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519B1 - 협소공간 확장기 - Google Patents

협소공간 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519B1
KR101881519B1 KR1020160029692A KR20160029692A KR101881519B1 KR 101881519 B1 KR101881519 B1 KR 101881519B1 KR 1020160029692 A KR1020160029692 A KR 1020160029692A KR 20160029692 A KR20160029692 A KR 20160029692A KR 101881519 B1 KR101881519 B1 KR 10188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lt
link
cover
rod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59A (ko
Inventor
박혜현
Original Assignee
지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테크(주) filed Critical 지엘테크(주)
Priority to KR102016002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arth Drill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협소공간 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전선관 또는 관로 등을 확장하는 확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출원한 확장기는 단차지는 형상으로 1차 후 2차 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1차 확장한 직경이 작은 경우 제2확장기가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의 발생과, 또한 원뿔형상의 제1,2작동자는 시공된 관체 외부에 돌 등과 같은 단단한 물질있는 경우 그 해당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빠르게 파손 및 훼손되게 되어 제1,2작동자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점으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아울러 관체를 확장하더라도, 관체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왕복하는 이동봉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가 확장판을 승,하강시켜 관체를 확장하여, 기존 제1,2작동자의 전체 교체에 따른 비용을 해소하고, 또한 확장된 관체가 다시 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는 것을 확장유지수단의 쐐기로 벌어진 틈으로 박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확장유지하는 링벨트로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시간 및 시공일자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협소공간 확장기 및 그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협소공간 확장기{Narrowness space diastole}
본 발명은 협소공간 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전선관 또는 관로 등(이하 "관"으로 통칭함)을 확장하는 확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확장에 필요한 충분한 힘을 전체에 대해서 고르게 가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각각 복동식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관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노후 관이 외압 및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현상을 방지하여 새로운 관을 용이하게 연속으로 삽입 접합하도록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공간 예를 들어 건축물의 방과 방 사이를 구성하는 벽에 기존 전선과 또는 냉매관 등의 노후 관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다이몬드 드릴 공구 등으로 큰 구멍을 새로 천공하면 되지만, 터널과 터널 사이 또는 산과 산 사이에 매립된 각종 관로는 그 외경에 따른 전체크기와 길이가 드릴링으로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등록 제1045626호(명칭: 협소공간 확장기)를 제공하였으며, 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복동식 유압실린더 전방에 제1확장기를 구성하고, 그 제1확장기에 연속으로 직경이 보다 큰 제2확장기로 조립구성하여 다단으로 구성하되, 제1확장기에는 복동식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고 슬릿형 구멍이 둘레에 슬릿형 구멍이 형성된 제1본체와, 복동식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직접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좁아지는 원뿔형 제1작동자 및 제1작동자의 경사와 동일한 하부 경사면을 갖는 제1확장판이 슬릿형 구멍으로 출몰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확장기도 제1본체와 마찬가지로 형성된 직경이 큰 제2본체와, 제1작동자 후방에 이어서 체결되는 제2작동자과 그 제2작동자의 경사면과 동일한 하부 경사면을 갖는 제2확장판 및 제1,2확장판 상단에는 단턱부의 폭과 높이에 맞는 길이와 두께의 호형 압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노후관을 확장하는 방식은 최초 제1확장기가 노후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동식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제1확장판과 호형 압판이 노후관을 1차 확장하고, 바로 이어서 삽입되는 제2확장기가 제1확장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2차 확장하는 방식을 반복 작업하여 노후관을 확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협소공간 확장기는 노후관을 1차 확장 후, 2차 확장하면 보다 용이하게 확장이 이루어지지만 확장이 한 번의 작업으로 큰 직경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1차 확장한 직경이 작은 경우 제2확장기가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는 그 직경을 확보하기 위해서 1차 확장구간을 제1확장기가 반복해서 확장하게 되어 효율성이 오히려 반감되는 문제점과, 1차 확장작업 후, 노후관 내면에 파손되어 남은 찌꺼기 등에 의해서도 진입 및 이동에 어려운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제1확장기의 작업이 제2확장기보다 늘어남으로써, 제1확장판과 제1작동자의 파손이 빨리 진행하여 보수 교체비용이 증가하고, 이러한 교체작업은 작업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더욱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제1작동자 및 제2작동자의 무게가 상당하여 확장기의 중량을 가중시켜 윈치 등으로 확장기를 당길 때 동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요됨으로써, 작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더불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원뿔형상의 제1,2작동자는 시공된 노후관 외부에 돌 등과 같은 단단한 물질있는 경우 그 해당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빠르게 파손 및 훼손되어 제1,2작동자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점으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확장기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1,2작동자는 자중에 하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가장 큰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제1,2확장기를 이용하여 노후관을 확장하더라도, 자체 복원력이 발생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려 하고, 또한 매설된 경우 토압 등의 외력이 노후관의 복원력을 증가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작업시 원하는 직경 이상으로 크게 확장하는 문제로 작업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확장할 노후관에 간섭없이 확장기 전체가 삽입되어 일괄적으로 노후관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되 길게 형성되는 확장기의 전,후방에 복동식유압실린더를 각각 설치하여 고른 확장력을 제공하고, 확장시 빠르게 파손되는 일부분의 확장판을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며, 확장된 노후관 자체 복원력 또는 외력에 의해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장상태를 유지하여 새로운 관을 용이하게 삽입시켜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가이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열되어 구비된 이동봉과, 하부 중앙에 보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승강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동봉의 이동을 따라 승강하고, 상부에는 장착홀이 형성된 확장판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과 대응하는 슬릿구멍이 형성된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각각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외부로 노출된 원판이 연결볼트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파이프 일단에 설치되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가 구성되고, 이동봉의 타단과 외부파이프를 폐쇄한 커버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어 이동봉에 큰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와, 상기 외부파이프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를 보호하도록 외부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어 이동봉의 전진시 승강한 확장판을 이동봉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체와, 상기 일측 커버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확장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바닥 중앙에는 와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간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간 양측에서 일단은 최선단과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가이드공간 최선단에는 제1링크지지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타단에는 제2링크지지부가 형성된 가이드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이동봉과, 상기 제1링크지지부에 하단이 접촉 지지되어 회전하고, 내측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링크바와, 상기 제2링크지지부에 하단이 접촉 지지되어 회전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제2링크바와, 상기 선단이 제1링크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에는 장착홀이 형성된 확장판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과 대응하는 슬릿구멍이 형성된 외부파이프과, 상기 이동봉에서 제2링크지지부가 구비된 위치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제2링크바를 통과한 외어어 선단이 외부파이프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에 리턴된 후 타측면과 고정되어, 이동봉의 전진 동작시 제1링크바의 하부를 와이어가 당겨 상부가 선회되어 세워지면 확장판이 연동하여 상승하면서 제2링크바의 상부를 선회시켜 세워지도록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재와, 상기 제1링크바와 외부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바와 와이어고정부재와 연결되어, 이동봉의 전,후진작동시 제1,2링크바가 선회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자세유지수단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개방된 양단부를 각각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외부로 노출된 원판이 연결볼트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파이프 일단에 설치되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가 구성되고, 이동봉의 타단과 외부파이프를 폐쇄한 커버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어 이동봉에 큰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와, 상기 외부파이프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를 보호하도록 외부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는 외부커버와,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어 이동봉의 전진시 승강한 확장판을 이동봉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체와, 상기 일측 커버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확장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매립된 노후 관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노후 관체를 길이방향으로 단수의 열 또는 복수의 열로 절취하는 단계와, 상기 절취한 노후관 속으로 윈치 등의 당김장치와 와이어로 연결된 확장기가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노후 관체에 진입한 확장기에서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된 이동봉에 의해 승강하는 확장판이 노후 관체를 확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진하는 확장기를 따라오게 연결된 확장유지수단이 확장된 노후 관체가 원위치로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기와 확장유지수단으로 확장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노후 관체에 새로운 관을 연속하여 접합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후관에 삽입된 확장기가 기존 단계적으로 진입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외부파이프를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노후관에 삽입된 확장기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일관적으로 확장판을 작동시켜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를 이동봉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시켜 확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확장판이 고른 힘으로 일괄적으로 승강되어 노후관의 확장 직경이 고르게되어 새로운 관의 삽입이 걸림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봉의 가이드홈과 접촉된 확장판의 승강경사면에 의해 확장판을 승강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관을 확장시킴으로써, 확장기의 제조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업시 파손된 확장판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이동봉의 전,후진 작동으로 동작하는 제1,2링크바가 확장판을 승강하되, 제1,2링크바를 회전축과 같은 회전수단 없이 이동봉에 설치 및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제1,2링크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봉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확장기에 연결되는 확장유지수단으로 쐐기 또는 링벨트를 구비함으로써, 확장된 노후관이 복원력 및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러함에 따라 새로운 관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확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외부파이프와 이동봉 및 확장판을 분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다른 확장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례의 확장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례의 확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확장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확장판이 상승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유지수단의 제1실시례인 쐐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카트리지가 포함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확자유지수단의 제2실시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링벨트의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걸림턱이 걸림구멍에 걸려지는 상태를 발췌 도시한 전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벨트 다수가 내장되는 카트리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확장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링벨트 다수가 내장되는 다른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홈 및 걸림홈에 개폐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벨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걸림구멍이 단수로 형성된 사시도이고, (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링벨트에 걸림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간략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확장기(100)(20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크게 이동봉(110)(210)과, 그 이동봉(110)(210)이 삽입되는 외부파이프(140)(250)와 이동봉(110)(210)의 전,후진 동작으로 승,하강하는 확장판(120)(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기(100)(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확장판(100)(200)의 의해 확장된 노후 관체(8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확장유지수단(300)(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확장판(120)(240)을 승강시키는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하고,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실시례의 확장기(10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5와 같이,
상기 이동봉(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에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113)와 와이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114)가 설치되어, 상기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113)(114)에서 제공하는 확장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113)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114)가 전진할 때 같은 방향으로 로드가 인출되어 이동봉(110)을 전진할 수 있도록 후술할 외부프파이프(140) 일단을 폐쇄하는 커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가 그 커버 외부로 노출되어 원판(113a)과 결합되고, 그 원판과 이동봉(110)의 일단이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된 연결볼트(113b)로 연결되어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114)와 한 방향으로 로드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파이프(140)의 일단을 폐쇄하는 커버(130)에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봉(11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111)에서 내측양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경사진 경사면(112)이 구비되어, 이동봉(110)의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렇게 방사상으로 구비된 가이드홈(111)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배열된다.
상기 확장판(120)은 하부 양측에 경사면(112)과 대응하는 양측에 승강경사면(121)이 요홈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구비된 승강경사면(121)과 승강경사면(121)이 접하는 중앙부분에 보강부(122)가 자연히 형성되어 확장판(120)의 하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경사면(121)은 이동봉(110)의 경사면(112)과 접촉하고, 보강부(122)는 이동에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1)의 중앙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11)의 경사면(112)과 확장판(120)의 승강경사면(121)은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로 형성시켜 확장판(120)이 상승하였을 때,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는 저항력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상기 확장판(120)의 상부는 단수 또는 적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장착홀(123)이 형성되어, 이동봉(11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확장판(120)을 후술할 복귀탄성체(160)가 일괄 결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110)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120) 및 가이드홈(111)과 대응하는 슬릿구멍(141)이 관통 형성되어, 이동봉(110)의 전,후진작동시 확장판(120)이 경사면의 안내받아 슬릿구멍(141)를 통과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40)의 개방된 일단과 타단에는 커버(130)를 각각 설치하여 폐쇄하고, 상기 타단에 설치되는 커버(130)의 외측에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114)가 설치되어 로드가 내부로 진입하여 이동봉(110)의 타단과 고정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40)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130)를 보호하도록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113)의 로드와 결합된 원판(113a)이 내부에 수용시켜 보호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외부커버(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봉(110)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확장판(120)을 감아 일괄로 결속하도록 장착홀(123)에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또는 양단부를 이어서 원형을 이루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복귀탄성체(16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복귀탄성체(160)는 이동봉(110)의 전진 동작에 의해 확장판(120)이 상승한 후, 이동봉(110)이 후퇴하면 확장판(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귀탄성체(160)는 이동봉(110)이 외부파이프(140)에 삽입하고, 확장판(120)을 슬릿구멍(141)으로 설치한 후에 외부로 노출된 장착홀(12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확장유지수단(300)(400)은 커버(130)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관체(800)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장유지수단(300)(400)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 구성을 설명한 다음 그 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구비된 확장기(100)의 제1실시례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113)(114)가 동시에 작동하여 이동봉(110)이 전진하면 이동하는 경사면(112)과 접촉된 승강경사면(121)이 안내받아 슬릿구멍(141)에서 복귀탄성체(160)를 늘리며 확장판(120)이 상승되어 노후 관체(800)를 확장시키고, 역으로 이동봉(110)이 후퇴하면 복귀탄성체(160)가 복원력에 의해서 확장판(120)이 슬릿구멍(141)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노후 관체(800)의 직경을 서서히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례의 확장기(200)는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이동봉(2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211)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홈(211)은 그 바닥에 중앙에는 와이어(230)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공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간(212) 양측에서 일단은 가이드공간(212)의 최선단과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된 안착부(215)가 형성되고, 가이드공간(212) 최선단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링크지지부(213)가 형성되며, 안착부(215)의 타단에도 곡면으로 형성된 제2링크지지부(214)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15)의 일단과 타단은 후술할 제1,2링크바(220)(221)를 지지하도록 일단 경사지지면(216)과 타단 경사지지면(217)이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가이드홈(211)은 이동봉(210)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1,2링크지지부(213)(214)와 하부가 접촉하는 제1,2링크바(220)(221)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링크바(220)(221)의 상,하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링크지지부(213) 또는 제2링크지지부(214)의 곡면과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즉 이동봉(210)에 다수의 제1,2링크바(220)(221)를 회전축 등으로 고정하기가 설치상 곤란하기 때문에 제1,2링크바(220)(221)는 제1링크지지부(213) 또는 제2링크지지부(214)와 연결수단 없이 안착되어 자유롭게 설치시켜 확장기(200) 제작을 신속하고 간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바(220)의 내측 하단과 가이드공간(212)을 통과하는 와이어(230)가 연결되고, 그 와이어(230)의 선단이 제2링크바(22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2링크바(221)의 하단에는 관통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링크바(220)(221)의 상단과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제1실례와 마찬가지로 장착홀(241)이 형성되어 복귀탄성체(242)가 설치되는 확장판(240)이 구성된다.
상기 확장판(240)의 하부는 하강한 상태에서 안착부(215)의 상부에 걸려 그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파이프(250)는 이동봉(210)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확장판(240)과 대응하는 위치와 갯 수로 관통된 슬릿구멍(2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봉(210)에서 제2링크지지부(214)가 위치한 외주연에 와이어고정부재(260)가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재(260)는 제2링크바(221)를 통과한 와이어(230) 선단이 외부파이프(250) 내부에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61)에 의해 리턴된 후, 요홈을 빠져나온 와이어(230) 선단이 와이어고정부재(260)의 타측면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261)를 외부파이프(25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부파이프(250) 일단 일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구성된 상부블록(252)이 외부파이프(250) 선단과 결합가능하게 구성하고, 상부블록(252)과 외부파이프(250)에 가이드롤러(261) 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가이드롤러(261)를 우선 외부파이프(250)에 안착한 후, 상부블록(252)을 외부파이프(250)와 결합시켜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봉(210)이 와이어고정부재(260)와 함께 이동하면 와이어고정부재(260)에 고정된 와이어(230)가 당겨지게 되고, 그러함으로써 와이어(230)의 말단과 하단이 고정된 제1링크바(220)가 당겨져 제1링크바(220)가 세워지면서 확장판(240)을 상승시키고, 그 확장판(240)이 상승하면서 타단과 연결된 제2링크바(221) 역시 연동하여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링크바(220)는 최초 가이드공간(212)의 최선단에 형성된 제1링크지지부(213)에 위치하고, 이동봉(210)이 전진하면 와이어(230)가 당겨져 최선단과 간격을 두고 구비된 안착부(215)의 일단 경사지지면(216)까지 슬라이드 된 후, 그 일단 경사지지면(216)에 지지되어 제1링크바(220)가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링크바(221)는 최초 비스듬히 누워진 상태에서 제2링크지지부(214)에 지지되어 안착부(215)의 타단 경사지지면(217)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고, 제1링크바(220)와 연동하여 세워지게 되더라도 제2링크지지부(214)와 접촉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이루게된다..
이렇게 이동봉(210)의 전진시 제1링크바(220)는 슬라이드되어 세워지고, 제2링크바(221)는 제2링크지지부(214) 제자리에서 세워지게 구성된 이유는 제1링크바(220)와 제2링크바(221)의 거리가 줄어들어야 확장판(240)이 상승하게 되고, 역으로 확장판(240)이 하강하면 거리가 늘어나야 하기 때문에 제1링크바(220)가 그 거리를 보상하도록 슬라이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l,2링크지지부(213)(214)에 자유롭게 안착된 제1,2링크바(220)(221)의 자세를 유지하여 선회가 되도록 자세유지수단(270)이 구성된다.
상기 자세유지수단(270)은 제1링크바(220)와 외부파이프(250)가 연결되고, 제2링크바(221)와 와이어고정부재(260)를 연결하여 이동봉(210)의 전,후진시 제1,2링크바(220)(22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정자세로 세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링크바(220)(221)의 양측면은 가이드홈(211)과 슬릿구멍(251)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측방향으로는 이탈되지않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이동봉(210)의 전,후진시 가이드홈(211)과의 마찰력에 의해 슬림형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자세유지수단(270)이 구성되는 것이고, 그 자세유지수단(270)은 와이어, 노끈 등의 줄일 수도 있고, 또는 접힘과 펼침을 제어하는 경첩일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이동봉(210)의 일단에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218)와 와이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219)가 설치되어, 상기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218)(219)에서 제공하는 확장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218)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219)가 전진할 때 같은 방향으로 로드가 인출되어 이동봉을 전진할 수 있도록 외부프파이프(250) 일단을 폐쇄하는 커버(280)에 설치된 상태에서 로드가 그 커버(280) 외부로 노출되어 원판(218a)과 결합되고, 그 원판과 이동봉(210)의 일단이 연결볼트(218b)로 연결되어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219)와 한 방향으로 로드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파이프(250)의 일단을 폐쇄하는 커버(280)에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파이프(250)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280)를 보호하도록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218)의 로드와 결합된 원판(218a)이 내부에 수용시켜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외부커버(2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봉(210)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확장판(240)을 감아 일괄로 결속하도록 장착홀(241)에 복귀탄성체(24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확장유지수단(300)(400)은 커버(280)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확장기(100)(200)와 동시에 이동하면서 관체(800)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2실시례는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218)(219)의 작동으로 이동봉(210)이 전진하면 와이어고정부재(260)도 함께 전진하면서 그와 선단이 연결된 와이어(230)가 당겨지고, 그 와이어(230) 말단과 연결된 제1링크바(220)가 가이드홈(211) 바닥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안착부(215)의 일단 경사지지면(216)까지 도달한 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세워지면서 확장판(240)을 상승시키며, 확장판(240)과 연결된 제2링크바(221)도 연동하면서 제2링크지지부(214)를 지탱하며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2실시례의 확장기(100)(200)에는 관체(800)를 확장한 후, 다시 원상태로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유지수단(300)(400)이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2가지의 실시례를 제공한다.
제1실시례의 확장유지수단(300)는 첨부된 도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관체(800)의 내측 상면을 지지하는 호형상의 지지판(311)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승강하는 쐐기고정로드(310)가 구비된 제3복동식 유압실리더(312)가 구성되고, 상기 쐐기고정로드(310)의 강한 하강력에 의해 관체(800)에 끼우져 벌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쐐기(320)가 설치된다.
상기 쐐기(320)의 형상은 쐐기고정로드(310)의 하강력으로 노후관에 끼워져 벌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는 땅속으로 파고들어 박히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21) 상면에는 좁은 폭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벌어진 관체(800)의 양측면에 걸려지게 형성되는 걸림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22) 상면에는 하강하는 쐐기고정로드(310)와 접촉되고, 고정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접촉부(323)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쐐기(320)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벌어진 노후관에 끼워져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320)는 노후관의 길이방향으로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가 설치되는 것이 복원력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쐐기(320)가 내장되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카트리지(330)를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330)는 제3복동식 유압실린더(312)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다수의 확장된 쐐기(320)가 장착되며, 상기 쐐기고정로드(310)의 직하부에 쐐기가 쐐기고정로드(310)의 하강으로 취출하는 쐐기취출공(331)이 형성되고, 쐐기(320)가 쐐기취출공(331)으로 밀착하도록 수용공간 일단에 장착된 밀착스프링(332)이 구비되며, 외측 하면에는 구동용 바퀴(333)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실시례의 확장유지수단(400)는 첨부된 도면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관체(800) 확장시 확장판(120)(240)의 상승에 의해 밀려서 늘어날 수 있도록 코일형태의 벨트로 형성되는 링벨트(410)를 형성하되, 링벨트(410)의 타단이 회전하여 일단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링벨트(410)의 일단에는 관통된 다수의 걸림구멍(411)이 적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구멍(41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412)이 링벨트(4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412)과 타단 측면에는 복귀스프링(413)이 설치되어 걸림턱(412)이 타단의 내측면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다 걸림구멍(411)에 위치하면 복귀스프링(413)이 걸림턱(412)을 잡아당겨 고정된다.
상기, 걸림턱(412)이 링벨트(410)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확장판(120)(240)이 상승하면서 링벨(410)트 내면을 누르면서 링벨트(410)의 직경이 늘어나 높이를 갖는 걸림턱(412)의 상부가 확장판(120)(240)과 접촉되어 이동불가한 상태에서 링벨트(410)의 일단은 계속해 늘어나 걸림구멍(411)이 걸림턱(412)에 위치할 때 비로소 걸림턱(412)이 복귀스프링(413)의 당김력에 의해 회전하여 결속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412)이 회전되는 단부와 그와 접하는 링벨트(410)의 단부의 상,하부는 회전공간을 확보하도록 적정한 각도로 절개되어 걸림턱(412)이 회전할 때 간섭 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림구멍(411)은 걸림턱(412)이 회전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수평한 사선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벨트(410)의 다수가 충전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카트리지(500)가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500)는 첨부된 도면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부파이프(140)(250)의 후방에 삽입고정되는 내통(510)을 구비하되, 상기 내통(510)은 확장판(120)(240)의 작동에 간섭 없도록 전방에 슬롯으로 형성된 수용부(511)가 구비되고, 외부파이프(140)(250)와 내면의 사이가 이격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링벨트(410)가 적정한 여유간격을 두고 단위담김줄(513)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확장판(120)(240)으로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링벨트(410)에 느슨하게 연결된 각각의 단위당김줄(513)과 각각으로 여유간격을 두고 구비된 당김수단(512)이 연결되어, 당김동작에 의해 링벨트(410)가 개별로 1개씩 확장판(120)(240)으로 이동되고, 상기 충전된 링벨트(410) 중 최후방에 위치한 링벨트(410)와 접촉하여 보급되는 진행방향으로 충전된 다수의 링벨트(410)를 전체당김줄(515)로 밀어내는 당김부재(514)가 구성되며, 상기 단위당김줄(513)과 전체당김줄(515)을 유턴시켜 내통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외부파이프(140)(250)에 설치된 걸고리(516)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이 삽입되어, 링벨트(410)를 보호하도록 하는 외통(517)이 설치된다.
상기 당김수단(512)은 단위당김줄(513)을 매듭 묶어서 형성하거나 또는 밀어낼 수 있는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카트리지(500)는 걸고리(516)에 의해 연결된 전체당김줄(515)을 당기게 되면, 링벨트(410) 전체가 이동을 하게 되고, 이후 단위당김줄(513)을 잡아당기면, 최전방의 링벨트(410)가 당김부재(514)에 의해 이동하여 확장판(120)(240)에 배치되고, 이후 이동봉(110)(210)의 이동으로 확장판(120)(240)이 상승하면 링벨트(410)가 확장되면서 당김부재(514)를 벗어나 노후관의 내주연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벨트(410)를 연결하는 단위당김줄(513)이 느슨하게 연결된 이유는 최초 단위당김줄(513)을 당기면 전방에 있는 링벨트(410)를 느슨한 상태의 단위당김줄(513)이 팽팽하게 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고, 그렇게 팽팽해 지면 다음에 위치한 단위당김줄(513)이 링벨트(410)를 연속해서 당겨 확장판(120)(240)에 링벨트(410)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카트리지(600)는 첨부된 도면 도 18 및 도 19와 같이, 확장기(100)(200)의 후방과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다수의 링벨트(410)가 충전되는 외통(610)이 구비되고, 확장기(100)(200)의 진행방향에서 최전방에 위치한 링벨트(410) 전면과 접촉하여 충전된 전체 링벨트(410)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전체당김줄(617)이 구비된 당김부재(611)와, 후방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링벨트확장실린더(612)의 로드가 고정되는 이동축(613)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축(613) 전방과 고정되어 이동축(613)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커버(614a)가 구비되고, 상기 링벨트확장실린더(612)와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한 고정커버(614b)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커버(614a)와 고정커버(614b)와 각각 결합되어 이동축(613) 외주연에 배치되는 링부재(615)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링부재(615)에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벨트확장링크(612)가 구비되고, 상기 링벨트확장링크(616)의 각각 선단과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전체당김줄(617)에 의해 당겨진 링벨트(410)가 끼움 안착하는 걸림홈(618)이 형성된 링벨트안착부재(619)로 구성된다.
상기의 카트리지(600)는 확장판(120)(240)에 링벨트(410)가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장착되는 링벨트안착부재(619)에 링벨트(410)를 공급하여 노후관의 확장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링벨트(410)를 전체당김줄(617)로 이동시키면 전방에 위치한 링벨트(410)가 링벨트안착부재(619)에 안착된 후 링벨트확장실린더(612)의 작동으로 링벨트안착부재(619)가 승강하여 링벨트(410)가 벌어지면서 노후관의 내주연에 밀착 고정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걸림홈(618)의 양측면는 안착된 링벨트(410)가 확장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부재(70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700)는 회전가능하게 최초 수직상태로 걸림홈(618)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개폐부재(700)가 회전한 후 원상태로 복귀하는 스프링(710)이 링벨트(410)가 진입하는 개폐부재(700)의 반대 측면에 설치되며, 스프링(71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부재(700)가 수직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부재(700)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턱(7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링벨트(410)가 걸림홈(618)에 진입할 때는 개폐부재(700)가 스프링(710)을 압축하면서 회전하여 간섭되지 않고, 진입이 완료한 후에는 스프링(710)의 복귀력에 의해 개폐부재(700)가 회전하여 링벨트(4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링벨트(410)는 첨부된 도면 도 20a와 같이, 걸림구멍(411)이 일렬로 형성되고, 걸림턱(412)이 하나의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첨부된 도면 도 20b와 같이, 링벨트(410a)는 확장된 관체(800)의 복원력이 강한 경우 충분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연에 일렬로 형성된 걸림구멍(411)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복수로 형성하며, 그 걸림구멍(411)과 대응하는 걸림턱(4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협소공간 확장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1과 같이, 최초, 터파기작업으로 매립된 노후관을 노출한 후, 그 노후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확장기(100)(200)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S10), 상기 절취한 노후관에 윈치 등의 당김장치와 와이어로 연결된 확장기(100)(200)가 노후관 내부로 진입하는 단계(S20), 상기 노후관 내부로 확장기(100)(200)가 진입하면 제1,2복동식 유압실린더(113)(218)(114)(219)의 작동으로 이동봉(110)(210)을 이동시켜 확장판(120)(240)의 상승으로 노후관을 밀어 확장하는 단계(S30), 상기 진행하는 확장기(100)(200)의 후방에서 따라오게 배치된 확장유지수단(300)(400)이 확장된 노후관이 토압이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S40)와, 상기 확장기(100)(200)와 확장유지수단(300)(400)으로 확장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노후관에 새로운 관을 연속으로 접합 설치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은 확장기(100)(200)를 이용한 노후관을 확장하는 동시에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노후관을 제어하여 새로운 관의 진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의 확보로 진입한 관의 접합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협소공간 확장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확장기: 100 이동봉:110 :
가이드홈: 111 경사면: 112
1복동식 유압실린더: 113 원판: 113a
연결볼트: 113b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 114
확장판: 120 승강경사면 : 121
보강부: 122 장착홀: 123
커버: 130 외부파이프: 140
슬릿구멍: 141 외부커버: 150
복귀탄성체: 160 확장기: 200
이동봉: 210 가이드홈: 211
가이드공간: 212 제1링크지지부: 213
제2링크지지부: 214 안착부: 215
일단 경사지지면: 216 타단 경사지지면: 217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 218 원판: 218a
연결볼트: 218b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 219
제1링크바: 220 제2링크바: 221
관통부: 222 와이어: 230
확장판: 240 장착홀: 241
복귀탄성체: 240 외부파이프: 250
슬릿구멍: 251 상부블록: 252
와이어고정부재: 260 가이드롤러: 261
자세유지수단: 270 커버: 280
외부커버: 290 제1 확장유지수단: 300
쐐기고정로드: 310 지지판 : 311
제3복동식 유압실린더: 312 쐐기: 320
고정부: 321 걸림부: 322
접촉부: 323 카트리지: 330
쐐기취출공: 331 밀착스프링: 332
구동용바퀴: 333 제2 확장유지수단: 400
링벨트: 410,410a 걸림구멍: 411
걸림턱: 412 복귀스프링: 413
카트리지: 500 내통: 510
수용부: 511 당김수단: 512
단위당김줄: 513 당김부재: 514
전체당김줄: 515 걸고리: 516
외통: 517 카트리지: 600
외통: 610 당김부재: 611
링벨트확장실린더: 612 이동축: 613
이동커버: 614a 고정커버: 614b
링부재: 615 링벨트확장링크: 616
전체당김줄: 617 걸림홈: 618
링벨트안착부재: 619 개폐부재: 700
스프링: 710 지지턱: 720

Claims (8)

  1. 관체(800)의 직경을 확장하도록 구성된 확장기(100)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2)이 구비된 가이드홈(1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열되어 구비된 이동봉(110);
    하부 중앙에 형성된 보강부(122)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경사면(112)과 대응하는 승강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이동봉(110)의 이동을 따라 승강하고, 상부에는 장착홀(123)이 형성된 확장판(120);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110)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120)과 대응하는 슬릿구멍(141)이 형성된 외부파이프(140);
    상기 외부파이프(140)의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각각 폐쇄하는 커버(130);
    상기 이동봉(110)의 일단과 외부로 노출된 원판(113a)이 길이가 긴 연결볼트(113b)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파이프(140) 일단에 설치되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113)가 구성되고, 이동봉(110)의 타단과 외부파이프(140)를 폐쇄한 커버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어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113)와 더불어 이동봉(110)에 큰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114);
    상기 외부파이프(140)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130)를 보호하도록 외부파이프(140)의 일단에 설치되는 외부커버(150);
    상기 장착홀(123)에 설치되어 이동봉(110)의 전진시 승강한 확장판(120)을 이동봉(110)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체(160);
    관체(800)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130)와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되는 확장유지수단(300)(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2. 관체(800)의 직경을 확장하도록 구성된 확장기(200)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바닥 중앙에는 와이어(2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간(21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간(212) 양측에서 일단은 최선단과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된 안착부(215)가 형성되며, 가이드공간(212) 최선단에는 제1링크지지부(213)가 형성되고, 안착부(215)의 타단에는 제2링크지지부(214)가 형성된 가이드홈(2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이동봉(210);
    상기 제1링크지지부(213)에 하단이 접촉 지지되어 회전하고, 내측에는 와이어(230)가 연결되는 제1링크바(220);
    상기 제2링크지지부(214)에 하단이 접촉 지지되어 회전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230)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부(222)가 형성된 제2링크바(221);
    선단이 상기 제1링크바(2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바(22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에는 장착홀(241)이 형성된 확장판(240);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봉(210)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240)과 대응하는 슬릿구멍(251)이 형성된 외부파이프(250);
    상기 이동봉(210)에서 제2링크지지부(214)가 구비된 위치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제2링크바(221)를 통과한 외어어(230) 선단이 외부파이프(250)에 설치된 가이드롤러(261)에 리턴된 후 타측면과 고정되어, 이동봉(210)의 전진 동작시 제1링크바(220)의 하부를 와이어(230)가 당겨 상부가 선회되어 세워지면 확장판(240)이 연동하여 상승하면서 제2링크바(221)의 상부를 선회시켜 세워지도록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재(260);
    상기 제1링크바(220)와 외부파이프(250)에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바(221)와 와이어고정부재(260)에 연결되어, 이동봉(210)의 전,후진작동시 제1,2링크바(220)(221)가 선회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자세유지수단(270);
    상기 외부파이프(250)의 개방된 양단부를 각각 폐쇄하는 커버(280);
    상기 이동봉(210)의 일단과 외부로 노출된 원판(218a)이 길이가 긴 연결볼트(218b)로 연결된 상태로 외부파이프(250) 일단에 설치되는 제1복동식 유압실린더(218)가 구성되고, 외부파이프(250) 타단을 폐쇄한 커버(280)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어 이동봉(210)에 큰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제2복동식 유압실린더(219);
    상기 외부파이프(250) 일단에 설치되는 커버(280)를 보호하도록 외부파이프(250)의 일단에 설치되는 외부커버(290);
    상기 장착홀(241)에 설치되어 이동봉(210)의 전진시 승강한 확장판(240)을 이동봉(210)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탄성체(242);
    관체(800)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280)와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되는 확장유지수단(300)(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120)의 승강경사면(121)은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고, 이동봉(110)의 가이드홈(111)은 승강경사면(121)과 대응하는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지수단(300)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관체(800)의 내측 상면을 지지하는 호형상의 지지판(311)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승강하는 쐐기고정로드(310)가 구비된 제3복동식 유압실린더(312);
    상기 쐐기고정로드(310)의 강한 하강력에 의해 관체(800)에 끼워져 벌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는 땅속으로 파고들어 박히도록 삼각형상의 고정부(321)가 형성되고, 그 고정부(321)의 상면에서 좁은 폭으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벌어진 관체(800)의 양측면에 걸려지게 형성된 걸림부(322)가 형성되며, 그 걸림부(322) 상면에는 하강하는 쐐기고정로드(310)와 접촉되고, 고정부(32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접촉부(323)로 이루어진 쐐기(320);
    상기 제3복동식 유압실린더(312)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다수의 확장된 쐐기(320)가 장착되며, 상기 쐐기고정로드(310)의 직하부에 쐐기(320)가 쐐기고정로드(310)의 하강으로 취출하는 쐐기취출공(331)이 형성되고, 쐐기(320)가 쐐기취출공(331)으로 밀착하도록 수용공간 일단에 장착된 밀착스프링(332)이 구비되며, 외측 하면에는 구동용 바퀴(333)가 설치된 카트리지(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지수단(400)은
    관체(800) 확장시 확장판(120)(240)의 상승에 의해 직경이 늘어날 수 있도록 코일형태를 이루는 벨트로 형성되고, 일단 부분에 관통된 다수의 걸림구멍(4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링벨트(410)이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 부분에 관통된 다수의 걸림구멍(4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되며, 그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멍(411)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라인으로 배치되는 링벨트(410a);
    상기 링벨트(410)의 타단은 그 링벨트(4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안내되어 접지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구멍(411)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귀스프링(413)이 설치된 걸림턱(4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지수단(400)은 다수가 내부에 충전되어 보급하는 카트리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5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부파이프(140)(250)의 후방이 삽입고정되되, 확장판(120)(240)의 작동에 간섭 없도록 전방에 슬롯으로 된 수용부(511)가 형성되고, 외부파이프(140)(250)와 내면의 사이가 이격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링벨트(410)가 여유간격을 두고 충전되는 내통(510);
    여유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링벨트(410)와 링벨트(410)를 연결하고, 그 링벨트(410)를 진행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비된 당김수단(512)이 연결되어, 당김동작에 의해 링벨트(410)를 개별로 1개씩 확장판(120)(240)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단위당김줄(513);
    상기 충전된 링벨트(410) 중 최후방에 위치한 링벨트(410)와 접촉하여 보급되는 진행방향으로 충전된 전체 링벨트(410)를 전체당김줄(515)로 밀어내는 당김부재(514);
    상기 단위당김줄(513)과 전체당김줄(515)을 유턴시켜 내통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외부파이프(140)(250)에 설치된 걸고리(516);
    상기 내통(510)이 삽입되어, 링벨트(410)를 보호하도록 하는 외통(5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지수단(400)은 다수가 내부에 충전되어 보급하는 카트리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600)는
    확장기(100)(200)의 일단과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다수의 링벨트(410)가 충전되는 외통(610);
    확장기(100)(200)의 진행방향에서 최전방에 위치한 링벨트(410) 전면과 접촉되어 충전된 전체 링벨트(410)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전체당김줄(617)이 구비된 당김부재(611)와, 후방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링벨트확장실린더(612)의 로드가 고정되는 이동축(613);
    상기 이동축(613) 전방과 고정되어 그 이동축(613)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커버(614a);
    상기 링벨트확장실린더(612)와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하게 구비된 고정커버(614b);
    상기 이동커버(614a)와 고정커버(614b)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축(613) 외주연에 배치되는 링부재(615);
    각각의 상기 링부재(615)에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벨트확장링크(616);
    상기 링벨트확장링크(616)의 각각 선단과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전체당김줄(617)에 의해 당겨진 링벨트(410)가 끼움 안착하는 걸림홈(618)이 형성된 링벨트안착부재(6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확장기.
  8. 삭제
KR1020160029692A 2016-03-11 2016-03-11 협소공간 확장기 KR10188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92A KR101881519B1 (ko) 2016-03-11 2016-03-11 협소공간 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92A KR101881519B1 (ko) 2016-03-11 2016-03-11 협소공간 확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59A KR20170106059A (ko) 2017-09-20
KR101881519B1 true KR101881519B1 (ko) 2018-07-24

Family

ID=6003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692A KR101881519B1 (ko) 2016-03-11 2016-03-11 협소공간 확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056B1 (ko) * 2021-12-08 2023-11-20 (주)삼우이엔씨 지중 관로용 확관기
CN117052990B (zh) * 2023-10-11 2023-12-08 上海倍安实业有限公司 一种给排水管道系统及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934A (ja) 2005-08-02 2007-02-15 Shimizu Corp 拡径装置、拡径方法及び布設替え工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540B2 (ja) * 1996-10-18 2002-02-04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角形管体用の中子装置
JPH116393A (ja) * 1997-06-16 1999-01-12 Houshiyou:Kk 拡大式破砕カッタ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無排土推進工法
KR101045626B1 (ko) * 2008-11-18 2011-06-30 박주휘 협소 공간 확장기
KR101637243B1 (ko) * 2014-05-27 2016-07-08 지엘테크(주) 협소공간 확장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934A (ja) 2005-08-02 2007-02-15 Shimizu Corp 拡径装置、拡径方法及び布設替え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59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243B1 (ko) 협소공간 확장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4358927B (zh) 一种顶管施工方法及顶管装置
US6021850A (en) Downhole pipe expan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881519B1 (ko) 협소공간 확장기
US20210381189A1 (en) Pile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EA016686B1 (ru) Способ укрепления скважины или трубы при помощи накачиваемой камеры
US10557241B2 (en) Piling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N110709582B (zh) 顶板筛网安装设备
US3494587A (en) Tiedown apparatus
JP3153868U (ja) 杭抜き装置
CN113863297A (zh) 一种分段位移多级控制负泊松自膨胀锚杆装置
DE3701187A1 (de) System zur energieuebertragung auf ein fuer die unterirdische prospektion geeignetes, innen in einem bohrloch oder schacht abgesenktes geraet
WO2019036052A1 (en) CROSSING A WASHING AREA IN A WELLBORE
DE2815149B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ochbrechen eines Schachtes durch Aufwärtsbohren aus dem Vollen
DE102010033519A1 (de) Verfahren zur Einbringung einer Erdwärmesonde in ein Bohrloch und eine nach dem Verfahren arbeitende Vorrichtung
US8863862B1 (en) Lateral drilling tool and method from vertical bore hole
JP2018162577A (ja) 削孔装置及び削孔方法並びにアンカー材施工方法
JP3457575B2 (ja) 地中埋設杭の引き抜き装置
CN110847190A (zh) 基坑滤水网支撑装置及基坑滤水网支撑系统
US20140360610A1 (en) Device for Inserting a New Pipe into an Old Pipe by Means of a Self-Driven Impact Device
US7857064B2 (en) Insert sleeve forming device for a recess shoe
JP6842105B2 (ja) 仮設作業設備及びそれに用いる固定具並びに仮設作業設備を用いた削孔方法
US3463229A (en) Transporter and anchor for well casing interliner or boot
JPWO2019187438A1 (ja) 矢板施工方法及び矢板施工装置並びに保持具
KR102156683B1 (ko) 개선된 직천공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