착탈되는 걸레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밀대걸레에 있어서,
    상기 걸레작동구는 하부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가 상기 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하부 중심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베벨기어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 양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회전자들로 구성하고,
    상기 걸레부는 중심에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 외주연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스크류몸체 및 상기 스크류몸체 외주연에 체결되는 걸레로 구성하되,
    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사이로 걸레가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주동베벨기어의 이 상면을 연결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몸체는 요홈을 구비한 다수개의 리브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긴 걸레를 나선으로 회전하여 체결하며,
    상기 고정자는 그 상단부 중심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의 주동베벨기어를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삽입한 후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홈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자에 상기 주동베벨기어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말단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를 상기 회전자의 슬롯 말단으로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종동베벨기어에 인접하여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 좌우측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류몸체 내벽에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단턱에 고정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몸체의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몸체 1개소 이상에 걸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고정구를 구비하며, 상기 걸레를 상기 스크류몸체에 체결할 때 걸레의 말단을 상기 고정구 위에 위치시킨 후 그 상면에 패킹을 끼운 후 고정부재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상기 회전자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의 좌우측 말단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레부를 상기 회전자 외주연에 장착한 후 상기 절개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류몸체에 형성된 체결홈으로 상기 절개부를 절곡하여 상기 회전축에 상기 걸레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몸체 양 말단에서 리브 사이의 홈을 다른 부분 보다 깊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밀대걸레.
KR20-2003-0000102U 2003-01-03 2003-01-03 회전형 밀대걸레 KR20031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02U KR200312911Y1 (ko) 2003-01-03 2003-01-03 회전형 밀대걸레
CNB2003801000013A CN100500075C (zh) 2003-01-03 2003-12-31 辊式拖把
PCT/KR2003/002935 WO2004060131A1 (en) 2003-01-03 2003-12-31 Roller-type mop
AU2003289591A AU2003289591A1 (en) 2003-01-03 2003-12-31 Roller-type mop
JP2004564589A JP3745361B2 (ja) 2003-01-03 2003-12-31 ローラー型モ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02U KR200312911Y1 (ko) 2003-01-03 2003-01-03 회전형 밀대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11Y1 true KR200312911Y1 (ko) 2003-05-14

Family

ID=4933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02U KR200312911Y1 (ko) 2003-01-03 2003-01-03 회전형 밀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427A (ko) 2021-09-20 2023-03-28 신철구 회전형 밀대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427A (ko) 2021-09-20 2023-03-28 신철구 회전형 밀대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482B2 (en) Kitchen appliance
CN113229743B (zh) 用于吸尘器的地刷总成和吸尘器
KR200312911Y1 (ko) 회전형 밀대걸레
KR100753649B1 (ko) 브러시 겸용 물걸레 청소구
CN218528642U (zh) 地刷机构及清洁设备
KR200268631Y1 (ko) 개량 걸레용 청소구
CN216167240U (zh) 地刷组件和清洁设备
JP3745361B2 (ja) ローラー型モップ
CN108309487B (zh) 一种电动牙刷及其工作方法
CN116269086A (zh) 地刷及清洁装置
CA2477084A1 (en) Self-wringing mop
CN215078091U (zh) 电动滚刷及清洗设备
CN220403846U (zh) 清洗篮
KR200201758Y1 (ko) 개량형 밀대 걸레
KR200201326Y1 (ko) 개량밀대걸레.
KR200187409Y1 (ko) 샤워부스용 도어 개폐장치
US20020069769A1 (en) Garlic press
CN215914456U (zh) 洗地机辊刷结构及洗地机
CN216876217U (zh) 地刷组件及清洁设备
CN215687507U (zh) 一种洗地机的滚刷装置
CN211749458U (zh) 洗鞋机
CN211749455U (zh) 洗鞋机
CN218044982U (zh) 地拖结构及洗地机
CN220735317U (zh) 一种滚刷按压缩机构
CN218978805U (zh) 一种用于清洁设备的多功能滚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