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858B1 -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858B1
KR101882858B1 KR1020170028626A KR20170028626A KR101882858B1 KR 101882858 B1 KR101882858 B1 KR 101882858B1 KR 1020170028626 A KR1020170028626 A KR 1020170028626A KR 20170028626 A KR20170028626 A KR 20170028626A KR 101882858 B1 KR101882858 B1 KR 10188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ound
steering wheel
moto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융
Original Assignee
권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융 filed Critical 권융
Priority to KR102017002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리센서 및 상기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소리감지부;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비청각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상기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청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ALARM DEVICE AND STEERING WHEEL FOR HEARING IMPAIRED}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에서의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은 이동 수단에서 소리로 발생하는 위험 신호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사고의 위험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들은 타차량에서 발생한 경적 소리를 인식하여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나 청각장애인의 경우 경적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여 일반인과 같은 위험 회피 행동을 취하기 어렵다.
한편, 청각장애인은 타인의 행동이나 제스처 등을 인식하여 의사소통을 보완할 수 있으나 전면을 응시하고 운전하고 있는 경우, 타인의 이러한 행동이나 제스처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특히, 완전한 청각장애가 아닌 난청 수준의 불편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타인이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주의를 집중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나, 전면을 응시하고 운전하고 있는 경우, 타인이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타인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에게 소리정보를 대체할 수 있는 비청각신호를 제공하여 청각장애인의 생활을 보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리센서 및 상기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소리감지부;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비청각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상기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청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알람 장치에서, 상기 비청각신호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광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설정변경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설정변경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인식되면 상기 설정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장치에서, 상기 연산부는 시스템오프가 인식되면 마지막으로 설정된 설정 주파수 대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시스템이 기동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소리감지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장치에서, 상기 밴드패스필터는, 오피앰프 및 상기 오피앰프의 네거티브단자로 연결되는 RC네트워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RC네트워크회로의 가변저항 혹은 가변캐패시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설정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장치에서, 상기 출력부는, 자동차의 내부 혹은 외부, 비행기의 외부, 혹은 선박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리센서 및 상기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소리감지부; LED를 제어하는 LED제어부; 운전대에 부착된 팬을 제어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제1모터구동부; 상기 운전대에 부착된 거친패드를 돌출시키는 제2모터구동부; 상기 운전대를 진동시키는 제3모터구동부; 디퓨저를 통해 향기를 출력하는 제4모터구동부; 및 상기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LED제어부, 상기 제1모터구동부, 상기 제2모터구동부, 상기 제3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4모터구동부 중 하나를 제어하여 비청각신호가 운전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운전대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운전대 장치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소리감지부를 통해 경적이 감지되면 상기 제1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운전대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인식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운전주의상황을 인식하면 상기 제3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대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운전대 장치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식하면 상기 제2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거친패드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운전대 장치에서, 상기 연산부는, 일정 시간 이상 운전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제4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실내공간에 향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장애인 혹은 난청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외부 활동 및 이동수단을 이용할 때, 보다 원활하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타인과 좀더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가 자동차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가 설정값을 저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람 장치(100)는 소리감지부(110), 연산부(120), 출력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감지부(110)는 청각장애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소리감지부(110)는 타차량에서 발생하는 경적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혹은 소리감지부(110)는 비행기의 이륙소리, 배의 경적소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소리감지부(110)에서 출력하는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비청각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비청각신호는 예를 들어, 시각신호, 후각신호, 촉각신호 등일 수 있다.
출력부(130)는 비청각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비청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LED의 광신호를 이용하여 시각신호를 청각장애인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력부(130)는 향기발생장치-디퓨저-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향기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후각신호를 청각장애인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출력부(130)는 촉각발생장치-거친패드 등-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촉각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를 청각장애인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감지부의 구성도이다.
소리감지부(110)는 소리센서(210) 및 밴드패스펄터(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센서(210)는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소리센서(210)는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밴드패스필터(220)는 소리센서(2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소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게 되는데, 밴드패스필터(220)는 전기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분리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감지하고자 하는 소리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적 소리가 A헤르츠(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소리감지부(110)는 밴드패스필터(220)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여 경적 소리를 분리할 수 있다.
밴드패스필터(220)는 오피앰프 및 오피앰프의 네거티브단자로 연결되는 RC네트워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RC네트워크회로는 복수의 저항 및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연산부는 RC네트워크회로의 가변저항 혹은 가변캐패시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밴드패스필터(220)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산부는 시스템의 기동-배터리의 턴온-과 함께 감지 소리 대역을 1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300). 아무런 사용자 조작이 없었다면 제품의 초기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소리감지부의 감지 소리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연산부는 소리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일정값과 비교하여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소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2).
소리가 감지되면(S302에서 YES), 연산부는 청각 이외의 감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06).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S302에서 NO), 연산부는 설정변경장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4).
알람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설정변경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연산부는 설정변경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인식되면(S304에서 YES), 소리감지부에서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S308).
연산부는 사용자 조작이 인식되지 않으면(S304에서 NO), 다시 소리감지단계(S308)로 복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가 자동차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의 일 예로서 LED장치(420)가 자동차(40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보행하고 있는 청각장애인은 자동차(400)에서 표시되는 LED장치(420)를 보고 자동차(400)의 운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400)에서 경적 소리가 발생한 경우, LED장치(420)는 적색을 표시할 수 있는데, 청각장애인은 LED장치(420)의 색깔을 보고 자동차(400)의 경적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부착의 용이성을 위해 LED장치(420)는 커넥팅장치(410) 등과 함께 부착될 수 있다.
비청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는 도 4와 같이 자동차(400)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부착될 수 있고, 비행기/선박과 같은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되어 청각장애인의 이동 수단 알람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알람 장치는 경적 소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리에 대해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맞추어 알람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소리감지부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일단,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되면 해당 주파수 대역을 저장하여 시스템의 온오프(ON/OFF)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설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가 설정값을 저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산부는 1차적으로 미리 저장된 값에 따라 설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S500).
그리고, 연산부는 설정 변경이 인식되면-예를 들어, 설정 변경 스위치가 턴온되면-(S502에서 YES), 다른 값으로 설정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S504).
그리고, 연산부는 시스템오프가 인식되면(S506에서 YES), 마지막으로 설정된 설정 주파수 대역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508). 그리고, 연산부는 시스템이 기동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주파수 대역으로 소리감지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청각장애인을 위한 운전대 장치(600)는 다수의 입력장치(632, 633), 다수의 출력장치(631, 635, 636, 637, 638, 639), 다수의 입출력처리장치(621, 622, 623, 625, 626, 627, 628, 629), 기억장치(620), 연산부(610) 및 소리감지부(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감지부(640)는 소리센서(634) 및 펄스감지회로(6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센서(634)는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펄스감지회로(624)는 밴드패스필터(624c), 증폭기(624b), 펄스모양성형기(624a)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패스필터(624c)은 소리센서(634)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증폭기(624b)는 센싱신호를 증폭하며, 펄스모양성형기(624a)는 증폭된 센싱신호를 연산부(61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기억장치(620)는 설정 주파수 대역을 비롯한 환경 변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LED제어부(621)는 LED장치(631)를 제어하여 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신호입력부(622)는 마이크(63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연산부(61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신호처리부(623)는 카메라(633)로부터 인식되는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신호처리부(623)는 영상처리를 통해 운전주의상황-예를 들어, 차선이탈, 타차량과의 접촉-을 인식하고 그 인식신호를 연산부(6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623)는 영상처리를 통해 위험상황-예를 들어, 타차량과의 충돌, 중앙선 침범-을 인식하고 그 인식신호를 연산부(61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성신호출력부(625)는 스피커(635)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신호출력부(625)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일반인의 청취수준보다 높은 음량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모터구동부(626)는 운전대에 부착된 팬(636)을 제어하여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제2모터구동부(627)는 운전대에 부착된 거친패드(637)를 돌출시킬 수 있다.
제3모터구동부(628)는 운전대에 부착된 진동장치(638)을 기동시켜 운전대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4모터구동부(629)는 디퓨저를 통해 향기를 출력할 수 있다(S639).
연산부(610)는 소리감지부(640)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LED제어부(621), 제1모터구동부(626), 제2모터구동부(627), 제3모터구동부(628) 및 제4모터구동부(629) 중 하나를 제어하여 비청각신호가 운전자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운전대 장치(700)는 운전대(702)에 부착되는 다양한 출력장치(710, 720, 730, 74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대(702)에는 향기를 출력할 수 있는 디퓨저(639)가 부착될 수 있는데, 연산부는 일정 시간 이상 운전 상태가 지속되면, 제4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퓨터(639)가 실내 공간에 향기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운전대(702)에는 바람을 출력할 수 있는 팬(636)이 부착될 수 있는데, 연산부는 소리감지부를 통해 경적이 감지되면 제1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바람을 일으켜서 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 운전대(702)에는 촉각신호를 생성하는 거친패드(637)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638)가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대 장치의 일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대 장치는 경적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S802), 경적이 감지되면(S802에서 YES), 팬을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S804). 이때, 연산부는 경적의 크기에 따라 바람 세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는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운전주의상황을 인식하면(S806에서 YES), 제3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운전대를 진동시킬 수 있다(S808). 이때, 연산부는 운전주의상황에서 인식되는 위험 수준에 따라 진동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를 통해 인식되는 차선이탈의 정도가 커질수록 연산부는 진동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는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식하면(S810에서 YES), 제2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거친패드를 돌출시킬 수 있다(S8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장애인 혹은 난청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외부 활동 및 이동수단을 이용할 때, 보다 원활하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타인과 좀더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리센서 및 상기 전기신호에서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센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소리감지부;
    LED를 제어하는 LED제어부;
    운전대에 부착된 팬을 제어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제1모터구동부;
    상기 운전대에 부착된 거친패드를 돌출시키는 제2모터구동부;
    상기 운전대를 진동시키는 제3모터구동부;
    디퓨저를 통해 향기를 출력하는 제4모터구동부;
    상기 센싱신호가 일정값 이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LED제어부, 상기 제1모터구동부, 상기 제2모터구동부, 상기 제3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4모터구동부 중 하나를 제어하여 비청각신호가 운전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연산부; 및
    카메라로부터 인식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운전주의상황을 인식하면 상기 제3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대를 진동시키고,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식하면 상기 제2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거친패드를 돌출시키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운전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소리감지부를 통해 경적이 감지되면 상기 제1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바람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운전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일정 시간 이상 운전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제4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실내공간에 향기를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운전대 장치.
KR1020170028626A 2017-03-07 2017-03-07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KR10188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26A KR101882858B1 (ko) 2017-03-07 2017-03-07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26A KR101882858B1 (ko) 2017-03-07 2017-03-07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858B1 true KR101882858B1 (ko) 2018-07-30

Family

ID=6304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626A KR101882858B1 (ko) 2017-03-07 2017-03-07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59B1 (ko) * 2020-04-01 2020-11-09 이충환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79A (ko) * 2014-09-15 2016-03-23 권순우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60044363A (ko) * 2014-10-15 2016-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향 신호 처리를 이용한 경적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79A (ko) * 2014-09-15 2016-03-23 권순우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60044363A (ko) * 2014-10-15 2016-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향 신호 처리를 이용한 경적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59B1 (ko) * 2020-04-01 2020-11-09 이충환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067B2 (ja) 居眠り警報装置
JP4936059B2 (ja) 移動体接近認知装置
JP5082834B2 (ja) 脇見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696794B (zh) 自适应乘员会话感知系统
JP2016001461A5 (ko)
KR101882858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동 수단 알람 장치 및 운전대 장치
WO2020066757A1 (ja) 危険運転防止装置
CN112046497B (zh) 驾驶辅助设备、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程序
KR20180081295A (ko) 졸음운전 경고 시스템 및 경고 방법
KR20190133358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097717B (zh) 喇叭装置、其控制方法及应用其的汽车
US5365219A (en) Conversation level warning device
US20220167099A1 (en) Hearing System,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for a User
KR100806639B1 (ko)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KR101838196B1 (ko) 위험 소리 인식 시스템의 방법
KR10217535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JP2023057058A (ja) 関連度依存の刺激変調を用いた支援システム
EP31368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lighting system based on user lighting preferences
JP2014241055A (ja) 表示システム
JPH10282985A (ja) 聴覚支援装置
KR102140800B1 (ko)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933560A (zh) 音箱的控制方法、音箱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21519B1 (ko) 청각 장애인 운전자용 소리 알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621384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210151412A (ko) 운송장치의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